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453Y1 - 불판 자동 세척기 - Google Patents

불판 자동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453Y1
KR200268453Y1 KR2020010038934U KR20010038934U KR200268453Y1 KR 200268453 Y1 KR200268453 Y1 KR 200268453Y1 KR 2020010038934 U KR2020010038934 U KR 2020010038934U KR 20010038934 U KR20010038934 U KR 20010038934U KR 200268453 Y1 KR200268453 Y1 KR 200268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veyor belt
brush
brushes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공래
문광창
정계환
Original Assignee
정공래
문광창
정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공래, 문광창, 정계환 filed Critical 정공래
Priority to KR2020010038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453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판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적치봉이 고정된 순환체인이 상. 하 무한 궤도로 순환하는 2쌍의 지주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2쌍의 지주 사이와 같은 폭으로 수평으로 콘베어벨트가 형성되며 콘베어벨트 끝 부분에 상. 하 2개의 브러쉬가 브러쉬의 회전축과 같이 회전함과 동시에 브러쉬가 회전축의 길이를 왕복하면서 불판을 세척하도록 형성되고 브러쉬는 크랭크축이 지지되는 지지판의 왕복 운동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불판 자동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불판 자동 세척기{The automatic cleaning machine for roasting plate}
본 고안은 불판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치봉이 고정된 순환체인이 상. 하 무한 궤도로 순환하는 2쌍의 지주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2쌍의 지주 사이와 같은 폭으로 수평으로 콘베어벨트가 형성되며 콘베어벨트 끝 부분에 상. 하 2개의 브러쉬가 브러쉬의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불판을 세척하는 세척기에 있어서, 브러쉬가 회전축의 길이를 왕복하면서 불판을 세척하도록 형성되고 크랭크축이 지지되는 지지판의 왕복 운동에 의한 크랭크축의 작동에 의해 회전 및 이동하도록 구성된 불판 자동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하는 불판 자동세척기의 세척 장치는 브러쉬가 드럼 모양으로 형성되어 불판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세척하고자 하는 불판의 모양에 따라 섬세하게 즉, 작은 틈 부분은 브러쉬가 미치지 못하는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은 브러쉬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좁은 틈을 쉽게 침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좌. 우로 이동하면서 불판의 전체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불판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도.
도 2의 A는 브러쉬의 좌. 우 이동 상태의 평면도.
도 2의 B는 지지판의 좌. 우 이동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압착드럼 및 콘베어벨트의 동력 전달 상태도.
도 4는 브러쉬 작동 상태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외형도.
도 6은불판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 : 브러쉬(a,b) 42 : 전방압착드럼
43 : 적치봉 44 : 지주(a,b,c,d)
45 : 불판 46 : 수평콘베아(a,b)
47 : 구동기어 48 : 상부기어
49 : 하부기어 51 : 고정지주
52 : 후방압착드럼 54 : 스프레이
55 : 저수조 56 : 체인(a,b,c)
57 : 순환체인 58 : 고정대
59 : 브라켓(a,b,c,d) 61 : 프레임
62 : 조절판 63 : 크랭크플레이트(a,b,c)
64 : 조절구멍 65 : 지지판(a,b)
66 : 가이드봉(a,b,c) 67 : 가이드판(a,b)
68 : 수평프레임 69 : 지지부재(a,b)
70 : 터치판(a,b) 71 : 터치봉(a,b)
72 : 볼트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 하로 순환하면서 불판(45)을 적치봉(43)에 적치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2대의 순환체인(57)과 상기 순환체인(57)에서 이송된 불판(45)을 수평 이송하는 제1, 제2수평콘베어(46a,46b)와 제1콘베어(46a)에서 이송되는 불판(45)을 압착하며 통과시키는 전방 압착드럼(42)과 상기 전방 압착드럼(42)에 압착되면서 통과하는 불판(45)을 세척하기 위해 제1콘베어(46a)와 제2콘베어(46b) 사이에 상. 하로 거치되는 브러쉬(41a,41b)와 상기 전방 압착드럼(42)과 브러쉬(41a,41b) 사이를 이동하는 불판(45)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54)와 불판(45)의 세척이 완료되면서 브러쉬(41a,41b)를 통과하는 불판(45)을 압착하는 후방 압착드럼(52)과 상기 전. 후방 압착드럼(42,52)과 브러쉬(41a,41b)와 순환체인(57)을 작동하는 제1동력(다), 제2동력(나)으로 구성되는 불판 자동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브러쉬(41a)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기어(48)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둘레를 갖으며 그 가장자리에 반원형으로 천공된 일정한 길이의 조절구멍(64)이 형성된 조절판(62)과, 상기 조절판(62)의 가장자리에 힌지되고 지지판(65)에 힌지되는 크랭크플레이트(63a)와 상기 크랭크축(63a)이 힌지되는 지지판(65)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봉(66a)과 상기 지지판(65)에 힌지되고 가이드봉(66b,66c)의 가이드판(67a,67b)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9a,69b)에 힌지되는 크랭크축(63b,63c)과 상부기어(48)과 하부기어(49)에 결합되는 기어(1,2)에 연계된 브러쉬(41a,41b)가 가이드되는 브러쉬(41a,41b)의 회전축(f,g)에 상기 브러쉬(41a,41b)와 결합되고 회전축(f,g)에 자유 회동되는 가이드판(67a,67b)와 제1콘베어벨트(46a)를 회전시키는 회전축(a,b)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a,b)의 일측에 형성된 터치판(70a,70b)과 상기 터치판(70a,70b)을 터치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판(65)에 형성된 터치봉(71a,71b)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2의 A와B는 브러쉬의 이동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3은 브러쉬의 동력 전달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콘베어벨트의 작동과 압착드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6는 브러쉬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프레임(61)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하부로부터 수조(55)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55) 위에는 찌꺼기 적재함이 형성되며 상기 찌꺼기 적재함 위에는 제1수평콘베어벨트(46a)와 제2수평콘베어벨트(46b)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68)과 프레임(61)에 상기 제1, 2수평콘베어벨트(46a,46b)를 기점으로 제1수평콘베어벨트(46a)를 이동시키는 전방 회전축(a)이 거치되며 전방 회전축(a) 일측에 터치판(70a)이 형성되고 전방회전축(a)의 다른 일측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된다.
후방 회전축(b) 일측은 2개의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다른 일측에는 터치판(70b)이 형성되고 전방 회전축(a)의 스프로킷과 후방 회전축(b)의 스프로킷은 체인(56a)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된다.
제1콘베어벨트(46a) 상부 후방에는 제1콘베어벨트(46a)에 횡으로 전방 압착드럼(42)이 거치되고 수평프레임(68)에 지지되며 압착드럼(42)의 회전축(c) 양측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제1콘베어벨트(46a) 후방 회전축(b)의 터치판 양측에 형성된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된다.
제2콘베어벨트(46b)는 상기 제1콘베어벨트(46a)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그 후방에 형성되며 제2콘베어벨트(46b) 후방 회전축(d) 단부에 형성된 스프로킷과 제1콘베어벨트(46a) 후방 회전축(b)의 스프로킷이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2콘베어벨트(46b)가 이동된다.
제2콘베어벨트(46b)의 후방 회전축(d)의 다른 일측의 단부에 형성된 스프로킷과 후방 압착드럼(52)의 회전축(e) 일측에 형성된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방 압착드럼(42)의 회전축(c)은 양 단부가 수평프레임(68)에 힌지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이 수평프레임(68)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c)을 당기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 압착드럼(52)은 양 측이 수평프레임(68)과 스프링에 의해 으로 고정되어 상기 압착드럼(52)을 압박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부기어(48)의 가장자리에 그 가장자리에 조절구멍(64)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조절판(62)이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상기 조절판(62)의 가장자리에 크랭크플레이트(63a)가 힌지된다.
조절판(62)에 힌지된 크랭크플레이트(63a)은 프레임(61)에 고정된 가이드봉(66a)을 자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판(65)에 힌지된다.
상기 지지판(65)의 상. 하에는 크랭크플레이트(63b,63c)가 힌지되고 지지판(65)의 상부에 힌지된 크랭크축(63b)의 다른 일측은 상부 브러쉬(41a)의 위에 형성된 가이드봉(66b)에 자유 이동하는 지지부재(69a)에 힌지되며 지지판(65)의 하부에 힌지된 크랭크축(63c)의 다른 일측은 하부 브러쉬(41b)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봉(66c)에 자유 이동하는 지지부재(69b)에 힌지되어 상기 지지판(65)이 가이드봉(66a)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재(69a,69b) 역시 가이드봉(66b,66c)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69a,69b)의 외경은 그 원주에 홈(68a,68b)이 형성되고 상기 홈(68a,68b)에는 브러쉬(41a,41b)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대(67a,67b)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판(67a,67b)은 상기 브러쉬(41a,41b)와 일체로 형성되며 브러쉬(41a,41b)의 회전축(f,g)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65)에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하 2개의 터치봉(71a,71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65)이 후진하였을 때, 터치봉(71a)의 단부가 상기 터치판(70a)을 충분히 터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지지판(65)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65)이 전진하였을 때, 터치봉(71b)의 단부가 터치판(70b)을 충분히 터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지지판(65)에 고정된다.
상기 제1콘베어벨트(46a)와 제2콘베어벨트(46b) 사이에 브러쉬(41a,41b)가 상. 하로 그 외경이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설치되며 상기 브러쉬(41a,41b)의 회전축(f,g) 양측은 브라켓(59a,59b,59c,59d)에 고정되고 브라켓(59a, 59c)는 가이드봉(66c)에 힌지되고 브라켓(59b,59d)는 가이드봉(66b)에 힌지된다.
좌. 우 브라켓(59a,59b,59c,50d)에 고정된 지지봉(60a,60b)의 좌측 끝에 설치된 브라켓(59c,59d)은 암나사와 숫나사의 결합 방법으로 수직 고정대(58)에 결합 지지되고 회전축(f,g)의 단부는 기어(1,2)가 형성되어 상부기어(48)와 하부기어(49)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기어(48)는 구동기어(47)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f,g)의 다른 일측은 부메랑 모양의 브라켓(59c,59d)에 힌지되고 상기 브라켓(59c,59d)의 일측은 가이드봉(66a,66b)에 힌지되며 가이드봉(66c,66d)의 양 단부는 프레임(61)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 압착드럼(42)과 브러쉬(41a,41b)의 상부에는 불판(45)의 찌꺼기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온수, 냉수가 스프레이되는 스프레이(54)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콘베어벨트(46a) 상부 양측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1쌍 씩 2쌍의 지주(44a,44b)(44c,44d)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2쌍의 지주(44a,44b)(44c,44d)는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 하 단부에는 회전축(h)이 힌지되어 일체화되며 각 쌍의 지주(44a,44b)(44c,44d) 내측 회전축(h)에는 스프로킷이 고정된다.
상기 상. 하 스프로킷에는 순환체인(57)이 거치되고 순환체인(57)과 순환체인(57) 사이에는 적치봉(43)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다.
상기 2쌍의 지주(44a,44b)(44c,44d)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 쌍의 지주(44a,44b),(44c,44d)는 고정지주(51)에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 회전축(h)이 제2동력(나)과 연계되어 회전축(h)이 회전하므로서 스프로킷에 거치된 순환체인(57)이 이동되며 각 쌍의 지주(44a,44b)(44c,44d) 상부 회전축(h)에는 스프로킷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킷에는 체인(56c)으로 연계되어 있다.
실시예로 설명하면,
불판은 일반적으로 고기를 열 숙성시키는데 이용하게 되며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그 모양에 따라 틈과 굴곡이 다양하여 기름과 고기의 탄화에 의한 찌꺼기가 부착되면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 점이 있다.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하는 불판 세척기는 브러쉬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불판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으나, 불판의 구석구석을 온전하게 세척하기에는 미흡한 바가 많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폭이 좁은 브러쉬(41a,41b)가 형성된 브러쉬 좌. 우 왕복 회전식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동일자 출원하는 불판 세척기의 구성에서 브러쉬(41a,41b)의 구성과 콘베어벨트(46a.46b)의 구성을 달리하는 구성이다.
불판(45)의 세척 작업을 하기 전에 고정지주(51)와 지주(44a,44b,44c,44d)를 고정하는 볼트를 조절하여 불판(45)의 크기에 맞도록 각 쌍의 지주(44a,44b)와 지주(44c,44d)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순환체인(57)에고정된 양 적치봉(43)에 한 개씩 여러개의 불판(45)을 단계 별로 적치하고 제2동력(나)을 작동시키면 제2동력(나)과 연계된 회전축(h)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h)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h)에 고정된 스프로킷이 회전하게 되고 스프로킷이 회전하게 되면 스프로킷에 거치된 순환체인(57)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불판(45)은 순환체인(57)과 같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순환체인(57)의 이동에 따라 불판(45)이 이동하면서 불판(45)이 제1콘베어벨트(46a)에 안착하게 된다.
제1동력(다)이 작동되어 구동기어(47)가 작동되고 상기 구동기어(47)와 연계된 상부기어(48)가 회전하게 된다.
상부기어(48)가 회전하게 되면 상부기어(48)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절판(62)에 힌지된 크랭크플레이트(63a)의 단부는 상기 상부기어(48)의 회전에 의해 외경 크기로 회전하게 되고 지지판(65)에 힌지된 크랭크플레이트(63a)의 다른 단부는 지지판(상부기어(48)의 직경과 같은 길이로 지지판(65)과 같이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크랭크플레이트(63a)와 힌지된 지지판(65)은 가이드봉(66a)에 자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65)이 상부기어(48)의 직경 길이 만큼 가이드봉(66a)을 이동하게 되면 지지판(65)의 상부와 하부에 힌지되고 지지부재(69a,69b)에 힌지된 크랭크플레이트(63b,63c)가 작동하면서 상기 지지부재(69a,69b)를 가이드봉(66b,66c)의 길이에 걸처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부재(69a,69b)가 브러쉬(41a,41b)와 연계되고 브러쉬(41a,41b)에서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게 형성된가이드판(67a,67b)가 결합되어 지지부재(69a,69b)가 가이드봉(66b,66c)을 왕복 이동하게되면 상기 가이드대(67a,67b) 역시 브러쉬(41a,41b)의 회전축(f,g)을 왕복하게 되고 가이드대(67a,67b)와 연계된 브러쉬(41a,41b) 역시 회전축(f,g)을 왕복하게 되면서 브러쉬(41a,41b)는 회전축(f,g)을 왕복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65)이 가이드봉(66a)에서 전진하게 되면 지지판(65)에 형성된 터치봉(71a)이 제1콘베어벨트(46a)의 회전축(a)의 일측에 형성된 터치판(70a)을 터치하여 회전축(a)을 반회전시키고 상기 지지판(65)이 후진하면서 지지판(65)에 형성된 터치봉(71b)이 제1콘베어벨트(46a)의 회전축(b)의 일측에 형성된 터치판(70b)을 터치하여 상기 회전축(b)을 반회전시키므로서 회전축(a)과 회전축(b)은 반회전하게 되고 제1콘베어벨트(46a)는 1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 작동되는 순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 날자로 출원된 불판세척기의 작동 순서와 동일 하다.
세척기가 작동되어 제1콘베어벨트(46a), 제2콘베어벨트(46b), 전. 후방 압착드럼(42,52), 상. 하 브러쉬(41a,41b)가 동시에 작동된다.
상부기어(48)는 상부 브러쉬(41a) 회전축(f)에 형성된 기어(1)와 결합되고 하부기어(49)는 하부 브러쉬(41b)의 회전축(g)에 형성된 기어(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기어(48)와 하부기어(49)의 회전에 의해 상. 하 브러쉬(41a,41b)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부기어(48)에 고정된 조절판(62)에 힌지된 크랭크플레이트(63a)의 왕복 운동에 의해 지지판(65)이 왕복운동하고 지지판(65)에 힌지된 크랭크플레이트(63b,63c)의 왕복 운동에 의해 지지부재(69a,69b)가 가이드봉(66b,66c)을 왕복하면서 회전하는 브러쉬(41a,41b)를 회전축(f,g)에서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브러쉬(41a,41b)의 이동 거리는 상기 조절판(62)을 좌. 우로 회전하여 볼트(72)로 고정하므로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세척기는 브러쉬가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회전하면서 좌. 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틈이 많고 굴곡이 다양한 불판의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불판의 청결성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불판(15)을 적취하기 위해 고정지주(51)가 2개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지주(51)에 고정되는 4개의 지주(44a,44b,44c,44d)와 상기 지주(44a,44b)와 지주(44c,44d) 사이의 하부에는 제1콘베어벨트(46a)와 제2콘베어벨트(46b)가 형성되고 상기 제1콘베어벨트(46a)와 제2콘베어벨트(46b) 저부에 세척수가 집수되는 저수조(55)와 제1콘베어벨트(46a)와 제2콘베어벨트(46b) 사이에 형성되어 불판(45)을 세척하는 상. 하 브러쉬(41a,41b)와 상기 브러쉬(41a,41b) 위에서 불판(45)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54)와 제1콘베어벨트(46a) 위에 거치되어 제1콘베어벨트(46a)로 이송되는 불판(45)을 압착하는 전방 압착드럼(42)과 제2콘베어벨트(46b) 위에 거치되며 세척이 완료되는 불판(45)을 압착하는 후방 압착드럼(52)과 상기 상. 하 브러쉬(41a,41b)의 기어(1,2)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기어(18)와 하부기어(49)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기어(48)는 구동기어(47)에서 동력을 공급 받도록 구성된 불판 자동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브러쉬(41a)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기어(48)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가장자리에 반원형으로 천공된 일정한 길이의 조절구멍(64)이 형성된 조절판(62)과, 상기 조절판(62)의 가장자리에 힌지되고 지지판(65)에 힌지되는 크랭크플레이트(63a)와 상기 크랭크플레이트(63a)가 힌지되는 지지판(65)이 왕복 가이드되는 가이드봉(66a)과 상기 지지판(65)에 힌지되고 가이드봉(66b,66c)을 왕복하며 가이드판(67a,67b)이 결합되는 가이드판(67a,67b)과 상기 가이드판(67a,67b)과 결합되는 지지부재(69a,69b)와 상기 지지부재(69a,69b)와힌지되어 지지부재(69a,69b)를 가이드봉(66b,66c)에서 이동시키는 크랭크플레이트(63b,63c)와 상부기어(48)와 하부기어(49)에 결합되는 기어(1,2)에 연계된 브러쉬(41a,41b)의 회전축(f,g)에 상기 브러쉬(41a,41b)와 결합되어 브러쉬(41a,41b)를 리드하며 회전축(f,g)에 자유 회동되는 가이드판(67a,67b)과 제1콘베어벨트(46a)를 회전시키는 회전축(a,b)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a,b)의 일측에 형성된 터치판(70a,70b)과 지지판(65)의 왕복 운동에 의해 터치판(70a,70b)을 반회전시키는 지지판(65)에 형성된 터치봉(71a,71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자동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브러쉬(41a,41b)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판(62)을 회전 이동하고 조절구멍(64)에 볼트(72)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자동 세척기.
KR2020010038934U 2001-12-17 2001-12-17 불판 자동 세척기 KR200268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34U KR200268453Y1 (ko) 2001-12-17 2001-12-17 불판 자동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34U KR200268453Y1 (ko) 2001-12-17 2001-12-17 불판 자동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453Y1 true KR200268453Y1 (ko) 2002-03-18

Family

ID=7305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934U KR200268453Y1 (ko) 2001-12-17 2001-12-17 불판 자동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4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8453Y1 (ko) 불판 자동 세척기
CN116268441A (zh) 净菜加工机
KR20030086121A (ko) 자동 신발세척기
KR200446849Y1 (ko) 수직형 고기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20140011845A (ko) 내장 세척장치
CN213005569U (zh) 一种豆干切割装置
CN214878731U (zh) 一种食品生产用输送装置
CN108714597A (zh) 汽车半轴超声波清洗装置
KR100292711B1 (ko) 고기구이판 자동세척장치
CN211029405U (zh) 一种百叶窗加工用柔性异形线条砂光装置
KR200268452Y1 (ko) 불판 자동 세척기
KR100782739B1 (ko) 롤 표면의 파우더 자동 제거장치
CN219719663U (zh) 一种坚果类食品加工用清洗机
CN106835968B (zh) 带有清扫机构的桥梁伸缩缝
KR100292206B1 (ko) 육류 구이판 세척기
CN219253280U (zh) 一种贵金属提取用滚筒筛分机
US2225429A (en) Bottle washing machine
CN218989691U (zh) 一种布料印染设备用除尘机构
KR200229649Y1 (ko)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CN219769417U (zh) 一种无接缝印版清洗机
CN216575338U (zh) 一种防锈型螺钉加工用搓牙机的收料装置
CN114164537B (zh) 一种用于纺织的纺织线层梳理装置
CN117246684B (zh) 一种便于调整压料的油炸机输送网带
US2157250A (en) Carpet cleaning machine
CN216786647U (zh) 一种室内装饰用装饰布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