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168B1 -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168B1
KR100298168B1 KR1019980055451A KR19980055451A KR100298168B1 KR 100298168 B1 KR100298168 B1 KR 100298168B1 KR 1019980055451 A KR1019980055451 A KR 1019980055451A KR 19980055451 A KR19980055451 A KR 19980055451A KR 100298168 B1 KR100298168 B1 KR 10029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diting
processing
telephone number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947A (ko
Inventor
변성원
원성기
전예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1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 등에서 각 단계의 처리에서 별도의 임시 파일을 만들지 않도록 하여 자료의 중복을 방지하고 각 가공 단계 프로세스들이 변동자료에 접근할 때 공통적인 형식의 자료를 사용토록 하여 새로운 프로세스의 도입시에 쉽게 기존의 프로세스와 연동토록 하기 위한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본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를 가공 및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장치가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수집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변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원시변동파일의 자료 형식을 검사한 후 내부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변환 성공시에,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삽입/삭제/갱신하며, 적용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변환 오류시나 적용 오류시에, 편집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 혹은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지 못한 변동자료를 보충/수정하는 제 3 단계; 및 변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형태에 맞게 제공하기 위하여, 생성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변동자료를 별도의 파일로 가공 및 편집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nd editing of phone number update data}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 등에서 상태 전이를 이용한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및 편집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및 편집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듈은 누적 모듈, 검증 모듈, 추출 모듈, 편집 모듈, 반영 모듈 및 생성 모듈로 이루어지며, 변동 결과는 별도의 파일로 작성된다
누적 모듈은 원시변동자료 파일의 내용을 누적 파일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덧붙이는 기능을 수행하며, 검증 모듈은 누적된 파일의 각 변동자료를 입력하여 정확한 형식을 갖고 있는 것만으로 검증 파일을 따로 구성하고, 추출 모듈은 검증 파일로부터 지정된 날짜의 자료만을 걸러내어 추출 파일을 구성하며, 편집 모듈은 추출 파일의 자료중 편집을 통해서 정정되거나 보충이 필요한 것들을 정정 또는 보충하고, 그 외의 자료는 그대로 복사하여 별도의 파일로 구성한다.
또한, 편집 모듈을 통해서 만들어진 변동내역은 반영에 의해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며, 정상적으로 적용이 끝난 자료는 반영 파일로 구성하고, 생성 모듈에 의해 반영 파일의 변동 내역은 이 내역을 필요로 하는 다른 서비스 시스템의 요구 형식에 맞추어 변환되며, 그 결과는 생성 파일로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모듈의 수행 결과는 다음 단계 모듈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원시 변동자료 파일을 처리하는 도중에 사용되는 임시 파일이 6개이다. 이들 6개의 파일 이외도 가공의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에서 오류로 분류한 자료들에 대한 오류 자료 파일도 생성되며, 이들 파일들은 편집 프로세스에서 수정되기 위해서 편집 프로세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식의 일로 다시 변환된다. 따라서, 변동자료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파일은 최소한 6개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10개 정도까지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자료는 다만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쓰이기 위한 것이며, 형식이 서로 크게 다르지 않고, 내용도 중복되므로 많은 기억 장소가 낭비되게 된다. 또한, 이 같은 변동자료 처리는 일 단위로 수행되는 것이고, 임시 파일들의 크기도 크므로 이들 임시 파일에 대한 관리도 어려운 문제가 된다. 각 단계에서 생성되는 파일의 형식이 조금씩 다르므로 새로운 프로세스가 추가되는 경우 어느 단계에서 새로운 프로세스가 수행되는가와 관련된 기존 프로세스의 입출력 형태를 파악하여 여기에 연동되도록 입출력을 설계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 등에서 각 단계의 처리에서 별도의 임시 파일을 만들지 않도록 하여 자료의 중복을 방지하고 각 가공 단계 프로세스들이 변동자료에 접근할 때 공통적인 형식의 자료를 사용토록 하여 새로운 프로세스의 도입시에 쉽게 기존의 프로세스와 연동토록 하기 위한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및 편집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따른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에서의 각 프로세스간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상태 전이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전화번호 변동자료 파일 202 :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
203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204 : 변동자료 소비 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를 가공 및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장치가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수집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변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원시변동파일의 자료 형식을 검사한 후 내부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변환 성공시에,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삽입/삭제/갱신하며, 적용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변환 오류시나 적용 오류시에, 편집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 혹은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지 못한 변동자료를 보충/수정하는 제 3 단계; 및 변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형태에 맞게 제공하기 위하여, 생성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변동자료를 별도의 파일로 가공 및 편집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를 가공 및 편집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에,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장치가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수집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변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원시변동파일의 자료 형식을 검사한 후 내부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확인 결과, 변환 성공시에,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삽입/삭제/갱신하며, 적용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확인 결과, 변환 오류시나 적용 오류시에, 편집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 혹은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지 못한 변동자료를 보충/수정하는 제 3 기능; 및 변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형태에 맞게 제공하기 위하여, 생성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변동자료를 별도의 파일로 가공 및 편집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화번호 변동자료를 처리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타 시스템에 공급할 변동자료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들과 이들 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 순서를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프로세스는 변동자료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각 단계별 작업을 정의한다. 또한, 수행 순서 제어는 변동자료 처리 단계에 따라 그 단계를 나타내는 항목을 두고 여기에 따라 처리 주체가 되는 프로세스가 결정되도록 한다. 즉,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읽어들여 처리해야 할 변동자료의 상태가 정의되고, 또한 그 수행 결과에 따라 변동자료를 어떤 상태로 표시할 지도 정의되어 있다. 즉, 변동자료는 각 단계의 처리 프로세스를 거치는 동안 미리 정의된 상태들을 전이하게 되며, 자료 상태로 가공 공정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202)은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처리하여 최신 상태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3)를 유지하며, 동시에 변동 내역을 전화번호 안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여 이 내역을 필요로 하는 다른 서비스들의 요구에 맞는 형식으로 가공 및 편집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3)의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과 전화번호 변동자료(201)를 가공 및 편집하여 다른 시스템(204)에 제공하는 2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202)은 전화번호 변동자료 파일(201)을 입력받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3)의 가입자 정보를 삽입, 삭제 및 갱신을 수행하고, 변동 자료 소비 시스템(204)에 맞는 형식으로 가공 및 편집하여 변동자료 소비 시스템(204)으로 제공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따른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에서의 각 프로세스간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에 관여하는 처리 프로세스는 변환 프로세스, 적용 프로세스, 편집 프로세스 및 생성 프로세스의 4개이다. 이들 프로세스들은 모두 작업중 변동자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각각의 변동자료에 접근하게 되며, 각 변동자료에 지정된 작업을 수행한 후 그 수행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상태를 해당 변동자료의 자료 상태 항목에 표시한다. 어떤 가공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는 이 자료 상태 항목을 참조함으로써 각 변동자료가 자신이 처리해야 할 대상인지를 파악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각 프로세스의 처리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변환 프로세스는 원시변동파일의 자료 형식을 검사한 후 내부적인 형식으로 변환한다. 이때, 각 필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원시 자료에서 빠진 항목중 내부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항목은 보충하여 이후의 단계에서 변동자료가 오류없이 처리될 수 있도록 완전한 형식의 변동자료로 만든다. 여기서, 변동자료는 변환 프로세스 수행 결과에 따라 OK 및 ERR의 2가지 상태중 하나로 표시된다. 그리고, OK 상태는 해당 변동자료가 원시변동자료로부터 성공적으로 내부 형식으로 변환된 상태이고, ERR은 변환 도중 어떤 항목이 빠졌다든지 형식에 오류가 있어 추가적인 수정이 요구되는 상태이다.
편집 프로세스는 변환에 의해서 처리된 자료들중 보충이나 수정이 요구되는 자료에 대해 수행된다. 또한, 적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도중 성공적으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지 못한 변동자료도 그 내역을 검사하여 수정이 필요하므로 편집 프로세스에서 처리한다. 또한, 편집 프로세스는 이러한 오류 자료에 대한 검사와 수정 작업을 수행하며, 이 작업은 개개의 자료를 편집요원이 검사 및 수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작업을 마친 자료는 편집을 마친 자료임을 뜻하는 EDT로 상태가 표시된다.
적용 프로세스는 변환된 자료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삽입, 삭제 및 갱신의 작업을 수행한다. 적용 결과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성공적으로 반영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해당 변동자료를 APP 및 ERR 2가지 상태중 하나로 변동자료에 표시한다. 여기서, APP 상태는 해당 변동자료의 내역이 대응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가입자 정보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상태이다. 또한, ERR 상태는 적용 도중 어떤 오류가 발생하여 그 내역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지 못한 상태를 나타낸다.
생성 프로세스는 변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시스템의 요구 형식에 맞게 별도의 파일로 변동자료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파일은 외부의 변동자료 소비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외부의 변동자료 소비 시스템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시스템이 요구하는 형식을 갖는 별도의 파일로 작성된다. 생성을 통해서 처리된 자료는 GEN 상태를 가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변동자료의 상태 전이도로서, 각 프로세스를 통해서 변동자료가 가공 및 편집되는 동안 변동자료가 갖는 상태의 전이도를 나타낸다.
새롭게 수집된 변동 자료의 상태는 NEW이다. NEW 상태의 변동자료는 변환 프로세스에 의해서 가공 및 편집되며, 가공 및 편집 결과에 따라 ERR 또는 OK 상태로 전이된다. 또한, ERR 상태의 변동자료는 편집을 통하여 오류가 수정되고, EDT 상태로 전이된다. 또한, OK 상태의 변동자료는 적용에 의해서 처리되며, 그 결과에 따라 ERR 또는 APP 상태로 전이된다. 또한, EDT 상태의 변동자료는 OK 상태의 자료와 마찬가지로 적용 프로세스에 의해서 처리되며, 그 수행 결과에 따라서 ERR 또는 APP 상태로 전이된다. 또한, APP 상태의 변동자료는 생성 프로세스를 통해서 처리되며 GEN 상태로 전이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전이를 이용한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은, 먼저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에서 변동자료를 수집하여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고(501), 변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저장한 변동자료 파일의 자료들을 내부 형식으로 변환한 후에(502), 변환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가 변환 오류 상태인지를 확인한다(503).
확인 결과, 변환 오류 상태이면, 편집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오류 자료를 수정하고(504)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동자료의 변동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다(505).
확인 결과, 변환 오류 상태가 아니면,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동자료의 변동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다(505).
이후, 적용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가 적용 오류 상태인지를 확인하여(506), 적용 오류 상태이면 편집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오류 자료를 수정하는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고, 적용 오류 상태가 아니면 생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다른 변동자료소비 시스템의 요구 형식에 맞게 별도의 파일로 변동자료를 생성한다(507).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에서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그 효율성을 제고하여, 각 공정의 프로세스가 임시 파일을 만들지 않고 공통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기억 공간을 절감할 수 있고, 중복적인 임시 자료 파일들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으며, 가공 프로세스들의 유지보수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화번호 변동자료를 가공 및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장치가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수집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변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원시변동파일의 자료 형식을 검사한 후 내부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변환 성공시에,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삽입/삭제/갱신하며, 적용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변환 오류시나 적용 오류시에, 편집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 혹은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지 못한 변동자료를 보충/수정하는 제 3 단계; 및
    변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형태에 맞게 제공하기 위하여, 생성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변동자료를 별도의 파일로 가공 및 편집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장치는,
    전화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처리하여 최신 상태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며, 변동 내용을 전화번호 안내와 관련을 기능을 수행하는 이 내역을 필요로 하는 다른 서비스들의 요구에 맞는 형식으로 가공 및 편집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변동자료의 가공 및 편집 방법.
  3. 전화번호 변동자료를 가공 및 편집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시스템에,
    전화번호 변동자료 가공 장치가 전화번호 및 관련 정보에 대한 변동 사항을 수집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변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원시변동파일의 자료 형식을 검사한 후 내부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확인 결과, 변환 성공시에, 적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삽입/삭제/갱신하며, 적용 결과에 따른 상태 전이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확인 결과, 변환 오류시나 적용 오류시에, 편집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변환된 자료 혹은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지 못한 변동자료를 보충/수정하는 제 3 기능; 및
    변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형태에 맞게 제공하기 위하여, 생성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변동자료를 별도의 파일로 가공 및 편집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5451A 1998-12-16 1998-12-16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KR10029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51A KR100298168B1 (ko) 1998-12-16 1998-12-16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451A KR100298168B1 (ko) 1998-12-16 1998-12-16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47A KR20000039947A (ko) 2000-07-05
KR100298168B1 true KR100298168B1 (ko) 2001-08-07

Family

ID=1956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451A KR100298168B1 (ko) 1998-12-16 1998-12-16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94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08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ciling different versions of a file
CN108984337A (zh) 一种数据同步异常的修复方法、修复装置、介质和计算设备
US5564053A (en) Method for generating specific program systems and tools to facilitate in generating the specific program systems
JP4477531B2 (ja) データインポート方法およびデータインポート装置
KR100298168B1 (ko) 전화번호변동자료의가공및편집방법
JP3112785B2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JP3676564B2 (ja) データベース装置、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15146003B (zh) 非侵入式实现数据库增量数据实时同步处理的方法和系统
JP3345522B2 (ja) データ項目部品を利用する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H09168009A (ja) ネットワーク運用情報設定システム
JP2679602B2 (ja) 退避媒体作成システム
CN102713888A (zh) 用于数据库转换的模块化接口
JP3487870B2 (ja) 階層型ファイルの結合分離方法
JP3578365B2 (ja) 故障事例獲得・整理装置及び知識獲得型故障診断システム
JP3499040B2 (ja) データベース設計支援システム
JP2005043931A (ja) プログラム自動生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自動生成方法
JP3830579B2 (ja) 情報解析・編集システム
JP3843957B2 (ja) ソフトウェア開発加工関連図生成システム,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222259A (ja) Sql自動生成システム
JPH03241440A (ja) ダンプ・レイアウト・ファイルの自動生成方式
JPH05274128A (ja) 業務変動に即応可能なプログラム生成方法
JP2006293796A (ja) データベース移行方法
JP2003271384A (ja) ソフトウェア仕様管理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仕様管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14780499A (zh) 跑批处理方法及装置
CN102890679A (zh) 一种数据版本的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