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281B1 - 적층형압전변압기 - Google Patents

적층형압전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281B1
KR100298281B1 KR1019980013760A KR19980013760A KR100298281B1 KR 100298281 B1 KR100298281 B1 KR 100298281B1 KR 1019980013760 A KR1019980013760 A KR 1019980013760A KR 19980013760 A KR19980013760 A KR 19980013760A KR 100298281 B1 KR100298281 B1 KR 10029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iezoelectric
unit
driving unit
piezoelectric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506A (ko
Inventor
다까유끼 이노이
다께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8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4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적층된 강압형 압전 변압기는 연장된 플레이트의 양단부상에 배치된 구동부(11) 및 전원 발생부(12)를 가진다. 이러한 부분들은 압전체(111) 및 내부 전극(112)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이들 간에는 절연부가 삽입되어 있다. 구동부(11)의 압전체(111)는 전원 발생부(12)보다 두께가 더 두껍다. 변압기는 종방향으로의 2차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변압기는 높은 변환 효율을 가진다. 임피던스 정합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압전 변압기는 입력 및 출력을 서로 분리함으로써 동작이 안정하다.

Description

적층형 압전 변압기{LAMINATED PIEZOELECTRIC TRANSFORMER}
본 발명은 각종 DC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 경량화,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소형 정류 전원에 이용되는 적층 강압형 압전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업용 전원선으로부터 각종 배터리-구동식 전자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위해, 이른바 AC 어댑터 강압형 변압기(ac adapter step-down transformer)로서, 권선형 전자 변압기가 사용되어 왔다. 전자 변압기는 도체가 자기 재료의 코어 주위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소형화된 경량의 전자 변압기를 실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반면에, 전자 변압기의 동작 원리와 전적으로 다른 동작 원리를 가지는 압전 변압기가, 1958년에 A.Rosen에 등록된 미국 특허 제2,830,274에 제안되었다. 도 2는 압전 변압기가 λ/2 모드에서 구동되는 제안된 구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전체(201)의 상면 및 하면상에 평면형 전극(202, 203)을 가지는 상기 압전체의 부분이 두께 방향으로 분극화된 구동부(21)를 제공한다. 압전체(201)의 단면상에 제공된 단면 전극(204)과 구동부(21)사이에 삽입된 압전체(201)의 다른 부분은 길이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극화된 전원 발생부(22)이다.
상기 압전 변압기로, 지지 고정물(205)이 길이 방향을 따라 종방향 진동 공진시의 노드에 배치되어 이로 인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가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 상태에서, 만약 압전체(201)의 종방향 진동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AC 전압이 평면형 전극(202, 203)에 연결된 외부 전기 단자(206, 207)의 양단에 인가되면, 전압이 외부 전기 단자(207) 및 단면 전극(204)에 연결된 다른 외부 단자(208)의 양단으로 발생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압전 변압기는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의 접속 위치가 진동의 노드에 배치되지 않는 이유로 효율성 및 신뢰성이 나빠지는 장애를 겪는다. 더욱이, 압전 변압기가 단일 판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압비(step-up ratio)가 충분히 증가될 수 없다.
상기 언급된 문제를 개선하도록 의도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JP-A-6-224484에 제안된 적층형 압전 변압기가 공지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적층형 압전 변압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적층형 압전 변압기는 λ/2의 트리플 모드에서 구동 주파수에 구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31로 표시된 사각형 압전판(310)의 일부는 적층형 평면-내부 전극(311, 312) 및 압전체(313)로 각각 구성된 복수개의 세트로 구비된 저-임피던스 구동부이다. 압전판(310)의 상면 및 하면상에 평면형의 전극(314, 315)이 탑재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전극은 내부 전극에 접속하기 위해 압전판(310)의 측면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압전체(313)의 두께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32로 표시된 압전판(310)의 일부는 교대로 상호 적층되어 있는, 스트립형 내부 전극(317) 및 압전체(313)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고-임피던스 전원 발생부이다. 압전판(310)의 상면 및 하면상에 스트립형 전극(318, 319)이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 전극에 접속하기 위해 압전판(310)의 측면상에 형성된다.
전원 발생부는 길이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상기 압전 변압기로, 외부 전기 단자(321,322 및 323)가 종방향 진동의 노드에 접속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 또는 신뢰성 저하의 위험이 없는 반면, 적층형 구조때문에 큰 승압비(step-up ratio)가 실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된 압전 변압기는 승압형이다. 변압기가 강압형 변압기로서 동작하도록 공지된 압전 변압기의 입력 및 출력이 거꾸로 된다면, 변압기는 임피던스 정합(impedance matching) 및 변환 효율성과 관련한 문제 때문에 실제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강압형 압전 변압기로서, JP-A-8-153914, 6-177451 및 5-235432에 제안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참조된 JP-A-8-153914에 제안된 강압형 압전 변압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서, 41로 표시된 부분은 교대로 상호 적층되어 있는, 내부 전극(401,402) 및 압전체(403)로 구성된 구동부이다. 내부 전극은 외부 전기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내부 전극은 두께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42로 표시된 부분은 교대로 상호 적층되어 있는, 내부 전극(406,407) 및 압전체(408)로 구성된 전원 발생부이다. 상기 압전 변압기를 수단으로, 전원 발생부는 종방향 진동으로 여기되고, 구동부의 종방향적인 진동과 조화하여, 강압된 전압을 발생시킨다. 1차 공진 주파수의 AC 전압이 구동부(41)의 종방향으로 인가되어 외부 전기 단자를 통해 전원 발생부(42)에 강압된 전기 전압을 발생시킨다.
도 5는 상기 참조된 JP-A-6-177451에 제안된 강압형 압전 변압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에서, 51로 표시된 부분은 상면 및 하면상에 종방향으로 평면형의 전극(501, 502)을 가지는 전원 발생부이다. 전원 발생부(51)은 두께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52로 표시된 다른 부분은 측면상에 종방향으로 입력 전극(503)을 가지는 구동부이며, 구동부는 구동부의 평면형의 전극(501, 502) 사이에 폭의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상기 압전 변압기는 종방향 진동의 횡축 효과(transverse effect)를 이용한다. 특별히, 종방향으로의 1차 공진 주파수의 AC 전압이 외부 전기 단자(504, 505)를 통해 인가되어 외부 전기 단자(505, 506)를 통해 전원 발생부(51)에 강압된 전기 전압을 발생한다.
도 6은 상기 참조된 JP-A-5-235432에 제안된 강압형 압전 변압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에서, 61로 표시된 부분은 상호 적층된, 내부 전극(601, 602) 및 압전체(603)로 각각 이루어진 구동부로, 상기 내부 전극은 외부 전기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두께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62로 표시된 다른 부분은 교대로 상호 적층된 내부 전극(606, 607) 및 압전체(608)로 이루어진 전원 발생부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두께 방향으로 유사하게 분극화된다. 본 압전 변압기로, 전원 발생부는 구동부의 두께 방향으로 종방향 진동과 관련하여, 전원 발생부의 두께 방향으로 여기되어 강압된 전압을 발생시킨다. 두께 방향으로 3차 공진 주파수의 AC 전압이 외부 전기 단자를 통해 구동부(61)의양단에 인가되어 외부 전기 단자를 통해 전원 발생부(62)에 강압된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중에 상기 언급된 선행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겪게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1) 제1 문제점으로서, 종래의 Rosen형 압전 변압기(미국 특허 제2,830,274) 및 상기 언급된 JP-A-6-224484에 제안된 압전 변압기는 승압형이다. 비록 이러한 변압기가, 입력 및 출력을 반전시킬시, 그 원리로서, 강압형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강압형 변압기는 임피던스 정합 및 변환 효율에 있어서의 문제때문에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2) 강압형 압전 변압기중에, 상기 언급된 JP-A-8-153914에 제안된 압전 변압기는 선행 기술의 제2 문제점을 예시하기 위해 설명된다. 상기 변압기는, 구동부의 종방향으로 진동하는 것과 관련하여, 종방향으로의 제1차 진동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전원 발생부분의 종방향으로 진동을 발생한다. 그래서, 압전 변압기를 진동의 노드 절점에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서, 변환 효율이 충분히 개선될 수 없다.
(3) 상기 언급된 JP-A-6-177451에 제안된 압전 변압기는 선행 기술의 제3 문제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종방향 진동의 횡축 효과를 이용하는, 상기 변압기는 단일 플레이트형이며 공통으로 접지된 입력 및 출력을 가진다. 이것은 부하와 관련한 임피던스 정합에서 진동을 실현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입력 및 출력이 공통으로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제기된다.
(4) 상기 언급된 JP-A-5-235432에 제안된 압전 변압기는 선행 기술의 제4 문제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두께 방향으로 종방향 진동을 이용하는, 상기 변압기는 2.4 MHz와 같은 높은 구동 주파수를 가지므로, 구동 회로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은 변압기를 실제 사용에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행 기술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목표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변환 효율을 충분히 증가시키기 위해 변압기가 노드점에 고정된 적층형(특히, 강압형) 압전 변압기를 제공하는것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적층 구조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용이한 압전 변압기를 제공하는것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구동부가 전원 발생부로부터 격리된 압전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전문의 개시 내용으로 명백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특징으로, 변압기의 종방향적인 양단부상에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동부와 전원 발생부를 가지고, 상기 각 부분이 압전체 및 내부 전극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세트로 구성된, 적층형 압전 변압기를 제공한다. 상기 변압기는 구동부와 전원 발생부사이를 절연하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에서, 구동부를 가진 압전체의 단층 두께는 전원 발생부의 단층 두께와는 다르다. 특히, 구동부를 가진 압전체의 각 층은 전원 발생부의 층보다 더 두껍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특징으로, 상기 규정된 적층형 압전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구동부와 전원 발생부가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압전 변압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방향 진동의 기계적인 공진 파장(λ/2)과 같은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배열된다. 상기 변압기는 상기 파장(λ/2)의 2배의 진동 모드에서 구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적층형 압전 변압기(laminated piezoelectric transformer)의 구조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판형 압전 변압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3은 종래의 적층형 압전 변압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강압형(step-down) 압전 변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강압형 압전 변압기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6은 종래의 강압형 압전 변압기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구동부
12 : 전원 발생부
13 : 절연부
111 : 압전체
112, 113, 118, 119 : 내부 전극
114, 116, 120, 122 : 외부 전극
124, 125, 126, 127 : 외부 전기 단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층형 압전 변압기는 구동부, 전원 발생부 및 절연부를 가진다. 상기 변압기는, 상기 변압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상에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도 1에 도시된 구동부(도 1에서 11) 및 복수의 세트층으로 구성된 전원 발생부(도 1에서 12)를 가지고, 각각 세트는 압전체층 및 내부 전극층을 가진다. 절연부(도1에서 13)은 상기 구동부와 전원 발생부의 사이에 제공된다. 변압기에서, 구동부(도1에서 11)의 압전체의 단층의 두께는 전원 발생부의 단층의 층두께보다 더 두껍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부와 전원 발생부가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압전 변압기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종방향 진동의 기계적인 공진 파장(λ/2)과 같은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으로 선회하여,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압전 변압기의 양단부가 구동부로서 및 내부 전극과 압전체의 다수의 적층으로 각각 구성된 전원 발생부로서 배열된다. 절연체는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의 경계에 배열되고 변압기는 종방향적으로 제2차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개조된다. 적층형 구조를변형시킴으로써, 임피던스가 부하 임피던스와 관련하여 감소될 수 있다.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가 서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성 면에서 어떤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압전 변압기는 진동의 노드 절점에서 유지되어, 향상된 변환 효율을 보증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의 좀 더 자세한 예시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1은 교대로 상호 적층된 압전체(111) 및 내부 전극(112, 113)으로 이루어진 압전 변압기의 고-임피던스 구동부를 나타낸다. 구동부의 상면 및 하면상에 외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전극의 상측면만이 도시되어 114로 표시되고, 외부 전극의 반대 하측면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측면상에 제공된, 외부 전극(116)의 연장과,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대 측면상에 제공된 다른 외부 전극은, 각각 교대로 반대 측상에 노출된, 내부 전극(112 또는 1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전극 연장이다. 이러한 전극들은 두께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12로 표시된 부분은 압전체(111) 및 내부 전극(118, 119) 그리고 상면 및 하면상에 배열된 외부 전극으로 구비된 각각의 세트층에서, 다수의 세트층을 포함하는 저-임피던스 전원 발생부이다. 이러한 외부 전극중에, 상면상의 전극(120)만이 도시되는 반면, 하면상의 외부 전극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측면상에 제공된, 외부 전극(122)의 연장과,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대 측면상에 제공된 다른 외부 전극은, 각각 교대로 반대 측상에 노출된, 내부 전극(118 또는 119)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전극 연장이다. 이러한 전극들은 두께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절연층(13)은 변압기의 두께를 따라 구동부(11)과 전원 발생부(12) 사이에 형성된다.
AC 전압이 압전 변압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1)의 전극에 접속된 외부 전기 단자(124, 125)의 양단에 인가될 때, 전기 전압은 전원 발생부(12)의 전극에 접속된 외부 전기 단자(126, 127)의 양단에 생성된다.
본 실시예의 압전 변압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이후에 상술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압전 변압기는 그린 시트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압전체(11)는 TOKIN Co.에 의해 제조된 Nepec8로 형성된다.
압전체(11)의 그린 시트가 먼저 준비된다. 내부 전극(112, 113, 118 및 119)이 프리 셋 패턴에 대한 압전체(111)의 그린 시트상에 베이킹 타입 Ag/Pd 페이스트(70/30의 중량비를 가지는 Ag/Pd)를 이용하는 스크린-프린팅에 의해 준비되어 적층으로 이어진다. 적층은 1200℃의 온도에서 2시간의 지속 시간을 유지하여 압전체층(111)들과 함께 일체화된 것으로서 점화되기 쉽다.
본 실시예에서, PZT-계 압전 세라믹 및 Ag/Pd 페이스트는 압전체 및 내부 전극용 물질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압전 변압기에 대한 어떠한 다른 물질의 조합 및 고체 일체화된 물질로서 소결용으로 이용가능한 전극 물질이 만족스럽게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한다.
적층 구조에 대해, 구동부(11)은, 이웃하는 내부 전극 사이의 두께가 285㎛로, 압전체층의 7층 및 내부 전극층의 6층으로 구성되는 반면, 전원 발생부(12)는 이웃하는 내부 전극 사이의 두께가 57㎛로, 압전체층의 35층 및 내부 전극층의 3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결된 어셈블리는 길이 48mm, 폭 15mm 및 두께 2mm로 가공된다. 베이킹 타입 Ag/Pd 페이스트는 구동부(11)의 상면 및 하면 그리고 측면상의 프리 셋 위치와 전원 발생부(12)의 상면 및 하면 그리고 측면상의 프리 셋 위치에서 프린트되고, 결과물은 외부 전극(114, 115, 116, 117, 120, 121, 122 및 123)을 형성하기 위해 700℃의 온도에서 15분의 유지 시간으로 점화된다.
다음에, 분극 장치를 이용하여, 2 내지 3 KV/mm의 전기장이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실리콘 오일에 인가되어 구동부(11) 및 전원 발생부(12)을 분극화한다.
전기 전압이 10 오옴의 부하 및 70 kHz의 구동 주파수를 갖는 압전 변압기에 인가되고, 변압기는 변압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제2차 공진 모드로 구동된다. 출력 전력이 20 내지 30 W, 98%의 변환 효율 및 0.252의 변성비로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JP-A-6-177,451에 따른 선행 기술의 예에서, 출력 전력, 변환 효율 및 변성비는 각각 16 내지 32 W, 95 % 및 0.15이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압전 변압기는 변환 효율에서 종래 변압기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성비는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의 적층 구조를 조정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런 관점에서 종래 변압기와 비교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압전 변압기의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의 적층 구조면에서만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다. 그러므로, 이제 단지 이러한 점만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적층형 구조에 대해, 구동부(11)은 압전체층의 8층 및 내부 전극층의 7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전극의 두께가 500㎛로 된 반면, 전원 발생부(12)는 압전체층의 48층 및 내부 전극층의 47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전극의 두께는 83 ㎛가 된다.
압전 변압기의 외부 크기에 대해, 길이, 폭, 두께는 각각 48mm, 15mm 및 4mm이다.
전기 전압이 10 오옴의 부하 및 70 kHz의 구동 주파수로 결과물 압전 변압기에 인가되고, 변압기는 변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제2차 공진 모드로 구동된다. 출력 전력이 30 내지 40 W, 98.3%의 변환 효율 및 0.167의 변성비로 됨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예와는 다른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의 적층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변환 효율이 변화하지 않으면서, 변성비가 저하될 수 있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적층 구조를 조정함으로써, 변압 효율을 높은 값으로 유지하면서, 변성비가 조정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의 효과가 다음과 같이 종합된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전 변압기는 압전체 및 내부 전극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를 구성하고, 상기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사이의 절연부를 제공하며, 종방향으로 제2차 공진 모드로 구동함으로써 노드점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변환 효율이 충분히 큰 값으로 세트될 수 있는 반면, 임피던스 정합은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의 적층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으며, 변성비는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입출력은 서로 격리되지만, 안전성의 어떠한 문제도 제기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적층형 압전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 양단부상에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교대로 적층된 압전체 및 내부 전극으로 각각 구성된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발생부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압전체의 단층 두께가 상기 전원 발생부의 단층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발생부가 상기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상기 압전 변압기의 길이를 따르는 종방향 진동의 기계적 공진 파장(λ/2)과 동일한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배열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장(λ/2)의 두 배의 진동 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강압형 변압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강압형 변압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변압기의 두께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발생부가 디멘션되어 배치(dimensioned and disposed)되어 상기 변압기가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 공진의 기계적인 진동의 제2차 모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7. 적층형 압전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 양단부상에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교대로 적층된 압전체 및 내부 전극으로 각각 구성된 구동부 및 전원 발생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발생부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상기 압전체의 단층 두께는 상기 전원 발생부의 단층 두께와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발생부는 상기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태로 상기 압전 변압기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 진동의 기계적 공진 파장(λ/2)과 동일한 거리로 서로 분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장(λ/2)의 두 배의 진동 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강압형 변압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강압형 변압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승압형 변압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발생부가 디멘션되어 배치(dimensioned and disposed)되어 상기 변압기가 상기 변압기의 종방향 공진의 기계적인 진동의 제2차 모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압전 변압기.
KR1019980013760A 1997-04-18 1998-04-17 적층형압전변압기 KR100298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16472 1997-04-18
JP11647297 199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506A KR19980081506A (ko) 1998-11-25
KR100298281B1 true KR100298281B1 (ko) 2001-08-07

Family

ID=1468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760A KR100298281B1 (ko) 1997-04-18 1998-04-17 적층형압전변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08565A (ko)
KR (1) KR100298281B1 (ko)
TW (1) TW379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414B2 (ja) * 1998-05-21 2001-06-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圧電体及び圧電アクチュエータ
DE60040107D1 (de) * 1999-01-29 2008-10-09 Seiko Epson Corp Piezoelektrischer Transducer und Anzeigevorrichtung mit elektrophoretischer Tinte, die den piezoelektrischen Transducer benutzt
TW492204B (en) 1999-07-13 2002-06-21 Samsung Electro Mech High output stacked piezoelectric transformer
JP2001284673A (ja) * 2000-03-30 2001-10-12 Taiyo Yuden Co Ltd 圧電トランス
US20040174098A1 (en) * 2003-03-04 2004-09-09 Yu-Hsiang Hsu Optimized piezoelectric transformer apparatus with maximum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US20040232806A1 (en) * 2003-05-16 2004-11-25 Hiroshi Nakatsuka Piezoelectric transformer, power supply circuit and lighting unit using the same
DE102006049873A1 (de) * 2006-10-23 2008-04-24 Epcos Ag Piezotransformator
DE102006049919A1 (de) * 2006-10-23 2008-04-24 Epcos Ag Piezotransformator
DE102006050110A1 (de) * 2006-10-24 2008-04-30 Epcos Ag Piezoelektrischer Transformator
KR100807316B1 (ko) * 2006-11-14 2008-02-28 주식회사 삼전 전류-전압 발생용 적층형 압전소자의 구조
DE102008029185A1 (de) * 2008-06-19 2009-12-24 Epcos Ag Piezoelektr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Kontaktes
DE102010047722B4 (de) * 2010-10-07 2018-06-28 Epcos Ag Piezoelektr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0274A (en) * 1954-01-04 1958-04-08 Gen Electr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US5118982A (en) * 1989-05-31 1992-06-02 Nec Corporation Thickness mode vibration piezoelectric transformer
JP3064458B2 (ja) * 1991-04-02 2000-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厚み縦振動圧電磁器トランスとその駆動方法
JP2940282B2 (ja) * 1992-02-21 1999-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厚み縦振動圧電磁器トランス及びその駆動方法
JP2894908B2 (ja) * 1992-12-08 1999-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及びその駆動方法
JP2536379B2 (ja) * 1992-12-31 1996-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EP0605901B1 (en) * 1992-12-31 1996-10-09 Nec Corporation A piezoelectric transformer having improved electrode arrangement
JP2508575B2 (ja) * 1993-01-28 1996-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磁器トランスとその駆動方法
KR100325648B1 (ko) * 1994-07-18 2002-10-12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압전트랜스를이용한전압변환장치
JPH08153914A (ja) * 1994-11-25 1996-06-11 Philips Japan Ltd 圧電磁器トランス
TW356618B (en) * 1997-01-16 1999-04-21 Nippon Electric Co AC/DC converter with a piezoelectric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8565A (en) 1999-12-28
TW379457B (en) 2000-01-11
KR19980081506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8575B2 (ja) 圧電磁器トランスとその駆動方法
KR100298281B1 (ko) 적층형압전변압기
JP2842382B2 (ja) 積層型圧電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26718B1 (en) Multilayer piezoelectric transformer
JP2606667B2 (ja) 圧電磁器トランス及びその駆動方法
US7075217B2 (en) Laminated piezoelectric transformer
KR100219336B1 (ko) 압전 변압기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구동 방법
EP0818833B1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JPH114026A (ja) 積層型圧電トランス
JP2001068752A (ja) 圧電トランス
JP3022373B2 (ja) 圧電磁器トランスとその駆動方法
JP3018882B2 (ja) 圧電トランス
JPH11186629A (ja) 圧電トランス素子及びそのケーシング方法
JP4831859B2 (ja) 圧電トランス
JP2531087B2 (ja) 圧電磁器トランス及びその駆動方法
JP3010896B2 (ja) 圧電磁器トランスとその駆動方法
JP3659309B2 (ja) 圧電トランス
JP2000091660A (ja) 圧電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70768A (ja) 積層型圧電トランス
JP3080033B2 (ja) 積層型圧電トランス
JP2001135875A (ja) 圧電トランス
JP3705557B2 (ja) 圧電トランス及び圧電トランス電源
Vazquez Carazo Laminated piezoelectric transformer
JPH0779027A (ja) 圧電トランス及び圧電トランスの電極形成方法
JP2001024246A (ja) 圧電トラ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