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713Y1 -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713Y1
KR200222713Y1 KR2019990001580U KR19990001580U KR200222713Y1 KR 200222713 Y1 KR200222713 Y1 KR 200222713Y1 KR 2019990001580 U KR2019990001580 U KR 2019990001580U KR 19990001580 U KR19990001580 U KR 19990001580U KR 200222713 Y1 KR200222713 Y1 KR 200222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device
double swing
slid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560U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1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71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5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713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잠김장치의 메카니즘상 발생되던 실링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웨더 스트립과 간섭이 없도록 고안한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2개 1조의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한 더블 스윙 인 도어; 상기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하부로 어퍼암과 로워암을 고정하는 도어 파이프;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작동하는 잠김장치; 상기 잠김장치의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홈부를 형성한 로워암;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측으로 형성한 하부실링 브러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double swing in door for a bus}
본 고안은 버스의 더블 스윙 인 도어(Double Swing In Do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잠김장치의 메카니즘상 발생되던 실링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웨더 스트립과 간섭이 없도록 고안한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더블 스윙 인 도어는 도어 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1a는 종래의 더블 스윙 인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 상세도이며, 도 1c는 더블 스윙 인 도어를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더블 스윙 인 도어(10)는 두 개의 도어 프레임(12)(14)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14)중에 일측면에는 잠김장치(16)가 설치되며, 특히 도어 프레임(14)과 접하는 곳의 차체 프레임(Body)(18)에는 스톱퍼(34)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잠김장치(16)는 일측에 고정구(2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20)의 일측에서 돌출하는 연결구(22)에 키(24)를 결합하며, 상기 키(24)의 말단에 슬라이더(26)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26)가 도어 프레임과 함께 동작하는 경우 일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으로 가이더(28)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더(28)에 인접하여 웨더 스트립(30)을 형성한다. 특히, 버스의 차체 프레임(18)에는 스톱퍼(34)가 또 다른 웨더 스트립(32)과 함께 볼트(36)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잠김장치(16)의 작동원리는 언록킹상태에 있는 키(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26)가 가이더(28)에 의하여 좌,우 직선운동을 함에따라 상기 슬라이더(2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차체 프레임(18)에 형성된 스토퍼(34)부위로 이동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잠김상태와 비잠김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잠김장치(16)의 가이더(28)에 형성된 웨더 스트립(30)과 스톱퍼(34)와 함께 고정되는 또 다른 웨더 스트립(32)을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컷팅(Cutting)하여야 한다.
전술한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에 사용되는 잠김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웨더 스트립을 설치하는 경우 그 웨더 스트립의 자유단으로 인하여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되고 그로인해 웨더 스트립의 내구력이 약화되며, 또한 잠김장치가 링크 구조로 조합되는 관계로 슬라이더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 유동으로 소음이 발새되고 더블 스윙 인 도어가 실외방향으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작동시 웨더 스트립에 대한 간섭을 받지 않고 잠김장치의 작동시에도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도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2개 1조의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한 더블 스윙 인 도어; 상기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하부로 어퍼암과 로워암을 고정하는 도어 파이프;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작동하는 잠김장치; 상기 잠김장치의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홈부를 형성한 로워암;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측으로 형성한 하부실링 브러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를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더블 스윙 인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도 1a의 'A부' 상세도, 도 1c는 더블 스윙 인 도어를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더블 스윙 인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 2a의 'A-A부' 단면도, 도 2c는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작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더블 스윙 인 도어 42,44: 도어 프레임
46: 도어 파이프 48: 어퍼암
50: 로워암 52: 잠김장치
54: 고정구 56: 키
58: 상작동부 60: 하작동부
62: 슬라이더 64: 가이더
66: 돌출부 68: 홈부
70: 하부실링 브러쉬
이하,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과 작용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더블 스윙 인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A부' 단면도이며, 도 2c는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작용상태도이다.
더블 스윙 인 도어(40)는 도어 프레임(42)(44)의 일측 하부에 잠김장치(52)를 설치하는데, 상기 도어 프레임(42)(44)에는 양측의 외부에 도어 파이프(46)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도어 파이프(46)의 상부 및 하부에 어퍼암(48)과 로워암(50)을 형성한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42)(44)에는 하부의 내측에 잠김장치(52)를 형성하고 그 직하부로 로워암(50)을 설치한다.
상기 잠김장치(52)는 자동으로 작동되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잠김장치(52)에는 고정구(54)에 링크로 결합되고 상,하로 회전하도록 'C'형상의 키(56)를 결합시키고, 상기 키(56)는 상작동부(58)와 하작동부(60)를 형성한다. 상기 키(56)의 하부에는 슬라이더(62)와 가이더(64)가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62)가 작동되는 경우에 일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더(6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키(56)의 상작동부(58)와 하작동부(60)는 가이더(64)의 일측상방에 형성된 돌출부(66)와 결합되어 작동되는데 키(56)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더(62)를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62)에도 상부가 절곡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62)의 말단과 결합되는 로워암(50)에는 홈부(68)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더(64)와 함께 구동하는 슬라이더(62)는 로워암(50)의 홈부(68)와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도어 프레임(44)에는 실내측으로 하부실링 브러쉬(70)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 등의 공해요소를 억제시키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작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작동상태도로서, 더블 스윙 인 도어(40)가 작동되는 상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잠김장치(52)는 자동으로 작동되는데, 언록킹상태에서 키(56)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키(56)의 상작동부(58)가 슬라이더(62)의 상부를 밀게됨으로 가이더(64)의 돌출부(66)와 결합되어 있던 하작동부(60)가 자유상태로 되어 슬라이더(62)가 하부로 이동되며, 그로인해 상기 슬라이더(62)의 말단이 로워암(50)에 가공된 홈부(68)로 삽입되어 더블 스윙 인 도어(40)와 로워암(50)이 일체가되어 도어가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잠김장치(52)의 언록킹상태는 상부의 작동설명과 반대로 진행되어 더블 스윙 인 도어(40)를 오픈시킬 수 있게된다.
전술한 구성과 작용에 의한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더블 스윙 인 도어에 형성되는 잠김장치를 웨더 스트립의 간섭이 없는 장소로 이동시켜 웨더 스트립에 의한 간섭을 방지시키고, 또한 잠김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발생되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2개 1조의 도어 프레임(42)(44)으로 구성한 더블 스윙 인 도어(40); 상기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하부로 어퍼암(48)과 로워암(50)을 고정하는 도어 파이프(46); 상기 도어 프레임(42)(44)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작동하는 잠김장치(52); 상기 잠김장치의 슬라이더(62)와 결합하는 홈부(68)를 형성한 로워암(50);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측으로 형성한 하부실링 브러쉬(7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장치(52)는, 고정구(54)에 링크로 결합되고 상,하로 회전하는 상작동부(58)와 하작동부(60)를 형성한 키(56)를 결합하며, 상기 키(56)의 하부에 슬라이더(62)와 가이더(64)를 형성하여 슬라이더(62)가 작동되는 경우 일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더(64)를 설치하며, 상기 키(56)의 상작동부(58)와 하작동부(60)는 가이더(64)의 일측상방에 형성된 돌출부(66)와 결합시켜 키(56)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더(62)를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더(62)의 말단과 결합되는 로워암(50)에 홈부(68)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더(62)를 로워암(50)의 홈부(68)에 삽입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김장치.
KR2019990001580U 1999-02-03 1999-02-03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KR200222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580U KR200222713Y1 (ko) 1999-02-03 1999-02-03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580U KR200222713Y1 (ko) 1999-02-03 1999-02-03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560U KR20000016560U (ko) 2000-09-25
KR200222713Y1 true KR200222713Y1 (ko) 2001-05-15

Family

ID=5475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580U KR200222713Y1 (ko) 1999-02-03 1999-02-03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7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560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1138B2 (ja) 窓障子用ステ−
KR200222713Y1 (ko) 버스용 더블 스윙 인 도어의 잠금장치
JPH09209665A (ja) 両開きドアの召し合せ部構造
KR200392300Y1 (ko) 환기창용 루버유닛
JPS58214411A (ja) 自動車のウエザ−ストリツプ構造
KR100446481B1 (ko) 도로용 측구 뚜껑의 록킹장치
KR200281176Y1 (ko) 여닫이 창을 가지는 미닫이 창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100332344B1 (ko)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JP2528429Y2 (ja) 網戸の取付装置
KR200208190Y1 (ko) 일체형 상부 실링
KR200359154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276842Y1 (ko)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KR100296193B1 (ko) 버스스윙도어의유동방지구조
KR20020045094A (ko) 버스의 사이드 글래스 결합구조
CN215398118U (zh) 汽车天窗总成
KR200180781Y1 (ko) 회전창
JP4524941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200324636Y1 (ko) 창문의 개폐구조
KR200355669Y1 (ko) 창문의 방풍장치
KR10039918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방지구조
KR200194400Y1 (ko) 플랩도어웨더스트립
KR0118992Y1 (ko)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2중 방음구조
KR200250252Y1 (ko) 슬라이딩 게이트 롤러
KR200341293Y1 (ko) 개폐식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