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344B1 -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 Google Patents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344B1
KR100332344B1 KR1019990028522A KR19990028522A KR100332344B1 KR 100332344 B1 KR100332344 B1 KR 100332344B1 KR 1019990028522 A KR1019990028522 A KR 1019990028522A KR 19990028522 A KR19990028522 A KR 19990028522A KR 100332344 B1 KR100332344 B1 KR 10033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sliding plug
side slid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908A (ko
Inventor
임영호
서승일
정윤규
신동국
Original Assignee
송영수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신용균
동화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수,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신용균, 동화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영수
Priority to KR101999002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23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설치하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어퍼레일어셈블리(110)와, 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설치하여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언더레일어셈블리(120)와, 상기 도어(100)의 외측에 설치하는 록킹부(140)와, 상기 록킹부(140)와 대응되게 설치하여 도어(100)를 차체에 밀착시켜 밀폐되게 하는 록킹장치(130)로 구성하므로 전동차의 도어를 정확하고 완전하게 밀폐시켜 외부로부터의 소음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슬라이딩 도어를 이용하여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제작하므로 코스트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도어와 근접된 플랫홈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side sliding plug door}
본 발명은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도어부분으로 부터 내부로 침입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구현하도록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전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에는 차체의 도어부분 좌우측의 인너패널과 아우터패널 사이에 도어를 삽입하여 이를 슬라이딩시켜 개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차 도어는 좌우로 슬라이딩 시켜 도어를 개폐하므로 밀폐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 소음의 실내 침입량이 늘어나 소음공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외국산 슬라이딩 플러그를 적용하는 경우 코스트가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도어의 회전반경이 커서 현행 전동차와 플랫홈의 차이로 적용자체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전동차의 도어를 정확하고 완전하게 밀폐시켜 외부로부터의 소음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슬라이딩 도어를 이용하여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제작하므로 코스트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와 근접된 플랫홈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어퍼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언더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슬라이딩 가이드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록킹장치를 나타낸 상세도.
도 7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록킹장치를 나타낸 측면상세도.
도 8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측면상세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평면상세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상부 록킹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하부 록킹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 101; 스트립 러버
102; 상부 브래킷 103; 하부 브래킷
110; 어퍼 레일 어셈블리 111; 가이드레일
112; 만곡부 113; 가이드봉
114; 가이드구 115; 스윙아암
116; 몰딩 117; 슬라이드구
120; 언더 레일 어셈블리 121; 가이드레일
122; 만곡부 123; 로울러
124; 로울러브래킷 125; 홀더
130; 록킹장치 131; 실린더
132; 로드 133; 록킹구
134; 록킹홈 140; 록킹부
141; 록킹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는 차체에 설치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어퍼레일어셈블리와, 상기 도어의 하부에 설치하여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언더레일어셈블리와, 상기 도어의외측에 설치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에 대응되게 설치하여 도어를 차체에 밀폐시키는 록킹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어퍼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언더 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슬라이딩 가이드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록킹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록킹장치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록킹장치를 나타낸 측면상세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측면상세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부를 나타낸 평면상세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도어 록킹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상부 록킹상태를 나타낸횡단면도이고, 도 16 은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중 하부 록킹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는 차체의 출입구에 좌우 한 쌍을 설치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출입구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어퍼레일어셈블리(110)와, 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설치하여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언더레일어셈블리(120)와, 상기 도어(100)의 외향 측에 설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140)와, 상기 록킹부(140)와 대응되게 설치하여 도어(100)를 차체에 밀착시켜 밀폐되게 하는 록킹장치(130)로 구성한다.
상기 도어(100)는 상부에 내측 모서리 부분에 상부브래킷(102)을 결합하고 하부의 좌우측에 하부브래킷(103)을 각각 결합하며 상, 하, 좌, 우에 스트립러버(101)를 부착한다.
상기 어퍼레일어셈블리(110)는 차체의 출입구 상측 도어(100) 결합부분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1)을 각각 부착하되 가이드레일(111)의 좌우 가이드레일(111)의 마주보는 위치를 상호 대칭되게 차량의 내측으로 라운딩하여 만곡부(112)를 형성시킨다.
또한 좌우 가이드레일(111)의 상측에는 수평으로 가이드봉(113)을 각각 설치하되, 가이드봉(113)에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으로 좌우로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되게 하는 가이드구(114)를 결합하고 각각의 가이드구(114)의 하측에 스윙아암(115)의 일측을 결합하며 스윙아암(115)의 타측을 도어(100)의 상부브래킷(102)에 각각 결합시킨다.
여기서, 스윙아암(114)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11)의 내측에 삽입되는 슬라이드구(111)를 결합한다.
또한, 어퍼레일어셈블리(110)에는 외향 측에 도어(100)의 스트립러버(101)와 대응되는 몰드(116)를 형성한다.
상기 언더레일어셈블리(120)는 차체의 도어(100) 결합부분 하측에 가이드레일(121)을 좌우 각각 부착하고 가이드레일(121)의 마주보는 위치를 상호 대칭되게 차량의 내측으로 라운딩하여 만곡부(122)를 형성시키되,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121)은 좌우측에 각각 연접하여 2개씩 설치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레일(121)에는 로울러브래킷(124)에 부착된 로울러(123)를 삽입하고 로울러브래킷(124)을 도어(100)의 하부 좌우에 부착된 하부브래킷(103)에 결합시킨다.
한편 언더레일어셈블리(120)에는 외향 측에 도어(100)의 스트립러버(101)와 대응되는 홀더(125)를 형성한다.
상기 록킹부(140)는 도어의 외향측 각각에 록킹핀(141)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여기서 록킹핀(141)은 차량의 내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결합시킨다.
상기 록킹장치(130)는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록킹부(140)와 대응되는 차체의 인너패널과 아우터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실린더(131)를 설치하며실린더(131)의 로드(132)에 핀 결합된 록킹구(133)를 결합하여 로드(132)의 직진 운동시 록킹구(133)가 회전 또는 역회전되게 한다.
또한 록킹구(133)에는 회전하여 록킹핀(141)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록킹홈(134)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동차의 도어(100)를 닫는 경우에는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가이드구(114)가 가이드봉(113)에 가이드되어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구(114)와 스윙아암(115)을 통하여 슬라이드구(117)도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스윙아암(115)과 상부브래킷(102) 결합된 도어(100)도 연동하여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00)의 하부브래킷(103)에 결합된 로울러브래킷(124)의 로울러(123)도 가이드레일(121)에 가이드되면서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동차의 도어(100)가 출입구의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드구(117)와 로울러(123)가 각각의 가이드레일(111,121)에 차량의 내측으로 라운딩시킨 만곡부(112,122)를 지나게 되므로 차량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도어의 수평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도어(100)가 출입구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차단하게 된다.
도어(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록킹장치(130)의 실린더(131)를 동작시켜 로드(132)가 직진시킨다.
따라서, 로드(132)의 단부에 결합된 록킹구(133)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록킹구(133)에 형성된 록킹홈(134)이 도어(100)의 록킹핀(141)에 끼워지게 됨과 동시에 록킹핀(141)을 잡아당겨 도어(100)가 출입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실내 측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어(100)의 스트립러버(101)가 도어(100)의 실내측 이동으로 인한 압력에 의하여 출입구의 테두리부분에 설치된 몰딩(116)과 홀더(125)에 밀착되어 완전하게 밀폐시키므로 외부로부터의 소음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도어(10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록킹구(133)를 역회전시켜 록킹핀(141)광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가이드구(114)를 역동작 시켜 다시 외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드구(117)와 로울러(123)가 가이드레일(111,121)의 만곡부(112,121)에 가이드되어 가이드구(114)의 수평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도어가 상기의 역순으로 출입구의 바깥쪽으로 이동한 다음 가이드레일을 따라 차체의 아우터패널 바깥면에 거의 근접하여 좌우 확개된다.
따라서 전동차 외면과 플랫홈 사이로 이동하여 도어(100)가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는 차체에 설치하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원의 수평운동을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어퍼레일어셈블리(110)와, 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설치하여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언더레일어셈블리(120)와, 상기 도어(100)의 외측에 설치하는 록킹부(140)와, 상기 록킹부(140)와 대응되게 설치하여 도어(100)를 차체에 밀착시켜 밀폐되게 하는 록킹장치(130)로 구성하므로 전동차의 도어를 정확하고 완전하게 밀폐시켜 외부로부터의 소음 침입량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슬라이딩 도어를 이용하여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를 제작하므로 코스트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도어와 근접된 플랫홈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차체의 출입구에 좌우 한 쌍을 설치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출입구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어퍼레일어셈블리(110)와,
    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설치하여 동력원의 수평운동을 회전/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언더레일어셈블리(120)와,
    상기 도어(100)의 외향 측에 설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140)와,
    상기 록킹부(140)와 대응되게 설치하여 도어(100)를 차체에 밀착시켜 밀폐되게 하는 록킹장치(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는 상부에 내측 모서리 부분에 상부브래킷(102)을 결합하고 하부의 좌우측에 하부브래킷(103)을 각각 결합하며 상, 하, 좌, 우에 스트립러버(101)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레일어셈블리(110)는 차체의 출입구 상측 도어(100) 결합부분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111)을 각각 부착하고 가이드레일(111)의 좌우 가이드레일(111)의 마주보는 위치를 상호 대칭되게 차량의 내측으로 라운딩하여 만곡부(112)를 형성시키며 좌우 가이드레일(111)의 상측에 수평으로 가이드봉(113)을 각각 설치하고, 가이드봉(113)에는 동력원의 제어로 좌우로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되게 하는 가이드구(114)를 결합하고 각각의 가이드구(114)의 하측에 스윙아암(115)의 일측을 결합하며 스윙아암(115)의 타측을 도어(100)의 상부브래킷(102)에 각각 결합시킨되 스윙아암(115)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11)의 내측에 삽입되는 슬라이드구(111)를 결합하고 어퍼레일어셈블리(110)의 외향 측에 도어(100)의 스트립러버(101)와 대응되는 몰드(11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레일어셈블리(120)는 차체의 도어(100) 결합부분 하측에 가이드레일(121)을 좌우 각각 부착하고 가이드레일(121)의 마주보는 위치를 상호 대칭되게 차량의 내측으로 라운딩하여 만곡부(122)를 형성시키며 가이드레일(121)에 로울러브래킷(124)에 부착된 로울러(123)를 삽입하고 로울러브래킷(124)을 도어(100)의하부 좌우에 부착된 하부브래킷(103)에 결합시키되, 언더레일어셈블리(120)에는 외향 측에 도어(100)의 스트립러버(101)와 대응되는 홀더(125)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40)는 도어의 외향측 각각에 록킹핀(141)을 돌출시키되 록킹핀(141)을 차량의 내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130)는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록킹부(140)와 대응되는 차체의 인너패널과 아우터패널 사이에 수직으로 실린더(131)를 설치하며 실린더(131)의 로드(132)에 핀 결합된 록킹구(133)를 결합하여 로드(132)의 직진 운동시 록킹구(133)가 회전 또는 역회전되게 하되, 록킹구(133)에는 회전하여 록킹핀(141)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록킹홈(134)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KR1019990028522A 1999-07-14 1999-07-14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KR10033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22A KR100332344B1 (ko) 1999-07-14 1999-07-14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22A KR100332344B1 (ko) 1999-07-14 1999-07-14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08A KR20010009908A (ko) 2001-02-05
KR100332344B1 true KR100332344B1 (ko) 2002-04-12

Family

ID=1960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522A KR100332344B1 (ko) 1999-07-14 1999-07-14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62B1 (ko) 2012-02-03 2014-01-17 한국산업은행 플러그 아웃 도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277A (ko) * 2001-06-29 2001-08-22 김우영 도어의 푸쉬풀장치
KR101113170B1 (ko) * 2011-07-29 2012-02-15 흥일기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출입문 잠금장치
JP6205944B2 (ja) * 2013-07-25 2017-10-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アウトスライド扉のシール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62B1 (ko) 2012-02-03 2014-01-17 한국산업은행 플러그 아웃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908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8574B1 (en) Sliding window apparatus
JP5660548B2 (ja) 水平密着窓戸
KR20100001473A (ko)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
KR100970687B1 (ko) 문짝과 고정 보더 사이에 제어 가능한 밀봉 요소를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
KR101417297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0332344B1 (ko)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CA2680754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20210152622A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사이드실 가림 구조
EE200200503A (et) Lengi suhtes liikuva aknatiivaga akna või ukse sulusesõlm ning avatava aknatiiva ja paigalseisva lengiga aken või uks
KR101467244B1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20090039426A (ko) 건축용 창호
JPS61183588A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に於けるストライカ構造
KR101030190B1 (ko) 시스템 창호 잠금장치
JPH0236877Y2 (ko)
KR100385305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JP3816456B2 (ja) 防水扉装置
JPH0712605Y2 (ja) 引戸の開閉構造
KR200156293Y1 (ko) 차량용 도어의 개폐구조
JPH10942A (ja) ドアガラスのガイド装置
KR101580308B1 (ko)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 창문
JPH0512460Y2 (ko)
KR20210105229A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19980044667U (ko) 슬라이드식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JP3109103B2 (ja)
KR20220033595A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레일의 가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