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649Y1 -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 Google Patents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649Y1
KR200229649Y1 KR2019990010562U KR19990010562U KR200229649Y1 KR 200229649 Y1 KR200229649 Y1 KR 200229649Y1 KR 2019990010562 U KR2019990010562 U KR 2019990010562U KR 19990010562 U KR19990010562 U KR 19990010562U KR 200229649 Y1 KR200229649 Y1 KR 200229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fabric
gloss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339U (ko
Inventor
곽동철
Original Assignee
곽동철
주식회사 동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철, 주식회사 동영기계 filed Critical 곽동철
Priority to KR2019990010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6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649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Poli - Brush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 담요 등의 직물제품의 파일(Pile)에 광택과 부드러운 촉감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계이다. 이는 상판 12와 기endl0, 11 및 발판 13으로 골격을 이루고 기둥 10의 상측에는 원단가이드봉 21이 설치되며, 그 아래로는 텐션바 30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에는 회전기어 130의 회전력이 링크 131에 전달되어 흔들봉 133이 등각운동을 하도록 하며, 부품조립프레임 5에는 모광택fhf 50 및 팬닥트 11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작동레바 103, 104에 의해 상하로 위치조정이 되는 벨트콘베어 100이 설치되고, 그 좌우측에는 전동롤러 90, 91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단에도 전동롤러 92를 설치하며, 상기 기둥과 부품조립프레임에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 40, 41, 42, 43, 44, 45가 설치되도록 한 밍크담요용 폴리싱 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동롤러 90의 아래이고, 상기 발판 13의 위쪽에 팬닥트 120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상하로 2개의 브러시롤러 60, 61이 거리를 유지한 채 설치되도록 한 후, 각각의 브러시 롤러 60, 61의 우측에는 수평나이프 71, 81이 고정된 수평지지붕 70, 80을 설치하여 가이드롤러 41, 42, 43을 통과하는 원단은 상기 수평나이프 71, 81에 의해 브러시롤러 60, 61 쪽으로 직각으로 꺽인 채 밀려서 브러싱되어 통과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POLI BRUSHING MACHINE FOR MINK BLANKET}
본 고안은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Poli - Brush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폴리싱(Polishing) 머신에 브러시롤러 기술을 접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폴리싱머신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광택롤러와 벨트콘베어 사이에 담요등의 직물제품을 통과토록 함으로써 직물제품의 파일(Pile)에 광택과 부드러운 촉감이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브러싱은 밍크담요나 보아제품등의 처음 제작시 파일은 실 상태로 제직이 되기 때문에 브러싱 머신이라는 기계로 실의 꼬임 상태를 풀어주어 솜털화하여 촉감이 부드럽게 한다.
그런데 상기 폴리싱 머신은 직물제품이 모광택롤러로 진입되기 전(前), 텐션바와 여러개의 롤러를 거쳐 옴으로써 직물제품의 파일이 서로 엉기고 압착된 상태에서 모광택롤러와 벨트콘베어 사이로 통과시키기 때문에 그 효과가 양호치 못한 문제가 있었고, 이를 커버링하기 위하여 다시 2차 폴리싱 작업을 가하여 주고 있는데(또는 직물제품이 2대의 머신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함) 이는 비경제적임은 물론 생산성이 불량한 단점과 함께 2차 폴리싱 작업으로 인한 파일(Pile)의 손상으로 제품의 질 향상에 한계가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안출목적은 2차 플리싱을 가하여 주거나 또는 2대의 머신을 통과시키지 않고 1차의 작업만으로도 직물제품의 모광택 효과와 부드러운 촉감이 최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싱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차 플리싱을 가하여 주거나 또는 2대의 머신을 통과시키지 않고 1차의 작업만으로도 직물제품의 모광택 효과와 부드러운 촉감이 양호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브러싱롤러가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도록 한 폴리 브러싱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븐 고안은 상판 12와 기둥 10, 11 및 발판 13으로 골격을 이루고 기둥 10의 상측에는 브라키트 20에 고정된 버팀대 22 상단에 원단가이드봉 21이 설치되며, 그 아래로는 2개의 봉체 31, 32가 수평으로 설치된 텐션바 30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에는 회전기어 130의 회전력이 링크 131에 전달되어 흔들봉 133이 등각운동을 하도록 하며, 부품조립프레임 5에 모광택 롤러 50 및 팬닥트 11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작동레바 103, 104에 의해 상하로 위치조정이 되는 벨트콘베어 100이 구동롤러 101과 피동롤러 10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그 좌우측에는 전동롤러 90, 91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단에도 전동롤러 92를 설치하며, 상기 기둥과 부품조립프레임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40, 41, 42, 43, 44, 45가 설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원단가이드봉 21과 텐션바 30을 거쳐 가이드롤러 40, 41, 42, 43 및 전동롤러 90, 91을 거치고 다시 가이드롤러 44, 45, 및 전동롤러 92를 거쳐 흔들봉 133을 통과하도록 원단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콘베어 100과 상기 모광택롤러 50 사이로 원단이 통과할 때 모광택롤러 50의 긁음작용에 의해 원단의 파일에 광택과 부드러운 성질이 부여되도록 하는 직물제품용 폴리싱 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동롤러 90의 아래이고 상기 발판 13의 위쪽에 팬닥트 120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상하로 2개의 브러시롤러 60, 61이 거리를 유지한 채 설치되도록 한 후, 각각의 브러시롤러 60, 61의 우측에는 수평나이프 71, 81이 고정된 수평지지봉 70, 80을 설치하여 가이드롤러 41, 42, 43을 통과하는 원단은 상기 수평나이프 71, 81에 의해 브러시롤러 60, 61쪽으로 직각으로 꺽인 채 밀려서 브러싱되어 통과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 12와 기둥 10, 11 및 발판 13으로 골격을 이루고 기둥 10의 상측에는 브라키트 20에 고정된 버팀대 22상단에 원단가이드봉 21이 설치되며, 그 아래로는 2개의 봉체 31,32가 수평으로 설치된 텐션바 30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에는 회전기어 130의 회전력이 링크 131에 전달되어 흔들봉 133이 등각운동을 하도록 하며, 부품조림프레임 5에는 모광택 롤러 50 및 팬닥트 11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작동레바 103,104에 의해 상하로 위치조정이 되는 벨트콘베어 100이 구동롤러 101과 피동롤러 10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그 좌우측에는 전동롤러 90, 9l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단에도 전동롤러 92를 설치하며, 상기 기둥과 부품조림프레임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40, 41, 42, 43, 44, 45가 설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원단가이드봉 21과 텐션바 30을 거쳐 가이드롤러 40, 41, 42, 43 및 전동롤러 90, 91을 거치고 다시 가이드롤러 44, 45 및 전동롤러 92를 거쳐 흔들봉 133을 통과하도록 원단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콘베어 100과 상기 모광택롤러 50 사이로 원단이 통과할 때 모광택롤러 50의 긁음작용에 의해 원단의 파일에 광택과 부드러운 성질이 부여되도록 하는 직물제품용 플리싱 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동롤러 90의 아래이고, 상기 발판 13의 위쪽에 팬닥트 120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상하로 2개의 브러시롤러 60a, 150이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한 후, 상측의 브러시롤러 60a 의 우측에는 수평나이프 71a가 고정된 수링지지봉 70a를 설치하여 가이드롤러 41, 42, 43룰 통과하는 원단은 상기 수평나이프 71a에 의해 브러시롤러 60a 쪽으로 직각으로 꺽인 채 밀려서 브러싱되어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방의 브러시롤러 150은 상부의 브러시롤러 60a에 침투된 실 둥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여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유사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기둥 12:상판
20:브라키트 21:원단가이드봉
22:버팀대 30:텐션바
31,32:봉체 40,41,42,43,44,45:가이드롤러
50:모광택롤러 60,60a,61:브러시롤러
70,80:수평지지봉 71,81:수평나이프
90,91,92:전동롤러 100:벨트콘베어
101:구동롤러 102:피동롤러
103,104:작동레바 110,120:팬닥트
130:회전기어 131:링크
132:연결봉 133:흔들봉
134:구동기어 150:청소용브러시롤러
160:전동롤러 5:부품조립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폴리싱 전 상태의 원단 300과 폴리싱이 된 상태의 원단 400이 완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원단 3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폴리싱 머신의 원단가이드봉 21과 텐션바 30을 거치고 가이드롤러 40, 41을 지나 전동롤러 90에 의해 와인딩되는데, 이때 상기 원단 300은 각 가이드롤러 41, 42, 43을 통과할 때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봉 70,80의 좌측 중앙(도면 기준)에 설치된 수평나이프 71, 81에 의해 원단 300은 직각으로 꺽인 채 브러시롤러 60,61에 접촉된다. 물론 상기 수평나이프 71, 81의 끝 부분은 브러시롤러와 거의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나이프를통과하는 원단 300은 브러시롤러에 접촉되지 않을수가 없다. 따라서 원단 300은 본 고안의 브러시롤러를 통과함으로써 원단가이드봉 21과 텐션바 30, 가이드롤러 40,41을 통과하는 과정 및 그 전의 가공 과정이나 보관 과장에서 눌리고 압착되어 엉겨 있던 원단의 파일은 잘 정리된 채 거의 직립되면서 부풀어 올라서(브러싱되어) 매우 부르러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광택룰러 50을 통과하면 파일이 가장 양호한 상태에서 모광택처러가 되어 광택작용과 파일의 부드러운 솜털작용이 이루어진다. 팬탁트 120은 브러싱작업을 통해 원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각종 실오라기나 먼지, 머리카락, 원단조각 둥을 깨끗이 홉입하여 배출시킨다.
제 2도는 븐 고안의 유사한 실시예롤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하에 브러시 롤러 60a, 150가 위치토록 하되 서로 접촉되도록 하고 수평나이프 71a는 상부의 브러시롤러 60a에만 작용하도록 설치하였다. 이는 상술한 바와 작용은 동일하나 하방의 브러시롤러 150이 상부의 브러시롤러 60a에 침투된 각종 실오라기나 먼지, 머리카락, 원단조각 등을 강제적으로 분리시켜 팬닥트를 통해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타입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폴리싱 머신에 브러시롤러와 수명나이프를 접목시켜 1대의 기계작업을 통해서 원단의 광택효과와 부드러운 솜털화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경제성이 부각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인원이 절감되어 경쟁력이 상승됨과 아울러 브러싱 작용으로 인해 품격이 높은 제품을생산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상승되는 등의 다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판 12와 기둥 10, 11 및 발판 13으로 골격을 이루고 기둥 10의 상측에는 브라키트 20에 고정된 버팀대 22 상단에 원단가이드봉 21이 설치되며, 그 아래로는 2개의 봉체 31, 32가 수평으로 설치된 텐션바 30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에는 회전기어 130의 회전력이 링크 131에 전달되어 흔들봉 133이 둥각운동을 하도록 하며, 부품조립프레임 5에 모광택 롤러 50 및 팬닥트 11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작동레바 103, 104에 의해 상하로 위치조정이 되는 벨트콘베어 100이 구동롤러 101과 피동롤러 10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그 좌우측에는 전동롤러 90, 91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단에도 전동롤러 92를 설치하며, 상기 기둥과 부픔조립프레임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40, 41, 42, 43, 44, 45가 설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원단가이드봉 21과 텐션바 30을 거쳐 가이드롤러 40, 41, 42, 43 및 전동롤러 90, 91을 거치고 다시 가이드롤러 44,45 및 전동롤러 92롤 거쳐 흔들봉 133을 통과하도록 원단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콘베어 100과 상기 모광택롤러 50 사이로 원단이 통과할 때 모광택롤러 50의 긁음작용에 의해 원단의 파일에 광택과 부드러운 성질이 부여되도록 하는 밍크담요용 폴리싱 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동롤러 90의 아래이고 상기발판 13의 위쪽에 팬닥트 120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상하로 2개의 브러시롤러 60, 61이 거리롤 유지한 채 설치되도록 한 후, 각각의 브러시롤러 60, 61의 우측에는 수평나이프 71, 81이 고정된 수평지지봉 70, 80을 설치하여 가이드롤러 41, 42, 43을 통과하는 원단은 상기 수평나이프 71, 81에 의해브러시롤러 60, 61 쪽으로 직각으로 꺽인 채 밀려서 브러싱되어 통과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2. 상판 12와 기둥 10, 11 및 발판 13으로 골격을 이루고 기둥 10의 상측에는 브라키트 20에 고정된 버팀대 22 상단에 원단가이드봉 21이 설치되며, 그 아래로는 2개의 봉체 31, 32가 수평으로 설치된 텐션바 30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에는 회전기어 130의 회전력이 링크 131에 전달되어 흔들봉 133이 둥각운동을 하도록 하며, 부품조립프레임 5에는 모광택 롤러 50 및 팬닥트 110가 설치되고 그 아래로는 작동레바 103, 104에 의해 상하로 위치조정이 되는 벨트콘베어 100이 구동롤러 101과 피동롤러 10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그 좌우측에는 전동롤러 90, 91이 설치되고 상판 12의 우측단에도 전동롤러 92를 설치하며, 상기 기둥과 부품조립프레임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40, 41, 42, 43, 44, 45가 설치되도록하여서, 상기 원단가이드봉 21과 텐션바 30을 거쳐 가이드롤러 40, 41, 42, 43 및 전동롤러 90, 91을 거치고 다시 가이드롤러 44, 45 및 전동롤러 92를 거쳐 흔들봉 133을 통과하도록 원단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벨트콘베어 100과 상기 모광택롤러 50 사이로 원단이 통과할때 모광택롤러 50의 긁음작용에 의해 원단의 파일에 광택과 부드러운 성질이 부여되도록 하는 밍크담요용 폴리싱 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동롤러 90의 아래이고, 상기 발판 13의 위쪽에 팬닥트 120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상하로 2개의 브러시롤러 60a,150이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한 후, 상측의 브러시롤러 60a 의 우측에는 수평나이프 71a가 고정된 수령지지봉 70a를 설치하여 가이드롤러 41, 42, 43를 통과하는 원단은 상기 수평나이프 71a에 의해 브러시롤러 60a 쪽으로 직각으로 꺽인 채 밀려서 브러싱되어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방의 브러시롤러 150은 상부의 브러시롤러 60a에 침투된 실등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밍크담요용 플리 브러싱 머신
KR2019990010562U 1999-06-09 1999-06-09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KR200229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562U KR200229649Y1 (ko) 1999-06-09 1999-06-09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562U KR200229649Y1 (ko) 1999-06-09 1999-06-09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39U KR19990035339U (ko) 1999-09-06
KR200229649Y1 true KR200229649Y1 (ko) 2001-07-03

Family

ID=5475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562U KR200229649Y1 (ko) 1999-06-09 1999-06-09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6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123A (ko) * 2005-04-19 2006-10-24 강성규 커빙 담요 제조장치
KR101815969B1 (ko) * 2016-02-16 2018-01-08 황홍기 원단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499B1 (ko) * 2001-05-11 2004-02-05 (주) 평창정공 파일지의 더블 포리싱 가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123A (ko) * 2005-04-19 2006-10-24 강성규 커빙 담요 제조장치
KR101815969B1 (ko) * 2016-02-16 2018-01-08 황홍기 원단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39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3367A (zh) 板状玻璃清洗机
CN114457530B (zh) 一种纺织生产用纺织面料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2981812A (zh) 一种纺织布料脱水装置
KR200229649Y1 (ko) 밍크담요용 폴리 브러싱 머신
CN205523055U (zh) 一种平网印花机印花导带清洗装置
US1915106A (en) Apparatus for finishing carpets
CN215668552U (zh) 一种退浆机
CN216338422U (zh) 一种洁净型煮碱机
CN112431002B (zh) 一种服装生产用衣料清洁设备
CN211160839U (zh) 一种清洗纺织设备用胶辊的自动清洗装置
CN113403827A (zh) 一种纺织用纺织布传送装置
CN210238026U (zh) 一种装饰布水洗机
CN115058874B (zh) 一种运动面料整平梳理装置
GB2198159A (en) Cleaning brush for a drum napping machine
KR0112547Y1 (ko)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CN218203545U (zh) 一种布料染色机的清理装置
KR19990035340U (ko) 밍크담요용폴리레이싱머신
CN216174473U (zh) 一种软体物料表面清理装置
CN210449859U (zh) 一种设有清洗机构的圆辊振动筛
CN215251887U (zh) 一种可移动的多工位纺织设备
CN203079984U (zh) 带工作台的皮革刷浆机
US2347430A (en) Article holding means for cleaning machines
CN210287820U (zh) 一种具有自清理功能的拉幅定型机
CN209854395U (zh) 一种纺纱棉料用棉纱面料整平装置
CN211772282U (zh) 一种纺织类纺织面料用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