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680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680B1
KR100296680B1 KR1019940037705A KR19940037705A KR100296680B1 KR 100296680 B1 KR100296680 B1 KR 100296680B1 KR 1019940037705 A KR1019940037705 A KR 1019940037705A KR 19940037705 A KR19940037705 A KR 19940037705A KR 100296680 B1 KR100296680 B1 KR 10029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bjective lens
lens
base member
beam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77A (ko
Inventor
후지사와히로또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2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부품을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광학 부품의 조정조작은 용이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원(80), 반사거울(84), 빔스플리터(82), 광검출기(98)를 베이스부재(79)상에 끼워붙여 지지하고, 빔 스플리터(82)와 광검출기(98) 사이에 배치되어서 반사 레이저광의 헝상을 정형하는 멀티렌즈(85)를 광원(80)과 빔 스플리터(82) 사이에 구성되는 제 1 광로를 건너서 빔 스플리터(82)와 광 검출기(98)사이에 구성되는 제 2 광로를 따라서 베이스부재(98)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멀티렌즈홀더(100)에 끼워 붙인다.

Description

광픽업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의 광학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의 저면도.
제 4 도는 광픽업 장치에서 광학 부품을 유지하는 탄성 유지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 평면도.
제 5 도는 광픽업 장치에 갖추어진 광학 블록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재의 요부 평면도.
제 6 도는 광픽업 장치에 갖추어진 멀티렌즈 홀더의 사시도.
제 7 도는 멀티렌즈 홀더의 저면도.
제 8 도는 멀티렌즈 홀더의 측면도.
제 9 도는 멀티렌즈 홀더의 정면도.
제 10 도는 멀티렌즈 홀더를 조정하는 조정지그의 사시도.
제 11 도는 광픽업 장치의 보빈을 포함하는 가동부와 자기회로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12 도는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 13 도는 광픽업 장치의 사시도.
제 14 도는 광픽업 장치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의 요부 평면도.
제 15 도는 광픽업 장치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 16 도는 광픽업 장치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제 17 도는 종래의 광픽업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18 도는 광픽업 장치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의 요부 평면도.
제 19 도는 종래의 다른 광픽업 장치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제 20 도는 종래의 광픽업 장치의 광학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대물렌즈 구동 장치 51 : 대물렌즈
56 : 자기회로부 78 : 광픽업장치
79 : 베이스부재 80 : 광원
81 : 그레이딩 82 : 빔 스플리터
84 : 반사거울 85 : 멀티렌즈
96 : 가이드 홈 98 : 광검출기
100 : 멀티렌즈 홀더 110 : 카트리지 장착부
111 :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 117 : 픽업 이송 기구
126 : 지지부 130 : 탄성 유지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과 같이 원반상의 광학 기록 매체(이하 '광디스크'라고 함)의 신호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 신호를 재생하고 또는 기록하는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광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하 간단히 "기록 재생 장치"라고 함)에 사용되는 광학 기록 매체로서 직경이 64mm 에서 약 74 분의 음악 신호가 정보 신호로 기록될 수 있는 광디스크가 이용되고 있다. 이 광디스크(1)는 제 15 도 및 1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관할 때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 보호하고, 취급의 간편성을 달성할 목적으로서, 합성수지 재료를 몰드 성형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부반쪽(3)과 하부반쪽(4)을 직립 주변벽이 서로 맞추어지도륵 결합하여 구성한 카트리지 본체(5)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5)에는 이 디스크 카트리지(2)를 기록 재생 장치에 장전하였을 때 하부반쪽(4)에 수납된 광디스크 (1)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의 디스크 테이블이 진입하는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구멍(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구멍(6)은 제 1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본체(4)내에 수납된 광디스크(1)의 센터 구멍을 덮도록 부착된 디스크 클램프용 자성판으로서의 금속판(7)을 포함하는 광디스크(1)의 중앙부분이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5)의 상, 하면 즉 상부 및 하부 반쪽(3,4)에는 적어도 이에 수납된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의 일부를 경로 방향을 따라서 외부로 향하게 함과 동시에 정보 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서의 광픽업 장치를 향하는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은 제 15 도 및 16 도와 같이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구멍(6)에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본체(5)의 전단면을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5)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은 카트리지 본체(5)의 전단면에서부터 끼워 맞추어 설치된자 모양의 단면의 셔터(1O)에 의해 개폐된다. 즉, 이 디스크 카트리지(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은 셔터(10)에 의해 폐쇄된다. 이 셔터(10)는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을 폐쇄한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 본체(2)내에 배치된 로크부재에 의해 잠기게 되고, 구멍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2)는 제 15 도와 같이 직경(R)이 64mm 의 광디스크(1)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디스크 카트리지(2)는 셔터(10)가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을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폭(W1)은 68mm 로 하고, 셔터(1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W2)을 72mm 로 하고, 두께 (D)를 5mm 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5)에 형성된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은 제 16 도와 같이 광디스크(1)의 경로방향을 따라서 길이(L1)가 24mm 로 하고, 폭(W3)을 17mm 로 하여 헝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소형의 디스크 카트리지(2)를 기록 매체로 이용함으로써 기륵 재생 장치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광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등의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입사 레이저광을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에 집광하여 조사함과 동시에 이 광디스크(1)에서 돌아오는 레이저광을 검출함으로써 광디스크(1)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또는 광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 광픽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픽업 장치는 광디스크(1)에 조사되는 입사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 광디스크(1)에서 돌아오는 레이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 반도체 레이저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과 광디스크(1)에서 돌아오는 레이저광을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 등의 광학 부품으로 구성된 광학계 블록과, 광원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을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에 집속시킴과 동시에 광디스크의 기록 트랙에 입사 레이저광을 추종시키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대물렌즈 구동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 이용되는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대물렌즈 구동 장치는 제 17 도와 같이 자기 회로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11)와, 이 베이스부재(11)상에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부착된 보빈 지지체(12)와, 대물렌즈(13)가 부착되어 상기 보빈 지지체(12)에 지지되는 보빈(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1)에는 기부 단부(15)의 양쪽에 위치하여 보빈 지지체(12)의 기부단에 설치된 고정부(24)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핀(16,17)이 끼워져 있다. 이들 지지핀(16,17)이 끼워진 기부단에 대향하는 베이스부재(11)의 선단부쪽의 양쪽에는자 모양을 이루도록 세워져 형성된 한쌍의 요크(18,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요크(18,19)를 구성하는 한쪽의 피스(piece)(18a,19a)의 내측면에는 각각 자석(20,2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빈 지지체(12)는 합성수지재료를 몰드 성형하여 헝성된 것이며, 기부단부에 지지핀(16,17)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구(22,23)가 뚫린 고정부(24)를 갖는다. 이 고정부(24)의 한측면에서부터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이 연장되어 있다.
이들 평행 지지암(25,26)의 선단부는 연결편(2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한쌍의 평행지지 암(25,26)의 고정부(24)에의 연결부 및 연결편(28)에의 연결부에서는 얇게 만들어진 포커싱 방향 변위부(27,29)가 폭방향에 걸쳐 평행하게 형성되어있다.
이와같이 포커싱 방향 변위부(27,29)를 형성함에 의하여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은 고정부(24)를 지지하는 지지핀(16,17)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연결편(27)의 앞단면에는 고정부(24)를 지지하는 지지핀(16,17)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얇은 트랙킹 방향 변위부(31)를 거쳐서 보빈 부착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빈 부착부(32)에는 통 모양으로 형성된 보빈(1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빈(14)에는 한 단부에 대물렌즈(13)를 부착하기 위해 렌즈 부착부(33)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대물렌즈(13)는 렌즈 부착부(33)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어져 배치되는 렌즈 홀더를 거쳐서 이 렌즈 부착부(33)에 부착된다. 또한, 보빈(14)의 다른 단부에서 중앙부를 따라서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이 연장하는자형의 절결부(34)가 헝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4)의 안쪽의 측면에는 보빈 지지체(12)의 선단에 설치된 보빈 부착부(32)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요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절결부(34)의 트인 구멍의 단부쪽에는 렌즈 부착부(33)에 부착되는 대물렌즈(13)와 중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추(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빈(14)의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요부로서 형성된 코일 부착부(37,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코일 부착부(37,38)에는 사각형 통 모양으로 감긴 포커싱 코일(39,40)이 각각 끼워 맞추어지듯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포커싱 코일(39,40)의 외측면에는 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감긴 트랙킹 코일(41,42)이 한쌍씩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렌즈 홀더를 거쳐서 보빈 부착부(32)에 대물렌즈(13)를 부착한 보빈(14)은 절결부(34)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끼워맞춤 요부(35)에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의 선단에 설치된 보빈 부착부(32)를 끼워 맞춤으로써 보빈 지지체(12)에 지지된다. 이 보빈(14)을 지지한 보빈 지지체(12)가 고정부 (24)에 뚫린 핀 삽입구(22,23)에 지지핀(16,17)이 삽입되도록 하여 베이스부재(11)상에 부착됨으로써 대물렌즈 구동 장치가 구성된다. 이때 한쪽의 피스(18a,19a)에 부착된 자석(20,21)은 베이스부재(11)에 설치된 요크(18,19)의 다른쪽 피스(18b,19b)가 보빈(14)에 부착된 통 모양을 이루는 포커싱 코일(39,40)에 삽입됨으로써 포커싱 코일(39,40) 및 트랙킹 코일(41,42)이 대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서는 포커싱 코일(39,40)에 포커스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자석(20,21)의 자속과 같이 작용하여 대물렌즈(13)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포커싱 방향의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에 의해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이 포커싱 방향 변위부(27,29)를 변위점으로 하여 제 17 도의 화살표 F 방향의 포커싱 방향으로 탄성 변위된다. 이에따라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의 선단에 지지된 보빈(14)에 부착된 대물렌즈(13)는 동일한 포커싱 방향으로 변위되어서 광디스크(1)에 대하여 포커싱이 행해진다.
또 트랙킹 코일(41,42)에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자석(20,21)의 자속과 같이 작용하여 대물렌즈(13)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에 의해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의 선단에 지지된 보빈(14)은 트랙킹 방향 변위부(31)를 변위점으로 하여 제 17 도의 화살표 T 방향인 트랙킹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래서 대물렌즈(13)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인 광디스크(1)의 경로 방향의 트랙킹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광디스크(1)의 기록 트랙에 레이저광이 추종하도록 제어되는 트랙킹 제어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는 제 20 도에 도시한 대물렌즈(13)를 포함하는 광학부품으로 구성된 무한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블록이 조합되어 광픽업 장치가 구성된다. 이 무한 광학계는 동일한 광축상에 배치된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반도체 레이저(44)와, 방사된 레이저 광의 성분을 분광하는 회절 렌즈인 그레이딩(grading)(45)과, 레이저광의 일부를 분광하는 빔 스플리터(46)와, 이 빔 스플리터(46)를 통과한 레이저광을 평행 광선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 렌즈(47) 및 광축에 대하여 45 도의 각도로써 배치됨으로써 레이저광을 90 도 굴곡시켜 대물렌즈(13)에 입사시키는 반사 거울(48)로 이루어진 광학 부품에 의하여 제 1 광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무한 광학계는 상술한 제 1 광로와 직교하는 광축상에 빔 스플리터(46)에 대향하여 배치된 멀티렌즈(49)와 이 멀티렌즈(49)를 통과한 반사 레이저광이 입사되는 광검출기(30)에 의해 제 2 광로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13)를 거쳐서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에 조사된 레이저광은 이 광디스크(1)에 반사되어 대물렌즈(13)로 입사되고, 게다가 반사 거울(48)에 의해 90 도 굴곡되어서 콜리메이터 렌즈(47)를 거처 빔 스플리터(46)로 입사된다.
더우기, 반사 레이저광은 이 빔 스플리터(46)에서 90 도 굴곡되어서 측방향으로 분광되어 멀티렌즈(49)로 입사된다. 멀티렌즈(49)는 광검출기(30)의 감도, 정확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반사 레이저광을 정형하여 이 반사 레이저광을 광 검출기(30)로 입사한다. 이 멀티렌즈(49)는 제 2 광로의 광축을 따라 자동 조정이 되는 멀티렌즈 홀더(49A)에서 지지되고, 이 멀티렌즈 홀더(49A)를 자동 조작함으로써 반사 레이저광을 최적 상태로 만들어 광검출기(30)로 입사시킨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 이용되고 있는 대물렌즈 구동 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보빈 지지체(12)의 기부단에 설치된 고정부(15)를 베이스부재(11)에 지지시키고, 이 고정부(15)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의 선단부에 설치된 보빈 부착부(32)를 거쳐서 대물렌즈(13)를 부착한 보빈(14)을 지지하고 있다. 그래서 보빈(14)에 부착된 대물렌즈(13)는, 보빈(14)에 부착된 포커싱 코일(39,40) 및 트랙킹 코일(41,42)과 함께 대물렌즈(13)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요크(18,19) 및 자석(20,21)으로 이루어진 자기 회로부와, 베이스부재(11)에의 고정부(15)와 대물렌즈(13)와의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때문에 보빈(14)을 지지하는 한쌍의 평행 지지암(25,26)이 길어지고, 고정부(15)로부터 보빈(1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도 길어지고, 대물렌즈 구동장치 자체도 대형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상술한 직경 64mm 의 광디스크(1)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를 기록 매체로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되면 제 18 도와 같이, 대물렌즈(13)를 포함하는 보빈(14)의 일부만이 카트리지 본체(5)에 만들어진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을 향하고, 다른 부분은 카트리지 본체(5)의 하면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배치된 구성이 된다.
그때문에 대물렌즈 구동 장치는 대물렌즈(13)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켰을 때 보빈(14)이나 보빈 지지체(12)가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9)의 주변 모서리 등 카트리지 본체(5)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2)의 하면에서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대물렌즈 구동 장치를 디스크 카트리지(2)에서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면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에 광속의 초점을 모으는 대물렌즈(13)의 초점 거리도 커지게 된다.
그결과, 대물렌즈(13)가 한층 더 대형화하고, 이 대물렌즈(13)를 구비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대형화시키고 만다· 따라서,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하기가 극히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대물렌즈(13)의 단부면에서부터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까지의 거리인 차동 거리를 작게 하여서 초점 거리가 짧은 소형 대물렌즈(13)를 채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한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제 19 도와 같이 보빈(14)의 한 단부쪽의 상부면에서 렌즈 지지편(43)을 돌출시키고, 이 렌즈 지지편(43) 위에 렌즈 부착부(33)를 설치하고, 이 렌즈 부착부(33)를 거쳐서 대물렌즈(13)를 부착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대물렌즈(13)는 디스크 카트리지(2)의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 안으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 광디스크(1)에 근접될 수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대물렌즈(13)와 광디스크(1) 사이의 차동 거리가 작아지게 되고, 소형의 대물렌즈(13)를 이용함에 의하여 더욱 소형화가 도모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대물렌즈(13)의 소형화를 도모하며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하여도 대물렌즈(13) 이외의 부분이 카트리지 본체(5)의 하면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배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를 갖춘 기록 재생 장치는 전체적으로는 소형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게다가, 렌즈 지지편(43)을 거쳐서 대물렌즈(13)를 부착하도록 한 대물렌즈 구동장치에서는 경년 변화에 의해 렌즈 지지편(43)이나 평행 지지암(25,26)의 변형이 나타나게 된다. 그때문에, 대물렌즈(13)는 그 광축이 경사지게 되어 광디스크(1)에 대하여 고정확도로서 광축을 수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고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 장치는 대물렌즈(13)만을 광디스크(1)에 접근하도록 보빈(14)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대물렌즈(13)가 구동력을 발생하는 자기 회로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며, 이 대물렌즈(13)를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력에 대해 응답성이 양호하게 변위되기가 곤란하게 된다.
그결과, 기록 재생 장치는 대물렌즈(13)의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정확하게 행할 수가 없게 되고, 양호한 기록 재생 특성을 가지며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거기에다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 장치에 무한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블록을 조합시킨 광픽업 장치에서는 빔 직경이 크기 때문에 대형의 빔 스플리터(46)가 이용되므로 장치 전체도 대형화하고 만다. 또한, 광로 길이도 길기 때문에 약간 대형의 멀티렌즈 홀더(49A)를 이용할 수 있고 멀티렌즈(49)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이때문에 장치 전체가 한층 대형화하고 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화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부품을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더한층 소형화를 실현한 광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부품의 조정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또 경년 변화에 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광픽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상의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에서 지지되어서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으로 조정되는 대물렌즈와, 광원과 이 광원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을 굴곡하여 대물렌즈로 안내하는 반사 거울과, 광원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과 대물렌즈를 거쳐서 입사되는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 레이저광을 분광하는 빔 스플리터와, 이 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이 광검출기와 빔 스플리터와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멀티렌즈에 의하여 광학계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러한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원, 반사 거울, 빔 스플리터 및 광검출기가 베이스 부재상에 달라붙어 지지되어 있고, 상기 멀티렌즈는 광원과 빔 스플리터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 1 광로를 건너서 빔 스플리터와 광검출기 사이에 구성되는 제 2 광로를 따라서 베이스부재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멀티렌즈 홀더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광검출기와의 대향 간격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는, 멀티렌즈가 달라붙은 멀티렌즈 홀더가, 베이스부재의 입상 주변벽에서 서로 대향하며 돌출되어 형성된 광학 부품이 끼워 붙여지는 광학 부품 부착부의 측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제 2 광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는 멀티렌즈 홀더에 광학 부품과 평행하게 베이스부재의 저면벽에 헝성된 가이드 홈에 끼워맞추는 가이드 볼록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동이 규제되도륵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는 합성수지제의 멀티렌즈 홀더에 멀티렌즈를 인서트 성형법으로서 일체로 달라붙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나아가, 본 발뎡에 관한 광픽업장치는 베이스부재에 형성한 광학 부품 부착부에 끼워붙여서 조립되는 광학 부품을 끼워붙이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 유지부재에 일체로 형성한 탄성지지부를 멀티렌즈 홀더에 탄력 접촉시킴으로써 이동 방향의 유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는 베이스부재의 저면벽에 뚫린 원형의 조정 구멍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연한 걸어맞춤부를 멀티렌즈 홀더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편이 조정 구멍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지지부에서 돌출된 조정지그를 조정 구멍에 삽입하여 회전 조작함에 의하여 멀티렌즈 홀더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광픽업 장치에 의하면 대물렌즈는 포커스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력 혹은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력에 의하여 대물렌즈 구동장치로서 광축과 평행한 방향 또는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반도체 레이저 등의 광원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은 광원과 빔 스플리터 사이에 구성된 제 1 광로를 통과하여 빔 스플리터를 거쳐서 대물렌즈 구동 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반사 거울에 입사된다. 이 반사거울에 의하여 광축이 90 도 굴곡된 입사 레이저광은 대물렌즈 구동 장치에서 지지된 대물렌즈로 입사된다.
또한 입사 레이저광은 대물렌즈를 거쳐서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 영역에 조사되고, 이 광디스크에서 반사된다.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입사 레이저광의 복귀하는 반사 레이저광은 대물렌즈를 거쳐서 반사 거울에 입사되며 이 반사 거울에 의하여 광축이 90 도 굴곡되어서 빔 스플리터로 입사된다. 이 반사 레이저 광은 빔 스플리터에 의해 광축이 90 도 굴곡되어서 이 빔 스플리터와 광검출기 사이에 구성된 제 2 광로를 통과하여 멀티렌즈로 입사되고, 이 멀티렌즈에 의해 정형된 상태에서 광검출기로 입사된다.
광검출기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정보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신호에 따라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적절하게 구동되며 대물렌즈를 통과한 입사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 영역에 적정하게 집광되어 이 신호 기록 영역을 주사한다.
멀티렌즈는 광원에서 빔 스플리터로 입사되는 입사 레이저광의 제 1 광로를 건너서 상술한 광학 부품을 달라붙게 하여 지지한 베이스부재에 제 2 광로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멀티렌즈 홀더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이 멀티렌즈 홀더를 제 2 광로를 따라서 소정 동작을 조작함으로써 멀티렌즈를 통과하여 광검출기로 입사되는 반사 레이저광의 집광 상태가 조정된다. 이와같이 제 1 광로를 건너서 멀티렌즈 홀더를 배치함으로써 제 2 광로의 길이가 단축된다.
멀티렌즈 홀더는 광학계를 구성하는 예를들어 빔 스플리터를 위치를 정하여 부착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에 형성한 빔 스플리터 부착부의 측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지지되어서 제 2 광로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에 의하여 조정 동작을 할 때 이 멀티렌즈 홀더에 달라붙은 멀티렌즈와 빔 스플리터의 광축 방향이 빗나가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제 2 광로를 따라서 베이스부재에 조정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된 멀티렌즈 홀더는 가이드 볼록부가 베이스부재에 오목하게 만들어진 가이드 홈에 걸어 맞추어져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동을 규제시킴으로써 멀티렌즈와 빔 스플리터의 광축 방향이 빗나가는 일이 방지된다.
멀티렌즈는 합성수지제의 멀티렌즈 홀더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멀티렌즈 홀더에 정확히 달라붙게 된다.
베이스부재에는, 광학부품을 달라붙게 한 상태에서 이러한 광학부품의 탈락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달라붙어 있다. 이 탄성부재에는 멀티렌즈 홀더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이 멀티렌즈 홀더도 다른 광학부품과 동일한 모양으로 부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부재에 달라붙게 됨과 동시에 기준면을 억누른다.
탄성부재에 의해 베이스부재상에 탄력 지지되는 멀티렌즈 홀더는 베이스부재의 저면에서 삽입한 조정지그를 회전 조작함에 의하여 제 2 광로를 따라서 조정된다. 이경우 멀티렌즈 홀더에는 조정 지그를 삽입하는 조정 구멍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를 향하여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편이 지지부에서 돌출한 드라이버 등의 조정 지그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조정 동작이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대물렌즈 구동 장치(50)는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80)로부터 방사된 레이저 광이 입사되고, 이 입사된 레이저광을 음악 신호 등의 정보 신호가 신호 기록 영역에 기록시키거나 또는 기록된 광디스크(1)에 집광시켜서 조사시키는 대물렌즈(51)를 이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포커싱 방향 또는 대물렌즈(51)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장치이다.
이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제 2 도 및 제 11 도,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물렌즈(51)가 부착되어 있는 보빈(52)과, 이 보빈(52)을 제 12 도에서 화살표 F 로 도시하는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화살표 방향 T 로 도시하는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서로 직교하는 2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각각의 한쌍의 탄성 지지체(53A,53B) 및 (54A,54B)와, 이러한 한쌍의 탄성 지지체(53,54)의 한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로 되는 지지체 홀더(55)와, 이 지지체 홀더(55)가 부착되어 있는 자기 회로부(56)를 구성하는 요크(57)를 주요한 구성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대물렌즈 구동장치(50)를 구성하는 보빈(52)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료 예를들어 PPS 수지로서 형성되고, 그 한 단부측에는 대략 원반상의 돌출부로서 형성된 대물렌즈 부착부(58)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이 대물렌즈 부착부(58)는 보빈 본체(52A)의 한 단부의 상부 모서리에서 위로 돌출하도록 헝성되고, 중심부에는 렌즈 부착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대물렌즈(51)는 이 렌즈 부착 구멍(59)의 내부 주변 모서리에 헝성된 걸림 단부에 의부 주변 모서리를 걸리게 함으로써 렌즈 부착 구멍(59)에서 상단면이 돌출하지 않도록 매설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또, 보빈 본체(52A)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 11 도 및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회로부(56)의 자계와 함께 대물렌즈(51)를 광축과 평행한 화살표(F) 방향으로 구동 변위 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일인 포커싱 코일(66)이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요크(57)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입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입상편(60,61)이 삽입되는 구멍(62)이 만들어져 있다.
이 구멍(62)은 보빈 본체(52A)의 대략 중앙부에서 다른 단부에 걸쳐있는 넓은 부분을 코일 부착부(63)로서 구성함과 동시에 이 코일 부착부(63)에서 대물렌즈 부착부(58)가 돌출한 한 단부에 걸쳐있는 부분을 요크(57)에 형성한 한쪽의 입상편(60)에 부착된 자석(64)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자석 삽입부 (65)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보빈(52)에 설치된 구멍(62)의 코일 부착부(63)에는 자기 회로부(56)를 구성하는 자석(64)에서의 자계와 함께 대물렌즈(51)를 광축과 평행한 화살표(F)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코일인 포커싱 코일(66)이 부착되어 있다. 이 포커싱 코일(66)은 보빈(52)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기는 방향이 보빈(52)에 부착된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코일 부착부(63)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의 사각형 통 모양으로 감기게 된다.
포커싱 코일(66)은 제 11 도와 같이, 보빈(52)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코일 부착부(63)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배치된다. 즉, 포커싱 코일(66)은 코일 부착부(63)의 다른 단부면에 외주면을 접촉시키도록 하여 이 코일 부착부(63)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 포커싱 코일(66)은 코일 부착부(63)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외주면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시킴으로써 보빈(52)에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코일 부착부(63)내에 부착된 포커싱 코일(66)의 외주면에는 자기 회로부(56)의 자계와 함께 대물렌즈(51)를 광축과 직교하는 화살표(T)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코일인 한쌍의 트랙킹 코일(67)이 부착된다. 이러한 트랙킹 코일(67)은 사각형 통 모양으로 감긴 포커싱 코일(66)의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한 측면에서 구멍 (62)의 자석 삽입부(65)쪽에 노출하는 한 측면상에 병렬한 상태로서 부착된다.
그래서, 트랙킹 코일(67)은 포커싱 코일(66)의 한측면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빈(52)에 부착된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부분을 가지도록 감기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랙킹 코일(67)은 평행한 사각형 모양으로 감기고,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변에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하는 직선상부분을 갖도록 감기어 있다.
이러한 트랙킹 코일(67)은 포커싱 코일(66)의 한 측면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빈(52)에 부착묀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부분을 갖도록 감기는 것이 좋고, 대향하는 변을 직선상으로 한 타원형 모양으로 감기는 것도 좋다. 또한, 한쌍의 트랙킹 코일(67)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포커싱 코일(66)의 한 측면상에 접합하여 부착된다.
또한, 보빈(52)을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 및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서로 직교하는 2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각각 한쌍의 탄성 지지체(53A,53B,54A,54B)는 얇은 스텐레스강판 등의 금속판을 타발하여 와이어로 형성한 것이며, 충분한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탄성 지지체 (53,54)는 보빈(52) 및 지지체 홀더(55)를 형성할 때, 성형 금형내에 인서트 혹은 아웃서트시킴으로써 양단부를 이러한 보빈(52) 및 지지체 홀더(55)에 일체로 지지시킨다.
즉, 탄성 지지체(53,54)는 한 단부가 보빈(52)의 양측면부에 형성한 요부에 위치하여 일체로 지지됨과 동시에 다른 단부가 지지체 홀더(55)의 양측면부에 형성한 요부에 위치하여 지지됨으로써 보빈(52)과 지지체 홀더(55)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같이 탄성 지지체(53,54)를 보빈(52) 및 지지체 홀더(55)의 양측면부에 헝성한 요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대물렌즈 구동 장치(50)는 폭 방향으로 커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와이어 모양의 탄성 지지체(53,54)는 판모양이어도 좋고, 요컨대 보빈(52)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 보빈(52)을 대물렌즈(51)를 광축에 평행한 방향과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킬 수 있는 부재이면 양호하다.
그런데, 좌우 한쌍의 탄성 지지체(53,54)의 다른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체 홀더(55)는 상술한 보빈(52)과 동일하게 내열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 예로서 PPS 수지로서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같이 대향하는 양측면부에 탄성 지지체(53,54)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요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저면부에는 요크(57)에의 고정부로 된 한쌍의 끼워 맞춤 돌기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체 홀더(55)는 요크(57)의 다른 단부에 뚫린 끼워 맞춤 구멍(69)에 끼워 맞춤 돌기부(68)를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요크(57)에 부착된다.
지지체 홀더(55)에는 보빈(52)에 부착된 대물렌즈(51)에 입사되는 입사 레이저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광투과부(69)가 형성된다. 이 광투과부(69)는 보빈(52)에 부착된 대물렌즈(51)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지지체 홀더(55)에 만들어져 있다. 즉, 광투과부(69)는 한쌍의 탄성지지체(53,54)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도륵 지지체 홀더(55)에 형성되고, 지지체 홀더(55)의 전후 단면에 걸쳐서 관통 구멍을 천공함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이 광 투과부(69)는 끼위맞춤 돌기부(68)가 돌출한 지지체 홀더(55)의 저면부에서 요면 모양의 절결부를 형성하여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지지체 홀더(55)의 광 투과부(69)는 통과하는 레이저광의 투과부(69)를 구성하는 내면벽에 반사되는 광속성분의 반사 광속량을 감소시키며, 광로중에서 미광(stray light) 상태를 나타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광 투과부(69)를 구성하는 내면벽은 예로서 천정벽 및 내측면벽을 톱니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입사된 레이저광이 상기 천정벽, 내측면벽에 닿아서 입사 레이저광 성분이 광로중에 반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입사된 레이저 광중에서 광투과부(69)의 내면벽을 향하는 광성분은 그 내면멱에서의 반사가 감소되고, 미광하는 광속량의 감소가 도모된다.
이와같이, 광투과부(69)에 입사된 레이저광은 이 광투과부(69)를 구성하는 내면벽을 향하는 입사 레이저광 성분의 반사광속량이 줄어들게 되고, 광투과부(69)를 통과하여 안정한 상태에서 대물렌즈(51)로 입사된다. 그때문에 지지체 홀더(55)에 설치된 광투과부(69)는 상술한 내면벽의 구성을 갖는 유한 광학계에서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광의 미광 현상의 발생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지지체 홀더(55)가 일체로 부착되는 요크(57)는 규소강 등의 고투과율 재료로써 구성되고, 제 11 도와 같이 한쌍의 암부(7O)를 연결부(71)로 연결한 대략 H 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암부(70)의 다른 단부에, 지지체 홀더(55)에 설치된 끼워 맞춤 돌기부(68)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72)이 뚫려 있다. 또한 한쌍의 암부(70)를 연결하는 연결부(71)의 대향하는 변에서는 서로 대향하도록 한쌍의 입상편(60,61)이 입상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한쪽의 입상편(60)과 다른쪽의 입상편(61)과 대향하는 면쪽에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자기 회로부(56)가 구성된다.
또, 요크(57)의 다른 단부에서 연결부(71) 사이에 걸쳐 한쌍의 암부(70) 사이에 구성된 간격(73)은 후술하듯이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였을 때 광원으르 된 반도체 레이저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 광 및 광 디스크(1)에서 반사된 반사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광로와, 제 2 광로를 구성한다. 입상편(61)이 설치된 쪽의 한쌍의 암부(70)의 단부에는 납땜 부착편(74)이 입상으로 형성되고, 또 한쪽의 암부의 측단부에도 납땜 부착편 (75)이 형성된다.
그래서, 자기 회로부(56)를 구성하는 요크(57)의 끼워 맞춤 구멍(72)에 끼워 맞춤 돌기부(68)를 끼워 맞추어서 지지체 홀더(55)를 부착시키면 제 11 도와 같이 이 지지체 홀더(55)에 다른 단부를 지지한 한쌍의 탄성 지지체(53,54)의 한 단부에 부착된 보빈(52)에 부착된 통 모양을 이루는 포커싱 코일(66) 내에 요크(57)의 다른쪽의 입상편(61)이 삽입된다. 또한 한쪽의 입상편(60)은 자석(64)과 동시에 보빈(52)에 형성한 자석 삽입부 (65)에 삽입된다. 그래서 한쌍의 입상편(60,61)은 포커싱 코일 (66) 및 트랙킹 코일(67)을 끼워서 대향하고, 이러한 포커싱 코일(66) 및 트랙킹 코일(67)을 가로지르는 자로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대물렌즈 구동 장치(50)는 후술하는 광검출기(98)에 의해 검출된 포커싱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가 포커싱 코일(66)에 공급되면, 이 포커싱 코일(66)로 흐르는 전류와 자기 회로부(56)를 구성하는 자석(64)에서의 자속과 함께 보빈(52)에 부착된 대물렌즈(51)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제 12 도의 화살표 F 방향의 구동력이 생긴다.
이 구동력에 의해 대물렌즈(51)는 보빈(52)과 동시에 그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제 12 도의 화살표(F)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어서 포커싱 조정이 행해진다. 이때 대물렌즈(51)를 부착한 보빈(52)을 지지한 한쌍의 탄성 지지체(53,54)는 제 12 도의 화살표(F)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고, 대물렌즈(51)를 그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또한, 트랙킹 코일(67)에 후술하는 광검출기(98)에 의해 검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이러한 트랙킹 코일(67)의 대물렌즈(51)의 광축에 평행한 부분으로 흐르는 전류와 자석(64)에서의 자속과 함께 보빈(52)에 부착된 대물렌즈(51)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인 제 12 도의 화살표(T) 방향의 구동력이 생긴다. 이 구동력에 의해 대물렌즈(51)는 보빈(52)과 함께 그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 12 도의 화살표(T) 방향으로 구동 변위되어서 트랙킹 조정이 행해진다. 이때 한쌍의 탄성 지지체(53,54)는 탄성 변위되어서 대물렌즈(51)를 그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 변위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대물렌즈 구동장치(50)의 전체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보빈(52)이 대물렌즈(51)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트랙킹 방향의 폭(W4)은 8mm 이하로 되고, 이 변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접선 방향의 길이(L2)는 17mm 이하로 되고, 그 높이 (H1)는 1Omm 이하로 된다. 이와같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실시예의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상술한 직경이 64mm 의 광디스크(1)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의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9)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물렌즈(51)를 거쳐서 조사되는 입사 레이저광에 의해 광디스크(1)의 신호 기록 영역의 내외주를 주사할 수 있다. 즉,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접선 방향을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9)의 폭(W2) 방향에 평행하고, 대물렌즈(51)를 광디스크(1)의 트랙킹 방향에 변위 가능하게 하여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9)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요크(57)를 구성하는 한쌍의 입상편(60)의 상단면에는 제 13 도와 같이 대물렌즈(51)가 광축 방향으로 변위 구동될 때 보빈(52)이 자기회로부(56)에서 위로 빠져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스톱부재(76)가 조립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제 2 도와 같이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광원으로서의 반도체 레이저(8O), 그레이딩(81), 빔 스플리터(82), 콜리메이터 렌즈(83), 반사 거울(84) 및 후술하는 멀티렌즈 홀더(100)에 지지된 멀티렌즈(85) 등의 광학부품으로 이루어진 광학 블록(77)과 조합되어서 광픽업 장치(78)를 구성한다.
이 광픽업 장치(78)는 대물렌즈 구동장치(50)가 지지되는 베이스로서의 베이스부재(79)를 구비한다. 그래서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자기 회로부(56)를 구성하는 요크(57)의 저면쪽을 베이스부재(79)상에 지지시켜서 부착된다.
베이스부재(79)는 제 2 도 및 3 도와 같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혹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 모서리에 입상벽이 세워져서 형성된 전체가 대략 사각형으로 성형된다. 이 베이스부재(79)의 대물렌즈 구동장치(50)를 부착한 쪽의 길이 방향의 한 단부에는 기록 재생 장치쪽의 후술하는 이송 나사부재(115)가 관통하는 폭 방향으로 떨어진 축구멍(87)이 설치된 베어링부(86)가 일체로 헝성된다. 또한 베이스부재(79)의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측(114)이 관통하는 베어링부(88)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88)가 일체로 돌출한 쪽의 위치에서, 베이스부재(79)에는 제 5 도와 같이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 그 저면부에는 한쪽 단부에서 개방하며 볼록부 모양의 반도체 레이저(80)를 끼워 붙이는 반도체 레이저 끼워 붙임부(89)가 만들어져 있다. 이 반도체 레이저 끼워 붙임부(89)의 구멍 크기는 끼워지는 반도체 레이저(80)의 외형 크기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 반도체 레이저 끼워붙임부(89)에 대하여 광로 요부(90)를 거쳐서 연통하도록 하고,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는 그레이딩 끼워 붙임 요부(91)가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다.
또, 이 그레이딩 끼워 붙임 요부(91)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는 사각형의 배출구(91A)가 뚫려져 있다. 게다가 이 그레이딩 끼워붙임 요부(91)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79)의 대물렌즈 구동장치(50)를 부착한 쪽의 저면부에는 폭 방향의 단부벽(92A,92B)이 헝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벽(92A,92B)을 연결하는 베이스부재(79)를 횡단하는 직선상의 위치에서,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함으로써 광로 요부(90)와 측선이 일치된 광로 요부(95)를 구성하는 제 1 빔 스플리터 걸림 볼록부(93)와 제 2 빔 스플리터 걸림 볼록부(94)가 서로 대향하며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빔 스플리터 걸림 볼륵부(93,94)는 폭 방향의 대향 간격이 광로 요부(90)의 폭 치수와 거의 같고, 또 높이 치수는 단부벽(92A, 92B) 보다도 작게 되어서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빔 스플리터 걸림 요부(93)는 대략 L 자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빔 스플리터(82)의 직교하는 2 측면부를 건다. 또한 제 2 빔 스플리터 걸림 요부(94)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서 빔 스플리터(82)의 한 측면부를 건다.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는 후술하는 멀티렌즈(10O)를 안내하는 가이드홈(96)이 한쪽의 단부벽(92B)과 평행하도록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단부벽(92B)의 입상부분의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는 관통 구멍으로서 구성된 조정 삽입구(97)가 이 가이드홈(96)에 대향하도록 하여 뚫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베이스부재(79)의 반도체 레이저 걸어붙임부(89)에는 제 2 도와 같이, 대물렌즈(51)에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방사하는 반도체 레이저(8O)가 걸림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이 반도체 레이저(92)는 입사 레이저광의 방사면을 대물렌즈 구동장치(50)를 구성하는 지지체 홀더(55)에 설치된 광투과부(69)에 대향하며 방사되는 입사 레이저광의 광축 방향이 대물렌즈(51)의 광축과 직교하도록 하여 반도체 레이저 걸어붙임 요부(91)에 걸려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상에는 제 2 도 및 4 도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80)에서 방사되는 광투과부(69)를 거쳐서 투과된 입사 레이저광(90)을 90 도 굴곡하여 대물렌즈(51)에로 입사시키는 반사 거울(8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반사 거울(84)은 대물렌즈(51)의 하부에 위치하여 반사면의 중심을 대물렌즈(51)의 광축에 일치시켜서 베이스부재(79)상에 부착되어 있다.
더구나, 베이스부재(79)상에는 제 2 도 및 4 도에서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80)의 방사면에 대향하여서 그레이딩(81)이 그레이딩 걸어붙임 요부(91)에 걸어붙여짐으로써 배치된다. 이 그레이딩(81)은 반도체 레이저(80)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 광의 성분을 분광하는 회절 렌즈에 의해 구성된다. 이 그레이딩(81)과 반사 거울(84)과의 사이에 위치하여서, 빔 스플리터(82)가 제 1 및 제 2 빔 스플리터 걸림 요부(93,94)에 걸린 상태로서 배치된다. 이 빔 스플리터(82)는 반도체 레이저(80)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 광을 후술하는 제 1 광로를 따라서 반사 거울(84)쪽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대물렌즈(51)를 거쳐서 입사되는 광디스크(1)에서의 반사 레이저 광을 분광하여서 제 1 광로와 직행하는 제 2 광로로 반사된 것이다.
이 빔 스플리터(82)에 대물렌즈(5)쪽에서 입사된 반사 레이저광은 반도체 레이저(80)로부터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의 광축에 대하여 광축(90)을 90 도 굴곡하여서 빔 스플리터(82)의 외부로 나가게 된다. 그래서 베이스부재(79)의 한쪽의 입상 측벽에는 빔 스플리터(82)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을 수광하고, 광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98)가 부착된다.
이 광검출기(98)는 수광면을 빔 스플리터(82)에 의하여 분광되어서 진행하는 반사 레이저광의 광축에 대향하도록 하여 베이스부재(79)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그래서, 빔 스플리터(82)와 광 검출기(98) 사이에는 빔 스플리터(82)에서 분광 반사된 반사 레이저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멀티렌즈(85)가 후술하는 멀티렌즈 홀더(100)를 거쳐서 베이스부재(79)에 부착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한 빔 스플리터(82)는 반도체 레이저(80)로부터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의 일부를 분광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이 빔 스플리터(82)는 반도체 레이저(80)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의 일부를 반사 거울광과 역방향으로 90 도 굴곡하여 방사된다. 이 빔 스플리터(82)에 의해 분광된 입사 레이저광의 일부는 반도체 레이저(80)의 출력을 제어하기 의해서 사용된다. 그래서 베이스부재(79)의 다른 단부의 입상벽에는 광검출기(98)와 대향하도록 하여 빔 스플리터(82)에 의해 분광된 입사 레이저광의 일부를 검출하기 의한 제 2 광검출기(9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빈 스플리터(82)와 반사 거울(84) 사이에는 빔 스플리터(82)를 통과한 입사 레이저광을 평행 광선화하는 콜리메이터 렌즈(83)가 광축에 일치되어서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광학 블록(77)을 구성하는 반도체 레이저(80), 그레이딩(81), 빔 스플리터(82), 콜리메이터렌즈(83), 반사거울(84) 등의 광학부품이나 빔 스플리터(82)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이나 입사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98,99)를 광픽업장치(78)의 베이스부재(79)에 형성한 각 부착부에 부착됨으로써 이러한 구성부재는 베이스부재(79)의 평행면내에 배치된다. 이와같이 광학 블록(77)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모두 베이스부재(79)에 배치함으로써 광학픽업 장치(78)는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얇게 만들어진 광학 픽업 장치(78)에서는 제 1 도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걸어붙임부(89)에 걸린 반도체 레이저(80)의 방사면에서부터 광로요부(90), 그레이딩 걸어붙임 요부(91)에 걸린 그레이딩(81), 광로 오부(95), 빔 스플리터(82), 콜리메이터 렌즈(83), 반사 거울(84), 대물렌즈(51), 광디스크(1)에 까지 이르는 입사 레이저광의 제 1 광로와, 광디스크(1)에서부터 대물렌즈(51), 반사거울(84), 콜리메이터 렌즈(83), 빔 스플리터(82), 멀티렌즈(85), 광검출기(98)에 까지 이르는 제 2 광로 및 반도체 레이저(80)에서부터 광로 요부(90),그레이딩(81),광로 요부(95), 빔 스플리터(82), 광검출기(99)에 까지 이르는 제 3 광로가 구성된다. 이러한 광로는 반사 거울(84), 대물렌즈(51), 광디스크(1)에 이르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면에 구성된다.
그래서 상술한 제 1 광로를 거쳐서 대물렌즈 구동장치(50)에 입사되는 입사 레이저광은 탄성 지지체(53,54)를 거쳐서 보빈(52)을 지지한 지지체 홀더(55)에 설치된 광투과부(68)를 거쳐서 베이스부재에 부착된 반사 거울(84)로 입사된다. 또한, 이 반사 거울(84)에 의해 90 도 굴곡된 입사 레이저광은 베이스부재(79)에 설치된 간격(73)을 거쳐서 대물렌즈(51)로 입사된다.
이와같이 반사 거울(84)을 대물렌즈 구동장치(50)의 하측에 배치하고, 더구나 각 광학 부품을 반도체 레이저(80)로 부터 반사거울(84)에 이르는 광로의 광축과 평행한 면내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광학블록(77)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배치된 상태로 되고, 광픽업 장치(78)의 전체로부터 대물렌즈(51)의 광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대물렌즈 구동장치(50)만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같은 치수 형상으로서 형성된 상기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직경이 64mm 의 광디스크(1)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에 형성한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9)내에 확실하게 삽입된다.
이 광픽업장치(78)는 상술한 직경이 64mm 의 광디스크(1)를 수납하고, 광디스크(1)의 직경 방향에 걸처 길이(L1)를 24mm 로 하고, 폭(W3)을 17mm 로 하여 형성되는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을 카트리지 본체(5)에 형성한 디스크 카트리지(2)를 기록 매체로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된다.
이 기록 재생 장치는, 이 장치본체내에 구성된 카트리지 장착부(110)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2)내에 수납된 광디스크(1)를 회전 조작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11)를 구비한다. 이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11)는 제 14 도와 같이 장치 본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배치되고, 중심부에 설치된 구동축 (112)의 선단측에 광디스크(2)를 클램프하여 이 광디스크(2)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디스크 테이블(113)을 부착하여 구성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내에는 장치 프레임과 베어링 비스(vis)(118)에 양단부를 지지한 광픽업 장치(78)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이송 가이드cnr(114)과자 모양의 베어링(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송나사(115)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 가이드축(114)과 이송나사(115)는, 이 이송나사(115)를 회전 구동하는 픽업 이송 모터(116)와 같이 픽업 이송 기구(117)를 구성하는 것이고, 디스크 테이블(113)에 광디스크(2)를 클램프시켜서 카트리지 장착부(110)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2)의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8,9)의 양측에 위치하여 장치 본체내에 배치되는 샤시상에 배치된다.
그래서 광픽업 장치(78)는 이송 가이드축(114)을 한단부쪽의 베어링부(88)에 삽입시키고, 이송나사(115)를 다른 단부쪽의 베어링부(86)의 축구멍(87)에 삽입시킴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내에 배치된다. 이때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한쌍의 탄성 지지체(53,54)가 광디스크(1)에 형성된 기록 트랙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기록 재생 장치내에 배치된다.
즉,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길이 방향을 접선 방향으로 하여 기록 재생 장치내에 배치된다. 또한 광학 블록(77)은 반도체 레이저(80)로부터 반사 거울(84)에 이르는 광축이 광디스크(1)에 형성된 정보 기록 영역이 접선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광픽업 장치(78)는, 이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79)상에 부착된 대물렌즈 구동 장치(50)가 카트리지 장착부(110)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2)의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구멍(9)내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위치를 가져서 기록 재생 장치내에 배치된다. 즉, 광픽업 장치(78)는 광디스크(1)가 디스크 테이블(113)에 클램프된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2)가 카트리지 장착부(110)에 장착되었을 때, 대물렌즈 구동장치(50)가 정보 신호 기록 재생용 구멍(9)내에 삽입되고, 광디스크(1)의 정보 기록 영역에 적어도 대물렌즈(51)를 대치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 높이 위치에 부착된다.
또한, 광픽업 장치(78)는 대물렌즈(51)가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한 경우에도 광디스크(1)에 접촉하지 않는 거리, 즉 일정한 작용 거리를 유지하며 장치 본체내에 부착되도록 된다.
이와같이 광픽업 장치(78)를 장치 본체내에 배치함으로써 대물렌즈(51)와 광디스크(1)와의 거리를 줄이게 되고, 이른바 작용 거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대물렌즈(51)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장치 본체내에 배치된 광픽업 장치(78)는 가이드축(114), 이송나사(115) 및 픽업 이송 모터(116), 감속 기어 기구(120,121)로서 구성되는 픽업 이송 기구(117)에 의하여 제 14 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장치 본체내에 배치된 광픽업 장치(78)는 이송 나사(115)가 픽업 이송 모터(116)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광디스크(1)의 내외주에 걸처 제 14 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그런데 이송 나사(115)는, 이 나사의 한 단부에 설치된 워엄 기어(115A)에 픽업 이송 모터(116)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기어(121)가 맞물린 감속 기어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력 전달 기어(120)가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픽업 이송 모터(116)에 연결되고,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조작된다.
또한, 장치 본체내에 배치된 광픽업 장치(78)의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11)와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는 제 2 도와 같이 이 회전 구동 기구를 빠져나가게 하는 요면부(119)가 형성된다. 이 요면부(119)는 광픽업 장치(78)를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11)에 접촉되지 않고 광디스크(1)의 최내주측까지 확실히 이송되고, 광디스크(1)의 최내주측의 정보 기록 영역까지 확실하게 레이저광으로 주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 광픽업 장치(78)에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11)를 빠져나가게 하는 요면부(119)를 설치함으로써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111)를 충분히 대형인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광디스크(1)를 안정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대물렌즈 구동장치(50)의 이송 기구 대신에 직선 구동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리니어 모터는 가동부의 이동 방향이 대물렌즈 구동장치(50)를 광디스크(1)의 내외주로 이송 안내하는 가이드축(114)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장치 본체내에 배치된다. 그래서 대물렌즈 구동장치(50)를 부착한 베이스부재(79)의 한 단부를 연결부재를 거쳐서 상기 가동부에 연결시킴으로써 대물렌즈 구동장치(50)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 광디스크(1)의 내외주에 걸처 이송 조작된다.
이경우 상술한 픽업 이송 기구(117)에서는 픽업 이송 모터(116)에 회전형 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송 가이드축(114)과 평행한 이송 나사(115)가 이용되고 있는데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픽업 이송 기구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가이드축도 베이스부재(79)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면 좋고, 이송 나사(115)는 한쪽의 이송 가이드축(114)과 동일한 모양의 나사를 갖지 않는 축 모양의 것이 채용된다. 따라서, 대물렌즈 구동장치(50)만을 이송 조작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송체의 중량이 경량화되기 때문에 픽업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 조작을 고속화할 수 있고, 광디스크(1)의 소망하는 기록 트랙에 고속으로 액세스(access)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얇게 만들어진 실시예의 광픽업 장치(78)에서는 빔 스플리터(82)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을 정형하여 광검출기(98)에 의한 정보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이 고감도에서 정확도가 좋게 행해지기 때문에 멀티렌즈(85)의 위치 조정이 멀티렌즈 홀더(100)를 거쳐서 행해진다.
멀티렌즈 홀더(100)는 베이스부재(79)의 폭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를 갖는 부재이고, 경량 금속 혹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서 제 6 도 내지 8 도와 같이 블록상의 기부(101)와 이 기부(101)에서 단부벽(92)을 따라서 돌출된 기준 측벽부(102)와, 직각 삼각형의 천정벽부(103)와, 기준 측벽부(102)의 선단부에서 기부(101)와 대향하도록 하여 늘어뜨린 가이드 블록부(1O7)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멀티렌즈 홀더(100)는 길이 방향에서 측면 형상이 역 요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101)에는 빔 스플리터(82)에 의해 베이스부재(79)의 측방향으로 분광되는 반사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광로 구멍(15)이 내외측벽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101)의 내면벽에는 광로 구멍(105)과 동심의 렌즈 부착 요부(104)가 설치되고, 이 렌즈 부착 요부(104)에 멀티렌즈(85)가 수납되어 접합되어서 부착되어 있다. 게다가, 기부(101)의 하부면에는 기준 측벽부(102)쪽에 위치하여 폐쇄 구멍으로서 구성된 걸어맞춤 요부(106)가 뚤려 있다. 또, 기부(101)의 하부면에는 걸어맞춤 요부(106)와 반대쪽에 위치하여 가이드 블록부(109)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가이드 볼록부(109)쪽의 상면 모서리부분은 경사면(108)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볼록부(109)는 그 폭 치수가 베이스부재(79)에 오목한 가이드홈(96)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멀티렌즈 홀더(100)는 기준 측벽부(102)를 그레이딩 걸어붙임 요부(91)를 구성한 단부벽(92)에서 미끄러지도록 하여 베이스부재(79)에 부착된다. 이와같이 부착된 멀터렌즈 홀더(100)는 기부(101)가 그 광로 구멍(105)의 광축이 베이스부재(79)에 부착된 광검출기(98)의 수광면에 일치하도록 하여 기준측벽부(102)의 하부면이 빔 스플리터 걸림볼록부(93,94)에서 지지된다. 또한, 이 부착 상태에서는, 멀티렌즈 홀더(100)는 가이드 볼록부(107)가 베이스부재(79)의 저면부에 지지되고, 또 가이드 볼록부(109)가 가이드 홈(96)에 걸린다.
따라서, 멀티렌즈(85)를 부착한 멀티렌즈 홀더(100)는 반도체 레이저(80), 그레이딩(81), 빔 스플리터(82)에 이르는 제 1 광로를 따르는 상태에서 베이스부재(79)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이 멀티렌즈 홀더(100)의 기부(101)에 설치된 걸림 요부(106)는 베이스부재(79)에 뚫린 조정지그 삽입구(97)를 향하여 위치한다. 이경우 걸어 맞춤 요부(106)는 조정지그 삽입구(97)의 중심보다 한쪽의 구멍벽쪽에 약간 편심하여 임한다.
멀티렌즈(85)와 광검출기(98)와의 대향 간격의 조정은 조정지그 삽입구(97)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조정 지그(125)를 삽입하여 이것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조정 지그(125)는 제 10 도와 같이, 조정 지그 삽입구(97)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지지부(126)의 선단부에 걸어 맞춤편(127)이 설치되고, 조정지그 삽입구(97)에 삽입함으로써 걸어맞춤펀(127)이 멀티렌즈 홀더(100)의 기부(101)에 설치된 걸어 맞춤 요부(106)와 걸어 맞추어진다. 따라서, 조정지그(125)를 회전 조작하면 멀티렌즈 홀더(10O)는 기존 측벽부(1O2)를 따라서 미끄러지고, 베이스 부재(79)의 폭 방향을 따라서 조정된다. 이때 가이드 볼록부(107)가 가이드 홈(96)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멀티렌즈 홀더(100)는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동이 규제된다.
이상과 같이 멀티렌즈(85)를 제 1 광로를 지나서 베이스부재(79)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멀티렌즈 홀더(100)에 조립함으로씨, 이 멀티렌즈 홀더(100)는 대형을 채용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79)에 확실하게 유지되어서 멀티렌즈(85)의 광축이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대형 멀티렌즈 홀더(100)를 갖추는 것에 관계없이 광픽업 장치(78)가 대형화하지 않고, 게다가 대형 멀티렌즈 홀더(100)를 거쳐서 조정 지그(125)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멀티렌즈(85)의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그 조작은 아주 간단하게 행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예의 멀티렌즈 홀더(100)에서는, 멀티렌즈(85)는 렌즈 부착 요부(104)에 제 2 광로와 광축을 일치시키도록하여 수납된 후 접합 고정시킴에 의해 부착하도륵 구성하였는데, 멀티렌즈 홀더(100)를 합성수지 재료로서 성형하는 경우에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광픽업 장치(78)에서는 베이스부재(79)에 형성한 반도체 레이저 걸어붙임 요부(89)에 부착된 반도체 레이저(80), 그레이딩 걸어붙임 요부(91)에 부착된 그레이딩(81), 빔 스플리터 걸림 볼록부(93,94)에 의해 걸린 빔 스플리터(82) 및 멀티렌즈 홀더(100)의 광학 부품은 베이스부재(79)에 장착되는 탄성 유지부재(130)에 의해 걸리고, 베이스부재(79)상에 부착된다.
탄성 유지부재(130)는 탄성을 갖는 금속 박판에 의해 형성되고, 제 4 도와 같이 베이스부재(79)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한 폭 치수를 갖는다. 이 탄성 유지 부재(130)의 한쪽 단부에는 베이스부재(79)의 입상측벽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 (128)에 대응하여 하부로 굴곡하여 형성한 한쌍의 탄성 걸림편(131A)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79)에 형성한 요부(129)에 위치하여 설치된 걸어 맞춤부(129A) 및 입상측벽에 오목하게 설치된 걸어맞춤부(129B)에 대응하여 하부로 굴곡하여 형성한 탄성 걸림편(131B,131C)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각 탄성 걸림편(131)올 대응하는 각 걸어맞춤부(128,129A,129B)에 상대 결합됨에 의하여 탄성 유지부재(130)는 베이스부재(79)의 천정면을 구성하도록 하여 이 베이스부재(79)에 확실하게 조합된다. 이와같이 베이스부재(79)에 조합되는 탄성 유지부재(130)에는 베이스부재(79)의 입상벽의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큰 직경으로 된 반도체 레이저(80)의 일부를 외부로 향하는 사각형의 절결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 유지부재(130)에는 이 절결부(132)와 凸 자 모양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횡방향 U 자 형의 절결부(133)를 설치함으로써 선단부가 그레이딩 걸어붙임 요부(91)에 임하는 탄력 지지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이 탄성 유지부재(130)에는 베이스부재(79)의 한쪽 입상 측벽의 근방을 따라서 횡방향 U 형의 절결부(135)를 설치함으로써 선단부가 멀티렌즈 홀더(100)의 천정벽부(103)의 정점부로 연장한는 탄력 지지부(136)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쪽 입상 측벽의 근방을 따라서 일단부에서 깊이 들어가서 탄력 지지부(1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력 지지부(137)의 선단부(137A)는 멀티렌즈 홀더(1O0)의 기부(101)의 측단부에 형성한 경사면(108)과 걸어맞추어지도록 아래를 향해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재(79)에 장착된 탄성 유지부재(130)는 반도체 레이저 걸어붙임 요부(91)에 부착된 반도체 레이저(80), 그레이딩 걸어붙임 요부(91)에 부착된 그레이딩(81) 혹은 멀티렌즈 홀더(100)를 탄력 지지한다. 특히, 멀티렌즈 홀더(100)는 탄성 유지부재(130)가 그 탄력 지지부(136) 및 탄력 지지부(137)의 선단부(137A)에 의해 기준 측벽부(102)를 단부벽(92)쪽으로 가압한다. 이에의해 빔 스플리터(82), 멀티렌즈(85) 및 광검출기(98)에 이르는 광축이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탄성 유지부재(130)에 의해 멀티렌즈 홀더(100)를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멀티렌즈 홀더(100)를 베이스부재(79)의 폭 방향으로 조정하여 부착한 멀티렌즈(85)와 광검출기(98)와의 간격의 자동 조작은 광학 부품을 베이스부재(79)에 조립한 후에 행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 장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부착되는 베이스부재상에 광학 블록을 구성하는 광원, 반사거울, 빔 스플리터 등의 광학 부품을 광원에서부터 반사 거울에 까지 이르는 레이저광의 광축과 평행한 면내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그래서 이 소형화된 광픽업 장치에서 빔 스플리터로부터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을 정형하여 광검출기로 입사하는 멀티렌즈를 광원에서 반사 거울에 이르는 입사 레이저광의 광로를 지나서 베이스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멀티렌즈 홀더에 부착됨으로써 대형 멀티렌즈 홀더를 채용하여도 장치 자체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 대형 멀티렌즈 홀더는 광학 부품을 걸어붙이는 걸어붙임 요부에 의해 구성되는 측면을 따라서 조정지그를 조작함으로써 조정됨에 의하여 부착된 멀티렌즈와 빔 스플리터, 광검출기에 이르는 광로에서 광축의 이탈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빔 스플리터에서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을 적정한 상태로서 광 검출기로 입사시킴으로써 광디스크에 대하여 대물렌즈 구동장치의 정확한 포커싱 제어 혹은 트랙킹 제어가 행해진다.

Claims (6)

  1. 대물렌즈 구동장치에서 지지되어서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으로 조정되는 대물렌즈와, 광원과, 이 광원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을 굴곡하여 대물렌즈로 안내하는 반사 거울과, 광원에서 방사된 입사 레이저광과 대물렌즈를 거쳐서 입사되는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 레이저광을 분광하는 빔 스플리터와, 이 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이 광검출기와 빔 스플리터와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광된 반사 레이저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멀티렌즈에 의하여 광학계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러한 광학계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러한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원, 반사 거울, 빔 스플리터 및 광검출기가 베이스부재상에 달라붙어 지지되어 있고, 상기 멀티렌즈는 광원과 빔 스플리터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 1 광로를 건너서 빔 스플리터와 광검출기 사이에 구성되는 제 2 광로를 따라서 베이스부재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멀티렌즈 홀더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광검출기와의 대향 간격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렌즈가 달라붙은 멀티렌즈 홀더는 베이스부재의 입상 주변벽에서 서로 대향하며 돌출되어 형성된 광학 부품이 끼워붙여지는 광학 부품 부착부의 측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제 2 광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 (정정) 제 2 항에 있어서, 멀티렌즈 홀더는 광학 부품 부착부에 평행하게 베이스부재의 저면벽에 형성된 가이드 흠에 끼워맞추는 가이드 볼록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렌즈는 합성수지제의 멀티렌즈 홀더에 인서트 성형법으로써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렌즈 홀더는 베이스부재에 형성한 광학 부품 부착부에 끼워 붙여서 조립되는 광학 부품을 끼워붙이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 유지부재에 일체로 형성한 탄성 지지부를 탄력 접촉함에 의하여 이동 방향의 유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렌즈 홀더는 베이스부재의 저면벽에 뚫린 원형의 조정 구멍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면한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편이 조정구멍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지지부에서 돌출된 조정지그를 조정구멍에 삽입하여 회전 조작함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KR1019940037705A 1993-12-29 1994-12-28 광픽업장치 KR100296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55379 1993-12-29
JP35537993A JP3449769B2 (ja) 1993-12-29 1993-12-29 光ピックア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77A KR950020477A (ko) 1995-07-24
KR100296680B1 true KR100296680B1 (ko) 2001-10-24

Family

ID=1844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705A KR100296680B1 (ko) 1993-12-29 1994-12-28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97366A (ko)
JP (1) JP3449769B2 (ko)
KR (1) KR100296680B1 (ko)
CN (1) CN1053283C (ko)
TW (1) TW279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1904A1 (de) * 1996-03-26 1997-10-02 Thomson Brandt Gmbh Gerät zum Lesen und/oder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CN1251210C (zh) 1997-08-19 2006-04-12 株式会社建伍 光读取装置及生产光读取装置的方法
CN1132164C (zh) * 1999-08-04 2003-12-24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激光模块和使用它的光头、光学信息记录再现装置
US7334238B2 (en) 2003-04-21 2008-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device having fixing parts for directly fixing a frame of the optical disk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US7600235B2 (en) 2003-05-21 2009-10-06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device
US20040246827A1 (en) * 2003-05-21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evice
US7573800B2 (en) * 2004-01-29 2009-08-11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2005334928A (ja) * 2004-05-26 2005-12-08 Yamazaki Mazak Corp レーザ加工機における焦点調整装置
JP2008033988A (ja) * 2006-07-26 2008-02-14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
CN101978423B (zh) * 2009-01-26 2014-08-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头及光信息装置
JP6394134B2 (ja) * 2014-07-11 2018-09-26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EP3899598A1 (fr) * 2018-12-17 2021-10-27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détection optique d'un défaut de positionnement ou de forme d'un corps creux dans un convoyeur d'une unité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CN110908468B (zh) * 2019-11-22 2021-08-20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pcie卡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252A (ja) * 1982-06-16 1983-12-21 Hitachi Ltd 光学式ピツクアツプのトラツキング誤差信号検出回路
EP0135750B1 (en) * 1983-08-26 1988-06-22 Hitachi,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670869A (en) * 1984-01-03 1987-06-02 Magnetic Peripherals Inc. Switching laser beam apparatus with recombined beam for recording
JPH0633537Y2 (ja) * 1984-06-30 1994-08-31 ソニ−株式会社 感光性半導体装置
DE3665372D1 (en) * 1985-05-31 1989-10-05 Siemens Ag Optical system for guiding the read-out beam in a magneto-optical memory
JPS63146244A (ja) * 1986-12-10 1988-06-18 Hitachi Ltd 波長多重光記録装置
JPH0296618U (ko) * 1989-01-17 1990-08-01
JP2902415B2 (ja) * 1989-09-14 1999-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49769B2 (ja) 2003-09-22
US5497366A (en) 1996-03-05
KR950020477A (ko) 1995-07-24
TW279979B (ko) 1996-07-01
CN1053283C (zh) 2000-06-07
JPH07201044A (ja) 1995-08-04
CN1124867A (zh)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680B1 (ko) 광픽업장치
KR100296678B1 (ko) 대물렌즈구동장치,이대물렌즈구동장치를이용한광픽업장치및광디스크기록및재생장치
KR100577468B1 (ko) 디스크드라이브
US6501710B2 (en) Actuator for optical pickup
JPH0750526B2 (ja) デイスクプレ−ヤの光学ヘツド装置
US4932019A (en) Disk player having a vibration dissipating device
JPS6313143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283639A (ja) フォーカスオフセット調整用光学素子の取り付け機構
JP413524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7518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5029157A (en) Disk player having a pickup securing device
JP3087142B2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のレンズ位置センサ
JP3375240B2 (ja) 光学ヘッド装置及びその組立調整方法
JP3087144B2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2003085817A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3085781A (ja) 光学ピックアップ、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におけるレーザ光の光軸位置の調整方法
JP3087143B2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2997329B2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
JP2000011412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学装置
JPH0991710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S6313131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291271A (ja) 光ヘッド装置
JP2000011441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学装置
JPH0728785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S6313129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