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666A -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666A
KR20220015666A KR1020200095975A KR20200095975A KR20220015666A KR 20220015666 A KR20220015666 A KR 20220015666A KR 1020200095975 A KR1020200095975 A KR 1020200095975A KR 20200095975 A KR20200095975 A KR 20200095975A KR 20220015666 A KR20220015666 A KR 20220015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motor
meat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신익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신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666A/ko
Publication of KR2022001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2Cleaning travelling work, e.g. a web, article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rotary operative members
    • B08B1/12
    • B08B1/20
    • B08B1/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의 표면에 미세 스크레치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후속적으로 수세나 초음파 세척을 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 및 세로 틀체에 의해 짜맞춰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측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모터와, 제1모터의 가동시에 회전하도록 각각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과, 이들 메인 및 종동 스프로킷에 감겨 회전함과 동시에 간격을 두고 하나씩 탑재되는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기 위한 회전궤도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일측에 장착된 제2모터의 가동시에 회전하여 고기 구이판의 상단부 표면에 스크레치를 형성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미 사용된 구이판을 회전궤도 상에 순차적으로 올려놓기만 하면 회전 브러쉬의 가압에 의해 구이판의 표면에 미세 스크레치를 형성하면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고, 후속 수세작업이나 혹은 초음파 세척작업 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장비의 간소화로 인한 설치 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됨은 물론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Cleaning device for roasting plate}
본 발명은 주로 음식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각종 고기 구이판의 표면에 미세 스크레치(scratch)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후속적으로 수세나 초음파 세척을 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음식점에서는 각종 육가공류를 구워 조리를 행하기 위한 구이판이 많이 사용된다. 즉 고기를 올려놓고 가열원으로 조리할 때 직접 전달되는 열에 의해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증발되고 또 기름과 고기의 표면이 연소되면서 구이판에 늘어 붙어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기를 굽는 도중에 수시로 구이판을 교체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항시 존재한다.
통상, 이미 사용된 고기 구이판은 수거되어 늘어 붙은 고기와 기름 등을 세척한 후 재 사용하게 되는데, 주로 세제가 섞인 세척수에 적정 시간동안 담가 둔 상태에서 철제 수세미 등으로 표면을 문질러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세척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세척된 구이판이라 하더라도 기름때 제거를 말끔하게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기 구이판의 기계적인 세척장치와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1-0036348호에 개시된 고기 구이판 세척시스템은 제1 및 제2지지판이 타이밍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들을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요구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타이밍벨트의 마모에 의해 동력전달이 부정확해짐은 물론 와이어 브러쉬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등록특허 제0787983호에 개시된 기술은 감속기로부터 하나의 체인을 각 스프로킷에 걸어 고무롤러를 가압 이동시킴에 따라 고무롤러 구동에 따른 과부하로 인해 체인이 끊어지거나 또는 체인이 걸어지는 스프로킷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0978417호에 개시된 불판용 초음파 세척기의 경우에는 불판을 불판지지랙에 작업자가 지지시켜야 하므로 불판 세척작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단순히 불판지지랙에 지지된 불판을 초음파 발생기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되고 펌핑부에 의해 세척수가 순환되는 것에 의해 불판을 세척하게 되므로 점착된 이물질이 불판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0362003호(2002.11.09 등록)- 식판 및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등록특허 제0434733호(2004.05.25 등록)-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등록특허 제0824373호(2008.04.16 등록)-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등록특허 제0787983호(2007.12.14 등록)- 수직형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사용된 구이판의 표면을 브러쉬로 가압하여 미세 스크레치를 형성한 상태에서 수세나 초음파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종전에 비해 세척 효율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 및 세로 틀체에 의해 짜맞춰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측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모터와, 제1모터의 가동시에 회전하도록 각각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과, 이들 메인 및 종동 스프로킷에 감겨 회전함과 동시에 간격을 두고 하나씩 탑재되는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기 위한 회전궤도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일측에 장착된 제2모터의 가동시에 회전하여 고기 구이판의 상단부 표면에 스크레치를 형성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 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 스프로킷은 프레임의 측면부에 장착된 텐션조절기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텐션조절기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지지편을 기준으로 전,후 이동하는 나사축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브러쉬 유닛은 수평판 및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수직판 사이에 장착되어 제2모터의 가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로 구성된다.
또, 상기 브러쉬 유닛은 상,하 수직방향으로의 미세 위치이동을 행하기 위한 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이 조절유닛은 하우징을 구성하는 수평판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볼트축과, 이 볼트축의 하측 선단부에 배치되어 수직판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이미 사용된 구이판을 회전궤도 상에 순차적으로 올려놓기만 하면 회전 브러쉬의 가압에 의해 구이판의 표면에 미세 스크레치를 형성하면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수세작업이나 혹은 초음파 세척작업 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장비의 간소화로 인한 설치 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됨은 물론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882809호에 개시된 초음파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초음파 세척기의 배면의 공간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수세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도 5의 정면도,
도 9는 스프로킷의 텐션 조절기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10은 브러쉬 조절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선행기술의 예로서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되어 선등록 받은 바 있는 특허 제1882809호에 개시된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세척기(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은 사각형상의 함체로 형성되어 바닥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도면부호 생략)가 스토퍼를 갖추어 설치되고, 상면에는 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한 세척조(111)가 형성되며, 이 세척조(111)의 하부에는 버블발생부(112), 온도조절부재(190) 및 제어부(160)가 공간부(110a)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척조(111)의 바닥면 일측에는 세척이 완료된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상부에 걸름망(도면부호 생략)이 안착되고 하부에 개폐밸브(도시생략)가 내설된 배수관(113)이 연결되고,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배수관(113)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세척조(111)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밸브개폐용 레버(114)가 설치된다.
상기한 하우징(110)의 상면 후단에는 작동판넬(161)이 설치되는 판넬(110b)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발생부(120)는 하우징(110)의 세척조(111) 배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사용자가 작동버튼을 가동시킴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조(111)에 실장된 식판 및 불판의 미세한 부분까지 세척수를 침투시키게 된다.
상기 가열부재(130)는 하우징(110)의 세척조(111) 바닥면 타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세척조(111)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식판 또는 불판에 기름이나 점착된 이물질을 불릴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온도조절부재(190)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버블분사부재(140)는 가열부재(130) 일측에 위치하여 세척조(111)의 바닥면에 호스를 매개로 하우징(110)의 공간부(110a)에 설치된 버블발생부(112)와 연결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세척조(111)에 실장되어 불린 식판 또는 불판에 점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수단(150)은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세척조(110)에서 초음파와 버블로도 제거되지 않고 식판 또는 불판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수세수단(150)은 세척조(111)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격판(151)에 의해 제1 및 제2수세용 공간부(152a,152b)가 형성되며, 전면에 온/오프 버튼(도면부호 생략)이 설치되는 수세용 하우징(152)과, 이 수세용 하우징(152)의 제1수세용 공간부(152a)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함과 동시에 구동축(도면부호 생략)이 제2수세용 공간부(152b)로 돌출되는 수세용 구동모터(153)와, 이 수세용 구동모터(153)의 구동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수세용 공간부(152b)에 설치되어 식판 또는 불판을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용 브러쉬(154)와, 이 수세용 브러쉬(154)의 하부측 제2수세용 공간부(152b)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식판 또는 불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수세용 안착대(155)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세용 공간부(152a)의 상면에는 이물질 또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힌지축에 의해 개폐가능한 수세용 도어(150a)가 구비되며, 상기 수세용 안착대(155)의 상면 일측에는 식판 또는 불판(A)을 수세용 브러쉬(154) 측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고정판(155a) 및 이 고정판(155a)의 일면에 압축스프링(156)을 매개로 연결되는 가압판(15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세용 안착대(155)의 저면에는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수세용 안착대(155)를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요동시켜 식판 또는 불판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실린더(158a) 및 피스톤(158b)으로 이루어진 요동부재(15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세용 공간부(152b) 하부에는 수세용 브러쉬(154)의 회전에 의해 식판 또는 불판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망으로 이루어진 이물질 포집통(159)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식판이나 불판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초음파와 버블로 제거한 다음 다시 수세용 브러쉬를 가동시켜 잔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장비 자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비교적 높은 가격을 형성할 수 밖에 없는 것임은 물론 장비의 대형화로 인해 실질적인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고기 구이판에 붙어 있는 이물질들을 스크레칭 기능으로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비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첨부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30)과, 이 프레임(30)의 측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모터(35A,35B)와, 제1모터(35A)의 가동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 스프로킷(40A) 및 종동 스프로킷(40B)과, 이들 메인 및 종동 스프로킷(40A,40B)에 각각 감겨져 회전하면서 구이판(T)을 이송시키는 회전궤도(45)와, 제2모터(35B)의 가동시에 작동하는 브러쉬 유닛(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30)은 가로 틀체(31a)와 세로 틀체(31b)에 의해 상호 짜맞춰져 전체 장비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의 모서리부분에는 브레이크를 갖춘 바퀴(도시생략)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프레임(30)의 측면부 일측에 제1모터(35A)를 포함한 제2모터(35B)가 각각 장착되어 작업자에 의해 스위치 박스(32) 상의 누름버튼(33)을 작동시키는 경우에 온/오프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의 상측 테이블(34)에는 각 구동축의 양단에 메인 스프로킷(40A)과 종동 스프로킷(40B)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스프로킷(40A,40B)에는 회전궤도(45)가 맞물려 제1모터(35A)의 가동시에 메인 및 종동 스프로킷(40A,40B) 사이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회전궤도(45) 상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바(41)가 장착되어 작업자에 의해 구이판(T)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탑재할 수 있게 되며, 회전궤도(45)의 하측에 구이판(T)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받아내기 위한 상자형의 받침대(42)가 구비되어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종동 스프로킷(40B) 측은 프레임(30)의 측면부에 장착된 텐션 조절기(43)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텐션 조절기(43)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지지편(44a)을 기준으로 전,후 이동하는 나사축(44b)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 유닛(50)은 제1모터(35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모터(35B)에 의해 작동하면서 구이판(T)의 표면에 가압하여 미세 스크레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들 제1 및 제2모터(35A,35B)의 경우 속도를 가감시킬 수 있는 통상의 시판 제품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브러쉬 유닛(50)의 경우 수평판(51a) 및 수직판(51b)으로 이루어져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52) 및 이 하우징(52)의 수직판(51b) 사이에 장착되어 제2모터(35B)의 가동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5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회전궤도(45) 상에 탑재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구이판(T)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브러쉬 유닛(50)은 상,하 수직방향으로의 미세 위치이동을 행하여 브러쉬(53)의 높낮이를 가감시키기 위한 조절유닛(55)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조절유닛(55)은 하우징(52)을 구성하는 수평판(51a)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볼트축(56)과, 이 볼트축(56)의 하측 선단부에 배치되어 수직판(51b)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브러쉬 축이 조립되는 몸체(57)와, 이 몸체(57)의 상,하측에 각각 개재되어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58a,58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기가 구워져 잔유물이 늘어붙은 구이판(T)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우선 누름버튼(33)의 조작에 의해 장비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제1모터(35A)의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회전궤도(45) 상에 구이판(T)을 순차적으로 올려줌에 따라 브러쉬 유닛(5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모터(35B)의 가동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브러쉬(53)가 구이판(T)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스크레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구이판(T)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들은 받침대(42)로 곧바로 떨어지게 된다.
그 후, 브러쉬 유닛(50)을 통과한 구이판(T)은 장비에 인접 배치된 적재대(도시생략) 상에 차례대로 탑재하여 세척조(도시생략)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세척조의 내부로 직접 투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조 내로 투입된 구이판(T)을 강한 물살로 수세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구이판(T)의 전체 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궤도(45)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30)의 측면부에 장착되어 있는 텐션조절기(43)의 나사축(44b)을 전,후 방향으로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종동 스프로킷(40B)의 구동축을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 유닛(50)을 구성하는 브러쉬(53)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52)을 구성하는 수평판(51a) 상의 볼트축(56)을 조이거나 풀어주게 되면 수직판(51b)에 장착된 몸체(57)가 스프링(58a,58b)에 의해 탄력있게 승,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궤도(45)와 브러쉬(53) 사이의 간격을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에 의하면, 이미 사용된 구이판을 회전궤도 상에 순차적으로 올려놓기만 하면 회전 브러쉬의 가압에 의해 구이판의 표면에 미세 스크레치를 형성하면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수세작업이나 혹은 초음파 세척작업 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장비의 간소화로 인한 설치 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됨은 물론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 프레임 31a: 가로틀체
31b: 세로틀체 32: 스위치 박스
33: 누름버튼 34: 테이블
34A: 제1모터 35B: 제2모터
40A: 메인 스프로킷 40B: 종동 스프로킷
41: 걸림바 42: 받침대
43: 텐션 조절기 44a: 지지편
44b: 나사축 45: 회전궤도
50: 브러쉬 유닛 51a: 수평판
51b: 수직판 52: 하우징
53: 브러쉬 55: 조절유닛
56: 볼트축 57: 몸체
58a,58b: 스프링

Claims (4)

  1. 가로 및 세로 틀체에 의해 짜맞춰지는 프레임(30)과,
    이 프레임의 측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모터(35A,35B)와,
    제1모터의 가동시에 회전하도록 각각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 스프로킷(40A) 및 종동 스프로킷(40B)과,
    이들 메인 및 종동 스프로킷에 감겨 회전함과 동시에 간격을 두고 하나씩 탑재되는 고기 구이판을 이송하기 위한 회전궤도(45)와,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 일측에 장착된 제2모터(35B)의 가동시에 회전하여 고기 구이판의 상단부 표면에 스크레치를 형성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 유닛(5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스프로킷(40B)은 프레임(30)의 측면부에 장착된 텐션조절기(43)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텐션조절기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지지편(44a)을 기준으로 전,후 이동하는 나사축(44b)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유닛(50)은 수평판 및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52)과, 이 하우징의 수직판 사이에 장착되어 제2모터의 가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5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유닛(50)은 상,하 수직방향으로의 미세 위치이동을 행하기 위한 조절유닛(55)을 구비하며, 이 조절유닛은 하우징을 구성하는 수평판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볼트축(56)과, 이 볼트축의 하측 선단부에 배치되어 수직판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57)와, 이 몸체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8a,58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KR1020200095975A 2020-07-31 2020-07-31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KR20220015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75A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0-07-31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75A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0-07-31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66A true KR20220015666A (ko) 2022-02-08

Family

ID=8025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75A KR20220015666A (ko) 2020-07-31 2020-07-31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178A (zh) * 2022-02-22 2022-05-27 盐城工学院 一种多晶硅的加工用灰尘清理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003B1 (ko) 2000-10-18 2002-11-29 김성부 식판 및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KR100434733B1 (ko) 2001-11-15 2004-06-04 배병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KR100787983B1 (ko) 2007-07-24 2007-12-2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0824373B1 (ko) 2007-05-02 2008-04-23 홍기창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003B1 (ko) 2000-10-18 2002-11-29 김성부 식판 및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KR100434733B1 (ko) 2001-11-15 2004-06-04 배병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KR100824373B1 (ko) 2007-05-02 2008-04-23 홍기창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0787983B1 (ko) 2007-07-24 2007-12-24 홍기창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178A (zh) * 2022-02-22 2022-05-27 盐城工学院 一种多晶硅的加工用灰尘清理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1826A1 (en) Pan washer
KR20220015666A (ko)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KR101882809B1 (ko) 식판 및 불판용 초음파세척기
US6277011B1 (en) Deburring, burnishing and polishing machine with conveyor belt drive
KR20100001208A (ko) 석쇠 세척기
KR101569994B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밀걸레 세탁 장치
EP1865822B1 (en) Squeezing out device for a flat mop cover
EP3773119B1 (en) Warewash machine with submersible cutlery basket
KR100292711B1 (ko)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US2256986A (en) Ceiling washer
KR200268452Y1 (ko) 불판 자동 세척기
CN213134380U (zh) 一种家用餐厨垃圾桶的智能清洗装置
CN211432389U (zh) 一种废油收集装置、清洗装置和抹油设备
KR102436810B1 (ko) 식판 분리 세척수 흐름형 애벌 담금 세정대
KR200365018Y1 (ko) 초음파 세척기
CN220823926U (zh) 一种魔芋凉皮清洗装置
CN218433055U (zh) 一种餐厨垃圾桶清理机构
CN214120130U (zh) 一种自动清洗的大锅灶
JPH0623598A (ja) 錠剤機の部品洗浄装置
KR200452002Y1 (ko)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KR940004862Y1 (ko) 조리용기 세척기
KR200256096Y1 (ko) 석쇠 및 불판용 자동세척기
KR200316612Y1 (ko)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JP3415749B2 (ja) 食器洗浄機の飛水防止構造
KR940000222Y1 (ko) 석쇠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