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002Y1 -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 Google Patents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002Y1
KR200452002Y1 KR2020080009020U KR20080009020U KR200452002Y1 KR 200452002 Y1 KR200452002 Y1 KR 200452002Y1 KR 2020080009020 U KR2020080009020 U KR 2020080009020U KR 20080009020 U KR20080009020 U KR 20080009020U KR 200452002 Y1 KR200452002 Y1 KR 200452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ans
cutting
main body
squ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485U (ko
Inventor
곽정엽
Original Assignee
(주)바이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베스트 filed Critical (주)바이베스트
Priority to KR2020080009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00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징어를 절단하기 위한 1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절단수단이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의 세정이 쉽고 간단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수단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상기 본체 후방으로 안착플레이트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부(100)에는 측면과 후방부의 끝부분이 절곡되며 상기 절곡 형성된 측면부(220)에는 내부에 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판에는 고정공(210)이 다수 구비된 연결플레이트부재(20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재(200)에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로 이루어진 절단수단(40)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 구성되되 상기 장착프레임(42)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플레이트부재(200)의 측면부(220)와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바(240)와의 사이에는 가이드홈(250)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cuttlefish roaster to be clean its cutter easy}
본 고안은 오징어 즉석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징어를 절단하기 위한 1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절단수단이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의 세정이 쉽고 간단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수단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 즉석 구이기는 맥반석 등과 같은 가열부재 위에서 오징어를 작업자가 뒤집어 가면서 굽는 것이 통상적인 방식으로서, 이 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오징어를 뒤집어 가면서 구워야 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울 뿐만 아니라 그 구워진 오징어를 섭취하기 편리하도록 절단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그에 따라 별도의 절단수단을 구비하여 상기와 같이 가열부재에서 구워진 오 징어를 별도로 구비된 절단수단을 통하여 절단한 후 섭취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상,하 가열판을 구비한 구이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작업자가 오징어를 뒤집어 가면서 구워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었으나, 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워진 오징어를 섭취하기 편리하도록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지 못함에 따라 별도의 절단수단을 통하여 재차 절단해야 하는 불편함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53435호가 제안되어 바 있으며 상기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53435호의 오징어 즉석 구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조작부(12)를 구비한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가열부재(22)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하가열부재과 대응되는 상가열부재(24)가 손잡이(25)가 형성된 상부하우징(26)의 밑면에 장착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해 개폐되는 히팅부(20)와; 상기 히팅부의 후방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이 구동원(47)과 동력전달부재(4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장착되는 절단수단(40)을 일체로 구비하는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53435호의 오징어 즉석 구이기는 동력전달부재(4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장착되는 절단수단(40)이 본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어 분해 조립이 어려워 세정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문제점으로는 구워지는 오징어의 표면에 기름이 도포되어 있는데 상기 기름기가 덧칠하여져 있는 오징어를 절단하면 오징어에 덧칠하여져 있던 기름이 절단수단(40)에 묻게 되고, 상기한 기름이 응고되어 기름덩어리를 형성시켜 절단수단(40) 하부에 쌓여지게 되므로 장치가 오염되고 이로 인하여 해충이 기생할 수 있는 요건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절단수단(40)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에 대기중 이물질이 포집되어 장치의 재사용시 오징어 구이를 오염시키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오징어를 절단하기 위한 1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절단수단이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의 세정이 쉽고 간단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수단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본체 후방으로 안착플레이트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부(100)에는 측면과 후방부의 끝부분이 절곡되며 상기 절곡 형성된 측면부(220)에는 내부에 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판에는 고정공(210)이 다수 구비된 연결플레이트부재(20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재(200)에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로 이루어진 절단수단(40)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 구성되되 상기 장착프레임(42)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플레이트부재(200)의 측면부(220)와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바(240)와의 사이에는 가이드홈(2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는 오징어를 절단하기 위한 1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진 절단수단이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의 세정이 쉽고 간단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수단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단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단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는 전면에 조작부(12)를 구비한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가열부재(22)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하가열부재과 대응되는 상가열부재(24)가 손잡이(25)가 형성된 상부하우징(26)의 밑면에 장착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해 개폐되는 히팅부(20)와; 상기 히팅부의 후방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이 구동원(47)과 동력전달부재(4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장착되는 절단수단(40)을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본체 후방으로 안착플레이트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부(100)에는 측면과 후방부의 끝부분이 절곡되며 상기 절곡 형성된 측면부(220)에는 내부에 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판에는 고정공(210)이 다수 구비된 연결플레이트부재(20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재(200)에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로 이루어진 절단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플레이트부재의 측면부와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바와의 사이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에 연결부재(30)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하우징(26)이 개방된 상태에서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 상의 하가열부재(22)와 상부하우징(26)의 상가열부재(24)를 오징어가 구워지기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면 굽고자 하는 오징어를 그 사이에 넣은 후 상기 본체와 연결
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상부하우징(26)의 손잡이(25)를 잡고 가압하여 일정시간 동안에 오징어를 가열한다.
그에 따라 상기 하가열부재(22)와 상가열부재(24) 사이의 오징어가 상,하가열부재(22)(24) 의해 오징어가 알맞게 구워지면 상기 상부하우징(26)의 손잡이를 작업자가 놓게 되면 상기 본체(10)와 상부하우징(26)의 일측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30)의 실린더(34)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이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올라가 개방되어 지고, 이때 다시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히팅부의 후방으로 설치된 장착프레임(42) 상에 형성된 절단수단(40)의 구동원(47)을 구동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구동원과 동력전달부재(48)에 의해 연동되는 한쌍의 절단롤(46)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되는 절단롤 사이로 상기 상,하 가열부재에서 구워진 오징어를 밀어 넣으므로서, 상기 절단롤에 의해 구워진 오징어가 섭취하기 간편한 크기로 절단되어져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롤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는 상기 절단롤(46)에 의해 오징어가 절단되면서 배출되어 질 때 그 절단롤에 달라 붙지 않고 후방 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 가열부재(22)(24)로 구성된 히팅부와 그 히팅부의 후방 에 일체로 구비되는 절단수단(40)에 의해 섭취하고자 하는 오징어를 알맞게 구움과 동시에 바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섭취자로 하여금 바로 구워짐과 동시에 알맞은 크기로 절단된 오징어를 즉석에 바로 섭취할 수 있는 간편함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오징어를 절단시 오징어 표면에 기름이 발라져 있어 상기한 절단롤(46)에 기름이 묻거나 또는 기름이 응고되면서 덩어리가 되어 하부의 연결플레이트부재(200)로 떨어지게 되어 쌓여지게 됨으로 절단수단(40)의 표면을 세척 및 크리닝하거나 연결플레이트부재(200)로 떨어져 쌓여있는 기름 덩어리들을 제거하여야 한다.
상기 절단수단(40)의 표면의 세척 또는 절단수단(40)의 교환과 연결플레이트부재(200)로 떨어져 쌓여있는 기름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장착프레임(42)과 연결플레이트부재(200)를 연결 고정하는 측면부(220)에 구비된 체결부재(230)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트를 제거하면 연결플레이트부재(200)와 절단수단(40)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절단수단(40)이 분리된 상태에서 스크레이퍼 및 절단롤(46)의 표면을 세척하고 절단수단(40)의 교환시는 전체를 교환하면 된다. 아울러 연결플레이트부재(20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기름덩어리 및 기름 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연결플레이트부재(200)를 깨끗이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안착플레이트부(100)에 구비된 고정공(21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볼트를 제거하면 연결플레 이트부재(200)가 분리되게 되며 따라서 연결플레이트부재(20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연결플레이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상기 장착프레임(42)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플레이트부재(200)의 측면부(220)와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바(240)와의 사이에는 가이드홈(250)을 형성시켜 사용하면 볼트가 풀리더라도 절단수단(40)이 쉽게 본체에서 이탈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절단수단(40)의 결합시 장착프레임(42)을 가이드홈(250)에 밀어 끼워 간편히 결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오징어 구이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단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단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절단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연결플레이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조작부
20 : 히팅부 22 : 하가열부재
24 : 상가열부재 25 : 손잡이
26 : 상부하우징 30 : 연결부재
40 : 절단수단 42 : 장착프레임
44 : 스크레퍼 46 : 절단롤
47 : 구동원 100 : 안착플레이트부
200 : 연결플레이트부재 210 : 고정공
220 : 측면부 230 : 체결부재

Claims (2)

  1. 전면에 조작부(12)를 구비한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는 하가열부재(22)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하가열부재과 대응되는 상가열부재(24)가 손잡이(25)가 형성된 상부하우징(26)의 밑면에 장착되어 연결부재(30)에 의해 개폐되는 히팅부(20)와; 상기 히팅부의 후방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이 구동원(47)과 동력전달부재(4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장착되는 절단수단(40)을 일체로 구비하는 오징어 즉석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방으로 안착플레이트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부(100)에는 측면과 후방부의 끝부분이 절곡되며 상기 절곡 형성된 측면부(220)에는 내부에 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판에는 고정공(210)이 다수 구비된 연결플레이트부재(20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부재(200)에는 장착프레임(42) 상에 각각의 스크레퍼(44)가 결합된 한쌍의 절단롤(46)로 이루어진 절단수단(40)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 구성되되 상기 장착프레임(42)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플레이트부재(200)의 측면부(220)와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바(240)와의 사이에는 가이드홈(2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2. 삭제
KR2020080009020U 2008-07-07 2008-07-07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KR200452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20U KR200452002Y1 (ko) 2008-07-07 2008-07-07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20U KR200452002Y1 (ko) 2008-07-07 2008-07-07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85U KR20100000485U (ko) 2010-01-15
KR200452002Y1 true KR200452002Y1 (ko) 2011-01-26

Family

ID=4419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020U KR200452002Y1 (ko) 2008-07-07 2008-07-07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0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213B1 (ko) * 2015-09-22 2016-01-11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오징어 포 즉석 구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35A (ko) * 2001-12-21 2003-06-28 누보 피그노네 홀딩 에스피에이 가스 터빈 버너용의 액체 연료 인젝터
KR20030095735A (ko) * 2002-06-14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화상 통화 방법
KR200353435Y1 (ko) * 2004-03-09 2004-06-26 조성철 오징어 즉석 구이기
KR200395735Y1 (ko) * 2005-06-21 2005-09-13 주식회사 청하 어포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35A (ko) * 2001-12-21 2003-06-28 누보 피그노네 홀딩 에스피에이 가스 터빈 버너용의 액체 연료 인젝터
KR20030095735A (ko) * 2002-06-14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화상 통화 방법
KR200353435Y1 (ko) * 2004-03-09 2004-06-26 조성철 오징어 즉석 구이기
KR200395735Y1 (ko) * 2005-06-21 2005-09-13 주식회사 청하 어포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85U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57B1 (ko) 직화식 구이판
KR200452002Y1 (ko) 절단수단의 크리닝이 용이한 오징어 즉석 구이기
CN110883041B (zh) 一种便捷式烤盘清理机
KR200451342Y1 (ko) 김밥 절단기
KR200413229Y1 (ko) 고기구이판의 자동 공급 및 회수장치
CN210613157U (zh) 一种便于更换滤板的除尘机
CN107485175A (zh) 一种肉松蛋糕制作用工作台
KR20220015666A (ko) 고기 구이판용 세척기
KR20130061230A (ko) 세정 가능한 구이기구
KR20100119832A (ko) 구이기구의 자동 세척방법
KR200353435Y1 (ko) 오징어 즉석 구이기
CN209202118U (zh) 一种干果烘烤用排水机构
KR20090002941A (ko) 친환경 자동 세척 구이판
CN220876577U (zh) 一种锅组便于拆卸清洗的空气炸锅
CN215272106U (zh) 一种便于清理的空气炸锅
CN219284813U (zh) 一种病理组织摊烘一体机
CN205625654U (zh) 旋转式无烟烧烤炉
CN220044710U (zh) 一种鸡蛋糕用烤箱
CN215777635U (zh) 一种新型锅盖砧板架
CN220879832U (zh) 一种炸锅清洁装置
KR20070099410A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CN220423773U (zh) 一种可烹饪的烘烤机
KR200470731Y1 (ko) 구이용 불판
CN219187826U (zh) 一种可回收烘焙纸
CN219069976U (zh) 一种带有风机进行散热的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