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802B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802B1
KR100293802B1 KR1019990005707A KR19990005707A KR100293802B1 KR 100293802 B1 KR100293802 B1 KR 100293802B1 KR 1019990005707 A KR1019990005707 A KR 1019990005707A KR 19990005707 A KR19990005707 A KR 19990005707A KR 100293802 B1 KR100293802 B1 KR 10029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remaining time
furnace
cook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704A (ko
Inventor
다케우치히사토
모라구치세이지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1999008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과제) 부품값의 상승과 부품부착 스페이스의 확대를 억제함으로써 독립하여 작동가능한 2개의 조리용 타이머를 구비한 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 1 가열수단을 제 1 소정시간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타이머(80)와 제 2 가열수단을 제 2 소정시간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타이머(81)와,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82)과, 선택타이머 표시수단(67,68)과, 제 1 타이머(80)와 제 2 타이머(81)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제 1 타이머(80)의 잔여시간표시와 제 2 타이머(81)의 잔여시간표시 중 어느 일측을 선택하는 타이머표시 선택수단(53)과, 타이머표시 선택수단(53)에 의해서 선택된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69)에 표시시키고, 또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82)에 표시되어 있는 잔여시간이 제 1 타이머(80)와 제 2 타이머(81) 중 어느 것의 잔여시간인지를 선택타이머 표시수단(67,68)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2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소정시간 작동시킴으로써 조리물을 조리하는 타이머 조리기능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가스곤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작동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타이머의 작동중에 곤로버너를 연소시킴으로써 조리물을 가열하는 소위 타이머 조리기능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스곤로에 있어서는 타이머의 작동시간을 변경하는 스위치와, 타이머 조리기능에 의한 조리(이하, 타이머조리라고 한다)의 실행중 사용자에게 타이머조리의 잔여시간을 알리기 위해서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 곤로 이외에 그릴을 구비한 복합타입의 가스가열조리기에 있어서는, 1개의 타이머를 절환하여 곤로와 그릴 쌍방에 대하여 겸용시키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하면, 사용자는 곤로뿐만 아니라 그릴을 사용하여 조리를 할 때에도 상기한 타이머조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1 개의 타이머를 곤로와 그릴에 겸용할 때에는, 타이머의 작동시간을 변경하는 스위치와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도 각각 1개씩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1개의 타이머를 곤로와 그릴에 겸용시킬 경우 당연한 일이겠지만, 곤로와 그릴을 동시에 사용할 때는 어느 일측에 대해서만 상기한 타이머조리를 할 수 있다는 불편이 있다.
여기서, 곤로와 그릴의 각각에 대해서 전용 타이머를 설치하여, 곤로에 대한 타이머조리와 그릴에 대한 타이머조리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곤로와 그릴에 전용 타이머를 설치할 경우, 타이머자체를 별개로 설치하는 것 외에 각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변경하는 스위치와 각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도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열조리기의 부품값이 상승함과 아울러 스위치와 표시부를 부착하는 스페이스도 넓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여 부품값의 상승과 부품부착 스페이스의 확대를 억제함으로써, 독립하여 작동가능한 2개의 조리용 타이머를 구비한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인 가스테이블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스테이블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스테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패널의 외관도
도 4는 타이머조리의 제어블록도
도 5는 그릴에 의한 타이머조리의 플로차트
도 6은 그릴에 의한 타이머조리의 플로차트
도 7은 우측곤로에 의한 타이머조리의 플로차트
도 8은 우측곤로에 의한 타이머조리의 플로차트
도 9는 우측곤로에 의한 타이머조리의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테이블2 - 좌측곤로
3 - 우측곤로4 - 그릴
5 - 콘트롤러6 - 개폐문
7 - 배기구8,10,12 - 점화/소화버튼
9,11,13 - 화력조절레버14 - 조작패널
15 - 온도센서20 - 좌측곤로제어수단
21 - 우측곤로제어수단22 - 그릴제어수단
23 - 타이머제어수단24 - 표시제어수단
25 - 전지26 - 좌측곤로 전자밸브
27 - 이그나이터28,33,37 - 점화전극
30,35,39 - 열전대29 - 좌측곤로버너
31 - 우측곤로 전자밸브32 -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
34 - 우측곤로버너36 - 그릴 전자밸브
38 - 그릴버너80 - 곤로용 타이머
81 - 그릴용 타이머82 -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로 독립하여 작동가능한 제 1 가열수단을 제 1 소정시간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타이머와 제 2 가열수단을 제 2 소정시간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타이머와,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 중 어느 일측을 표시하는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과,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잔여시간이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 중 어느 것의 잔여시간인지를 표시하는 선택타이머 표시수단과,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표시와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표시 중 어느 일측을 선택하는 타이머표시 선택수단과, 상기 타이머표시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잔여시간이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 중 어느 것의 잔여시간인지를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고,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의 표시내용에 따라서 변경가능한 타이머가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 1 램프와 상기 제 2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 2 램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상기 제 2 램프를 소등하여 상기 제 1 램프를 점등하고,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상기 제 1 램프를 소등하여 상기 제 2 램프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램프와 상기 제 2 램프 중 어느 것이 점등되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이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 중 어느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램프를 점멸시키면서 상기 제 1 램프를 점등하고,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램프를 점멸시키면서 상기 제 2 램프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램프 또는 상기 제 2 램프의 점멸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은, 전지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전지에 의해 작동하는 표시수단에 표시시킬 경우,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별개로 설치하면 이들 표시수단에 의한 소비전력이 많아지므로 전지수명이 짧아진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1개의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절환표시하므로, 소비전력을 억제하여 전지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가열수단은 곤로이고 상기 제 2 가열수단은 그릴로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표시 선택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타이머가 선택되고나서 제 3 소정시간이 경과할 동안까지만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그 이외는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그릴은, 가열조리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릴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그릴내를 들여다봐야 한다. 한편, 곤로는, 가열조리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곤로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타이머 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타이머가 선택되고나서 상기 제 3 소정시간이 경과할 동안까지만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한다. 즉, 상기 타이머 선택수단이 조작되지 않는 한,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는 상기 그릴에 대응하는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에는,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인 것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의 표시를 확인함으로써, 그릴내를 들여다보는 일 없이 그릴이 작동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 1∼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인 가스테이블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스테이블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스테이블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패널의 외관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가스테이블에 있어서 타이머조리의 제어블록도, 도 5∼도 9는 타이머조리의 처리플로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인 가스테이블(1)은, 조리물의 가열수단으로서 상면에 좌측곤로(2)와 우측곤로(3)(본 발명의 제 1 가열수단에 해당)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그릴(4:본 발명의 제 2 가열수단에 해당)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스테이블(1)의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러(5)에 의해서 좌측곤로(2)와 우측곤로(3)와 그릴(4)의 작동이 제어된다. 또한, 그릴(4)에 대한 조리물의 출입은 가스테이블(1)의 정면에 설치되어 조리물이 놓여지는 그릴판(도시생략)과 일체로 되어 있는 개폐문(6)을 꺼냄으로써 이루어지며, 그릴(4)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배기구(7)로부터 배출된다.
또, 가스테이블(1)의 정면에는 좌측곤로(2)의 점화/소화버튼(8)과 화력조절레버(9), 우측곤로(3)의 점화/소화버튼(10)과 화력조절레버(11), 및 그릴(4)의 점화/소화버튼(12)과 화력조절레버(13)가 설치되어 있다.
점화/소화버튼(8,10,12)은 모두 하트 캠에 의한 푸시·푸시기구에 의해 작동한다. 즉, 점화/소화버튼(8,10,12)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가스테이블(1)의 내부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탄지되고 있고, 돌출위치(소화위치)에서 누르면 누름위치(점화위치)가 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을 해제하면 중간위치(연소위치)로 고정되며, 그 중간위치에서 다시 눌러서 상기 누름이 해제되면 원래의 돌출위치(소화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스테이블(1)의 정면에는 우측곤로(3) 및 그릴(4)에 대한 작동지시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패널(14)이 설치되어 있고, 또 우측곤로(3)에는 조리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콘트롤러(5)에 출력하는 온도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콘트롤러(5)는 CPU, ROM, RAM 등으로 구성된 전자유니트이고, 좌측곤로제어수단(20), 우측곤로제어수단(21), 그릴제어수단(22), 및 타이머제어수단(23)을 구비하고 있다.
콘트롤러(5)는, 전지(25)를 전원으로서 작동하여 점화/소화버튼(8,10,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누름위치(점화위치) 또는 상기 중간위치(연소위치)에 있을 때 ON되고, 점화/소화버튼(8,10,12) 모두가 상기 돌출위치(소화위치)에 있을 때에 OFF되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전지(25)로 접속된다.
따라서, 콘트롤러(5)는, 사용자가 점화/소화버튼(8,10,12)을 점화조작하였을 때 작동을 개시하고, 사용자가 점화/소화버튼(8,10,12)을 소화조작하였을 때 작동을 정지한다. 또한, 각 점화/소화버튼(8,10,12)의 각각에는 각 점화/소화버튼의 위치(돌출위치, 중간위치, 누름위치)에 따라서 개폐하는 위치검출스위치(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출력에 의해서 콘트롤로(5)는 각 점화/소화버튼(8,10,12)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그나이터(27)는, 점화/소화버튼(8,10,12) 중 어느 것이 상기 누름위치(점화위치)에 있을 때 좌측곤로 점화전극(28), 우측곤로 점화전극(33), 및 그릴 점화전극(37)에 고전압을 가하여 불꽃방전을 일으킨다.
좌측곤로제어수단(20)은 좌측곤로버너(29)의 연소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점화/소화버튼(8)을 점화조작(누름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좌측곤로 전자밸브(26)가 개방되고 좌측곤로버너(29)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이 개시된다. 좌측곤로제어수단(20)은,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출력으로부터 점화/소화버튼(8)이 점화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좌측곤로 전자밸브(26)에 통전하여 좌측곤로 전자밸브(26)를 개방유지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곤로 점화전극(28)에는 불꽃방전이 일어나므로 좌측곤로버너(29)에 점화처리가 이루어진다.
좌측곤로제어수단(20)은, 좌측곤로 열전대(30)의 출력으로부터 좌측곤로(29)에 점화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좌측곤로(26)로의 통전을 유지하여 좌측곤로버너(29)의 연소를 계속한다. 한편, 좌측곤로(29)에 점화된 것을 검출하지 않았을 때에는 좌측곤로제어수단(20)은, 좌측곤로 전자밸브(26)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좌측곤로 전자밸브(26)를 폐쇄하여 좌측곤로버너(29)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 좌측곤로제어수단(20)은, 좌측곤로버너(29)의 연소중에는 항상 좌측곤로 열전대(30)의 출력으로부터 좌측곤로버너(29)의 실화유무를 감시하고, 좌측곤로버너(29)의 실화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좌측곤로 전자밸브(26)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좌측곤로 전자밸브(26)를 폐쇄하여 좌측곤로버너(29)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한 좌측곤로제어수단(20)과 같이 점화/소화버튼(10)의 점화조작에 따라서 우측곤로버너(34)의 점화처리를 하고, 우측곤로 열전대(35)의 출력에 의해서 우측곤로버너(34)의 실화유무를 감시한다.
그릴제어수단(22)은 그릴버너(38)의 연소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한 좌측곤로제어수단(20)과 같이 점화/소화버튼(12)의 점화조작에 따라서 그릴버너(38)의 점화처리를 하고, 그릴 열전대(39)의 출력에 의해서 그릴버너(38)의 실화유무를 감시한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우측곤로제어수단(21)에 대하여 우측곤로버너(34)를 제 1 소정시간 연소시키는 타이머조리의 지시를 하고, 또 그릴제어수단(22)에 대하여 그릴버너(38)를 제 2 소정시간 연소시키는 타이머조리의 지시를 한다. 타이머 표시수단(23)에 구비된 표시제어수단(24)은, 조작패널(14)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패널(14)에 설치된 표시부의 표시내용을 변경한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조작패널(14)은 우측곤로(3)에 의한 조리모드를 선택지시하기 위한 튀김스위치(50), 취반스위치(51), 및 물끓임스위치(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우측곤로버너(34)의 점화처리후 사용자가 이들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우측곤로제어수단(21)에 의해서 이하의 각 조리모드에 따른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제어가 실행된다.
사용자가 튀김스위치(50)를 조작하면 튀김조리모드가 되고,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초기설정으로서 180℃를 튀김목표온도로 하여 상기 튀김목표온도에 따른 180℃ LED(56)를 점등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여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온도센서(15)에 의해서 검출된 조리물(A)의 온도가 튀김목표온도인 180℃ LED가 유지되도록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32)를 개폐하여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량을 조절하는 튀김조리제어를 실행한다.
이 튀김조리모드는 튀김조리등을 할 때 편리한 것으로, 예를 들면 기름속에 재료를 넣고서 기름온도가 내려갔을 때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32)를 개방하여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량을 증가시키고, 재료를 기름속에서 건져내고서 기름온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32)를 폐쇄하여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한다.
튀김조리모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튀김스위치(50)를 조작할 때마다 튀김목표온도가 180℃, 160℃, 200℃로 절환되고,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절환된 튐김목표온도에 대응하는 180℃ LED(56), 160℃ LED(57), 200℃ LED(58) 중 어느 것을 점등한다.
사용자가 취반스위치(51)를 조작하면 취반조리모드가 되고, 취반조리모드의 초기설정으로서 표준취반이 선택되어 표준취반 LED(59)가 점등한다. 취반조리모드에 있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온도센서(15)에 의해서 검출되는 조리물(A:이 경우는 쌀과 물)의 온도가 소정 취반제어시퀀스와 일치하도록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32)를 개폐제어하여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량을 조절하는 취반조리제어를 실행한다.
취반조리모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취반스위치(51)를 조작할 때마다 취반조리모드의 설정이 표준취반, 쌀 씻은후 바로 취반, 온수취반으로 순차적으로 절환된다.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절환된 취반조리모드의 설정에 대응하는 표준취반 LED(59), 쌀 씻은 후 바로 취반 LED(60), 온수 취반 LED(61) 중 어느 것을 점등한다.
사용자가 물끓임스위치(52)를 조작하면 물끓임조리모드가 되고, 물끓임조리모드의 초기설정으로서 물끓임시 소화설정이 선택되어 소화 LED(62)가 점등한다. 물끓임조리모드에 있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온도센서(15)의 검출온도로부터 조리물(A)의 비등을 검지할 때까지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계속하여 조리물(A)을 가열하고, 비등검지후 우측곤로 전자밸브(31)를 폐쇄하여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정지하는 물끓임조리제어를 실행한다.
물끓임조리모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물끓임스위치(52)를 조작할 때마다 물끓임모드의 설정이 비등검지시 바로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정지하는 비등시 소화설정, 비등검지후 3분동안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32)를 폐쇄하여 작은불로서 조리물(A)을 보온하는 3분간 보온설정, 비등검지후 10분동안 우측곤로 바이패스 전자밸브(32)를 폐쇄하여 조리물(A)을 보온하는 10분간 보온설정으로 순차적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절환된 각 물끓임조리모드의 설정에 따라서 소화 LED(62), 3분 보온 LED(63), 10분 보온 LED(64) 중 어느 것을 점등한다.
또한, 사용자가 취소스위치(56)를 조작하였을 때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상기한 튀김조리모드, 취반조리모드 및 물끓임조리모드의 실행을 중지한다.
이어서 도 4∼도 9를 참조하여, 타이머제어수단(23)에 의한 우측곤로(3)와 그릴곤로(4)의 타이머조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타이머조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타이머제어수단(23)은, 독립하여 작동가능한 곤로용 타이머(80:본 발명의 제 1 타이머에 해당)와 그릴용 타이머(81:본 발명의 제 2 타이머에 해당), 상기한 표시제어수단(24) 및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을 구비한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곤로용 타이머(80)에 의해서 우측곤로제어수단(21)에 대하여 타이머조리의 제어지시를 하고, 그릴용 타이머(81)에 의해서 그릴제어수단(22)에 대하여 타이머조리의 작동지시를 한다. 또,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은, 조작패널(14)에 설치된 +키 스위치(54)와 -키 스위치(55)의 조작에 따라서 곤로용 타이머(80)와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변경한다.
도 5, 도 6은 타이머제어수단(23)에 의한 그릴(4)의 타이머조리제어의 처리플로차트이고, 도 7∼도 9는 우측곤로(5)의 타이머조리제어의 처리플로차트이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사용자가 그릴(4)의 점화/소화버튼(14:도 1, 도 2 참조)을 점화조작하여 그릴(4)에 대한 점화처리가 이루어졌을 때 도 5, 도 6의 처리플로차트를 실행하고, 사용자가 우측곤로(3)의 점화/소화버튼(10:도 1 참조)을 점화조작하여 우측곤로(3)에 대한 점화처리가 이루어졌을 때 도 7∼도 9의 처리플로차트를 실행한다.
먼저, 도 5, 도 6을 참조하여 그릴(4)에 대한 점화처리가 이루어졌을 때 타이머제어수단(23)에 의한 그릴(4)의 타이머조리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도 2를 참조하여 그릴제어수단(22)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그릴버너(38)에 점화가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면, 도 5의 스텝 1에서 스텝 2로 진행하여 그릴용 타이머(81:도면중 GTM으로 표시)의 잔여시간(타이머조리시간)으로서 8분을 초기설정하고, 스텝 3에서 그릴용 타이머(81)의 카운트다운을 개시한다. 이 8분이라는 잔여시간은, 그릴(4)에 의한 조리에 있어서 표준적인 조리시간으로, 이와 같은 표준적인 조리시간을 미리 그릴용 타이머(81)의 초기 잔여시간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타이머 조리시간 설정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이어서, 스텝 4, 스텝 5는 표시제어수단(24)에 의한 처리이다.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4에서 조작패널(14)의 그릴 LED(68:본 발명의 제 2 램프에 해당)를 점등하고, 스텝 5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을 참조하여 그릴 LED(68)가 점등함과 아울러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이 표시된다.
여기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는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도 7∼도 9에 있어서 우측곤로의 타이머조리제어에 의해서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도 표시된다. 즉,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과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1개의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과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선택적으로 표시시킴으로써, 이들 2개의 타이머 각각에 전용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를 설치할 경우에 비하여 전지(25)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부품값의 상승과 조작패널(14)의 사이즈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곤로용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그릴용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선택적으로 표시시킬 경우, 사용자는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의 표시를 보는 것만으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인지 또는 우측곤로용 타이머의 잔여시간인지를 인식할 수 없다.
여기서, 스텝 4, 스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제어수단(24)은, 그릴용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할 때에는 조작패널(14)에 설치된 그릴 LED(68)를 동시에 점등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그릴 LED(68)의 점등을 확인함으로써,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은, 그릴 LED(68:본 발명의 제 2 램프에 해당)와 우측곤로 LED(67:본 발명의 제 1 램프에 해당)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스텝 6∼스텝 8 및 스텝 20∼스텝 22는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에 의한 처리이다.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은, 스텝 6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키 스위치(54:도 3, 도 4 참조)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7로 진행하고, 스텝 7에서 15분을 상한으로 하여 스텝 8에서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1분 단위로 증가시킨다. 또, 스텝 6에서 +키 스위치(54)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지 못한 때에는 스텝 20으로 분기하고, 스텝 20에서 -키 스위치(55)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에는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은 스텝 21에서 1분을 하한으로 하여 스텝 22에서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1분 단위로 감소시킨다.
스텝 9∼스텝 12는 표시제어수단(24)에 의한 처리이다.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9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가 세트(=1)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는, 후술하는 도 7∼도 9의 우측곤로(3)의 타이머조리제어에 있어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킬 때 세트되는 것이다.
따라서,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9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가 세트(=1)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10으로 진행하여 그릴 LED(68)를 점멸시키고, 스텝 11에서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 표시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을 참조하여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는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표시됨과 아울러, 우측곤로 LED(67)가 점등하고 그릴 LED(68)가 점멸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우측곤로 LED(67)의 점등에 의해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인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그릴 LED(68)의 점멸에 의해서 그릴용 타이머(81)도 계속하여 작동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스텝 9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가 세트(=1)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9∼스텝 12의 루프가 반복하여 실행되므로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에 의한 스텝 6∼스텝 8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즉,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변경할 수 없다.
한편, 스텝 9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가 리셋(=0)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30으로 분기하고, 표시제어수단(24)은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계속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 12 또는 스텝 30에서 그릴용 타이머(81)가 타임 업(GTM=0분)하였을 때 스텝 13으로 진행하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그릴제어수단(22)을 개재하여 그릴 전자밸브(36)를 폐쇄함으로써 그릴버너(38)의 연소를 정지한다(도 2, 도 3 참조).
이어서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4에서 그릴 LED(68)를 소등하고, 스텝 15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가 세트(=1)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 16에서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표시를 정지하고, 스텝 17에서 버저(도시생략)를 울림으로써 사용자에게 그릴(4)의 타이머조리가 종료한 것을 알리고 그릴(4)의 타이머조리제어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7∼도 9를 참조하여, 우측곤로(3)에 대한 점화처리가 이루어졌을 때 타이머제어수단(23)에 의한 우측곤로(3)의 타이머조리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타이머제어수단(23)은, 우측곤로제어수단(21)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우측곤로버너(34)에 점화가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면, 도 7의 스텝 40에서 스텝 41로 진행하여 상기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를 리셋(=0)하고, 스텝 42에서 곤로용 타이머(80:도면중 KTM으로 표시)의 잔여시간을 0분으로 하며, 스텝 43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를 리셋(=0)하고, 스텝 44에서 잔여시간 플래그(KTS)를 리셋(=0)한다.
여기서 우측곤로(3)의 타이머 조리모드는, 곤로용 타이머(80)가 타임 업하였을 때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정지하고 버저를 울리는 소화모드와,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계속하고 버저만 울리는 알림모드의 2종류의 모드로 이루어진다. 조리모드 플래그(KMF)는, 우측곤로(3)의 타이머조리모드의 설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측곤로(3)의 타이머조리모드가 소화모드일 때 세트(=1)되고 알림모드일 때 리셋(=0)된다.
또, 잔여시간 플래그(KTS)는, 곤로용 타이머(80)에 잔여시간(타이머 조리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때 세트(=1)되고, 곤로용 타이머(80)에 잔여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리셋(=0)된다.
스텝 45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우측곤로 스위치(53)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46에서 15초 타이머를 기동하고, 타이머조리모드의 초기설정을 소화모드로 하여 스텝 47에서 조작패널(14)의 소화 LED(65)를 점등시킨다.
이어서 스텝 48∼스텝 50과 스텝 70은 표시제어수단(24)에 의한 처리이다.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48에서 그릴용 타이머(81)가 작동중이 아닐 때, 즉 곤로용 타이머(80)가 단독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스텝 49로 진행하여 우측곤로 LED(67)를 점등하고, 스텝 50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을 참조하여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됨과 아울러 우측곤로 LED(67)가 점등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측곤로 LED의 점등을 확인함으로써,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스텝 48에서 그릴 타이머(81)가 작동중일 때에는, 스텝 70으로 분기하고,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70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를 세트(=1)한다. 이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의 세트에 따라서 상기한 도 5∼도 6의 그릴(4)의 타이머조리제어에 있어서 도 6의 스텝 10과 스텝 11의 처리가 실행되고, 그릴 LED(68)가 점멸됨과 아울러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로의 그릴용 타이머(81)의 표시가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49에서 우측곤로 LED(67)를 점등하고, 스텝 50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우측곤로 LED(67)가 점등하여 그릴 LED(68)가 점멸하고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표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우측곤로 LED(67)의 점등을 확인함으로써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곤로용 타이머 (80)의 잔여시간인 것을 인식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릴 LED(68)의 점멸을 확인함으로써 그릴용 타이머(81)도 작동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스텝 51∼스텝 53 및 스텝 71∼스텝 73은,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에 의한 처리이다.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은, 스텝 51에서 +키 스위치(54)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52로 진행하고 스텝 52에서 99분을 상한으로 하여 스텝 53에서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1분 단위로 증가시킨다.
또, 스텝 51에서 +키 스위치(54)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지 못한 때는 스텝 71로 분기하고, 스텝 71에서 -키 스위치(55)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은 스텝 72에서 1분을 하한으로 하여 스텝 73에서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1분 단위로 감소시킨다.
그리고, 스텝 55에서 곤로용 타이머(80)에 잔여시간이 설정(KTM≠0분)되기 이전에 스텝 80과 스텝 46에서 기동한 15초 타이머가 타임 업하였을 때, 즉 스텝 45에서 우측곤로 스위치(53)가 조작되고나서 15초가 경과할 때까지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설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타이머제어수단(23)은 조작에러라고 판단하여 스텝 80에서 스텝 81로 진행하고, 도 2를 참조하여 우측곤로제어수단(21)을 개재하여 우측곤로 전자밸브(31)를 폐쇄함으로써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정지시킨다.
한편, 스텝 80에서 15초 타이머가 타임 업하기 이전에 곤로용 타이머(80)에 잔여시간이 세트되었을 때에는, 스텝 55에서 스텝 56으로 진행하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곤로 잔여시간 플래그(KTS)를 세트(=1)한다. 이 곤로 잔여시간 플래그(KTS)의 세트에 의해서 이후 상기한 스텝 55, 스텝 80 및 스텝 81의 조작에러처리가 금지된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이어서 스텝 57에서 스텝 58로 진행하여 곤로용 타이머(80)를 기동한다. 그리고, 스텝 59에서 그릴용 타이머(81)가 작동중이 아닐 때에는 스텝 90으로 분기하고, 스텝 90에서 곤로용 타이머(80)가 타임 업할 때까지 스텝 90에서 스텝 110으로 분기하며, 스텝 110에서 우측곤로 스위치(53)의 조작이 인식되지 않으면 스텝 110에서 스텝 49로 되돌아가서 스텝 49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10에서 우측곤로 스위치(53)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111로 진행한다. 스텝 111∼스텝 114 및 스텝 120∼스텝 122는 우측곤로(4) 타이머조리모드의 변경처리이다.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11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가 세트(=1)되어 있을 때, 즉 우측곤로(3)의 타이머조리모드가 알림모드일 때에는 스텝 120으로 분기하고, 스텝 120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를 리셋(=0)한다. 그리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21에서 알림 LED(66)를 소등하고 스텝 122에서 소화 LED(65)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타이머조리모드가 알림모드에서 소화모드로 절환된 것을 알린다.
한편, 스텝 111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가 리셋(=0)되어 있을 때, 즉 우측곤로(3)의 조리모드가 소화모드일 때에는 스텝 112로 진행하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12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를 세트(=1)한다. 그리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13에서 소화 LED(65)를 소등하고 스텝 114에서 알림 LED(66)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타이머조리모드가 소화모드에서 알림모드로 절환된 것을 알린다.
스텝 115∼스텝 117은, 표시제어수단(24)에 의한 처리이다.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115에서 그릴용 타이머(81)가 작동중일 때는 스텝 116으로 진행하여 15초 타이머를 기동한다. 또, 이미 15초 타이머가 작동중일 때에는 재기동한다. 그리고, 스텝 1178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를 세트(=1)한다.
이어서, 도 8의 스텝 59에서 그릴용 타이머(81)가 작동중일 때, 즉 그릴용 타이머(81)와 곤로용 타이머(80)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에는 스텝 60에서 15초 타이머가 작동중일 경우를 제외하고, 스텝 64에서 우측곤로 스위치(53)가 조작된 것이 검지되거나 스텝 65에서 곤로용 타이머(80)가 타임 업(KTM=0)할 때까지 스텝 59∼스텝 65의 루프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 때 표시제어수단(24)은, 스텝 61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로의 곤로용 타이머(80) 잔여시간표시를 정지하고, 스텝 62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를 리셋(=0)하고, 스텝 63에서 우측곤로 LED(67)를 점멸시킨다. 그리고,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가 리셋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한 도 5∼도 6의 그릴(4)의 타이머조리제어에 있어서 도 5의 스텝 4에서 그릴 LED(68)가 점등되고 스텝 5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그릴용 타이머의 잔여시간이 표시된다.
즉, 표시제어수단(24)은, 곤로용 타이머(80)와 그릴용 타이머(81)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스텝 45 또는 스텝 110에서 우측곤로 스위치(53:본 발명의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에 해당)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고나서 15초동안만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그 이외는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표시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우측곤로(3)는 가스테이블(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우측곤로(3)의 버너가 연소중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것에 대하여 그릴(4)은 가스테이블(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릴(4)내를 들여다봐야만 그릴(4)의 버너가 연소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제어수단(24)은 우측곤로 스위치(53)가 조작되고나서 15초동안(본 발명의 제 3 소정시간에 해당)만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그 이외는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조작패널(14)의 그릴 LED(68)가 점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그릴(4)내를 일부러 들여다보는 일 없이 그릴(4)의 버너가 연소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스텝 59∼스텝 65의 루틴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한 스텝 51∼스텝 53 및 스텝 71∼스텝 73의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에 의한 처리는 실행되지 않으므로,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은 변경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한 도 5∼도 6의 그릴(4)의 타이머조리제어에 있어서는, 스텝 6∼스텝 8 및 스텝 20∼스텝 22의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에 의한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의 변경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즉,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은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키 스위치(54) 또는 -키 스위치(55)의 조작에 따라서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고, 잔여시간 표시기(69)에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키 스위치(54) 또는 -키 스위치(55)의 조작에 따라서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변경하는 처리를 한다.
이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82)의 처리에 의해서 조작패널(14)에 설치된 1조의 +키 스위치(54)와 -키 스위치(55)에 의해서 곤로용 타이머(80)와 그릴용 타이머(81)라는 2개의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도 8의 스텝 65 또는 스텝 90에서 곤로용 타이머(80)가 타임 업(KTM=0)하였을 때 스텝 91로 진행하고, 곤로 잔여시간 플래그(KTS)를 리셋(=0)하여 스텝 92 이후의 타이머조리를 종료처리를 한다.
스텝 92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가 리셋되어 있을 때, 즉, 곤로(3)의 타이머 조리모드가 소화모드일 때에는 스텝 93으로 진행하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93에서 우측곤로제어수단(21)을 개재하여 우측전자밸브(31)를 폐쇄함으로써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정지한다. 그리고, 이어서 스텝 94에서 우측곤로 LED(67)를 소등하고 스텝 95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로의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표시를 정지하며, 스텝 96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를 리셋(=0)하여 스텝 97에서 버저의 울림에 의해서 타이머조리의 종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타이머조리제어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92에서 조리모드 플래그(KMF)가 세트되어 있을 때, 즉 곤로(3)의 타이머 조리모드가 알림모드일 때에는 스텝 100으로 분기하고, 타이머제어수단(23)은 스텝 100에서 우측곤로 LED(67)를 소등하고 스텝 101에서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기(69)로의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표시를 정지하며, 스텝 102에서 곤로 인터럽트 플래그(KINT)를 리셋(=0)하여 스텝 103에서 버저의 울림에 의해서 타이머조리의 종료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타이머조리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104∼스텝 105는 우측곤로제어수단(21)에 의한 사용자의 우측곤로(3)의 소화잊음에 대한 처리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우측곤로제어수단(21)은, 타이머조리의 종료후 스텝 105에서 1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104에서 점화/소화스위치(10)의 소화조작을 확인하지 못한 때에는, 사용자가 우측곤로(3)를 소화하는 것을 잊었다고 판단하고 스텝 106으로 진행하여 우측곤로 전자밸브(31)을 폐쇄함으로써 우측곤로버너(34)의 연소를 정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릴 LED(68)와 우측곤로 LED(67)라는 2개의 LED에 의해서 본 발명의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나, 이것을 1개의 2색 발광 LED를 이용하여 구성하여, 그릴용 타이머(81)의 잔여시간을 표시할 때와 곤로용 타이머(80)의 잔여시간을 표시할 때에 상기 2색 발광 LED의 발광색을 바꾸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곤로용 타이머(80)와 그릴용 타이머(81)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상기 2색 발광 LED를 점멸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수단으로서 가스버너를 이용한 가열조리기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종류의 가열수단, 예를 들면 전기히터를 이용한 가열조리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상기 타이머표시 선택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절환하여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전용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서, 부품값의 상승과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스페이스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에 의해서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 중 어느 것의 잔여시간인지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잘못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서로 독립하여 작동가능한 제 1 가열수단을 제 1 소정시간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타이머와 제 2 가열수단을 제 2 소정시간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타이머와,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과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 중 어느 일측을 표시하는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과,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잔여시간이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 중 어느 것의 잔여시간인지를 표시하는 선택타이머 표시수단과,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표시와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표시 중 어느 일측을 선택하는 타이머표시 선택수단과,
    상기 타이머표시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잔여시간이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 중 어느 것의 잔여시간인지를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고,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타이머 잔여시간 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타이머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 1 램프와 상기 제 2 타이머에 대응하는 제 2 램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상기 제 2 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제 1 램프를 점등하며,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상기 제 1 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제 2 램프를 점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는,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상기 제 2 램프를 점멸시키면서 상기 제 1 램프를 점등하고,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는 상기 제 1 램프를 점멸시키면서 상기 제 2 램프를 점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은, 전지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수단은 곤로이고 상기 제 2 가열수단은 그릴로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머와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시에 작동중일 때는 상기 타이머표시 선택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타이머가 선택되고나서 제 3 소정시간이 경과할 동안까지만 상기 제 1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시키고, 그 이외에는 상기 제 2 타이머의 잔여시간을 상기 타이머 잔여시간 표시수단에 표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19990005707A 1998-04-14 1999-02-20 가열조리기 KR100293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01598A JP3544469B2 (ja) 1998-04-14 1998-04-14 加熱調理器
JP103015 199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704A KR19990082704A (ko) 1999-11-25
KR100293802B1 true KR100293802B1 (ko) 2001-06-15

Family

ID=1434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707A KR100293802B1 (ko) 1998-04-14 1999-02-20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4469B2 (ko)
KR (1) KR100293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6002220T5 (de) 2015-08-11 2018-04-19 Lg Hausys, Ltd. Fenster mit Funktion zur Wohnumfeldverbesser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466B2 (ja) * 2000-07-14 2009-11-18 パロマ工業株式会社 調理器
JP5094227B2 (ja) * 2007-06-19 2012-12-12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器
JP5302629B2 (ja) * 2008-11-06 2013-10-02 株式会社ノーリツ 加熱調理器
JP6345908B2 (ja) * 2013-01-16 2018-06-20 株式会社パロマ グリル付コン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6002220T5 (de) 2015-08-11 2018-04-19 Lg Hausys, Ltd. Fenster mit Funktion zur Wohnumfeldverbess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94777A (ja) 1999-10-29
JP3544469B2 (ja) 2004-07-21
KR19990082704A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706B2 (ja) こんろ
KR100656669B1 (ko) 가열조리기
KR100293802B1 (ko) 가열조리기
JP5160997B2 (ja) こんろ
JP3636238B2 (ja) 燃焼装置
JP3407997B2 (ja) ガス燃焼器の安全装置
KR950008616B1 (ko) 조리기의 버너작동 표시방법
KR940005905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KR940002746B1 (ko) 그릴 제어장치
KR100604133B1 (ko) 가열조리기
JP4520627B2 (ja) グリル調理器
JP7232139B2 (ja) 加熱調理装置
JP3204498B2 (ja) 調理器用制御装置
JPS6362657B2 (ko)
JP2587355B2 (ja) 炊飯器
JP3693197B2 (ja) グリル付ガス調理器
KR0155490B1 (ko) 가스오븐렌지 그릴버너의 자동소화 제어방법
JPH08215039A (ja) ガラスセラミック調理面付き調理器具
JPH0565170B2 (ko)
JPS6335888B2 (ko)
JP2023020275A (ja) ガス調理器
JP4520618B2 (ja) グリル調理器
JPS58110926A (ja) 加熱調理器
KR200339291Y1 (ko) 타임머가 장치된 가스버너
JPH04242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