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193B1 -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193B1
KR100296193B1 KR1019980060572A KR19980060572A KR100296193B1 KR 100296193 B1 KR100296193 B1 KR 100296193B1 KR 1019980060572 A KR1019980060572 A KR 1019980060572A KR 19980060572 A KR19980060572 A KR 19980060572A KR 100296193 B1 KR100296193 B1 KR 10029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door
striker plate
door
fasten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094A (ko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1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스윙도어의 유동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도어; 상기 스윙도어의 도어패널 좌우측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차체패널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밀착 삽입되는 제 2록킹 캠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버스 스윙도어의 좌우측 하부에 경사홈이 형성된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체결 고정하고,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안착단이 형성된 제 2록킹 캠을 차체패널에 체결 고정하여 스윙도어를 닫을 때 차체패널의 제 2록킹 캠의 안착단에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경사홈이 밀착됨으로써 스윙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 스윙도어의 유동방지 구조
본 발명은 버스의 스윙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윙도어의 도어패널 좌우측 하부에는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각각 체결 고정하고, 이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차체패널에는 제 2록킹 캠을 체결 고정하여 스윙도어를 닫을 때 차체패널의 제 2록킹 캠에 스윙도어의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가 밀착됨으로써 스윙도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버스 스윙도어의 유동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스윙도어(swing door)는, 도어의 내측에 만곡지게 형성된 드라이브 샤프트를 설치하고, 이 드라이브 샤프트를 정역회전 하는 에어 실린더로써 회전시켜 도어를 개폐시키는 타입으로써 이는, 주로 고급 버스 차종에 적용하여 사용되는데, 도어가 서서히 개폐되어 승객들의 승하차시 안전에도 도움을 주게 되고 버스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스윙도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스윙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윙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윙도어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스윙도어(100)는 크게 에어 실린더(6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200)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00)가 고정 설치된 도어패널(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300)의 좌우측 상하부에는 한쌍의 스트라이커 플레이트(310)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310)와 대응되게 차체패널 (500)에는 록킹 캠(510)이 각각 체결 고정된다.
상기 록킹 캠(510)은 상기 차체패널(500)에 록킹 캠(510)을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20)가 삽입되는 관통공(530)이 형성된 제 1고정구(540)와, 상기 제 1고정구(54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부(540a)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310)는, 상기 도어패널(300)에 스트라이커 플레이트(310)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20)가 삽입되는 통공(320)이 형성된 제 2고정구(330)와, 상기 제 2고정구(33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 캠(510)의 경사부 (540)에 면접촉되는 경사면(33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00)는 상기 도어패널(300) 내측과 정역회전하는 에어실린더(6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윙도어(100)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윙도어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미도시된 도어스위치를 개방시키면, 정역회전하는 에어 실린더(6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에어 실린더(600)와 차체패널(500)에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윙도어(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전방으로 개방되면서 후방으로 서서히 밀리게 됨으로써 완전히 개방되어 승객들이 승하차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윙도어(100)를 닫기 위해서는 정역회전하는 에어 실린더(6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에어 실린더(600)와 차체패널(500)에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윙도어(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서서히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윙도어(100)의 도어패널(300) 좌우 상하부에 제 1고정구(330)의 통공(320)을 통하여 고정볼트(520)로써 체결 고정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310)의 경사면(330a)이 차체패널(300)에 제 2고정구(540)의 관통공(530)을 통하여 고정볼트(520)로써 체결 고정된 록킹 캠(510)의 경사부(540a)에 면접촉으로 안내되면서 서서히 닫히게 되어 스윙도어(1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 스윙도어에 의하면, 스윙도어를 닫을 때 스윙도어의 도어패널 좌우측 상하부에 고정볼트로써 체결 고정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경사면이 차체패널에 고정볼트로써 체결 고정된 록킹 캠의 경사부에 면접촉으로 안내되어 닫히게 됨으로써 면접촉에 따른 스윙도어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버스 스윙도어의 차체패널 좌우측 하부에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체결 고정하고, 이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차체패널에는 제 2록킹 캠을 체결 고정하여 스윙도어를 닫을 때 차체패널의 제 2록킹 캠에 스윙도어의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가 밀착됨으로써 스윙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도어; 상기 스윙도어의 좌우측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차체패널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밀착 삽입되는 제 2록킹 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패널에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홈이 형성된 수직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록킹 캠은, 상기 차체패널에 상기 제 2록킹 캠을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착단이 각각 형성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스윙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윙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 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윙도어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스윙도어와 차체패널에 안내수단과 유동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스 스윙도어의 도어패널과 차체패널에 안내수단과 유동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 유동방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스윙도어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윙도어 20 : 도어패널
30 : 차체패널 51 : 고정볼트
80 : 제 1스트라이커 플레이트 81 : 통공
82 : 지지편 83,83a : 수직편
83b : 경사홈 90 : 제 2록킹 캠
91 : 관통공 92 : 고정편
93,93a : 연결편 93b : 안착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스윙도어와 차체패널에 안내수단과 유동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스 스윙도어의 도어패널과 차체패널에 안내수단과 유동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의 B- 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 유동방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스윙도어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5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윙도어(1)는 크게 에어 실린더(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10)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가 고정 설치된 도어패널(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패널(20)의 좌우측 상부와 차체패널(30)에는 상호 대응되게 한쌍의 안내수단(40)이 체결 고정되고, 도어패널(20)의 좌우측 하부와 상기 차체패널(30)에는 상호 대응되게 한쌍의 유동방지수단(70)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안내수단(40)은 도어패널(20)의 좌우측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 1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와, 제 1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와 대응되게 차체패널(30)에 체결 고정되는 제 1록킹 캠(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는 도어패널(20)에 제 1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1)가 삽입되는 통공(52)이 형성된 제 1고정구 (53)와, 제 1고정구(53)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3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록킹 캠(60)은 차체패널(30)에 제 1록킹 캠(60)을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1)가 삽입되는 관통공(61)이 형성된 제 2고정구(62)와, 제 2고정구(62)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 1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의 경사면(53a)과 면접촉되는 경사부(6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방지수단(70)은 도어패널(20)의 좌우측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와,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와 대응되게 차체패널(30)에 체결 고정되는 제 2록킹 캠(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는 도어패널(20)에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1)가 삽입되는 통공(81)이 형성된 지지편(82)과, 지지편(82)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홈(83b)이 각각 형성된 수직편 (83)(83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록킹 캠(90)은 차체패널(30)에 제 2록킹 캠(90)을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1)가 삽입되는 관통공(91)이 형성된 고정편(92)과, 고정편(92)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착단(93b)이 각각 형성된 연결편(93)(93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는 도어패널(30) 내측과 정역회전하는 에어 실린더 (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윙도어(1)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미도시된 도어스위치를 개방시키면, 정역회전하는 에어 실린더(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에어 실린더와 차체패널(30)에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 (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윙도어(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방으로 개방되면서 후방으로 서서히 밀리게 됨으로써 완전히 개방되어 승객들이 승하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윙도어(1)를 닫기 위해서는, 정역회전하는 에어 실린더(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에어 실린더와 차체패널(30)에 설치된 드라이브 샤프트 (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윙도어(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서서히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윙도어(1)의 도어패널(20) 좌우측 상부에 설치된 제 1고정구 (53)에 형성된 통공(52)을 통하여 고정볼트(51)로써 체결 고정된 제 1 스트라이커 플레이트(50) 일측의 경사면(53a)이 차체패널(30)에 제 2고정구(62)의 관통공(61)을 통하여 고정볼트(51)로써 체결 고정된 제 1록킹 캠(60) 일측면의 경사부(62a)에 면접촉으로 안내되면서 서서히 닫히게 되어 스윙도어(1)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윙도어(1)의 도어패널(20) 좌우측 하부에 설치된 지지편 (82)에 형성된 통공(81)을 통하여 고정볼트(51)로써 체결 고정된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의 지지편(82) 양단에 형성된 수직편(83)(83a) 일측의 경사홈(83b)이 차체패널(30)에 지지편(82)의 관통공(91)을 통하여 고정볼트(51)로써 체결 고정된 제 2록킹 캠(90)의 고정편(92) 양단에 형성된 연결편(93)(93a) 일측의 안착단(93b)에 삽입 밀착됨으로써 스윙도어(1)가 닫힐 때 발생되는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스윙도어의 좌우측 하부에 경사홈이 형성된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체결 고정하고,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안착단이 형성된 제 2록킹 캠을 차체패널에 체결 고정하여 스윙도어를 닫을 때 차체패널의 제 2록킹 캠의 안착단에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경사홈이 밀착됨으로써 스윙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에어 실린더(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도어(1);
    상기 스윙도어(1)의 도어패널(20) 좌우측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 및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와 대응되게 차체패널(30)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에 밀착 삽입되는 제 2록킹 캠(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스윙도어의 유동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는
    상기 도어패널(20)에 상기 제 2스트라이커 플레이트(80)를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51)가 삽입되는 통공(81)이 형성된 지지편(82); 및
    상기 지지편(82)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경사홈(83b)이 각각 형성된 수직편(83)(83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스윙도어의 유동방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록킹 캠(90)은,
    상기 차체패널(30)에 상기 제 2록킹 캠(90)을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51)가 삽입되는 관통공(91)이 형성된 고정편(92); 및
    상기 고정편(9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안착단(93b)이 각각 형성된 연결편(93)(93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스윙도어의 유동방지 구조.
KR1019980060572A 1998-12-30 1998-12-30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KR10029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572A KR100296193B1 (ko) 1998-12-30 1998-12-30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572A KR100296193B1 (ko) 1998-12-30 1998-12-30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094A KR20000044094A (ko) 2000-07-15
KR100296193B1 true KR100296193B1 (ko) 2002-09-04

Family

ID=1956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572A KR100296193B1 (ko) 1998-12-30 1998-12-30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6429A (zh) * 2016-06-23 2016-09-14 芜湖美威包装品有限公司 包装泡沫成品的转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6429A (zh) * 2016-06-23 2016-09-14 芜湖美威包装品有限公司 包装泡沫成品的转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094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193B1 (ko)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CA1298989C (en) Deadbolt assembly
JP2000192695A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3333745B2 (ja) 車両用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222713Y1 (ko)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JP4384796B2 (ja) 車両用ドアにおけるモジュールパネルのシール構造
KR0119191Y1 (ko) 차량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고정 클립
JP3029582B2 (ja) ラッチ付キースイッチ装置
KR200142556Y1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결합구조
KR100251973B1 (ko) 플랩도어용 래치구조
KR200203113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스트라이커조립체의 고정구조
KR200144397Y1 (ko) 자동차 도어의 오프닝 웨더스트립구조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KR100269895B1 (ko) 자동차의 후드 세컨더리 래치
KR200191650Y1 (ko) 테일게이트 오픈 방지장치
KR0135552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닫힘 장치
KR100216814B1 (ko) 자동차 도어의 첵커 구조
JPS62218762A (ja) ベンチレ−タ
KR200169384Y1 (ko) 냉장고용 키홀더 체결 구조
KR19990052774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와 윈도우 글래스의 조립구조
KR200182722Y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200257111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착구조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JP2886074B2 (ja) キャップにより孔を開放可能に閉止する構造
KR200140914Y1 (ko) 차량 도어개폐레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