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711B1 -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711B1
KR100292711B1 KR1019980053855A KR19980053855A KR100292711B1 KR 100292711 B1 KR100292711 B1 KR 100292711B1 KR 1019980053855 A KR1019980053855 A KR 1019980053855A KR 19980053855 A KR19980053855 A KR 19980053855A KR 100292711 B1 KR100292711 B1 KR 10029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eturn
shaft
pulley
brus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754A (ko
Inventor
한남천
Original Assignee
한남천
하나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천, 하나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남천
Priority to KR101998005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7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을 기계적으로 자동세척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가 구동모터(63)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고기구이판(P)을 얹어서 지지한 지지브라켓트(71,72)는 케이싱(10) 전면에 개방된 출입구(11)를 통하여 상기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지지브라켓트(71,72) 위에 얹혀진 고기구이판(P)을 세척한다. 그리고 상기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를 동시에 서로 근접하게 이송시키거나 이격되게 이송시켜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브러쉬 간격조절기구를 구비하여 상하 높이가 다양한 여러종류의 고기구이판들을 모두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케이싱(10) 내측 상단에는 세척수 공급관(17)이 케이싱(10) 내측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쪽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0)의 전방 출입구(11)측에는 도어(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출입구(11)를 탄력적으로 밀폐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기구이판 지지브라켓트(71,72)가 출입구(11)쪽으로 후진할 때에 밀대봉(14,15)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려서 열리게 된다.

Description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ing a roast plate)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의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베큐용 구이판을 기계적으로 자동이송시키면서 그 위에 부착된 음식물찌꺼기를 회전브러쉬로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 바베큐를 취급하는 음식점에서는 한꺼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하므로 다량의 구이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구이장치로 바베큐요리를 하는 도중에도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고기가 눌러붙은 고기구이판을 여러번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대형 음식점에서는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일정한 시간대에 집중되므로 이에 소요되는 고기구이판의 개수도 많다. 따라서 대형음식점에서는 사용한 후 교체된 고기구이판을 신속하고 깨끗이 세척하여야 하는 데, 현재까지는 고기구이판의 세척작업을 직접 사람이 하고 있었으므로, 세척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세척작업에 따른 인건비 소요가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람이 직접 고기구이판을 세척하는 데 따른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고기구이판을 기계적으로 자동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나 모양이 다양한 여러종류의 고기구이판을 세척할 수 있는 고기구이판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를 구비하고, 이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는 구동모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연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고기구이판을 얹어서 지지한 지지브라켓트는 케이싱 전면에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 사이를 왕복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를 동시에 서로 근접하게 이송시키거나 이격되게 이송시켜 회전브러쉬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브러쉬 간격조절기구를 구비하여 상하 높이가 다양한 여러종류의 고기구이판들을 모두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케이싱 내측 상단에는 세척수 공급관이 케이싱 내측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회전브러쉬 조립체쪽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의 전방 출입구측에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출입구를 탄력적으로 밀폐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기구이판 지지브라켓트가 출입구쪽으로 후진할 때에 강제적으로 밀려서 열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고기구이판을 지지브라켓트위에 얹어 놓고 작동시키면 구동모터가 상기 회전브러쉬 조립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시키는 동시에 상단에 구비된 세척수 공급관을 통하여 세척수를 회전브러쉬 쪽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한편, 고기구이판을 지지한 지지브라켓트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회전브러쉬 조립체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고기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에서는 세척과정중에 상기 고기구이판이 출입하는 케이싱 전면의 출입구를 도어가 스프링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폐하고 있으므로 세척수가 외부로 튀어 나오는 것을 차단하여 장치 외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회전브러쉬 조립체들의 연동구조와 그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를 분리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고기구이판을 왕복이송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리턴블록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리턴스크루우를 연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측면도로서, 리턴스크루우,회전브러쉬 조립체들을 연동시키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의 "E-E"을 따라 절단하여 제2벨트 장력조절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10a,10b: 측벽
11: 출입구 12: 도어
14,15: 밀대봉 16: 브라켓트
17: 세척수 공급관 18: 캐스트휠
20,30: 상·하부 회전브러쉬 조립체 21,31: 회전축
23,33: 브러쉬축 24,34: 브러쉬
25,35: 회전축 풀리 41,42: 스크루우축
43: 브라켓트 44: 베어링
45,46: 안내블록 47: 베벨기어
48: 베어링 49: 구동축
49a: 구동기어 50: 핸들
51,52: 워엄기어 53,54: 워엄
61,62: 리턴스크루우 63: 구동모터
64: 제1연동축 65,66: 리턴블록
67,68: 가이드봉 69: 슬라이드
71,72: 지지브라켓트
73: 제2연동축 74: 연동풀리
75,76: 제1벨트, 제2벨트 81: 텐션닝 풀리
82: 베어링 83: 풀리축
84: 스프링 85: 너트
86: 텐션보울트 91: 세척수 탱크
92: 펌프 93: 받침대
94: 여과필터 95: 휠
96: 순환관 P: 고기구이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돔(dome) 형상으로 되고, 앞쪽 측벽에 출입구(11)가 형성된 케이싱(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는 1쌍의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가 상기 케이싱(10)을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 앞쪽 측벽에는 출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2)가 힌지결합되고, 이 도어(12)의 힌지축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도어(12)가 탄력적으로 출입구(11)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는 각각 상기 케이싱(10)의 좌·우측 측벽(10a,10b)을 관통하여 설치된 1쌍의 회전축(21a,21b)(31a,31b)과, 상기 마주보는 1쌍의 회전축(21a,21b)(31a,31b)의 각 선단에 양단이 고정연결되는 브러쉬축(23,33)과, 상기 브러쉬축(23,33)상에 구비된 브러쉬(24,3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좌·우 측벽(10a,10b) 외측에는 각각 브러쉬 간격조절용 스크루우축(41,42)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브라켓트(43)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간격조절용 스크루우축(41,42)은 외주에 양쪽나사부(41a,41b)(42a,42b)가 구비되고 이들 각 나사부(41a,41b)(42a,42b)에는 상기 회전축(21a,31a)(21b,31b)을 베어링(44)으로 지지한 각 안내블록(45,46)이 이송가능하게 나사결합식으로 맞물린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용 스크루우축(41,42)은 각 하단에 베벨기어(47)를 구비하여 케이싱(10) 하부를 가로질러 케이싱 측벽(10a,10b)에 베어링(48)으로 양단이 지지된 구동축(49)의 구동기어(49a)와 맞물려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49)에 구비된 핸들(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구동축(49)에 맞물려 연동하는 상기 스크루우축(41,42)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나사부에 결합된 1쌍의 안내블록(45,46)들을 서로 근접이동시키거나 이격되게 이동시켜 회전축(21a,31a)(21b,31b)들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고기구이판 지지브라켓트(71,72)를 수평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구조를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좌우 측벽(10a,10b)에는 케이싱(10)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1쌍의 리턴스크루우(61,6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좌·우측 리턴스크루우(61,62)들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모터(63)에 의해 회전하는 제1연동축(64)을 매개로 각각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연동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리턴스크루우(61,62)는 외주에 2중 나사가 형성되고, 그 외주에 리턴블록(65,66)이 슬라이드 전후진하도록 관통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리턴블록(66)(좌우대칭이므로 한쪽부재만 설명한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부에 상기 리턴스크루우(62)가 관통하는 상부 구멍(66a)이 형성되고, 이 상부구멍(66a)에는 한쪽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슬라이드(69)가 고정설치되어 이 상부구멍(66a)을 관통한 리턴스크루우(62)의 나사와 맞물려진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리턴블록(66)의 상부구멍(66a) 아래쪽에는 하부구멍(66b)이 형성되어 가이드봉(68)이 관통설치되며, 상기 각 리턴블록(66)에는 상기 고기구이판(P)을 얹어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72)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턴스크루우(61,62)들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그 외주에 결합된 리턴블록(65,66)들을 수평방향으로 전후진시키게 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턴스크루우(61,62)들은 한쪽 선단에 워엄기어(51,52)가 각각 형성되고, 이 워엄기어(51,52)들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제2연동축(73)의 양쪽 선단에 각각 구비된 워엄(53,54)들과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동축(73)의 선단에는 연동풀리(74)가 구비되어 제1벨트(75)를 통하여 모터(63)에 의해 회전하고, 이 제2연동축(7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1쌍의 리턴스크루우(61,62)들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리턴블록(65,66) 내측면에는,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 출입구(11)를 탄력적으로 밀폐하고 있는 도어(12)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밀대봉(14,15)이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쌍의 리턴스크루우(61,62)가 동시에 한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그 외주에 맞물린 리턴블록(65,66)이 리턴스크루우(61,62)를 따라 전진하여 그 지지브라켓트(71,72)위에 얹혀진 고기구이판(P)을 케이싱(10) 안쪽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지지브라켓트(71,72)위에 얹혀진 고기구이판(P)은 상하로 배치된 1쌍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회전브러쉬(24,34)에 의해 세척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리턴블록(65,66)이 리턴스크루우(61,62)의 안쪽 선단에 도달하면 리턴스크루우(61,62)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안내되어 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리턴블록(65,66)은 고기구이판(P)을 실어서 후진하면서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를 통과한 후, 출입구(11) 쪽으로 이송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턴블록(65,66)에 설치된 밀대봉(14,15)은 리턴블록(65,66)과 함께 출입구(11)쪽으로 후진하다가 리턴블록(65,66)이 출입구(11)에 인접하기 직전에 도어(12)를 밀어서 개방시키게 되어 리턴블록(65,66)의 지지브라켓트(71,72)에 얹혀진 고기구이판(P)이 출입구(11)쪽으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의 각 한쪽 회전축(21a,21b)과, 리턴스크루우(61,62)는 1개의 모터(63)에 의해 연동된다. 도 7에는 상기 회전축(21a,21b)과 리턴스크루우(61,62)를 상호 연동시키는 구동메카니즘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 하부에는 구동모터(63)가 구비되고, 이 구동모터(63)의 축에 설치된 모터풀리(63a)는, 상기 1쌍의 리턴스크루우(61,62)를 연동시키는 제2연동축(73)상에 고정설치된 연동풀리(74)와 제1벨트(75)로 연결되어 제2연동축(73)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연동풀리(74)는 상기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의 각 회전축(21a,31a)에 고정설치된 회전축 풀리(25,35)들과 1개의 제2벨트(76)로 연결되어 상기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의 각 회전축(21a,21b)(31a,31b)들을 동시에 그러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연동시키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벨트(7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텐션조절기구가 구비된다. 이 벨트텐션조절기구는, 도 8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벨트(76)를 눌러주는 텐션닝 풀리(81)와, 이 텐션닝 풀리(81)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82)으로 지지하는 풀리축(83)과, 한쪽 선단에 상기 풀리축(83)을 고정하고, 몸체는 케이싱 측벽(10a,10b)에서 연장된 브라켓트(16)에 관통설치되어 브라켓트(16)에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돌출된 선단에 스프링(84)을 끼워 너트(85)로 체결하여 브라켓트(16)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풀리축(83) 및 텐션닝 풀리(81)가 제2벨트(76)를 항상 밀어부치도록 된 텐션보울트(86)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텐션보울트(86)에 나사결합된 너트(85)의 조립위치를 가변시켜 그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84)의 압축 탄성력을 변화시킴에 따라 텐션닝 풀리(81)가 제2벨트(76)를 가압하는 힘이 변화되어 제2벨트(76)의 장력이 조절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프링(84)의 힘을 조절하는 너트(85)의 조립위치만 변화시키기만 하면 제2벨트(76)의 장력을 조절하기가 간편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 상단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관(17)을 일반 가정용 수도공급관과 직접적으로 연결사용하도록 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케이싱(10) 하단 모서리에 캐스트휠(18)이 설치되어 케이싱(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데, 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별도의 세척수 탱크(91)와 이 세척수 탱크(91)의 물을 세척수 공급관(17) 쪽으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펌프(92) 및 상기 세척수 탱크(91)의 물을 공급펌프(92)를 거쳐 세척수 공급관(17)쪽으로 연결하는 순환관(96)을 포함하여 공급펌프(92)를 통하여 세척수 탱크(91)의 물을 세척수 공급관(17)쪽으로 공급시키고, 이 세척수는 다시 세척수탱크(91)쪽으로 순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를 위에 얹어서 지지하는 받침대(93)를 구비하고, 이 받침대(93)에 상기 공급펌프(92)와 세척수 탱크(9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의 케이싱(1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세척수 탱크(91) 상단에 설치된 여과필터(94)를 통과하면서 세척찌꺼기를 여과한 다음, 다시 세척수 탱크(91)로 배출되게 되어 있고, 이 세척수 탱크(91)의 물을 공급펌프(92)로 다시 세척수 공급관(17) 쪽으로 순환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척수 탱크(91)의 하단 네모서리마다 휠(95)이 설치되어 세척수 탱크(91)를 상기 받침대(93) 안팎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탱크(91)에 저장된 세척수가 오염되어 이 세척수를 깨끗한 세척수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세척수 탱크(91)를 받침대(93)로부터 분리이동시킨 다음, 깨끗한 세척수로 교체하고나서, 다시 이 세척수 탱크(91)를 받침대(93) 아래쪽으로 밀어넣으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에 따르면, 고기구이판을 기계적으로 자동 세척해주게 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고기구이판을 자주 신속하게 세척하여 교체공급할 수 있고, 고기구이판 세척에 소요되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구이판을 세척하는 동안에 항상 도어(12)가 출입구(11)를 밀폐하고 있으므로 세척수가 출입구(11)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브러쉬(24,34)와 고기구이판 이송용 리턴스크루우(61,62)를 연동시키는 벨트(76)의 장력을 장치 외부에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전면에 출입구(11)가 형성된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회전축(21a,21b)(31a,31b)은 모터(63)와 벨트풀리식으로 연결된 제1연동축(64)을 매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회전하게 된 1쌍의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
    상기 케이싱(10)의 안쪽 좌·우측에 상기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연동축(73)에 기어맞물림식으로 연결되어 각각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연동하는 1쌍의 리턴스크루우(61,62);
    상·하부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구멍에는 상기 각 리턴스크루우(61,62)가 나사결합식으로 관통하고, 상기 하부 구멍에는 가이드봉(67,68)이 관통설치되며, 내측면에는 고기구이판(P)을 얹어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71,72)가 구비된 리턴블록(65,66);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상부에 상기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쪽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17)을 포함한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전면 출입구(11)에는 도어(1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 도어(12)는 스프링을 매개로 항상 출입구(11)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리턴블록(65,66)에는 밀대봉(14,15)이 출입구(11)쪽을 향하도록 부착설치되어 상기 리턴블록(65,66)이 출입구(11)쪽에 인접하여 이동할 때 상기 밀대봉(14,15)이 상기 도어(12)를 밀어서 출입구(11)를 개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2. 전면에 출입구(11)가 형성된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회전축(21a,21b)(31a,31b)은 모터(63)와 벨트풀리식으로 연결된 제1연동축(64)을 매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회전하게 된 1쌍의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
    상기 케이싱(10)의 안쪽 좌·우측에 상기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연동축(73)에 기어맞물림식으로 연결되어 각각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연동하는 1쌍의 리턴스크루우(61,62);
    상·하부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구멍에는 상기 각 리턴스크루우(61,62)가 나사결합식으로 관통하고, 상기 하부 구멍에는 가이드봉(67,68)이 관통설치되며, 내측면에는 고기구이판(P)을 얹어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71,72)가 구비된 리턴블록(65,66);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상부에 상기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쪽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17)을 포함한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 좌우 외측벽(10a,10b)에 각각 스크루우축(41,42)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크루우축(41,42)의 외주에는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인 양쪽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부 나사부에는 상기 상부 회전브러쉬 조립체(20)를 회전가능하게 끼워 지지한 상부 안내블록(45)이 나사결합식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 나사부에는 하부 회전브러쉬 조립체(30)를 회전가능하게 끼워 지지한 하부 안내블록(46)이 나사결합식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각 스크루우축(41,42)의 한쪽 선단에는 기어(47)가 고정되고, 이들 기어(47)는 케이싱(10)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49) 양단에 각각 고정된 구동기어(49a)와 맞물려진 구조로 되어 상기 구동축(49)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하부 안내블록(45,46)들이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게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하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들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회전브러쉬 조립체(20,30)의 각 회전축(21a,31a)상에 고정설치된 회전축 풀리(25,35)와, 상기 각 리턴스크루우(61,62)의 선단에 고정설치된 연동풀리(74)와, 구동모터축에 고정설치된 모터풀리(63a)는 1개의 제2벨트(76)로 감겨져 서로 연동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벨트(76)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조절기구는 상기 제2벨트(76)를 눌러주는 텐션닝 풀리(81)와, 이 텐션닝 풀리(81)를 회전가능하게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풀리축(83)과, 한쪽 선단에 상기 풀리축(83)과 연결되고, 몸체는 케이싱(10)의 한쪽 측벽(10a)에서 연장된 브라켓트(16)에 관통설치되어 브라켓트(16)에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돌출된 선단에 스프링(84)을 끼워 너트(85)로 체결하여 브라켓트(16)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풀리축(83) 및 텐션닝 풀리(81)가 상기 제2벨트(76)를 항상 밀어부치도록 된 텐션보울트(8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KR1019980053855A 1998-12-09 1998-12-09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KR10029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855A KR100292711B1 (ko) 1998-12-09 1998-12-09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855A KR100292711B1 (ko) 1998-12-09 1998-12-09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54A KR20000038754A (ko) 2000-07-05
KR100292711B1 true KR100292711B1 (ko) 2001-06-15

Family

ID=1956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855A KR100292711B1 (ko) 1998-12-09 1998-12-09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48A (ko) * 1999-10-07 2001-05-07 조동춘 고기구이판 세척시스템
KR100787983B1 (ko) * 2007-07-24 2007-12-2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10883041B (zh) * 2019-11-27 2021-12-31 李挑 一种便捷式烤盘清理机
KR102521443B1 (ko) * 2021-05-20 2023-04-13 (주)보성전자 석쇠 자동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54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2711B1 (ko)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KR102431129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직화드럼을 구비하는 연속식 자동 직화장치
CN108968671B (zh) 一种集选、洗、切、炒一体式大型烧菜装置
CN110820237A (zh) 一种嵌入式多功能洗衣机
US3361055A (en) Barbecue spit machine
DE3214818C2 (de) Grillgerät mit einem eine darin angeordnete Tragscheibe aufweisenden Gehäuse
CN116268441A (zh) 净菜加工机
KR200453072Y1 (ko) 꼬치구이장치
KR100292206B1 (ko) 육류 구이판 세척기
KR940008047Y1 (ko) 석쇠 자동 세척기
KR940004862Y1 (ko) 조리용기 세척기
US1983401A (en) Silverware burnishing machine
KR100824373B1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219679625U (zh) 一种肉质松弛拍打装置
CN112167666B (zh) 一种山药加工设备
CN217488343U (zh) 一种便于提高烧烤效率的烧烤架
KR200268453Y1 (ko) 불판 자동 세척기
KR200316612Y1 (ko)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216932805U (zh) 一种肉制品的烤制装置
KR200268420Y1 (ko) 육류 구이판 세척기의 브러쉬 간격조절장치
CN219460076U (zh) 一种卤蛋碎皮清洗机构
CN113892764B (zh) 一种生鲜超市用多功能食材加工台
KR200169206Y1 (ko) 갈비살 칼집 자동세절기
KR200263164Y1 (ko) 자동고기구이판세척기
KR200316671Y1 (ko) 구이판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