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547Y1 -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 Google Patents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547Y1
KR0112547Y1 KR2019930022940U KR930022940U KR0112547Y1 KR 0112547 Y1 KR0112547 Y1 KR 0112547Y1 KR 2019930022940 U KR2019930022940 U KR 2019930022940U KR 930022940 U KR930022940 U KR 930022940U KR 0112547 Y1 KR0112547 Y1 KR 0112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ller
hair
for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627U (ko
Inventor
제평치
Original Assignee
제평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평치 filed Critical 제평치
Priority to KR2019930022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547Y1/ko
Publication of KR950013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8Roll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제완구, 방한복, 방한복 내피, 밍크 및 랏셀담요, 밸벳, 벨로아 등을 생산할 때 이의 해모, 광택. 모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해모기와 광택기 및 모절단기가 각각 분리되어 있던 많은 설치면적이 필요할 뿐만 아나라 작업연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성을 높일수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하나의 몸체내에 팬후드(4)가 있는 첨포로올러와 이음마디감지센서(26)와 연결된 받침구(5)를 상항에 이중으로 설치한 해모처리부(A)와형상의 나선홈칼(11') 및

Description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제l도는 본 고안의 장치 표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의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해모처리부 B : 모광택처리부
C : 모절단장치부 1 : 몸체
1' : 지주간 1 : 지지횡간
2 : 안내로울러 3 : 침포로울로
4 : 팬후드 5 : 받침칼날
6:핸들 7 : 작동조절구
8:드라이빙변속풀리 9 : 조절핸들
10:작업대발판 10' : 공실
11:광택로울러 11',11 : 나선홈칼
12:후드 13 : 고정대
14:콘베어 15 : 조정레바
16:브레이크풀리 17 : 탠션바
17' : 조절핸들 18 : 브레이크로울러
18':비타 19 : 받침대
20:모길이조절기어박스 21 : 뱃드
22 : 회전칼날 23 : 평칼날
24:낙모수집통 25 : 포지
26:이음마디감지센서
1.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봉제완구, 방한복 내피, 밍크 및 랏셀담요, 밸벳, 벨로아 오버코트지 등을 생산할 때 이의 해모, 광택, 모절단의 세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 파일지 종합자동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2.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종래에는 모가 서로 엉키어져 있는 소재포지를 해모시키는 해모기와 해모된 포지에 광택이 나게 광택을 부여하는 광택기와 해모광택처리된 포지의 모길이가 일정할 수 있게 이를 절단해주는 모절단기를 각각 별도마련하고 있기 매문에 이는 경제적인 과부담은 물론 넓은 설치면적과 많은 작업인원이 소요되고 또한 이의 조작을 각각독립적으로 행하였기 때문에 작업과정중 작업연결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로스등으로 생산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3. 본 고안에 해결하고자 한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몸체내에 해모처리부와 모공택처리부및 모절단장치부를 구분설치하여 해모장치부에서는 안내로울러에 의해 이송된 포지를 해모시키는 침포로울러가 상하로 장치되어 포지표면에 엉키어져 있는 모를 해모할수 있게 하고, 광택처리부에서는 이송해온 포지를 1, 2차 쾅택로울리를 거치는 과정 광택로울러에 설치된형 칼날 및형칼날에 의해 쾅택처리되게 하며 광택처리된 포지가 모절단 장치부에 이르게 되면 포지이면에 먼지를 털이하는 비타 및 포지의 표면에 모를 기모시키는 첨포로울러를 거치는 과정 포지 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깨끗이 털리게 되고 포지 표면의 모가 기모처리된후 모길이 조절가이드박스에 의해 조절된 비트, 나선회전칼(스파이날나이프) 및 평칼날을 지나는 과정 일정길이로 모가 정면하게 절단되어 안내로울러를 거처 제품수납설로 이송되게한 것이다.
4.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모처리부(A)와 모광택처리부(B) 및 모절단장치부(C)가 구획될 수 있게 종지주간(1')과 횡지지간(1)으로조립 구성된 몸체(1)에 있어서 몸체(1)의 좌측상단에는 다수의 포지안내로울러(2)를 개재시킨 텐션바(17)와 포지이음마디 감지센서(26)가 설치되고 해모처리부(A)내에는 팬후드(4)가 부착된 해모용 1, 2차 침포로울러(3)가 상하에 설치되어 공압기에 의해 회동되게 하되 침포로울러(3)와 접하는 포지(25)를 받쳐주는 받침구(5)에는 핸들(6)을 개재시킨 작동조절구(7)가 설치되어 포지어음마디감지센서(26)와 연결되고, 하부침포로울러(3)를 통과한 포지(25)는 장력조절핸들(9)과 연결된 드라이빙변속풀리(8)를 거친다음 작업대발판(10) 저면에 형성된 공실(10')을 통과한 후 모광택처리부(B)로 이송되게 하고 모광택처리부(B)에서는 팬후드(12)가 설치된 1, 2차 광택로울러(11)와 콤베어조정레바(15)가 부착된 1, 2차 고무콘베어(14)사이에 포지(25)가 통과되게 하되 1차 광택로울러의 나선홈칼(11')은형상으로 되게하고 2차 광택로울러(11)의 나선홈칼(11)은형상으로 되게하며 2차 쾅택로울러(11)를 통과한 포지(25)는 고정대(13)에 설치된 드라이빙변속풀리(8) 및 조절핸들(17')이 부착된 탠션바(17)를 거쳐 작업대발판(10)의 공실(10')을 지나 모절단장치부(C)내로 이송되게 하며 모절단장치부(C)내에는 포지(25)가 브레이크로울러(18)를 지나 먼지털이 비다(18') 및 조절핸들이 부착된 받침대(19) 사이로 통과한후 모길이조절기어박스(20)와 핸들이 연결된 벳드(21) 및 나선스크류형상의 회전칼(22)과 평절단칼(23) 사이로 통과할 수 있게하고 포지의 모가 절단된 후는 드라이빙변속풀리(8)를 거쳐 안내로울러(2)에 의해 제품수납실로 이송되어지게한 장치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예도로서 제1도에서 본 해모처리부(A)를 생략한 것이다.
5. 본 고안의 실시예 및 이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파일지 종합 자동가공기로 사용하는 것인바 이의 실시상태를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소재포지(25)가 로울러(2) 및 탠션바(17)에 의해 장력을 유지하면서 해모처리부(A)내로 이송될시는 이음마디감지부(26)에서는 포지(25)의 지면에 돌출된 이음마디를 감지하여 받침칼날(해모칼날=뱃드칼)(5)를 작동시킨다. 즉 해모처리부(A)내에서 설치된 침포로울러(3)와 반침칼날(5) 사이의 탄접부에 포지(25)가 이르게 되면 반침칼날(5)이 순간적인 횡운동을 하면서 포지의 이음마디가 쉬이 통과될 수 있게 해주게 되고 해모과정 첨포로울러(3)부위에서 생긴 먼지는 팬후드(4)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며 해모처리부(A)에서 해모처리완료된 포지(25)는 예열된 상태에서 외부의 냉각공기의 영향없이 바로 작업대발판(10)의 저면에 형성된 공실(10')로 통과한 후 모광택처리부(B)로 이송되고 이송되고 모광택처리부(B)에 이송된 후는 고무콘베어(14)와 광택로울러(11) 사이에 탄지된 상태에서 쾅택로울러(11)의 주연에 형성된형상의 나선홈칼(11')에 타접되면서 모끝단부가 미세하게 처리되어 빳빳한 광택을 갖게하며 아울러 고무콘베어(14)는 포지(25)의 이송과 동시 포지가광택로울러(11)와 탄접할 때 생기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구실을 한다.
그리고 포지(25)의 모배열사정등 필요에 따라서는 광택로울러(11)를 역회전시킬수도 있다.
이때, 칼날(11')은형상이어서 양용된다. 그리고 1차 광택로울러(11)에서 광택처리된 포지(25)가 2차 광택로울러(11)에 이르면 2차 광택로울러(11)의 주연부에 형성된 칼날(l1)은형상으로 되어 있어 1차 광택처리시 미흡한 점을 보강처리하여 준다.
이와같이 2차 광택로울러(11)에서 처리된 포지(25)는 드라이빙 변속풀리(8) 및 탠션바(17)에 의해 장력조정된 후 작업대발판(10)의 저면에 형성된 공실(10')을 통과할때도 외부의 냉각공기에 영향을 받지않고 예열된 상태에서 모절단장지부로 이송되며 이송된 포지(25)는 브레이크로울러(18)에서 장력을 재조정한후 먼지털이비타(18') 및 받침대(19)와 접지된 침포로울러(3)를 통과할 때 포지이면에 부착된 먼지는 비타(18')에 의해 털이되며 이때 털린 모나 먼지는 낙모수접통(24)내로 수집되어지고 먼지털이된 포지(25)는 모길이 조절기어박스(20)와 연결된 뱃드(21) 및 평칼날(23)에 의해 맞물림된 상태에서 스파이날나이프(스크류)형상의 칼날을 가진 회전칼날(22)에 의해 모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포지로 되어 상태에서 드라이빙변속풀리(8)를 거쳐 안내로울러(2)에 의해 제품수납실내로 이송되게 하였기 매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해모처리부(A), 모광택처리부(B), 모절단장치부(C)의 3가지 기능을 한 몸체내에 설치하였기 매문에 경제적 부담감소와 설치면적을 적게 할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극대화 할수 있다.
2. 모든 조작은 자동화되어 있어 인건비를 대폭 절감시키며 제품생산 과정에 있어 불량품 발생율이 최대한 방지된다.
3. 광택처리작업시 생긴 기계적 진동현상이 모절단 장치부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진동에 의해 모절단 작업시 생기는 제품불량율을 방지할수 있다.
4. 분해결합식으로 되어 있어 운반설치에 편리하고 부분적인 보수 및 부품교환이 가능하며 작업대발판(10)밑에 형성된 공실(10')내로 포지(25)가 이송되게 하였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열손실을 최내한 방지할 수 있다.
5. 별도실시예와 같이 해모처리부(A)를 생략하고 별도로 해모처리된 것을 모광택처리부(B)에 바로 연결지을수도 있어 이용범위를 극내화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지주간(1')과 지지횡간(1)을 개재시켜 구성된 몸체(1)의 내부에 핸후드(4)가 있는 침포로울러(3) 및 이음마디감지부(26)와 연결된 받침칼날(5)을 상하에 설치한 해모처리부(A)와형상의 나선홈칼날(11)을 가진 1차 광택로울러(11)와형 나선홈칼(11)을 가진 2차 쾅택로울러(11)가 고무콘베어(14)와 접지되게한 모광택처리부(B), 그리고 먼지털이비타(18') 및 침포로울러(3)와 모의 길이조절기어박스(20)와 연결된뱃드(21), 스크류식 회전칼날(스파이날 브레이드)(22), 평칼날(안다브레이드)(23)을 구비한 모길이 절단장치부(C)의 3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동시 수행할 수 있게 작업대발판(10)으로 각각 연결하고 작업대반판(10)의지면에는 포지(25) 이송 공실(10')이 형성되어진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해모처리부(A)를 생략하고, 모광택처리부(B)와 모절단장치부(C)를 작업대 발판(10)으로 연결하여 2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한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KR2019930022940U 1993-11-02 1993-11-02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KR0112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940U KR0112547Y1 (ko) 1993-11-02 1993-11-02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940U KR0112547Y1 (ko) 1993-11-02 1993-11-02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27U KR950013627U (ko) 1995-06-15
KR0112547Y1 true KR0112547Y1 (ko) 1998-04-09

Family

ID=1936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940U KR0112547Y1 (ko) 1993-11-02 1993-11-02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5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43B1 (ko) * 2001-01-29 2003-05-09 신척우 파일원단의 셋팅장치
KR100762317B1 (ko) * 2005-07-06 2007-10-05 신성재 원단의 표면 가공방법 및 장치
KR100926682B1 (ko) * 2008-02-18 2009-11-17 (주) 평창정공 모장 측정장치가 구비된 전모기
KR100938741B1 (ko) * 2008-02-25 2010-01-26 변종성 라셀 편직물 적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43B1 (ko) * 2001-01-29 2003-05-09 신척우 파일원단의 셋팅장치
KR100762317B1 (ko) * 2005-07-06 2007-10-05 신성재 원단의 표면 가공방법 및 장치
KR100926682B1 (ko) * 2008-02-18 2009-11-17 (주) 평창정공 모장 측정장치가 구비된 전모기
KR100938741B1 (ko) * 2008-02-25 2010-01-26 변종성 라셀 편직물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27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37845U (zh) 一种用于纺织布料的切割封边机
CN105926264A (zh) 一种纺织用织布印花裁切装置
CN114803619B (zh) 一种纺织面料验布机
KR0112547Y1 (ko) 파일지 종합 자동 가공기
CN106048795A (zh) 一种清洁型纺织用纱线上蜡机构
JPS59501783A (ja) 布取扱い装置及び方法
CN110371742B (zh) 一种棉布加工用修边设备
CN112981919A (zh) 一种纺织品面料裁切装置
CN108274562A (zh) 一种毛竹竹段加工生产线
JP2011031330A (ja) 加工バリ取り方法及びベルト式加工バリ取り装置
CN106004023A (zh) 一种去毛除尘的纺织用织布印花装置
CN106004025A (zh) 一种集尘型纺织用织布印花装置
JPH0819950A (ja) 木工用ベルト研磨機
US2516636A (en) Band cleaning mechanism for continuous vulcanizing machines
US2719391A (en) Roll supporting and rotating attachment for a buffing machine
CN209039712U (zh) 一种经编剪毛机
CN213507726U (zh) 一种纺织产品清理装置
CN211079648U (zh) 一种服装布料印染用限位整平机构
CN209779127U (zh) 一种具备除尘功能的纺织设备
CN220811267U (zh) 一种白坯布生产用送布组件
CN212426531U (zh) 一种布料切割机
CN219862069U (zh) 一种裁切设备
CN215164025U (zh) 一种服装加工裁剪装置
CN220846586U (zh) 一种具有收集功能的工业缝纫机
CN218492123U (zh) 一种织造用防蹦线的布料裁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