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373B1 -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373B1
KR100824373B1 KR1020070042616A KR20070042616A KR100824373B1 KR 100824373 B1 KR100824373 B1 KR 100824373B1 KR 1020070042616 A KR1020070042616 A KR 1020070042616A KR 20070042616 A KR20070042616 A KR 20070042616A KR 100824373 B1 KR100824373 B1 KR 10082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at
roasting plate
driving
bru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창
Original Assignee
홍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창 filed Critical 홍기창
Priority to KR102007004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본체(2) 내부에 회전 구동하는 상,하 브러쉬(5)(6)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8)과, 상기 상하 브러쉬 사이로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9)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2)의 양 측방에는 상기 상,하 브러쉬(5)(6)를 상하로 일정하게 이동 조절하여 사이 간극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10)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9)는 후방 구동축(31)과 전방 연동축(32)의 양측에 이송 체인(35)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감합되는 스프로킷(31a)(32a)을 축설하되, 상기 이송체인은 더블체인으로 구성하고, 또 고기 구이판(1)의 크기에 따라 폭 조절 가능함은 물론 고기 구이판을 파지하여 이송하도록 지지홈(36a)을 갖는 브라켓(36)과 이탈 방지편(36b)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기 구이판이 크기에 상관없이 안정되게 파지되어 이송되면서 세척되기 때문에 브러쉬에 의한 세척 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상하 브러쉬 마모시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승 하강하면서 간극을 조절하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일정하고 그리고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고기, 구이판, 이송체인, 세척, 세척장치, 브러쉬, 세척수, 간극조절

Description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Automatic washer of roast meat pan}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여주는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간극 조절부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간극 조절부간의 동력전달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 체인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5,6: 브러쉬
8: 노즐 9: 컨베이어
10: 간극 조절부 11,11': 구동축
12,12': 구동기어 13,13': 연동축
14,14': 연동기어 15,15': 브라켓
20: 나사축 21: 오른 나사부
21': 왼 나사부 22,22': 너트부
23: 힌지 25: 기어
26: 체인 31: 구동축
31a,32a: 스프로킷 32: 연동축
34: 고정볼트 35: 이송체인
36: 브라켓 36a: 지지홈
36b: 이탈 방지편 40: 세척수 받이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 구동하는 상하 브러쉬 사이로 하향 경사지게 고기 구이판을 안내하면서 세척하되, 상기 브러쉬의 마모에 따라 간격을 조절함과 함께 고기 구이판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파지 상태로 이송하면서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구조를 간단화 한 육류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 구이판은 불고기, 갈비 등과 같은 고기를 올려놓고 불에 구워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고기 구이판은 가열원으로 부터 직접 전달되는 열에 의해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은 증발되고 기름과 고기의 표면이 연소 됨과 함께 고기의 표면이 구이판에 늘어 붙어 구이판을 오염시기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고기 구이판은 자주 교 체하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고기 구이판은 수거하여 세척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세제가 섞인 세척수에 적정 시간 담가 둔 후, 수세미 등으로 표면을 문질러 세척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행함으로써 작업의 번거로움과 함께 세척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은 물론 기름때 제거를 말끔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여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기한 고기 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다수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한 쌍의 브러쉬 사이로 구이판을 통과시키고 일 측에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브러쉬는 구이판 세척과정에서 마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브러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는 한 쌍의 브러쉬 양측을 일정하게 조절하지 못하면서 브러쉬 사이의 간극이 불균형해지고 이는 상기 한 쌍의 브러쉬 사이를 통과하는 구이판 표면의 세척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기 구이판의 이송 공급을 컨베이어 방식에 의해 이송공급하면서 상기 구이판이 일정하게 공급되지 못함은 물론 브러쉬 사이로 원활히 인입되지 못하여 세척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기 구이판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반해 상기 구이판을 브 러쉬 사이로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어 상기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세척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척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알려지고 있는 세척장치들은 세척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작업성, 생산성, 경제성 등이 현저하게 낮아 제품의 공급 가격이 높아 제품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회전 구동하는 상하 브러쉬 사이로 하향 경사지게 고기 구이판을 안내하면서 고기 구이판의 이송 공급 및 세척 효율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제품 신뢰도, 우수한 제작성, 구조의 간단화로 인한 생산 단가의 저감을 통한 경제성 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 브러쉬의 간격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고기 구이판의 크기에 따라 폭 조절하면서 상기 구이판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 공급하면서 브러쉬에 의한 세척 효율을 더욱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회전 구동하는 상,하 브러쉬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과, 상기 상하 브러쉬 사이로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의 양 측방에는 상기 상,하 브러쉬를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 사이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후방 구동축과 전방 연동축의 양측에 이송 체인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감합되는 스프로킷을 축설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의 양측에 축설되는 스프로킷 중 일 측의 스프로킷은 고기 구이판의 크기에 따라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송 체인에 고기 구이판을 후방 및 외 측방으로 지지하는 브라켓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간극 조절부는 상,하부 구동축의 일측단에 축설된 구동기어를 상호 치합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하 브러쉬가 축설되는 상,하부 연동축의 일측단에 축설된 연동기어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회전구동하되;
상기 간극 조절부의 상부 구동축과 연동축, 하부 구동축과 연동축의 양단은 각각 구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상,하 브라켓상에 대향 축설하되고, 상기 상,하 브라켓의 일측단은 수직 나사축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너트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상,하 나사축을 회전작동하는 것에 의해 브라켓이 상하로 대향되게 회전하면서 상,하 브러쉬의 간극을 조절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 양측 간극 조절부가 각 수직 나사축 상부에 축설된 기어로 체인을 감합하여 상기 양측의 간극 조절부가 동시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내부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상,하 브러쉬(5)(6)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8)과, 상기 상하 브러쉬 사이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구동하면서 상,하 브러쉬(5)(6) 사이로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9)로 대별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양 측방에는 상기 상,하 브러쉬(5)(6)를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 상,하 브러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9)는 후방에 감속 회전되는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31)과 전방에 연동축(32)을 축설하여 상기 구동축(31)과 연동축(32)의 양측에 이송 체인(35)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감합되는 스프로킷(31a)(32a)을 축설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31)과 연동축(32)상의 스프로킷(31a)(32a)에 감합되는 이송 체인(35)은 더블 체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31)과 연동축(32)의 양측에 축설되는 스프로 킷(31a)(32a) 중 일 측의 스프로킷(31a)(32a)은 구동축(31)과 연동축(32)에 고정볼트(34)로 각각 체결 고정되어 상기 고기 구이판(1)의 크기에 따라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체인(35)에는 고기 구이판(1)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홈(36a)을 갖는 브라켓(36)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고기 구이판(1)을 파지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6)의 외측에는 고기 구이판(1)의 크기에 따라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편(36b)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극 조절부(10)(10)는 상,하부 구동축(11)(11')의 일측단에 축설된 구동기어(12)(12')를 상호 치합하고, 상기 구동기어(12)(12')는 상,하 브러쉬(5)(6)가 축설되는 상,하부 연동축(13)(13')의 일측단에 축설된 연동기어(14)(14')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회전구동하되;
상기 간극 조절부(10)(10)의 상부 구동축(11)과 연동축(13), 하부 구동축(11')과 연동축(13')의 양단은 각각 구동축(11)(11')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상,하 브라켓(15)(15')상에 대향 축설하고, 상기 상,하 브라켓(15)(15')의 일측단은 수직 나사축(20)의 오른나사부(21)와 왼나사부(2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너트부(22)(22')에 힌지(23) 결합하여 상기 상,하 나사축(20)을 회전작동하는 것에 의해 상,하 브라켓(15)(15')이 상하로 대향되게 회전하면서 상,하 브러쉬(5)(6)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의 일 측 간극 조절부(10)에는 하부 구동축(11')상에 축 설된 풀리가 구동모터(M1)의 구동축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17)로 감합되어 구동기어(12)(12') 및 연동기어(14)(14')를 연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 양측의 간극 조절부(10)(10)는 각 수직 나사축(20)(20) 상부에 축설된 기어(25)로 체인(26)을 감합하여 상기 양측의 간극 조절부(10)(10)가 동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모아 일정한 곳으로 배수하도록 배수구(45)를 갖는 세척수 받이(40)가 설치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2-1은 본체(2)의 고기 구이판(1) 투입구, 2-2는 배출구, 50은 본체(2) 저면의 이송바퀴, 55는 보강프레임, 60은 일측 간극 조절부(10)의 수직 나사축(20)에 마련되는 조절 핸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원을 온 작동하여 구동 모터(M1)을 구동하여 상,하 브러쉬(5)(6)를 구동함과 함께 구동모터(M2)를 구동하여 컨베이어(9)를 이송시킨다. 이때 컨베이어(9)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M2)는, 상,하 브러쉬(5)(6)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M1)에 비하여 감속 회전된다. 즉, 상, 하 브러쉬(5)(6)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컨베이어(9)를 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여 고기 구이판(1)의 안정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노즐(8)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작동하여 세척준비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세척준비가 완료되면, 본체(2)의 투입구(2-1)를 통해 컨베이어(9) 의 이송체인(35)으로 세척하고자 하는 고기 구이판(1)을 이송한다.
즉, 상기 이송체인(35)인 더블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브라켓(36)의 지지홈(36a)으로 고기 구이판(1)을 삽입하여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기 구이판(1)의 외 측은 이탈 방지편(36a)이 지지하게 된다.
이는 고기 구이판(1)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35)을 더블 체인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체인(35)의 브라켓(36)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고기 구이판(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송되어 상,하 브러쉬(5)(6)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호 역회전하는 상,하 브러쉬(5)(6)에 의한 세척 및 노즐(8)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세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기 구이판(1)은 이송체인(35)의 브라켓(36)에 지지되어 후방이나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게 이송되면서 상기 상,하 브러쉬(5)(6)에 의한 세척 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척된 고기 구이판(1)은 컨베이어(9) 후방에서 자동 수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과정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부의 세척수 받이(40)에 의해 모아져 배출구(45)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고기 구이판(1)을 파지한 상태로 자동이송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 이송하면서 상,하 브러쉬(5)(6)에 의한 세척을 자동으로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기 구이판(1)의 세척과정에서 상기 고기 구이판(1)의 크기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9)의 좌우 이송체인(35)의 폭 간격을 조절하여 고기 구이판(1)을 효과적으로 파지한 상태로 이송하면서 세척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이는 상기 컨베이어(9)의 구동축(31)과 연동축(32)의 일 측에 축설된 스프로킷(31a)(32a)을 고정한 고정볼트(34)를 해제하여 구동축(31)과 연동축(32)상에 동일하게 위치 이동하여 다시 고정하므로 상기 이송체인(35)의 폭 간격을 조절하여 고기 구이판(1)을 효과적으로 파지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상,하 브러쉬(5)(6)가 고기 구이판(1)을 많이 세척함에 따라 마모되면서 브러쉬(5)(6) 사이의 간극이 벌어져 세척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하 브러쉬(5)(6) 간극을 조절하므로 세척 효율을 높이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2) 양측으로 구비되는 간극조절부(10)(10)는 일 측 조절부의 수직 나사축(20) 상부의 핸들(60)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간극 조절부(10)(10)의 수직 나사축(20)(20) 상부에 축설된 기어(25)(25)가 체인(26)에 감합 연결되어 동시에 좌우 간극 조절부(10)(10)에 의한 간극 조절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하 브러쉬(5)(6)의 좌우 간극을 일정하게 승 하강 조절하게 되므로 고기 구이판(1)의 세척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간극 조절부(10)의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간극 조절부(10)의 수직 나사축(20)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수직 나사축(20)의 오른 나사부(21)와 왼나사부(2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너트부(22)(22')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대향 이동하면서 상기 너트부(22)(22')에 힌지 연결된 상,하 브라켓(15)(15')을 상하로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 브라켓(15)(15')의 상하 회전은 상,하부 구동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상,하 브라켓(15)(15')에 축설된 연동축(13)(13')이 상하로 회전되어 상기 연동축에 축설된 상,하 브러쉬(5)(6)가 상하로 회전되어 간극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15)(15')의 상하 회전에도 상기 브러쉬(5)(6)의 회전구동은 동일하게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축(11')상에 축설된 풀리가 구동모터(M1)의 구동축에 축설된 풀리와 벨트(17)로 감합되어 구동하고, 상기 구동축(11')상에 축설된 구동기어(12')와 상부 구동기어(12)가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12)(12')에 각각 연동기어(14)(14')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브러쉬(5)(6)를 일정하게 회전 구동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면상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더블 체인 형태의 이송체인(35)을 가이드 하는 스프로킷(31a)(32a) 중, 특히 직경이 큰 일 측 스프로킷(31a)을 더블 형태의 스프로킷 형태가 아니라 단일 스프로킷 형태로 특수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부분적이나마 부품의 가격을 낮춤으로써 전체 제품의 코스트가 낮아지는데 일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일 측 스프로킷(31a)의 크기를 타측 스프로킷(32a)에 비하여 크게 함으로써 종래 세척장치에서 동일한 직경의 스프로킷을 사용함에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소요 수를 최소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세척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회전구동하는 상하 브러쉬 사이로 하향 경사지게 고기 구이판을 이송 안내하면서 상,하 브러쉬와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되, 상기 고기 구이판은 구이판의 크기에 따라 폭 조절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에 마련되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기 구이판을 파지하여 이송공급하면서 세척 효율을 극대화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 브러쉬의 마모 발생시에 상하 브러쉬를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승하강하면서 간극을 조절하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도 불구하고 고기 구이판의 세척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본체(2) 내부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상,하 브러쉬(5)(6)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8)과, 상기 상하 브러쉬 사이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구동하면서 상,하 브러쉬(5)(6) 사이로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9)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2)의 양 측방에는 상기 상,하 브러쉬(5)(6)를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 상,하 브러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부(10)(10)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9)는 후방에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31)과 전방에 연동축(32)을 축설하여 상기 구동축(31)과 연동축(32)의 양측에 고기 구이판(1)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홈(36a)을 갖는 브라켓(36)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진 이송체인(35)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감합되는 스프로킷(31a)(32a)이 축설되어 고기 구이판을 자동 세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1)과 연동축(32)상의 스프로킷(31a)(32a)에 감합되는 이송 체인(35)은 더블 체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1)과 연동축(32)의 양측에 축설되는 스프로킷(31a)(32a) 중 일 측의 스프로킷(31a)(32a)은 구동축(31)과 연동축(32)에 고정볼트(34)로 각각 체결 고정되어 상기 고기 구이판(1)의 크기에 따라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6)의 외 측에는 고기 구이판(1)의 크기에 따라 외 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편(36b)을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조절부(10)(10)는 상,하부 구동축(11)(11')의 일측단에 축설된 구동기어(12)(12')를 상호 치합하고, 상기 구동기어(12)(12')는 상,하 브러쉬(5)(6)가 축설되는 상,하부 연동축(13)(13')의 일측단에 축설된 연동기어(14)(14')와 각각 치합되어 상호 회전구동하되;
    상기 간극 조절부(10)(10)의 상부 구동축(11)과 연동축(13), 하부 구동축(11')과 연동축(13')의 양단은 각각 구동축(11)(11')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가능하게 상,하 브라켓(15)(15')을 대향 축설하고, 상기 상,하 브라켓(15)(15')의 일측단은 수직 나사축(20)의 오른나사부(21)와 왼나사부(21')에 각각 대응되게 나사 결합된 너트부(22)(22')에 힌지(23) 결합하여 상기 나사축(20)을 회전작동하는 것에 의해 상,하 브라켓(15)(15')이 상하로 대향되게 회전하면서 상,하 브러쉬(5)(6)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 양측의 간극 조절부(10)(10)는 각 수직 나사축(20)(20) 상부에 축설된 기어(25)로 체인(26)을 감합하여 상기 양측의 간극 조절부(10)(10)가 동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20070042616A 2007-05-02 2007-05-02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082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16A KR100824373B1 (ko) 2007-05-02 2007-05-02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616A KR100824373B1 (ko) 2007-05-02 2007-05-02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373B1 true KR100824373B1 (ko) 2008-04-23

Family

ID=3957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616A KR100824373B1 (ko) 2007-05-02 2007-05-02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49Y1 (ko) 2008-01-07 2009-12-0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한신테크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20Y1 (ko) 2001-12-12 2002-03-16 문정수 육류 구이판 세척기의 브러쉬 간격조절장치
KR200272677Y1 (ko) * 2002-01-16 2002-04-18 차귀운 구이판 세척기
KR200295663Y1 (ko) * 2002-09-04 2002-11-18 윤영숙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20Y1 (ko) 2001-12-12 2002-03-16 문정수 육류 구이판 세척기의 브러쉬 간격조절장치
KR200272677Y1 (ko) * 2002-01-16 2002-04-18 차귀운 구이판 세척기
KR200295663Y1 (ko) * 2002-09-04 2002-11-18 윤영숙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49Y1 (ko) 2008-01-07 2009-12-0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한신테크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983B1 (ko)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06766690B (zh) 周转筐脱水装置及周转筐清洗脱水机
KR20160056706A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WO2021077349A1 (zh) 一种太阳能发电装置的清洁系统
EP2234507A1 (en) Vegetable wash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824373B1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212574032U (zh) 一种瓶装牛肉酱生产过程中冷冻牛肉化冻装置
KR200446849Y1 (ko)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11789157A (zh) 一种瓶装牛肉酱生产过程中冷冻牛肉化冻装置
CN208850617U (zh) 一种土豆脱皮机构及脱皮机
CN209901829U (zh) 一种清洗装置
CN112620191A (zh) 一种南瓜加工用高效清洗设备
CN113856860B (zh) 一种冻肉绞肉机的上料装置
KR200481340Y1 (ko) 브러쉬 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자동 세척기
KR100292206B1 (ko) 육류 구이판 세척기
CN213103662U (zh) 装料箱自动清洗系统
CN210943661U (zh) 一种方便面生产线的清洗网链装置
KR101301887B1 (ko) 어묵 다단식 탈유기
KR101412333B1 (ko) 브러시세척기
CN206492738U (zh) 用于螺栓的清洗装置
CN207293439U (zh) 一种刮板猪粪输送机
KR20140005003A (ko) 자동 불판 세척장치
CN219674760U (zh) 一种魔芋食品加工用烘干上料设备
CN219939502U (zh) 一种双面烘烤机
CN215477922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隧道式循环电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