KR100246820B1 -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820B1
KR100246820B1 KR1019970078786A KR19970078786A KR100246820B1 KR 100246820 B1 KR100246820 B1 KR 100246820B1 KR 1019970078786 A KR1019970078786 A KR 1019970078786A KR 19970078786 A KR19970078786 A KR 19970078786A KR 100246820 B1 KR100246820 B1 KR 10024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ythritol
glucose
medium
osmotic pressur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641A (ko
Inventor
김상용
오덕근
정수련
Original Assignee
정수련
동천컨설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련, 동천컨설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수련
Priority to KR101997007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820B1/ko
Priority to US09/021,304 priority patent/US5989878A/en
Publication of KR1999005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641A/ko
Priority to US09/384,435 priority patent/US6162636A/en
Priority to EP99307618A priority patent/EP10888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18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polyhydr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11Microorganisms using fung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균주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Trigonopsis variabilis) (기탁번호 KCCM-10120호)를 이용하여 에리쓰리톨의 제조에 관한 발효공정에 관계된 것이다. 특히, 최대 에리쓰리톨 생산을 얻기 위하여 pH, 온도, 삼투압과 같은 환경조건을 최적화 하여 에리쓰리톨을 생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2단 배양법을 사용하였다. 즉, 균체 성장기에는 저 삼투압환경을 유지시켜 균체 성장 속도를 높게한 후, 증가된 고농도의 균체에 염화칼륨과 포도당을 첨가하여 산물 생성기에 고 삼투압 조건을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율, 고생산성의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에리쓰리톨(erythritol)의 수율과 생산성이 높은 신균주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한국미생물보존협회 기탁번호 KCCM-10120호로 기탁)를 이용하여 포도당이 함유된 배지로부터 배양과정 중에 삼투압을 조절하여 에리쓰리톨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탄당 알코올인 에리쓰리톨은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다른 다가 알코올들과 마찬가지로 해초류와 버섯류의 저장물질이고, 멜론, 포도, 배 등과 같은 과실류에도 함유되고 있다. 에리쓰리톨은 세균과 효모 등 미생물에 의해서도 생산되므로 포도주나 맥주, 된장 등의 발효식품에서도 검출된다. 또한, 에리쓰리톨은 설탕과 같은 물성을 가지나, 설탕과 달리 에너지가 적으므로 저칼로리 감미료로 사용될 수 있다. 에리쓰리톨은 용해될 때 열 감소가 일어나는 특성으로 인하여 입안에서 느끼는 청량감이 크고 용해도가 낮아 결정성이 부여되며 이러한 성질들로 인하여 청량감과 결정성이 필수적인 캔디 등의 제과제품의 무설탕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에리쓰리톨은 여러 가지의 과일이나 발효식품에 자연상태로 존재하지만 이 경우에는 극히 미량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과일이나 채소로부터 추출하는 것은 산업적으로 경제성이 없다. 또한, 화학적으로는 타르산(meso-tartarate)을 환원하거나 에틸리덴-글루코스(4,6-o-ethylidene-D-glucose)를 산화-환원하거나, 디알데하이드 전분(dealdehyde starch)을 가수분해하거나, 또는 수소 첨가하여 생산하는 방법이 있으나 아직 공업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미생물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생산은 주로 효모에 의해서 일어나고, 지금까지 보고된 효모는토루롭시스(Torulopsis) 속의마그놀리애(magnoliae),베라티리스(veratilis),캔디다(candida)와엔도마이콥시스 초다티(Endomycopsis chodati),한센눌라 서펠리쿨사(Hansenula supelliculsa),피키아 미조(Pichia miso),몬닐리엘라 토멘토사 폴린리스 (Monilliella tomentosa var. pollinis),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Trigonopsis variabilis),트리코스포로노이데스(Trichosporonoides),캔디다 제이라노이데스(Candida zeylanoides),오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 등이 있고 세균의 경우루코노스톡 오에노스(Leuconostoc oenos)가 보고 되어 있다.
이 중몬닐리엘라 토멘토사 폴린리스는 포도당으로부터 41% 라는 고수율로 에리쓰리톨을 생산하였지만 글리세롤, 리비톨이 부산물로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공업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공업적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균주로는오레오바시디움이 있는데 이 균주는 일본의 농림수산성 식품종합연구소와 일연화학의 공동연구에 의하여 분리 동정되었다. 자연에서 분리한 오레오바시디움 야생균주는 에리쓰리톨 생산성과 내당성에 있어서도 만족할만하지 못했지만 이 균주를 돌연변이시켜 생산성과 내당성의 향상된 돌연변이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변이주는 포화 포도당 농도(83.3%)에서도 발효가 가능하고 포도당 농도 40∼50%에서 2 g/L-h의 에리쓰리톨 생성속도를 보였다. 또한, 포도당으로부터 에리쓰리톨의 수율이 45%(w/w)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부산물은 소량의 글리세롤을 생성하였다.
대부분의 당알코올 생산 균주들이 삼투압이 높은 환경(높은 당 농도나 높은 염농도)하에서 생장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당알코올의 생산이 미생물의 생장 삼투압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실제로 리드 등은 글리세롤 생산균주을 삼투압이 높은 환경에서 배양하여 글리세롤의 생산성을 증가시켰다(Appl. Environ. Microbiol.,53, 2119-2123, 1987). 그러나, 아직까지 삼투압 을 조절하여 에리쓰리톨을 생산한 경우는 보고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부산물을 생산하지 않고 에리쓰리톨만 생산하는 장점을 지닌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야생균주 KCCM 35523을 선정하고 이 균주를 돌연변이시킨 결과 돌연변이주가 에리쓰리톨을 높은 수율과 생산성으로 발효생산시킴을 발견하고, 이 신균주를 분리 선별하여 에리쓰리톨 생산에 사용하였다. 또한, 신균주를 배양과정 중에 배지내의 삼투압을 조절함으로써 고수율, 고생산성으로 에리쓰리톨을 생산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돌연변이주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Trigonopsis variabilis) (기탁번호 KCCM-10120호)를 YM 배지에서 종 배양시키고, 포도당 10∼50%, 효모추출물 0.2∼2.0%, 염화나트륨 0∼5%, 염화칼륨 0∼5%를 함유하는 에리쓰리톨 생산배지에서 삼투압을 조절하여 빠른시간내에 변이주의 균체농도가 15∼35g/L 이르게 발효 배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변이주의 발효 배양시 배양액의 pH는 4.5∼6.5이고, 배양온도는 27∼33℃이고, 통기량은 0.5∼2.0 vvm 이고, 교반속도는 300∼1200 rpm임을 특징으로 하고, 종 배양에 사용되는 YM 배지는 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으로 구성된 배지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양액내의 삼투압은 배양과정 중에 0.2∼0.8 Osm/kg의 저삼투압 조건에서 미생물을 성장시킨 후 1.2∼1.8 Osm/kg의 고삼투압 조건으로 변화시키고, 이 고삼투압 조건을 유지 하기 위하여 발효 배지내에 포도당 10∼30%와 염화나트륨 0∼5%와 염화칼륨 0∼5%을 추가로 첨가하여 고삼투압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의 변이주 (기탁번호 KCCM-10120호)와 이를 분리하기 위해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35523의 야생 균주를 0.01% 니트로소구아니딘(NTG)을 포함하는 YM 배지에 배양시키고, 이때 생성된 군락(colony)에서 3번이상 반복하여 생장하는 균주를 선별한 후, 다시 선별된 군락을 250∼270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장하는 균주를 선별하는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변이주를 선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야생균주 KCCM-35523호를 이용하여 20% 포도당을 함유하고 있는 에리쓰리톨 생산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액을 3,000×g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0.1M 구연산 완충액(pH 5.5)를 첨가하여 2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균체를 0.1M 구연산 완충액(pH 5.5)로 희석하여 균체의 농도가 108정도가 되게 하였다. 이 용액에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을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0.01% 가 되게 만들어 30분간 처리하였다. 0.1M 인산 완충액(pH 7.0)으로 두번 세척한 후 포도당 40%, 효모 추출물 0.5%, 아가(agar) 1.5%가 포함된 평판을 이용하여 30℃에서 빨리 자라는 균주들을 중심으로 단일 군락(single colony)을 선별하였고 얻어진 군락을 다시 평판에 성장시켜 YM 배지에서 250∼270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에리쓰리톨을 많이 생산하는 균을 분리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적어도 3번 이상 반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선별된 균주들을 포도당 20%, 효모추출물 0.5%로 구성된 배지가 50 mL 함유된 250mL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40 rpm, 30℃로 120시간 배양 후에 에리쓰리톨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변이주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를 한국미생물보존협회에 1997년 12월 22일 기탁번호 KCCM-10120호로 기탁하였다.
성장배지로는 포도당 1.0%, 펩톤 0.5%, 효모추출물 0.3%, 맥아추출물 0.3%로 구성된 YM 배지를 사용하였고 발효배지로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사용하였고 배지내의 포도당 농도는 실험목적에 따라 조절하였다. 질소원으로 효모 추출물 사용하였고 배지 내의 농도는 0.5%로 하였다.
종 배양은 냉동 보관된 균주를 YM 배지 50 mL가 들어있는 250 mL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40 rpm, 30℃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본 배양은 플라스크 배양의 경우는 YM 배지 50 mL가 들어있는 250 mL의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40 rpm, 30℃로 120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발효조 배양의 경우는 5 L 발효조(한국발효기(주))를 사용하여 회분식 배양과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회분식 배양에서는 포도당이 함유된 배지부피가 3L 이었고 발효과정 중에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에서 1,200 rpm으로 조절하였고 통기량은 0.5∼2.0 vvm으로 유지하였다. pH는 발효 전 과정 동안 4.5∼6.5 로 조절하였고 배양온도는 27∼33℃이었다.
유가식 배양에서 발효조건은 회분식 배양과 동일하였으며, 배지부피는 초기배지 2L에 추가배지 500mL를 30시간과 55시간에 공급하여 최종적으로 3L가 되었다. 초기배지는 포도당 200g, 효모추출물 10g이었고 추가배지는 포도당 500g과 NaCl 55g이었다. 배지가 첨가된 직후의 배양액의 삼투압은 각각 1.68, 1.60 Osm/kg이었다.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탄수화물 분석칼럼(Carbohydrate analysis column, Waters, USA)이 장착된 HPLC(Shimadzu C-R6A, Japan)의 Refractive Index Detector (Shimadzu RID-6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용매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과 물을 8대 2로 섞어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35℃이고, 유속은 1.5mL/min이었다.
균체농도는 분광계를 이용하여 600nm에서 현탁도를 측정하여 미리 측정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건조중량으로 전환하였다. 포도당의 농도는 환원당 정량법인 DNS법을 사용하였으며, DNS 반응액은 분광계를 사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균체의 비 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 of cell)는 균체농도의 로그값을 시간에 따른 기울기로부터 구하였고 산물의 비 생산속도(specific production rate of product)는 시간에 따른 산물의 증가의 기울기를 평균 균체농도로 나누어 구하였다. 용존산소의 농도는 Ingold사(Swiss, polarographic type)의 용존산소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지의 삼투압은 빙점 강하를 이용하여 삼투압을 측정하는 Osmometer A0300 (Knauer Co.,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0.4 Osm/kg 표준액으로는 12,687g/kg H2O 농도의 NaCl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0.4 Osm/kg이하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 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mL가 들어있는 250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0∼40% 포도당과 0.4∼0.6% 효모 추출액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mL가 함유된 250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 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140∼16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0% 포도당(삼투압 = 0.52 Osm/kg)에서 7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3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43 g/L-h이었다.
20% 포도당(삼투압 = 0.99 Osm/kg)에서 144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73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51 g/L-h이었다.
30% 포도당(삼투압 = 1.56 Osm/kg)에서 7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8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33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10.8%이었다.
(비교예 1)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0∼40% 포도당과 0.4∼0.6% 효모 추출액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 mL가 함유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 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24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0% 포도당(삼투압 = 0.52 Osm/kg)에서 24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15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06 g/L-h이었다.
20% 포도당(삼투압 = 0.99 Osm/kg)에서 24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14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06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6.4%이었다.
30% 포도당(삼투압 = 1.66 Osm/kg)에서 24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8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05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24.2%이었다.
(실시예 2)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5% 포도당, 0.4∼0.6% 효모 추출액, 0.0∼0.7M KCl 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 mL가 함유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 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24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5% 포도당과 0.0M KCl (삼투압 = 0.79 Osm/kg)에서 12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5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42 g/L-h이었다.
15% 포도당과 0.62M KCl (삼투압 = 1.66 Osm/kg)에서 12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66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55 g/L-h이었다.
(실시예 3)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5% 포도당, 0.4∼0.6% 효모 추출액, 0.0∼0.7M NaCl 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 mL가 함유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24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5% 포도당과 0.0M NaCl (삼투압 = 0.79 Osm/kg)에서 12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5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42 g/L-h이었다.
15% 포도당과 0.62M NaCl (삼투압 = 1.64 Osm/kg)에서 12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65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54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0.7%이었다.
(실시예 4)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5L 발효조에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8∼32℃로 하여 pH 3.5∼7.5로 3일간 수행하였다. 통기량은 1.0∼2.0 vvm이었고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1200rpm으로 조절하여 pH를 변화시켜 3일간 배양하였다. 포도당 20% 효모추출물 0.4∼0.6%로 구성된 3L 발효배지를 사용하였다.
20% 포도당에서 26℃로 72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5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69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2.4%이었다.
20% 포도당에서 30℃로 72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77 g/L이었고 생산속도는 1.07 g/L-h이었다.
20% 포도당에서 34℃로 72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54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75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1.3%이었다.
(실시예 5)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 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5L 발효조에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6∼34℃로 하여 pH 5.5로 3일간 수행하였다. 통기량은 1.0∼2.0 vvm이었고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1200rpm으로 조절하여 온도를 변화시켜 3일간 배양하였다. 포도당 20% 효모추출물 0.4∼0.6%로 구성된 3L 발효배지를 사용하였다.
20% 포도당에서 pH 3.5로 72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56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78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1.7%이었다.
20% 포도당에서 pH 5.5로 72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77 g/L이었고 생산속도는 1.07 g/L-h이었다.
20% 포도당에서 pH 7.5로 72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58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81 g/L-h이었고 잔존 포도당은 0.8%이었다.
(실시예 6)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5% 포도당, 0.4∼0.6% 효모 추출액, 0.0∼0.7M KCl 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 mL가 함유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 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24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5% 포도당과 0.0M KCl (삼투압 = 0.79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8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42 g/g-day 이었다.
15% 포도당과 0.27M KCl (삼투압 = 1.07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6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62 g/g-day 이었다.
15% 포도당과 0.62M KCl (삼투압 = 1.66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4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76 g/g-day 이었다.
(실시예 7)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0∼40% 포도당, 0.4∼0.6% 효모 추출액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 mL가 함유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 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24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0% 포도당 (삼투압 = 0.52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11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23 g/g-day 이었다.
20% 포도당 (삼투압 = 0.99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7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61 g/g-day 이었다.
30% 포도당과 (삼투압 = 1.56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4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73 g/g-day 이었다.
(실시예 8)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15% 포도당, 0.4∼0.6% 효모 추출액, 0.0∼0.7M NaCl 으로 구성된 발효배지 50 mL가 함유된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진탕배양기로 220∼260 rpm에서 28∼32℃로 240 시간 배양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 초기에 5.5로 조절한 후 조절하지 않았다.
15% 포도당과 0.0M NaCl (삼투압 = 0.79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8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42 g/g-day 이었다.
15% 포도당과 0.27M NaCl (삼투압 = 1.07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6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62 g/g-day 이었다.
15% 포도당과 0.61M NaCl (삼투압 = 1.64 Osm/kg)에서 얻은 비 균체 성장속도는 0.03 h-1이었고 비 에리쓰리톨 생산속도는 0.85 g/g-day 이었다.
(실시예 9)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5L 발효조에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8∼32℃로 하여 pH 5∼6으로 배양하였다. 통기량은 1.0∼2.0 vvm이었고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1200rpm으로 조절하여 배양하였다. 포도당 40% 효모추출물 0.4∼0.6%로 구성된 3L 발효배지를 사용하였다.
40% 포도당에서 16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14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0.88 g/L-h이었다.
(실시예 10)
종 배양 : 돌연변이를 통하여 선별된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10120호의 냉동된(-70℃) 배양액을 YM 배지(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 50 mL가 들어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240 rpm, 30℃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 : 종 배양액을 5L 발효조에 접종하여 배양온도를 28∼32℃로 하여 pH 5∼6으로 배양하였다. 통기량은 1.0∼2.0 vvm이었고 교반속도는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는 범위에서 300∼1200rpm으로 조절하여 배양하였다. 배지부피는 초기배지 2 L에 추가배지 500 mL를 30시간과 55시간에 공급하여 최종적으로 3 L가 되었다. 초기배지는 포도당 200 g, 효모추출물 10 g이었고 추가배지는 포도당 500 g과 NaCl 55 g이었다. 배지가 첨가된 직후의 배양액의 삼투압은 각각 1.68, 1.60 Osm/kg이었다.
40% 포도당에서 80시간 배양 후 에리쓰리톨의 농도를 탄수화물 분석용 칼럼이 장착된 HPLC 분석하였다. 얻은 에리쓰리톨의 농도는 170 g/L이었고 생산속도는 2.13 g/L-h이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에리쓰리톨(erythritol)의 수율과 생산성이 높은 신균주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한국미생물보존협회 기탁번호 KCCM-10120호로 기탁)를 이용하여 포도당이 함유된 배지로부터 배양과정 중에 삼투압을 조절하여 고수율 고생산성으로 에리쓰리톨을 제조하게 된 것이다.

Claims (6)

  1. 돌연변이주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Trigonopsis variabilis) (기탁번호 KCCM-10120호)를 YM 배지에서 종 배양시키고, 포도당 10∼50%, 효모추출물 0.2∼2.0%, 염화나트륨 0∼5%, 염화칼륨 0∼5%를 함유하는 에리쓰리톨 생산배지에서 삼투압을 조절하여 빠른시간내에 변이주의 균체농도가 15∼35g/L 이르게 발효 배양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변이주의 발효 배양시 배양액의 pH는 4.5∼6.5이고, 배양온도는 27∼33℃이고, 통기량은 0.5∼2.0 vvm 이고, 교반속도는 300∼1200 rpm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종 배양에 사용되는 YM 배지는 0.8∼1.2% 포도당, 0.6∼0.8% 펩톤, 0.3∼0.5% 효모 추출액, 0.3∼0.5% 맥아 추출액으로 구성된 배지임을 특징으로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배양액내의 삼투압은 배양과정 중에 0.2∼0.8 Osm/kg의 저삼투압 조건에서 미생물을 성장시킨 후 1.2∼1.8 Osm/kg의 고삼투압 조건으로 변화시키고, 이 고삼투압 조건을 유지 하기 위하여 발효 배지내에 포도당 10∼30%와 염화나트륨 0∼5%와 염화칼륨 0∼5%을 추가로 첨가하여 고삼투압을 유지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에리쓰리톨의 제조 방법
  5.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의 변이주 (기탁번호 KCCM-10120호)
  6.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KCCM-35523의 야생 균주를 0.01% 니트로소구아니딘(NTG)을 포함하는 YM 배지에 배양시키고, 이때 생성된 군락(colony)에서 3번이상 반복하여 생장하는 균주를 선별한 후, 다시 선별된 군락을 250∼270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장하는 균주를 선별함을 특징으로 하는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의 변이주 (기탁번호 KCCM-10120호)의 분리방법
KR1019970078786A 1997-12-30 1997-12-30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KR10024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786A KR100246820B1 (ko) 1997-12-30 1997-12-30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US09/021,304 US5989878A (en) 1997-12-30 1998-02-10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mutant cells by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US09/384,435 US6162636A (en) 1997-12-30 1999-08-27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mutant cells by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EP99307618A EP1088894A1 (en) 1997-12-30 1999-09-28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mutant cells of Trigonopsis variabilis by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786A KR100246820B1 (ko) 1997-12-30 1997-12-30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EP99307618A EP1088894A1 (en) 1997-12-30 1999-09-28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mutant cells of Trigonopsis variabilis by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641A KR19990058641A (ko) 1999-07-15
KR100246820B1 true KR100246820B1 (ko) 2000-03-15

Family

ID=2615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786A KR100246820B1 (ko) 1997-12-30 1997-12-30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989878A (ko)
EP (1) EP1088894A1 (ko)
KR (1) KR100246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820B1 (ko) * 1997-12-30 2000-03-15 정수련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KR100277489B1 (ko) * 1998-07-20 2001-01-15 유연우 칸디다 속의 내염성 돌연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에리트리톨의 생산방법
EP2436772A1 (en) * 2010-09-30 2012-04-04 Annikki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rythritol
EP2686423A4 (en) 2011-03-14 2015-01-28 Nat Res Council Canada METHOD FOR PRODUCING VIRUSES IN CELLS
MY169799A (en) 2011-12-22 2019-05-16 Xyleco Inc Processing biomass for use in fuel cells related applications
CN110628834B (zh) * 2019-10-24 2022-12-09 山东三元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赤藓糖醇生产转化效率的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517B2 (ja) * 1978-12-12 1984-08-02 山之内製薬株式会社 新規7↓−メトキシ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
JPS6230789A (ja) * 1985-08-01 1987-02-09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7−ホルミルアミノセフアロスポリン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4939091A (en) * 1986-09-09 1990-07-03 Director Of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Novel auerobasidium sp. microorganisms, method for ob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erythritol with the same
US4906569A (en) * 1988-02-02 1990-03-06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Process for isolating and recovering erthritol from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same
JPH0734749B2 (ja) * 1988-02-03 1995-04-19 日本碍子株式会社 エリスリトールの製造方法
CA2047306A1 (en) * 1990-07-23 1992-01-24 Milan Holjevac Mutant bacterium clostridium histolyticum, a process for the obtaining thereof, and its use in the production of clostripain-free collagenase
CA2100987C (en) * 1992-07-27 1999-06-15 Kaoru Furuya A transformant capable of producing d-amino acid oxidase
US5416193A (en) * 1993-04-30 1995-05-16 Pfizer Inc. Coupling reagent and method
EP0845538B1 (en) * 1996-12-02 2003-04-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erythritol
KR100246820B1 (ko) * 1997-12-30 2000-03-15 정수련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641A (ko) 1999-07-15
US6162636A (en) 2000-12-19
US5989878A (en) 1999-11-23
EP1088894A1 (en) 200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936B1 (ko) 오레오베이시디움속의 신규 미생물 및 그 취득방법과 이 균주를 사용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FR2671560A1 (fr) Procede de saccharification et de fermentation simultanees pour la production d'ethanol utilisant la levure brettanomyces custersii (cbs 5512) fermentant le cellobiose.
KR100246820B1 (ko) 신균주 트리고높시스 배리아빌리스에 의한 에리쓰리톨의 제조방법
US5998181A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xylitol using Candida tropicalis
US5686277A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xylitol using mutant cells
KR100271137B1 (ko) 신규 미생물 트리코스포로노이데스 마디다 디에스911 및 이 균주를 이용한 에리스리톨의 제조방법
US5939311A (en) Mutant trichosporonoid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erythritol using the said microorganism
US6287830B1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by a high salt tolerant mutant of Candida sp.
US6001616A (e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novel cell of pichia
US6270815B1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using mother liquor produced from purification process of palatinose
US6455301B1 (en) Erythritol—producing Moniliella strains
WO2014045297A2 (en) A selective microbial production of xylitol from biomass based sugar stream with enriched pentose component"
KR100299544B1 (ko) 피키아속신균주에의한에리쓰리톨의제조방법
US4742006A (en) Ferment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ructose from aqueous mixtures of fructose and glucose and Zymomonas mobilis mutants which can be used for such fermentation
KR100416637B1 (ko) 만니톨 생성균주 캔디다 매그노리아 및 이를 이용한만니톨의 발효 제조방법
KR100434518B1 (ko) 신균주 슈도지마 츄쿠밴시스에 의한 에리스리톨의 발효제조방법
RU2096461C1 (ru) Штамм дрожжей yarrowia lipolytica - продуцент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монной кислоты
US6316245B1 (en) Mutant cells of Pichia
KR100541578B1 (ko) 에리트리톨 생산방법
Park et al. Effect of Glucose Concentration on the Production of Erythritol by Trichosporon sp.
EP1092781A1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eparing erythritol by a high salt tolerant mutant of candida sp.
KR100339277B1 (ko) 배양조건 최적화를 통한 에리스리톨의 제조방법
JP3007615B1 (ja) カンジダトロピカリスを用いたキシリトール製造のための発酵法
KR0175497B1 (ko) 산화환원 전위조절에 의한 자일리톨의 제조방법
KR100199818B1 (ko) 신균주 캔디다 트롭피칼리스에 의한 자일리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