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280B1 - 아스파탐의결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아스파탐의결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280B1
KR100294280B1 KR1019930015085A KR930015085A KR100294280B1 KR 100294280 B1 KR100294280 B1 KR 100294280B1 KR 1019930015085 A KR1019930015085 A KR 1019930015085A KR 930015085 A KR930015085 A KR 930015085A KR 100294280 B1 KR100294280 B1 KR 10029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artame
solution
correction
forced convec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552A (ko
Inventor
마리누스페트루스빌헬무스마리아리예케르스
알렉산더피터마리에브린젠
Original Assignee
비그만 피.
홀란드 스위트너 캄파니 브이. 오. 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그만 피., 홀란드 스위트너 캄파니 브이. 오. 에프. filed Critical 비그만 피.
Publication of KR94000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0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acidic
    • C07K5/06113Asp- or Asn-amino acid
    • C07K5/06121Asp- or Asn-amino acid the second amino acid being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07K5/0613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Seasoning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미만의 pH를 갖는 아스파탐수용액을 염기로 중성화시키고 강제 대류로 균질화시키는 아스파탐의 결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득된 용액이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3초과의 pH를 가지며 적어도 결정화가 시각적으로 지각되기 시작할때부터는 상기 용액을 더이상 기계적으로 교반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용액을 증성화 및 균질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아스파탐의 결정화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pH 0.5-3의 아스파탐 수용액을 염기로 중화시키고 강제대류에 의하여 상기 용액을 균질화시킴으로써 아스파탐을 결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파탐은 냉음료와 같은 저칼로리 제품에 널리 쓰이는 감미료이다. 대개 아스파탐은 제조후 물 또는 소망한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20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물로부터 결정화된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아스파탐의 제조 방법에서, 우선 첫째로 아스파탐. 염산염으로서 결정화된다. 그후 산용액을 중화시키고, 적당하다면, 예를들면 US-A-4,618,695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이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염을 재결정화시킨다. 상기는 예를들면 US-A-4,778,916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현탁액내에서 수행되거나, 예를 들면 US-A-4,677,222호 및 US-A-4,656,304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상승된 온도에서 균질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교반하면서 중화시키고 냉각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중화는 예를들면 EP-A-187,530호 및 US-A-4,918,216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상기 용액에 알칼리를 적가함으로써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아스파탐은 물에서 비교적 낮은 용해도를 가지므로 용액 1리터당 결정화 수율은 비교적 낮다. 예를들어 40g의 아스파탐을 결정화하기 위해서는 아스파탐을 4.8중량% 함유하는 수용액 1리터를 60℃에서 5℃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과정에서 비교적 다량의 물이 냉각된다면 아스파탐은 교반 결정기내에서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교반 냉각 결정기는 열이 비교적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스파탐을 교반 결정화하는 것은 형성된 결정이 비교적 높은 케이크 비저항성(specific cake resistance)을 가지게 된다는 불리점이 있다. 상기는 결정화후에 아스파탐 슬러리가 통상 조금 힘들게 여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EP-A-091,787호는 정적 조건(교반없음)하에서 냉각에 의하여 아스파탐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큰 결정은 교반 결정화에 의해서라기보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그러나, 교반시키지 않은 용액내에서 냉각효율은 비교적 낮으므로, 비교적 큰 열 교환 표면적이 필요하고, 결정화시키는데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케이크 비저항성을 갖는 비교적 큰 결정이 수득되고, 정적 조건 하에서 시간이 소비되는 냉각 단계가 필요없는 아스파탐의 결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수득된 상기 아스파탐 용액이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pH 3-8을 가지며, 상기 용액의 결정화가 가시적으로 지각되기전 1초이상동안은 더 이상의 기계적 교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산성의 아스파탐 용액을 중화하고 균질화시켜서 수행된다. 상기 문맥에서 기계적 교반이란 상기 시스템이 교반기, 펌프등의 기계적 장치에 의한 강제 대류에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계적 장치가 정지되자 마자 본 특허출원의 의미로서의 강제대류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용액의 pH는 pH 측정장치형 Knick Portamess 752를 사용하여 각 온도에서 측정된 특정 용액의 pH를 의미하며, 여기에서 실제의 pH값은 20℃의 표준온도의 pH값에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온도에서 측정된 것이다. 본 특허출원에서 온도수치는 항상 pH가 언급될 때 사용된다.
중화전 용액의 pH는 3미만 그러나 통상 0.5이상, 바람직하게는 1이상이고, 특히 1.5이상이다. 지나치게 낮은 pH는 아스파탐의 분해를 촉진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pH가 대략 2.3일때 최적 용해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pH는 2.9미만, 특히 2.5미만이 바람직하다. 상기 pH는 아스파탐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너무 높은 pH에서는 아스파탐의 용해도가 너무 낮아질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게도)결정화가 미리 발생할수 있다.
pH <3으로 만들기에 매우 적합한 산은 염산, 황산, 인산 또는 질산이다. 염산또는 황산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염산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산의 농도는 중요하지는 않지만, 경제적 이유에서 1N이상이 된다. 통상 포화용액 또는 5내지 12N의 용액이 선택된다. 그러나, 산성화될 용액으로 HCl기체를 통과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아스파탐의 염, 예를들면 HC1염, 황산염 또는 인산염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정화 전 용액내 아스파탐의 양은 통상 1.5 내지 2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내 아스파탐의 양은 3중량%이상이다. 아스파탐의 중량%란 유리 아스파탐으로서 측정된 아스파탐의 양을 의미한다. 아스파탐염 또는 산성 매질내 아스파탐의 용해도는 중화된 아스파탐의 용해도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므로, 당 분야의 기술자는 중화 전에 용액내에서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는 농도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도는 중화후에 과포화 1중량%이상, 특히 1.5중량%이상이 선택되지만, 통상 과포화 15중량%미만, 바람직하게는 8중량%미만이 되도록 선택된다. 여기에서 과포화는 아스파탐의 중량%내 절대 과포화도로서 표현된다. 과도하게 높은 과포화는 덜 양호한 이과성질을 갖는 작은 결정을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과포화는 부피단위당 비교적 높은 수율을 얻는데 중요한 공헌을 한다.
수용액은 예를들면 에탄을 또는 메탄올 등과 같이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콜을 소량, 즉 25중량%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다.
0.5-3의 pH를 갖는 아스파탐 용액은 이후 염기에 의해서 pH가 3-8까지 올려진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의 양은 pH가 4초과 8미만이 되도록 첨가된다. 상세하게는 염기의 양은 pH가 4 내지 7, 더욱 상세하게는 4 내지 6이 되도록 첨가된다.
사용된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수용액, 상세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또는 수산화암모늄 또는 탄산암모늄 이다. 통상, 0.1N이상의 용액, 바람직하게는 0.2N이상의 용액이 사용될 것이다. 당분야의 기술자가 대략 동일한 부피의 2가지 스트림을 혼합하려고 한다면 알칼리 수용액내 염기의 낮은 농도가 유리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에서, 더 적은 액체가 여과되고 더높은 수율이 수득되도록 1N이상의 용액 또는 염기의 포화 용액이 종종 사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 암모늄 수용액이 사용된다. 그러나 매우 미세하게 분리된 상태에서 NaOH와 같이 매우 쉽게 용해되는 염기를 중화될 아스파탐 용액과 혼합시킴으로써 고체로서의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높은 pH에서 디케토피페라진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분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러한 경우 균질화를 가능한 빨리 수행시켜야 한다. 염기로서 기체상의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중화되는 아스파탐 용액에 염기가 매우 짧은 시간에 첨가된다. 상기 염기를 아스파탐용액과 재빨리 혼합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강제대류는 짧은 시간이 걸리며, 용액이 더 이상 강제대류에 노출되지 않는 순간과 결정화를 시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순간 사이에는 적어도 1초의 간격이 있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초,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초이다.
본 특허 출원의 범위내에서 균질화 방법이란 강제 대류를 일으키는 장치가 결정화가 시작되기 적어도 1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초전에 정지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더 이상 강제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용액이 처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후자의 경우는 특별히 연속 결정화 예를 들면 파이프를 통한 플러그 유동 결정화 과정에서 사용된다. 통상 기계장치를 정지시킨 후 상기 용액이 완전히 정지되기전 얼마간 대류가 여전히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꼭 필요한 것도 아니므로 상기를 강제 대류로 고려하지 않는다.
결정화가 시각적으로 지각되기 시작하는 순간은 많은 요인들, 그 중에서도 과포화정도 및 용액의 온도에 달려 있다. 예를들면 4중량%의 과포화에서는 2중량%의 과포화에서 보다 혼합에 이용되는 시간이 더 적다.
결정화의 시작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이 수행될 수 있는 유리용기내에서 시각적으로 쉽게 측정된다. 빛-분산과 같은 기법, 예를들면 레이저를 사용하여 결정화의 시작을 측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개시 시간은 염기의 총량을 첨가할 때부터 첫번째 결정화가 시각적으로 지각가능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개시시간은 예상치 못하게 길고 과포화정도를 나타낸다. 용액내에 기타 성분, 예를들어 불순물 또는 염과 같은 첨가제의 존재가 개시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시시간은 온도 및 과포화정도의 선택을 통해서 선택되어 적어도 10초가 된다. 따라서 산성의 아스파탐 용액을 중화하고 균질화하는 것이 특별히 쉽게 가능하여, 이후 강제 대류없이도 상기 용액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소망의 경우, 특별히 더 높은 온도의 아스파탐 용액을 선택함에 의해서 더 긴개시 시간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60℃에서 3중량%의 과포화 아스파탐용액내에서 결정화의 시작은 60-120초 후에야 시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다.
아스파탐용액을 염기와 혼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될 액체 스트림이 주입되는 정적혼합기 내에서 일어난다. 두가지 액체(또는 하나의 액체와 하나의 고체 또는 액체내로 재빨리 용해될 기체)를 재빨리 혼합하기 위해서 당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타의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연속적인 방법 또는 불연속적인 방법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중화를 위해 강제 대류에 의해 아스파탐용액의 균질화는 결정화가 시작되기 전에(120초 미만은 시작을 지각할 수 없다) 완성시켜야 한다는 것이 특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균질화는 10초 미만은, 더욱 상세하게는 5초 미만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직후, 중화된 아스파탐용액은 용기내로, 소망한다면, 상기 용액의 대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가능한 빨리 배플을 갖춘 용기내로 흐르게 되고, 아스파탐이 정적조건하에서 상기 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주어진 온도에서 결정화가 매우 빠르게 실질적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결정화될 용액이 매우 낮은 속도로 주입될 관형용기내에서 연속적으로 결정화를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아스파탐.HCl염이 수득되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US-A-4,618,695호, US-A-4,778,916호, US-A-4,677,222호 및 EP-A-187,530호 참조). 본 발명에 따른、방법은 매우 순수한 아스파탐을 제공하는 염 및 즉시 여과될 슬러리를 재빨리 결정화하는데 매우 적당하다.
그러나, 예를들면 US-A-3,786,039호 또는 US-A-4,282,72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호기를 함유하는 전구체로부터 중성 화합물로서 아스파탐을 제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방법이 사용된 후, 이와같은 방식으로 수득된 아스파탐에 있어서, pH 0.5-3으로 산성화 시킨 후 수득된 용액이 용액으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방법은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에서 1.5중량%이상의 아스파탐 및 바람직하게는 3중량%이상의 아스파탐을 함유하는 중성의 아스파탐 용액을 50℃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온도, 특별하게는 55℃ 내지 70℃의 온도에서 산에 의하여 pH를 0.5-3으로 만든후, 상기 용액을 강제 대류 조건하에서 적어도 10℃로 냉각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농도, 온도 및 pH는 아스파탐이 결정화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액은 적어도 30℃, 특별히 대략 40℃에서 냉각된다. 그러나, 아스파탐의 농도가 높을 때는 더 짧은 냉각범위, 예를들면 20℃를 사용해도 충분할 수 있다. 중성용액내에서 산성화시키는 첫번째 바람직한 구체적실시와 유사하게도, 아스파탐을 이미 산성화된 물, 바람직하게는 따뜻한 물에서 용해시키는 것이 물론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다량의 불순물을 여전히 함유하는 결정 아스파탐으로부터 매우 유리한 방식으로 매우 고순도의 결정 아스파탐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강제 대류하에서 염기를 사용하여 상기 냉각된 용액의 pH를 3-8로 올린다. 그후, 결정화가 시작되기 전에 강제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정지시키고, 정적 조건하에서 아스파탐을 결정화한다.
따뜻한 용액은 그 자체로서 공지된 방식에 따라 냉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관통-유동 열 교환기가 사용된다.
냉각된 산성용액내의 온도는 통상 40℃미만이지만 또한 높은 온도 및 농도를 갖는 산성 용액에서 출발할 때는 더 높아져서 70℃까지 될 수 있다. 상기 용액을 5℃까지 더 냉각시키는 것은 경제적으로 이롭지 못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액은 5-35℃로 냉각된다. 낮은 온도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높은 온도는 결정화가 시작될 때까지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상밖에도, 더 높은 온도에서 매우 양호한 여과성질을 갖는 결정이 더 높은 과포화에서 수득될 수 있음이 또한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적실시에서 아스파탐.HC1염이 용해된다. 이러한 용액은 대략 1.5-1.8의 pH를 갖는다. 소망한다면, 상기 용액은 1 내지 3의 다른 pH로 만들 수 있다.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아스파탐염을 용해한 후 (용해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산성용액을 냉각시키는 것(결정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이 유리할 수 있다.
통상 2분 내지 2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30분동안 지속되는 결정화 후에, 수득된 물질은 (소망한다면 수득될 수 있는 유사 고체상을 기계적으로 분리시킨 후에) 액체-고체분리기, 예를들어 여과기 윈심분리기 또는 벨트 여과기내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강제 대류하 결정기내에서 상기 물질을 추가적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아스파탐용액이 15℃이상의 온도, 특별히 25-40℃에서 중화된다면 상기와 같이 하는 것이 특별히 유리하다. (만약 사용된다면) 상기 마지막 교반 결정화 단계의 도중에 수성의 결정물질이 25℃미만, 바람직하게는 20℃미만 및 특별하게는 5-15℃의 온도로 냉각된다.
결정화가 끝난 후, 이미 언급된 것처럼 결정이 예를들면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물에서부터 분리된다. 그후 생성된 습윤 결정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차가운 탈염수로 세척된다. 여과 및 세척후 수득된 물질은 통상 25-50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아스파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후 상기 습윤 아스파탐 케이크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에 따라 추가적으로 건조되어 습윤함량이 1-6중량%가 된다.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 잘 설명될 것이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케이크 비저항성R(m/kg)및 수득된 슬러리의 특징적인 입자 크기(㎛)가 제공된다.
여과 시험은 19.64㎠의 표면적을 갖는 여과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여과액이 용기내에 모이면 기록장치를 사용하여 그 중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슬러리여과액에 있어서 압력차이는 슬러리에 조절된 과압을 부가함으로써 얻어진다.
케이크 비저항성은 하기 식(I)로부터 계산된다.
t=여과시간(s)
V=여과액부피(㎥)
R=케이크 비저항성(m/kg)
η=여과액의 동적 점성도(Pa.s)
△P=여과기와 여과기 케이크 사이의 압력차이(Pa)
C=수득된 여과액의 단위부피당 침전된 결정의 중량(kg/㎥)
Rm=여고기 저항성(l/m)
A=여과기 표면적(㎥)
고유 직경 Dch는 하기식(Ⅱ)로 부터 계산된다.
상기 부호들은 상기에 언급된 의미를 갖는다; △P는 105Pa이다.
아스파탐의 교반 결정화는 케이크 비저항성 (R)을 6·1010m/kg이상으로, 고유 직경(Dch)을 대략 3㎛로 되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R 값이 5·108- 4·1010m/kg, Dch값이 4-20㎛가 빠른 결정화에 의하여 매우 유리하게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케이크 비저항성이 1·1010m/kg미만, 특별히 1·108-8·109m/kg이 되는 아스파탐 슬러리를 수득할 수있는 방식 (당 분야의 기술자가 본 특허출원의 도움으로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고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이상, 특별히 7 내지 25㎛이다.
[실시예 Ⅰ-Ⅶ)
교반기와 배플이 장치된 유리용기 1.751내에서 60℃의 물 11와 아스파탐으로 3.9중량%의 아스파탐용액이 제조된다. 각 실시예에서, 37중량% HCl용액의 측정 량은 항상 11의 용액내로 계량되어 표 1에 명시된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불포화 용액이 수득된다.
그후, 산성 아스파탐 용액을 양호하게 교반(300rpm)하여 37중량%의 NaOH용액의 측정량으로 시간마다 중화시킨다. 상기 용액을 5초동안(이론적으로 요구되는 혼합시간은 3초)교반시키고, 그후 교반기를 정지시킨다. 1 내지 10초가 지난후, 결정화의 시작이 시각적으로 지각된다. 15분후, 300rpm의 교반속도로 15분동안 교반함으로써 슬러리가 평형화된다. 그후, 수득된 슬러리의 여과 특성을 측정한다.
그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1 : 100%농도 물질의 g으로 표현되는 양
2 : 아스파탐 중량%내 절대 과포화
3 : 케이크 비저항성
4 : 고유 직경
[비교실험 A 및 실시예 Ⅷ-XⅢ]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 I-Ⅶ와 유사하게 실험을 수행한다. 비교실험 A에서 교반기는 정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는 0.5시간동안 작동을 계속한다.
실시예 Ⅷ에서 상기 교반기는 2초후 정지된다. 혼합시간이 3초라 해도, 상기 용액은 양호한 결과를 수득하기에 충분히 균질한 것처럼 보인다.
실시예 XI에서, 30℃에서 수득된 슬러리를 강제 대류하에 추가적으로 냉각시킨다. 하기의 표는 여과하기 매우 용이한 최후에 수득된 슬러리의 여과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시험은 양호한 여과 특성을 갖는 슬러리가 더 높은 온도 (25℃초과)에서 결정화에 의해 쉽게 수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2]
1 : 상기 실시예에서, 30℃에서 수득된 슬러리를 추가적으로 결정화가 일어나는 동안 교반하면서 10℃까지 추가적으로 냉각시킨다. 추가의 냉각 후 R 및 Dch를 측정한다.
2 : 실시예 XⅡ 및 XⅢ는 60℃에서 표에 나타난 양의 HCl을 이미 함유하는 물내에 아스파탐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 8% 아스파탐용액으로부터 출발한다.

Claims (21)

  1. (정정) pH 0.5-3을 갖는 아스파탐 수용액을 염기로 중화시키고, 상기 용액을 강제 대류로 균질화시킴에 의해서 아스파탐을 결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득되는 용액이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pH 3-8을 갖도록 아스파탐 용액이 중화 및 균질화되고, 상기 아스파탐 용액은 결정화가 시각적으로 지각되기 전에 1초이상 동안은 강제 대류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파탐의 결정화 방법.
  2. (정정) 제 1 항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 용액내 아스파탐의 양이 1.5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정정)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 용액내 아스파탐의 양은 중화후에 아스파탐이 1-15중량%의 절대과포화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정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의 양은 중화후에 아스파탐이 1-8중량%의 과포화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pH 0.5-3을 갖는 아스파탐 용액이 알칼리 수용액으로 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알칼리용액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 용액이 결정화가 시각적으로 지각되기 전에 3초 이상 동안은 강제 대류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pH 0.5-3을 갖는 아스파탐 수용액이 5 내지 80℃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1.5 내지 20 중량%의 아스파탐 용액이 수득되도록 아스파탐을 50℃-80℃ 온도의 물에 용해시킴에 의해서 pH 0.5-3을 갖는 아스파탐 수용액이 제조되고, 이때 물은 아스파탐이 용해되기 전, 도중 또는 후에 산으로 pH를 0.5-3으로 하고, 이후 상기 아스파탐 용액을 강제대류 조건하에서 적어도 10℃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정정) 제 9 항에 있어서,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중성 아스파탐 용액의 pH가 0.5-3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정정)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 용액을 5-7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정정)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 용액을 5-35℃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정정)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파탐 용액이 관통-유동 열교환기내에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정정)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아스파탐 용액을 HCl 또는 황산 수용액으로 pH를 0.5-3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pH O.5-3을 갖는 아스파탐 수용액은 아스파탐.HCl염을 용해시키고, pH를 1 내지 3의 다른 값으로 만듬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정정) 제 15 항에 있어서, pH 0.5-3을 갖는 아스파탐 수용액이 20-70℃의 온도의 물에 아스파탐.HCl염을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을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강제 대류에 의한 균질화를 10초 미만으로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정정)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균질화를 5초 미만으로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아스파탐이 강제대류없는 2분 내지 2시간동안 중화 및 균질화된 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정정) 제 19 항에 있어서, 수득된 물질을 강제 대류하의 결정기내에서 추가적으로 냉각시킨 후 아스파탐이 15℃-40℃의 온도에서 중화 및 균질화된 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수득된 결정이 모액으로부터 분리되고, 세척된 후 수분함량이 1 내지 6%가 될때까지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30015085A 1992-08-05 1993-08-04 아스파탐의결정화방법 KR100294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201408 1992-05-05
NL9201408A NL9201408A (nl) 1992-08-05 1992-08-05 Werkwijze voor het kristalliseren van asparta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552A KR940005552A (ko) 1994-03-21
KR100294280B1 true KR100294280B1 (ko) 2001-09-17

Family

ID=1986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085A KR100294280B1 (ko) 1992-08-05 1993-08-04 아스파탐의결정화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02238A (ko)
EP (1) EP0582351B1 (ko)
KR (1) KR100294280B1 (ko)
CN (1) CN1041205C (ko)
AT (1) ATE175208T1 (ko)
DE (1) DE69322820T2 (ko)
MX (1) MX9304719A (ko)
NL (1) NL9201408A (ko)
RU (1) RU2112771C1 (ko)
TW (1) TW3216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8907A0 (en) * 1994-03-09 1994-06-24 Yissum Res Dev Co Aspartam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0733641A1 (en) * 1995-03-20 1996-09-25 Holland Sweetener Company V.O.F. Method for crystallizing alpha-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CA2172022A1 (en) * 1995-03-20 1996-09-21 Tsugio Murakami Method for crystallizing alpha-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BR9911678A (pt) * 1998-06-30 2001-03-20 Novo Nordisk As Cristais de semeadura para a preparação de peptìdeos ou preteìnas.
RU2205188C2 (ru) 1998-06-30 2003-05-27 Ново Нордиск А/С Затравочные кристаллы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ептидов или протеинов
KR20000009984A (ko) * 1998-07-29 2000-02-15 고두모 알파-엘-아스파틸-엘-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결정화 방법
US6423864B1 (en) * 1998-11-25 2002-07-23 The Nutrasweet Company Purification of N-[N-(3,3-dimethylbutyl)-L-α-aspartyl]-L-phenylalanine 1-methyl ester via crystallization
US6281380B1 (en) * 2000-05-18 2001-08-28 The Nutra Sweet Company Synthesis of N-(N-(3,3-dimethylbutyl)-L-α-aspartyl)L-phenylalanine1-methyl ester by reductive alkylation and crystallization/ isolation in aqueous methanol
JP2003159026A (ja) * 2001-11-22 2003-06-03 Ajinomoto Co Inc 安定なアスパルテームスラリーの製造方法及び判定方法
CN107868117B (zh) * 2016-09-28 2021-04-23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司坦唑醇糖精盐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810577L (en) * 1983-05-31 1982-09-16 Prendergast Angela Apparatus for fermentation
JPS58177952A (ja) * 1982-04-12 1983-10-18 Ajinomoto Co Inc L−α−アスパルチル−L−フエ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の晶析法
GB2140805B (en) * 1983-05-31 1986-08-13 Erba Farmitalia Isolation of aspartame
JP2927070B2 (ja) * 1991-05-23 1999-07-28 味の素株式会社 α−L−アスパルチル−L−フェ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970107B2 (ja) * 1991-05-23 1999-11-02 味の素株式会社 α−L−アスパルチル−L−フェ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75208T1 (de) 1999-01-15
EP0582351B1 (en) 1998-12-30
MX9304719A (es) 1994-05-31
DE69322820T2 (de) 1999-08-19
DE69322820D1 (de) 1999-02-11
US5502238A (en) 1996-03-26
RU2112771C1 (ru) 1998-06-10
CN1092429A (zh) 1994-09-21
TW321631B (ko) 1997-12-01
CN1041205C (zh) 1998-12-16
EP0582351A1 (en) 1994-02-09
NL9201408A (nl) 1994-03-01
KR940005552A (ko) 199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280B1 (ko) 아스파탐의결정화방법
JP2875894B2 (ja) イブプロフェンリシネートの生成及び分割
EP1034826A1 (en) Co-crystallization process
US3405159A (en) Process for resolving racemic mixtures of optically-active enantiomorphs
JP2970107B2 (ja) α−L−アスパルチル−L−フェ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5843863A (en) Process for improving flow characteristics of crystalline ibuprofen
BRPI0719083B1 (pt) L-treonine recovery method from l-treonine production microorganism fermentation calf, l-treonine crystalline and food additive
EP0654291B1 (en) Method of crystallizing organic chemicals
CA2068279C (en) Method of crystallizing aspartame
US4894462A (en) Preparation of spheroidal 3-nitro-1,2, 4-triazole-5-one
US403541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alic acid crystals
JP2927070B2 (ja) α−L−アスパルチル−L−フェ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2671118A (en) Crystallization of trimethylol ethane
JP3612747B2 (ja) フェニルアラニン無水物結晶の晶析方法
EP0399605A1 (en) Method for crystallizing alpha-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JP2610638B2 (ja) 単結晶の製造方法
JPH02243636A (ja) ラセミ体混合物からl―異性体の単離方法
KR100342148B1 (ko) 6-클로로-α-메틸-카르바졸-2-아세트산의 카르바졸 에스테르 전구체의 정제 방법
JPH0834795A (ja) アスパルテームの晶析方法
JP3678431B2 (ja) マルチトールスラリーの連続的製造方法
US4897506A (en) Isolation of alpha-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from aqueous medium
JP2841895B2 (ja) 圧力晶析法による光学異性体の単離方法
US2018354A (en) Method of purifying and decolorizing cinchophen
KR20000009982A (ko) 단계적 감압에 의한 알파-엘-아스파틸-엘-페닐알라닌메틸에스테르의 결정화 방법
US3419608A (en) Spherulitic crystal aggregate of monosodium glutamates monohydra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