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543B1 - 온조박스를부착한차량용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온조박스를부착한차량용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543B1
KR100291543B1 KR1019970042913A KR19970042913A KR100291543B1 KR 100291543 B1 KR100291543 B1 KR 100291543B1 KR 1019970042913 A KR1019970042913 A KR 1019970042913A KR 19970042913 A KR19970042913 A KR 19970042913A KR 100291543 B1 KR100291543 B1 KR 10029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vehicle
air
air conditio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336A (ko
Inventor
카즈히로 야마모토
코시 카미가키
Original Assignee
오하라 켄타로우
재팬 클라이밋 시스템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하라 켄타로우, 재팬 클라이밋 시스템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오하라 켄타로우
Publication of KR1998003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소형으로, 효율적으로 온조 박스를 가열 또는 냉각한다.
유닛 l0내에 형성한 공기 통로 내에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 가능한 열 교환기23과 크로스 플로우 팬24이 수용되어 있다. 적어도 온조 박스11의 일부가 유닛10의 내부 공간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24에 의해서 곡선형으로 방향 변환된 공기가 스무드하게 유입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온조 박스11에는 차내측에 연통하는 송풍로3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본 발명은 차내를 공조하는 동시에 쥬스류 등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조 박스1을, 냉각기 유닛2와 일체로 설치한 구성의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용 공조장치로서는, 시로코 팬3에 의해 냉각기 유닛2 내에 입력된 공기는 증발기 4로 냉각되고, 차내에 송풍되는 동시에, 냉각기 유닛2와 연통 하는 온조 박스1 내에 유입하여 수용한 쥬스류 등을 냉각한 후, 다시 시로코팬3의 상류 측으로 되돌아가 순환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 유닛2와는 별도로 온조 박스 l을 설치한 구성의 차량용 공조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냉각 기유닛2 내의 증발기4로 냉각된 공기를 댐퍼6로 전환 하는것으로 차 내 또는 온조 박스1로 송풍한다.
그렇지만, 전자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냉각기 유닛2에 온조 박스1을 부설만 했을 뿐의 구성이며 온조 박스1의 사이즈에 따라서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바이 패스 도어5로, 공기 흐름을 차단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송풍 방향을 변경할 경우, 바람 소리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스무드한 공기가 흘러 나가지 않은 분, 시로코팬3에 부담이 걸려,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후자의 차량용 공조장치로서는 온조 박스 l을 냉각기 유닛2와는 별도로 설치하는 관계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는 피 할 수 없다. 또한, 온조 박스 l 자체를 단열 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으로 효율적으로 온조 박스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유닛 내에 형성한 공기 통로 내에, 열 교환기와, 크로스 플로우 팬을 수용한 차 양용 공조장치에서, 적어도 온조 박스의 일부를,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에 의해서 곡선상(曲線狀)으로 방향변환되는 공기 통로의 연장상에 배치하며, 또한 온조 박스에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의 하류측의 공기 통로에서 차내 측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로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온조 박스를 그 아래쪽으로 적어도 유닛 내의 공기 통로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또, 그 위치에서 온조 박스와 공기 통로를 배수구에 의해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온조 박스를 상기 열 교환기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의 크로스 플로우 팬의 하류 측의 공기통로와 온조 박스를 연통하는 제 1통풍로의 이외에, 온조 박스와 크로스 플로우 팬의 상류측의 공기 통로를 연통하는 제 2통풍로 를 형성하는 동시에, 유닛 내 순환 모드 또는 차내 송풍 모드중 어느 한편에 변환가능한 댐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온조 박스의 송풍 로의 하류 측을 온조 박스의 덮개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댐퍼를 그 덮개의 송풍로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차내 측에의 풍향의 변경및/또는 송풍의 정지를 가능하게 해도 좋다.
상기 댐퍼를 차 내 공조 조건 및 온조 박스 내의 온조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유닛내 순환 모드 또는 차 내 송풍 모드 중 어느 한편으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제어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덮개 검출수단과 그 덮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송풍을 억제 또는 정지하는 송풍 량 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나 바람직하다.
상기 온조 박스를 유닛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열 교환기를 냉각 전용의 증발기로 구성하는 한편 증발기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온조박스 내에 히터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을 정역회전 가능하게 하여 그 크로스 플로우 팬의 정회전시에는 열교환기를 구동하여, 역전시에는 열교환기를 정지하는 동시에 히터를 온상태로 하는 냉난 제어수단을 설치 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를 자동차의 리어 패널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에서의 공조 및 온조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다른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예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도면.
도 8은 다른 종래 예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닛 11 : 온조 박스
23 : 열 교환기 24 : 크로스 플로우 팬
30 : 박스 본체(송풍로)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차 내 후방용의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 양용 공조장치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 도면이다. 이 공조장치는 대략, 유닛10과 이 유닛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온조 박스11로 구성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 내 후방의 리어 패널12에 설치된다.
유닛10는, 상면에 구형상의 박스 수용 凹부13을 가지고 있다. 이 박스 수용 凹부13에는, 후술하는 온조 박스11이 수용되기 때문에, 단열 구조는 불필요하게 되어있다. 유닛10의 내부에는 박스 수용 凹부13에 따라서 대략 U자형의 공기 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유닛10의 양측벽에는 상기 공기 통로14의 일단 측에 연통 하는 흡입구15가 각각 형성되어 각 흡입구15는 댐퍼16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댐파16은 액추에이터17의 구동에 의해, 링크기구18를 통해 지축16a를 중심으로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흡입구15에는, 측방으로 부터 윗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리어 패널12에 개구하는 닥트1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박스 수용凹부13내의 대향하는 측벽에는, 공기 통로14의 양단에 각각 연통하는 제 1통풍구20과 제 2통풍구21이 또, 저부에는 배수러22가 각각 뚫려 있다.
상기 공기 통로14에는 상류 측으로부터 차례로, 열 교환기23 및 크로스 플로우 팬2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23은 차 내 전방측 공조장치25로부터 바이패스 시킨 냉매배관도중에 배치되어 그 상면이 박스 수용 凹부13의 저부 하면에 접촉하도록, 온조 박스11의 하방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열교환기23은 냉난 변환스위치26으로 냉매의 순환회로를 선택함으로, 그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 및 온조 박스11을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한다. 또, 급속 스위치27을 온하여, 개구하고 있는 흡입구15 및 송풍구33을 댐퍼16 및 32으로 폐색함으로, 유닛 내 순환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24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연결판을 통해 나란히 설치한것은 종래 주지한 것이다. 이 크로스 플로우 팬24는 블로아 모터28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도 l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곡선형의 흐름을 무리 없이 효율적으로 발생시킨다.
또, 상기 유닛 10에는 공기통로14내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 교환기23에 의해서 냉각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차 밖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9가 접속되어 있다.
온조 박스 l1은 박스 본체30과 이 박스 본체30에 지축(支軸)30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덮개3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온조 박스 l1은, 상기 유닛10의 박스 수용 凹부13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온조 박스11을 세척할 수 있어, 청소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상기 박스 본체30의 내부에는 상기 유닛10의 제 1통풍구20을 막는 일없이 스무드하게 공기가 유입하는 동시에, 수용하는 쥬스류등의 진동음을 방지하기 때문에, 복수의 슬릿에 의해 바구니형으로 형성된 네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또, 수용하는 쥬스류 등의 표면에 부착한 결로수 등은 박스 본체30과 연통 하는 박스 수용본체30과 연통하는 박스 수용 凹부13의 배수구22로 부터의 배수관29를 통해 차 밖으로 배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박스 본체30의 윗쪽 개구부에는, 센서30b가 설치되어, 덮개31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한편, 상기 덮개31은 상자형으로, 저면에 연통구32가 전면 및 측면 전방측에 송풍구33이 각각 뚫려 있다. 각 송풍구33은 그 내부에 설치한 댐퍼34(도 2(b)참조)에 의해 풍향의 변경 및 송풍의 정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조 박스11은, 유닛10을 리어 패널12의 중앙에 장착하고, 그 박스 수용 凹부13에 장착한 상태에서, 덮개31만이 리어 패널12로부터 노출하여, 차 내 전방 측에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19가 유닛 l0의 양측에서 리어 패널12의 상면에서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차 내 전방 측 공조장치25의 제어장치25a에 의해, 차 내 공조 및 온조 박스 ll 내의 수용물의 온조가 행하여진다. 이하, 그 동작을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즉, 우선, 차내의 공조 조건을 판단한다(스텝S1). 이 공조 조건의 판단은 차 내외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결정한 차 내 전방 측 공조장치25에서의 송풍 온도에 따라서 행한다. 송풍 온도가 외기 온도에 대하여 소정 영역 온도인 경우에는 송풍 모드, 소정 영역 온도 보다도 낮은 경우는 냉방 모드, 높은 경우는 난방 모드로 판단한다.
송풍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차 내 후방 측 공조장치에 의해서는, 차 내 공조를 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댐퍼16 및 32를 회전시킴으로 흡입구15 및 송풍구 33을 폐색(閉塞)하여 유닛 내 순환 모드로 한다(스텝S2).
한편, 송풍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급속 스위치27이 온 인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 온조 박스 l1을 급속히 온조할 필요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S3). 또, 냉난 변환 스위치26에 의해, 어느 것이 선택했느냐를 판단함으로, 공조 조건이 온조 박스11의 온조와 상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4).
어느 조건에도 해당하지 않으면 댐퍼16 및 32를 회전시킴으로, 흡입구15 및 송풍구33를 개방하여 차 내 송풍 모드로 한다(스텝S5). 또, 상기 어느 한편의 조건에 해당하면, 댐퍼16 및 32를 회전 시킴으로, 흡입구15 및 송풍구33을 폐색하여 유닛 내 순환 모드로 한다(스텝S2).
그리고, 크로스 플로우 팬24를 구동한다(스텝S6). 댐퍼16 및 32에 의해 흡입구15 및 송풍구33이 개방된 차 내 송풍 모드이면, 차실 내 공기가 덕트19로부터 흡입구15를 통해서 공기 통로14에 빨아 들여, 제l 통풍구20으로부터 온조 박스1l내를 통과한 뒤 덮개31의 송풍구33으로부터 차내에 송풍된다. 이에 따라, 열 교환기23으로 온조된 공기가 온조 박스1l내를 통과하여, 수용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동시에, 덮개31에 설치한 송풍구33을 통해 차내를 공조한다.
또, 댐퍼16 및 32에 의해 흡입구15 및 송풍구33이 폐색된 유닛 내 순환 모드이면 유닛10내에서 공기가 순환하기 때문에, 차실 내 공기가 유닛10내로 빨아 들여서 송풍구33으로부터 차내에 내뿜어지는 일은 없다. 이 결과로 온조 박스1l을 급속히 온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공기 통로14와 온조 박스11로 순환하는 소량의 공기를 온조하여, 효과적으로 온조 박스11내의 수용물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냉난 변환 스위치26에 의해 선택된 모드와 차 내 전방측 공조장치25로 제어중인 모드가 일치하지 않고 있는, 공조 조건이 온조 박스1l의 온조와 불일치인 경우(차 내 냉방중에 수용물을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차 내 난방중에 수용물을 냉각할 필요가 있는 경우), 차 내 공조와는 별개로 수용물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차 내 공조 및 온조 박스11내의 수용물의 온조가 개시되면, 온조 박스11에 설치한 센서30b에서의 검출신호의 유무에 의해 덮개31의 검출이 있었느냐 아니냐를 판단한다(스텝S7). 검출되어 있으면, 덮개31이 폐색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대로 차 내 공조 등의 제어를 속행하고,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덮개31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차 내 측에 공기가 내뿜지 않도록 블로아28의 구동을 제어하여 크로스 플로우 팬24의 회전을 억제 또는 정지시킨다(스텝S8). 이에 따라, 승객이 불쾌감을 받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센서30b 대신에 리미트 스위치등도 사용 가능하다. 또, 이 검출은 박스 본체30과 덮개31의 계합(係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노브 조작(이 구조는 도시하지 않은 종래의 주지의 것이다. )등에 의해서 덮개3l이 개방되기 전에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전에 차 내 측에의 불어 내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용 물에 물방울 등이 부착한 채로 온조 박스11에 수용할 경우 박스 수용 凹부13의 저면에 설치한 배수구22를 통해 유닛10의 공기 통로14내에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24를 사용함으로, 유닛10내의 공기 흐름을 곡선형으로 하고, 또한 온조 박스11을 유닛10에 형성한 박스 수용 凹부13에 수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대단히 콤팩트하다. 더구나, 박스 수용 凹부13에서는 온조 박스11이, 온조 박스11에서는 그 덮개31이 각각 그 내부의 공기에 의해서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단열 구조가 불필요함으로, 구조를 간략 화할 수 있는 동시에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차 내 후방용 공조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차 내 전방용 공조장치에 물론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댐퍼16 및 32로 흡입구15 및 송풍구33을 개폐함으로, 유닛 내 순환 모드와 차 내 송풍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였지만, 어느 한편만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열 교환기23을 냉각 및 가열의 양쪽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이 열 교환기23를 냉방 전용의 증발기로 구성하여, 상기 온조 박스11내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PTC 히터35를 수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PTC 히터35는 상기 박스 수용 凹부13의 측면에 형성한 제 2통풍구21를 막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냉방 또는 온조 박스1l내의 냉각의 경우에는 상기와같이 해서 크로스 플로우 팬24 및 열교환기23을 구동한다. 한편, 난방 또는 온조 박스11내 가열할 경우에는 크로스 플로우 팬24를 역회전 시키는 동시에, 열교환기23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 2통풍구21을 통해PTC 히터35로 송풍되여, 온조 박스 11내를 가열할 수 있다. 단지, 이 경우, PTC 히터35의 가열능력을 고려하여 댐퍼16로 흡입구15를 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온조 박스 부착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온조 박스의 일부를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에 의해서 곡선형으로 방향 변환되는 공기 통로의 연장 상에 배치하고, 또 온조 박스에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의 하류 측의 공기 통로에서 차 내 측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로를 형성했으므로 대단히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크로스 플로우 팬에 의해 무리 없이 송풍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온조 박스의 온조 및 차 내 공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조 박스를 그 아래쪽으로 적어도 유닛 내의 공기 통로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해당 위치에서 온조 박스와 공기 통로를 배수구에 의해 연통 하였기 때문에, 별개에 배수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로 배수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유닛 내에 수용되는 온조 박스를 유닛에 근접시키는 동시에 상기 열 교환기의 근방에 배치 했으므로 송풍만의 온조에 비하여 더 효과적인 온조가 기대된다.
또, 상기 유닛 공기 통로의 하류 부와 온조 박스를 연통 하는 제 1통풍로의 이외에, 온조 박스와 공기 통로의 상류부를 연통하는 제 2통풍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유닛 내 순환 모드 또는 차 내 송풍 모드중 어느 한편에 변환가능한 댐퍼를 설치 하였으므로, 차 내 공조 조건등에 따라서 적절한 온조 상태를 선택 가능하다.
특히, 상기 온조 박스의 송풍 로의 하류측을 온조 박스의 덮개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댐퍼를 그 덮개의 송풍로에 설치하는 것으로, 차 내 측에의 풍향의 변경 또는 송풍의 정지를 가능하게 하면, 온조 박스와는 별도로 차 내 송풍 구조를 형성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유닛 내 순환모드와, 차내 송풍 모드와 변환가능한 구조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를, 차내 공조 조건 및 온조 박스 내의 온조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유닛 내 순환 모드 또는 차 내 송풍 모드중 어느 한편으로 전환하는 모드 변환 제어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차 내 공조 조건 및 온조 박스 내의 온조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보다 적절한 온조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있다. 또,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덮개검출수단과, 그 덮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송풍을 억제 또는 정지하는 송풍량 제어수단을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덮개가 개방 되었을 경우에, 차 내 측에 공기가 내뿜지 않고, 승객이 불쾌한 생각을 하는 일이 없다. 또, 유닛에 대하여 온조 박스를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온조 박스 및 박스 수용 凹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열 교환기를 냉각 전용의 증발기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온조 박스 내에 히터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을 정역회전(正逆回轉) 가능하게 하여, 그 크로스 플로우 팬 정회전시에는 열 교환기를 구동하고, 역전시에는 열교환기를 정지하는 과 동시에, 히터를 온 상태로 하는 냉난 제어 수단을 설치 하였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로, 온조 박스의 냉각 및 가열을 할 수 있다.

Claims (9)

  1. 유닛 내에 형성한 공기 통로 내에 열 교환기와 크로스 플로우 팬을 수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온조 박스의 일부를,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에 의해서 곡선 상으로 방향변환 되는 공기 통로의 연장 상에 배치며, 또 온조 박스에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의 하류 측의 공기 통로에서 풀내 측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온조 박스를, 그 아래쪽으로 적어도 유닛 내의 공기 통로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또 그 위치에서 온조 박스와 공기 통로를 배수구에 의해 연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조 박스를 상기 열 교환기의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크로스 플로우 팬의 하류 측의 공기 통로와 온조 박스를 연통하는 제 1통풍로의의 이외에, 온조 박스와 크로스 플로우 팬의 상류측의 공기 통로를 연통하는 제 2통풍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유닛 내 순환 모드 또는 차내 송풍 모드중 어느 한편으로 변환 가능한 댐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조 박스의 송풍로의 하류 측을 온조 박스의 덮개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댐퍼를 그 덮개의 송풍로에 설치하는 것으로 의해, 차내 측에의 풍향의 변경 및/또는 송풍의 정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첨부한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를 차내 공조 조건 및 온조 박스 내의 온조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유닛 내 순환 모드 또는 차 내 송풍 모드중 어느 한편으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덮개 검출수단과, 해당 덮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송풍을 억제 또는 정지하는 송풍량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조 박스를 유닛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를 냉각 전용의 증발기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온조 박스 내에 히터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을정 역회전가능하게 하여 그 크로스 플로우 팬 정회전시에는 열교환기를 구동하고, 역전시에는 열교환기를 정지함과 동시에, 히터를 온 상태로 하는 냉난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조 박스를 부착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70042913A 1996-10-07 1997-08-29 온조박스를부착한차량용공조장치 KR100291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591096A JP3623613B2 (ja) 1996-10-07 1996-10-07 温調ボックス付き車両用空調装置
JP265910 1996-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336A KR19980032336A (ko) 1998-07-25
KR100291543B1 true KR100291543B1 (ko) 2001-06-01

Family

ID=1742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913A KR100291543B1 (ko) 1996-10-07 1997-08-29 온조박스를부착한차량용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23613B2 (ko)
KR (1) KR100291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2825B2 (ja) * 2005-12-05 2010-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冷温蔵装置
US8113229B2 (en) * 2008-07-24 2012-02-14 Honda Motor Co., Ltd. Gear operated shut valve for a venti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336A (ko) 1998-07-25
JPH10109521A (ja) 1998-04-28
JP3623613B2 (ja)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5701752A (en) Vehicular air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excellent windshield defogging characteristics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7137127A (ja) 車両用電池冷却・空調装置
KR100291543B1 (ko) 온조박스를부착한차량용공조장치
KR100807753B1 (ko) 증발기 및 히터코어 일체형 열교환기 및 이것을 이용한자동차 공조장치
JP36538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01832B1 (ko) 자동차용 보조 공기조화장치
JP362319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27015U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차량의 공조 장치
JP38149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56252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476053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42532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JPH08276721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435383B1 (ko) 자동차용 공조시스템내의 수분 제거 장치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1009269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H0818803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410667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2046447A (ja)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JP3815319B2 (ja) 車載用空調装置
KR100917172B1 (ko) 공조유니트
JPS6336859Y2 (ko)
KR10170366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