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983B1 -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983B1
KR100787983B1 KR1020070073848A KR20070073848A KR100787983B1 KR 100787983 B1 KR100787983 B1 KR 100787983B1 KR 1020070073848 A KR1020070073848 A KR 1020070073848A KR 20070073848 A KR20070073848 A KR 20070073848A KR 100787983 B1 KR100787983 B1 KR 10078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locking
drive
rotating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창
Original Assignee
홍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창 filed Critical 홍기창
Priority to KR102007007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본체(2) 상,하부의 투입구(3), 배출구(4) 사이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10)(10'), 브러쉬 상,하부에서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면서 고기구이판을 이송, 공급하는 고무롤러, 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좌우 브러쉬(10)(10')를 좌우로 폭 조절하여 브러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0)와, 상기 고무롤러를 단일의 감속모터(M2)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2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좌,우 브러쉬의 마모 발생시에 좌우 브러쉬를 좌우 이동하면서 간극을 조절하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상기 상하 고무 롤러를 단일의 감속모터에 의해 간단하게 구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작업성, 운전 작업성이 우수하고, 제작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고기구이판, 수직형, 세척장치, 브러쉬, 고무 롤러, 세척수, 간극조절

Description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Automatic washer of roast meat pan}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병렬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 사이에 고기 구이판을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면서 세척하되, 상기 브러쉬의 마모에 따라 간격을 조절 사용하면서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극대화하는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판은 불고기, 갈비 등과 같은 고기를 올려놓고 가열원으로 구워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고기 구이판은 가열원으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열에 의해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증발되고 기름과 고기의 표면이 연소되면서 고기의 표면이 구이판에 늘어 붙어 구이판을 오염시기게 되고, 이 때문에 상기 고기 구이판은 자주 교체하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고기 구이판은 수거하여 늘어 붙은 고기와 기름 등을 세척하여 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세제가 섞인 세척수에 적정 시간 담가 둔 후, 수세미 등으로 표면을 문질러 세척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행함으로써 작 업의 번거로움과 함께 세척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은 물론 기름때 제거를 말끔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여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기한 고기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다수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이와 유사한 선행 장치로서는 비록 고기 구이판은 아니지만 이와 유사한 용기를 브러쉬와 이의 좌우에 배치된 고무 롤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용기를 세척하는 구조가 일본 특개 평6-217915로 알려져 있고, 또 복수 개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로스톨을 세정하는 로스톨 세정 방법 및 그 장치가 일본 특개 평10-314101호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로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한 쌍의 브러쉬 사이로 구이판을 통과시키고 일 측에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브러쉬는 구이판 세척과정에서 마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브러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는 한 쌍의 브러쉬 양측을 일정하게 간격 조절하지 못하면서 브러쉬 사이의 간극이 불균형해지고 이는 상기 한 쌍의 브러쉬 사이를 통과하는 구이판 표면의 세척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알려지고 있는 세척장치들은 세척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작업성, 생산성, 경제성 등이 현저하게 낮고, 제품의 공급 가격이 높아 제품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 사이에 고기구이판을 수직방향으로 공급하면서 세척하되, 브러쉬의 마모에 따라 브러쉬의 간격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좌우 브러쉬 및 브러쉬 상하에 병렬 구비되어 고기구이판을 이송공급하는 다수의 고무 롤러를 단일의 감속모터에 의해 전체적으로 간단하게 구동시키므로 제조 작업성은 물론 운전 작업성이 우수하게 제공되어 제품의 사용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상,하부의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 회전구동하면서 고기구이판을 이송, 공급하는 다수의 고무롤러,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본체 상에는 좌우 브러쉬를 좌우로 폭 조절하여 브러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와, 상기 다수의 고무 롤러를 단일의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를 구비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간극 조절부를 본체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 사이로 상부에 좌우 브러쉬가 장착되는 좌우 연동축이 연결되고, 각각의 중앙에는 회전축, 하단에는 각각 수평 나사축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에 축 결합하여 상기 수평 나사축을 회전 작동하는 것에 의해 양측의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 회전하면서 좌,우 브러쉬의 간극을 조절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간극 조절부의 일측에 좌,우 연동축의 측단으로 연동기어와 좌,우 회전축에 구동기어를 축설하되, 상기 구동기어는 상호 치합 함과 함께 상기 좌,우측 구동기어는 각각 좌,우측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좌측 회전축 상에 축설된 풀리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로 감합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좌,우 구동기어 및 좌,우 연동기를 연계구동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간극 조절부의 양측 수평 나사축 선단에 축설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인을 감합 연결하여 일측 나사축의 회전 작동으로 양측의 나사축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롤러구동부가 단일의 감속모터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와 상부의 제1아이들기어, 제1연동기어 및 제2아이들기어, 하부의 제3아이들기어, 제2연동기어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을 지그재그로 감합 설치하되, 상기 제1,2연동기어는 고무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을 정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3아이들기어에 의해 제3,4연동기어를 구동시켜 고무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을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연동기어 및 제3아이들기어에 의해 고무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을 정,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상하로 병렬 설치디는 다수의 고무롤러의 상호 역회전 구동으로 고기구이판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 공급함에 그 특징이 있 다.
본 발명의 수직형 자동 세척장치는 세척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회전구동하는 좌우 브러쉬, 브러쉬 상,하부의 다수의 고무 롤러에 의해 고기구이판을 수직방향으로 이동 공급하면서 좌,우 브러쉬와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고기구이판을 효과적으로 세척하되, 상기 좌,우 브러쉬의 마모 발생시에 좌우 브러쉬를 좌우 이동하면서 간극을 조절하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기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상기 다수의 고무 롤러를 단일의 감속모터에 의해 간단하게 구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작업성, 운전 작업성 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상부의 투입구(3), 하부의 배출구(4) 사이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10)(10'), 브러쉬 상,하부에서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면서 고기구이판을 이송, 공급하는 다수의 고무 롤러(11,11')(12,12')(13,13'), 측 방향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5)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고기 구이판(1)을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측방에는 좌우 브러쉬(10)(10')를 폭 조절하여 브러쉬 사이 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0)와,
고무 롤러(11,11')(12,12')(13,13')를 단일의 감속모터(M2)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2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간극 조절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 사이로 상부에 좌우 브러쉬(10)(10')가 장착되는 좌우 연동축(23)(23')이 연결되고, 각각의 중앙에는 회전축(21)(21'), 하단에는 각각 수평 나사축(30)의 오른 나사부(31)와 왼 나사부(3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32)(32')에 축(33) 결합하여 상기 수평 나사축(30)을 회전 작동하는 것에 의해 양측의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이 회전축(21)(21')을 중심으로 대향 회전하면서 좌,우 브러쉬(10)(10')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간극 조절부(100)의 일측에는 좌,우 연동축(23)(23')의 측단으로 연동기어(24)(24')를 각각 축설하고, 상기 연동기어는 좌,우 회전축(21)(21')상의 구동기어(22)(22')가 상호 치합 함과 함께 상기 좌측 구동기어(22)는 좌측 연동기어(24)와 우측 구동기어(22')는 우측 연동기어(24')와 치합되어 상기 좌측 회전축(21) 상에 축설된 풀리가 구동모터(M1)의 회전축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17)로 감합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좌,우 구동기어 및 좌,우 연동기어를 연계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극 조절부(100)는 양측 수평 나사축(30)(30) 후단에 축설된 스프로켓(35)(35) 사이에 체인(36)을 감합 연결하여 일측 나사축의 회전으로 양측의 수평 나사축(30)(30)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구동부(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모터(M2)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51)와 상부의 제1아이들기어(52), 제1연동기어(53) 및 제2아이들기어(54), 하부의 제3아이들기어(55), 제2연동기어(56)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C1)을 지그재그로 감합 설치하되, 상기 제1,2연동기어(53)(56)는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1)(152)을 정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3아이들기어(54)(55)의 회전축(153)(154) 타측에 축설된 전달기어(57)(58)와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5)(156)의 제3,4연동기어(61)(62)는 각각 체인(C2)(C3)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5)(156)을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연동기어(56) 및 제3아이들기어(55)의 회전축(152)(154)에 축설된 전달기어(63)(64)와 하부의 고무롤러(13)(13')가 설치된 회전축(157)(158)의 제5,6연동기어(65)(66)와 각각 체인(C4)(C5)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7)(158)을 정,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 고무롤러(11,11')(12,12')(13,13')를 상호 역회전 구동시켜 고기구이판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 공급하도록 이룬다.
미설명부호로서, 27,27'는 좌우 연동축(23)(23')이 회전 안내되는 안내공, 40은 본체(2) 저면의 이송바퀴, 45은 간극 조절부(100)의 일측 수평 나사축(30)에 마련되는 조절 핸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원을 온 작동하여 구동모터(M1)을 구동하여 좌,우 브러쉬(10)(10')를 구동함과 함께 감속모터(M2)를 구동하여 브러쉬 상하의 다수의 고무 롤러(11,11')(12,12')(13,13')를 병렬 회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다수의 고무 롤러(11,11)(12,12')(13,13')는 단일의 감속모터(M2)에 의해 구동시키되, 상기 감속모터(M2)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51)와 무한궤도 형태로 체인(C1) 감합 연결되는 제1,2연동기어(53)(56)상의 고무롤러(11)(12)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연동하는 제5연동기어(65)상의 고무롤러(13)를 정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기어(51)와 무한궤도 형태로 체인(C1) 감합 연결되는 제2,3아이들기어(54)(55)에 의해 연동하는 제3,4연동기어(61)(62)상의 고무롤러(11')(12')와 상기 제3아이들기어에 연동하는 제6연동기어(66)상의 고무롤러(13')를 역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고기구이판(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구동부(200)의 동력 전달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감속모터(M2)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51)와 상부의 제1아이들기어(52), 제1연동기어(53) 및 제2아이들기어(54), 하부의 제3아이들기어(55), 제2연동기어(56)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C1)을 지그재그로 감합 설치하하여 상기 제1,2연동기어(53)(56)의 회전축(151)(152)상의 고무롤러(11)(12)를 정회전 구동하고,
상기 제2,3아이들기어(54)(55)의 회전축(153)(154) 타측에 축설된 전달기어(57)(58)와 별도 회전축(155)(156)의 제3,4연동기어(61)(62)를 각각 체인(C2)(C3)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5)(156)상의 고무롤러(11')(12')를 을 역회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연동기어(56) 및 제3아이들기어(55)의 회전축(152)(154)에 축설된 전달기어(63)(64)와 하부의 별도 회전축(157)(158)의 제5,6연동기어(65)(66)를 각각 체인(C4)(C5)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7)(158)상의 고무롤러(13,13')를 상호 정,역회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로 병렬 구성된 고무롤러(11,11')(12,12')(13,13')를 상호 역회전시켜 고기구이판(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공급하도록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노즐(5)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작동하여 세척준비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세척준비가 완료되면, 본체(2)의 상부 투입구(3)를 통해 고무 롤러(11,11') 사이로 세척하고자 하는 고기구이판(1)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체(2)의 상부에서 수직 하부로 공급되는 고기구이판(1)은 상호 정,역 구동하는 고무 롤러(11,11')에 의해 고기구이판(1)을 수직 하 방향으로 이송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 방향으로 이송공급되는 고기구이판(1)은 좌우에서 상호 역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10)(10') 사이를 통과하면서 좌,우 브러쉬(10)(10')에 의해 구이판 표면에 늘어 붙은 고기나 기름 등을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 브러쉬(10)(10') 사이를 통과한 고기구이판(1)은 다시 고무 롤러(12)(12')에 의해 하부로 이송공급되며서 측방의 노즐(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세척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러쉬와 노즐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고기 구이판(1)은 다시 고무 롤러(13)(13')에 의해 하부로 이송되어 본체(2) 하부의 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과정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부의 본체(2) 하부로 형성되는 배수구(도면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고기구이판(1)을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고무 롤러에 의해 맞물려 이송 공급하면서 좌우 브러쉬 및 노즐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고기구이판에 늘어 붙은 고기, 기름 등의 세척을 자동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좌,우 브러쉬(10)(10')가 고기구이판(1)을 많이 세척함에 따라 끝단이 마모되면서 브러쉬(10)(10') 사이의 간극이 벌어져 세척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좌,우 브러쉬(10)(10')의 간극을 간극 조절부(100)에 의해 조절하므로 세척 효율을 높이게 된다.
특히, 상기 간극 조절부(100)는 일측의 수평 나사축(30) 단부의 핸들(45)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양측의 수평 나사축(30)(30) 상에 축설된 스프로켓(35)(35)이 체인(36)에 감합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간극 조절부의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브러쉬(10)(10')의 간극 조절을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좌,우 브러쉬(10)(10')의 좌우 간극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조절하게 되므로 고기구이판(1)의 세척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간극 조절부(100)의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면, 상기 양측 수평 나사축(30)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수평 나사축(30)의 오른 나사부(31)와 왼 나사부(3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32)(32')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대향 이동하면서 상기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32)(32')에 축(33) 결합된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15)(15')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의 회전 작동은 좌우 회전축(2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에 축설된 연동축(23)(23')이 좌우로 회전되어 상기 연동축에 축설된 좌,우 브러쉬(10)(10')가 좌우로 회전되어 간극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의 좌우 회전에도 상기 브러쉬(10)(10')의 회전구동은 동일하게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축(21)상에 축설된 풀리가 구동모터(M1)의 구동축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17)로 감합되어 구동하고, 상기 회전축(21)상에 축설된 구동기어(22)와 우측 구동기어(22')가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22)(22')에 각각 연동기어(24)(24')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좌우 연동축(23)(23')상의 좌,우 브러쉬(10)(10')를 일정하게 회전 구동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 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 때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5')이 고무롤러(11,11')와 좌우 브러쉬(10)(10') 사이로 위치하고, 고무롤러(11,11')(12,12')를 좌우 브러쉬의 상하부 2곳에 설치하는 구조의 차이를 갖는 것이다.
물론, 상기 롤러구동부(200)는 감속모터(M2)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51)와 상부의 제1아이들기어(52), 제1연동기어(53) 및 제2아이들기어(54), 하부의 제3아이들기어(55), 제2연동기어(56)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C1)을 지그재그로 감합 설치하되, 상기 제1,2연동기어(53)(56)는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1)(152)을 정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3아이들기어(54)(55)의 회전축(153)(154) 타측에 축설된 전달기어(57)(58)와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5)(156)의 제3,4연동기어(61)(62)는 각각 체인(C2)(C3)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5)(156)을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 고무롤러(11,11')(12,12')를 상호 역회전 구동시켜 고기구이판(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 공급하도록 이룬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단지 고기구이판(1)을 고무롤러(11,11')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공급하면서 먼저 노즐(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세척과정을 행한 후, 좌우 브러쉬(10)(10')에 의해 고기구이판(1)의 표면에 늘어 붙은 고기나 기름 등을 세척하는 차이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과정을 마친 고기구이판(1)은 다시 고무롤러(12,12')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무롤러(11,11')(12,12')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단일의 감속모터(M2)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 예에서 고무롤러(13)(13')를 구동시키는 제2연동기어(56) 및 제3아이들기어(55)의 회전축(152)(154)에 축설된 전달기어(63)(64)와 하부의 회전축(157)(158)의 제5,6연동기어(65)(66)를 각각 체 인(C4)(C5)으로 감합 설치하여 구조를 배제한 구조로서 그 밖의 구조 및 작동을 동일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보다 좀더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 고기구이판(1)을 자동 세척하도록 하는 일부 구조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기본적인 구조, 작동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상에는 비록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무롤러(11,11')(12,12')(13,13')의 외주면으로는 고기 구이판(1)을 물고 좌우 브러쉬(10)(10')로 용이하게 진입시키고, 또 이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 각종 형태의 요철이 구성되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간극 조절부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간극 조절부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요부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간극 조절부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 롤러 구동부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무 롤러 구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5,5': 노즐
3: 투입구 4: 배출구
10,10': 브러쉬 11,11',12,12',13,13': 고무롤러
21,21': 회전축 22,22': 구동기어
23,23': 연동축 24,24': 연동기어
25,25':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 30: 수평 나사축
32,32':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 31,31': 나사부
35: 스프로켓 36: 체인(간극 조절부용)
51: 구동기어 52,54, 55: 제1 내지 제3아이들기어
53,56,61,62,65: 제1 내지 제5연동기어 C1,C2,C3: 체인(롤러 구동부용)
100: 간극 조절부 200: 롤러 구동부

Claims (6)

  1. 본체(2) 상부의 투입구(3), 하부의 배출구(4) 사이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10)(10'), 브러쉬 상,하부에서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면서 고기구이판을 이송, 공급하는 다수의 고무 롤러(11,11')(12,12')(13,13'), 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5)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고기구이판(1)을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측방에는 좌우 브러쉬(10)(10')를 폭 조절하여 브러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0)와,
    상기 상,하 고무 롤러(11,11')(12,12')(13,13')를 단일의 감속모터(M2)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200)를 구비하되;
    상기 간극 조절부(100)는 본체(2)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 사이로 상부에 좌우 브러쉬(10)(10')가 장착되는 좌우 연동축(23)(23')이 연결되고, 각각의 중앙에는 회전축(21)(21'), 하단에는 각각 수평 나사축(30)의 오른 나사부(31)와 왼 나사부(3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32)(32')에 축(33) 결합하여 상기 수평 나사축(30)을 회전작동하는 것에 의해 양측의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이 회전축(21)(21')을 중심으로 대향 회전하면서 좌,우 브러쉬(10)(10')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조절부(100)의 일측에는 좌,우 연동축(23)(23')의 측단으로 연동기어(24)(24')를 각각 축설하고, 상기 연동기어는 좌,우 회전축(21)(21')상의 구동기어(22)(22')가 상호 치합 함과 함께 상기 좌측 구동기어(22)는 좌측 연동기어(24)와 우측 구동기어(22')는 우측 연동기어(24')와 치합되어 상기 좌측 회전축(21) 상에 축설된 풀리가 구동모터(M1)의 회전축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17)로 감합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좌,우 구동기어 및 좌,우 연동기어를 연계구동하여 좌,우 브러쉬를 회전 구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조절부(100)는 양측 수평 나사 축(30)(30) 선단에 축설된 스프로켓(35)(35)에 체인(36)을 감합 연결하여 일측 나사축의 회전으로 양측의 나사 축(30)(30)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부(200)는 감속모터(M2)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51)와 상부의 제1아이들기어(52), 제1연동기어(53) 및 제2아이들기어(54), 하부의 제3아이들기어(55), 제2연동기어(56)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C1)을 지그재그로 감합 설치 하되, 상기 제1,2연동기어(53)(56)는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1)(152)을 정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3아이들기어(54)(55)의 회전축(153)(154) 타측에 축설된 전달기어(57)(58)와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5)(156)의 제3,4연동기어(61)(62)는 각각 체인(C2)(C3)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5)(156)을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연동기어(56) 및 제3아이들기어(55)의 회전축(152)(154)에 축설된 전달기어(63)(64)와 하부의 고무롤러(13)(13')가 설치된 회전축(157)(158)의 제5,6연동기어(65)(66)와 각각 체인(C4)(C5)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7)(158)을 정,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 고무롤러(11,11')(12,12')(13,13')를 상호 역회전 구동시켜 고기구이판(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5. 본체(2) 상부의 투입구(3), 하부의 배출구(4) 사이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좌우 브러쉬(10)(10'), 브러쉬 상,하부에서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면서 고기구이판을 이송, 공급하는 고무 롤러(11,11')(12,12'), 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5')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고기구이판(1)을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측방에는 좌우 브러쉬(10)(10')를 폭 조절하여 브러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0)와,
    상기 상,하 고무 롤러(11,11')(12,12')를 단일의 감속모터(M2)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200)를 구비하되;
    상기 간극 조절부(100)는 본체(2)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 사이로 상부에 좌우 브러쉬(10)(10')가 장착되는 좌우 연동축(23)(23')이 연결되고, 각각의 중앙에는 회전축(21)(21'), 하단에는 각각 수평 나사축(30)의 오른 나사부(31)와 왼 나사부(3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브러쉬 간격 이동 조절구(32)(32')에 축(33) 결합하여 상기 수평 나사축(30)을 회전작동하는 것에 의해 양측의 좌,우 브러쉬 간격 조절 지지편(25)(25')이 회전축(21)(21')을 중심으로 대향 회전하면서 좌,우 브러쉬(10)(10')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부(200)는 감속모터(M2)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기어(51)와 상부의 제1아이들기어(52), 제1연동기어(53) 및 제2아이들기어(54), 하부의 제3아이들기어(55), 제2연동기어(56)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C1)을 지그재그로 감합 설치하되, 상기 제1,2연동기어(53)(56)는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1)(152)을 정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3아이들기어(54)(55)의 회전축(153)(154) 타측에 축설된 전달기어(57)(58)와 고무롤러(11')(12')가 설치된 회전축(155)(156)의 제3,4연동기어(61)(62)는 각각 체인(C2)(C3)으로 감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55)(156)을 역회 전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 고무롤러(11,11')(12,12')를 상호 역회전 구동시켜 고기구이판(1)을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20070073848A 2007-07-24 2007-07-24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078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848A KR100787983B1 (ko) 2007-07-24 2007-07-24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848A KR100787983B1 (ko) 2007-07-24 2007-07-24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983B1 true KR100787983B1 (ko) 2007-12-24

Family

ID=3914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848A KR100787983B1 (ko) 2007-07-24 2007-07-24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211B1 (ko) 2009-02-05 2009-07-16 대부인더스(주)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200446849Y1 (ko) 2008-01-07 2009-12-0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1061453B1 (ko) * 2009-08-10 2011-09-01 주식회사 케이씨텍 롤브러시의 간격 조정장치
KR101220655B1 (ko) * 2012-03-29 2013-02-07 임미경 고기구이판 자동세척기
KR101269804B1 (ko) 2012-03-27 2013-06-04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식판 세척기의 브러시 보호장치
CN110301875A (zh) * 2019-07-30 2019-10-08 福建农林大学 一种盘碟洗刷机及其工作方法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한신테크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999A (ja) * 1991-10-21 1994-03-08 Maeda Denki Seisakusho:Kk 油脂の付着した用具の自動洗浄装置
KR970008277U (ko) * 1995-08-10 1997-03-27 윤영숙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기
KR20000038754A (ko) * 1998-12-09 2000-07-05 한남천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KR20010036348A (ko) * 1999-10-07 2001-05-07 조동춘 고기구이판 세척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999A (ja) * 1991-10-21 1994-03-08 Maeda Denki Seisakusho:Kk 油脂の付着した用具の自動洗浄装置
KR970008277U (ko) * 1995-08-10 1997-03-27 윤영숙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기
KR20000038754A (ko) * 1998-12-09 2000-07-05 한남천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KR20010036348A (ko) * 1999-10-07 2001-05-07 조동춘 고기구이판 세척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49Y1 (ko) 2008-01-07 2009-12-0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0908211B1 (ko) 2009-02-05 2009-07-16 대부인더스(주)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101061453B1 (ko) * 2009-08-10 2011-09-01 주식회사 케이씨텍 롤브러시의 간격 조정장치
KR101269804B1 (ko) 2012-03-27 2013-06-04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식판 세척기의 브러시 보호장치
KR101220655B1 (ko) * 2012-03-29 2013-02-07 임미경 고기구이판 자동세척기
CN110301875A (zh) * 2019-07-30 2019-10-08 福建农林大学 一种盘碟洗刷机及其工作方法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한신테크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983B1 (ko)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06766690B (zh) 周转筐脱水装置及周转筐清洗脱水机
WO2009084765A1 (en) Vegetable washing apparatus and system
KR101989508B1 (ko) 무 박피장치
KR200446849Y1 (ko)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200321630Y1 (ko) 과일세척장치
CN114074083A (zh) 一种铜箔制造表面加工处理设备
KR100824373B1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11789157A (zh) 一种瓶装牛肉酱生产过程中冷冻牛肉化冻装置
KR100292206B1 (ko) 육류 구이판 세척기
KR200481340Y1 (ko) 브러쉬 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자동 세척기
CN115477146A (zh) 一种五金件生产用磁性输送机
KR20030086121A (ko) 자동 신발세척기
CN210943661U (zh) 一种方便面生产线的清洗网链装置
CN212424524U (zh) 一种高强度螺栓生产用辅助装置
KR20140005003A (ko) 자동 불판 세척장치
KR20130056439A (ko) 어묵 다단식 탈유기
US1937258A (en) Screen or tray washing machine
KR200163319Y1 (ko) 식판세척기
US4259063A (en) Apparatus for a heat treatment of products
KR200268420Y1 (ko) 육류 구이판 세척기의 브러쉬 간격조절장치
KR102289757B1 (ko) 석쇠 세척장치
CN215031441U (zh) 一种耐磨钢球毛刷清洗装置
CN216470242U (zh) 一种方解石输送装置
CN214555667U (zh) 一种椰肉的除杂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