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055B1 -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055B1
KR100291055B1 KR1019960059317A KR19960059317A KR100291055B1 KR 100291055 B1 KR100291055 B1 KR 100291055B1 KR 1019960059317 A KR1019960059317 A KR 1019960059317A KR 19960059317 A KR19960059317 A KR 19960059317A KR 100291055 B1 KR100291055 B1 KR 10029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spring
vertical hole
load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173A (ko
Inventor
원성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5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05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41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iezoelectric elements, e.g. sensors or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0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6Variable pressure accumulators for hydropneumatic suspensions
    • B60G2500/2062Variable pressure accumulators for hydropneumatic suspensions by varying the air-pressure of the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에서 하중에 따라 공기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과하중인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에서 바디 또는 플로워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액슬축(51)에 설치된 로드 센서(1)아, 상기한 로드 센서(1)에 연결됨과 아울러 컴프레서(55)에 연결되어 있는 ECU(2)로 구성한다.

Description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
본 발명은 탄성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에서 하중에 따라 공기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바디와 새시가 타이어에 지지된 상태로 주행하는 장치인 바, 상기한 타이어와 바디의 사이에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전달하지 않도록 서스펜션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서스펜션은 노면의 굴곡으로부터 충격이 바디에 전달될 때 이를 감소 또는 흡수하여 승객이 과다하게 흔들려 승차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트럭등과 같이 자체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하물을 싣는 프레임 장착 차량에서는 각 차륜이 독립된 승용차와 상이하게 일체식인 액슬축 현가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과, 상기한 프레임(50)의 액슬축(51) 설치 위치에 고정된 토크 멤버(52)와, 상기한 토크 멤버(52)와 프레임(50)의 사이에 개재된 공기 스프링(53)과, 상기한 토크 멤버(52)를 지지하도록 프레임(50)과 연결설치된 토크 로드(54)와, 상기한 공기 스프링(53)에 연결되어 공압을 인가하는 컴프레서(5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액슬축과 프레임의 사이에는 과하중 시 프레임 또는 바디와 액슬축이 접촉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인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 스프링의 동작은 컴프레서에서 일정 압력의 공기를 송풍하여 공기 스프링 내부를 충만시켜 주행하게 되는 바, 주행 시 상기한 공기 스프링은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그 탄성에 의해 바디를 지지함과 아울러 노면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차량의 하중이 과도하게 되면 상기한 공기 스프링의 탄성을 넘어서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스토퍼에 프레임 또는 바디가 접촉되면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즉, 과도하게 바디가 처질 경우 상기한 고무 재질의 스토퍼가 바디를 지지하여 액슬축과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과도한 하중 상태인 차량에서 스토퍼로 바디와 액슬축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면 고무 재질인 스토퍼의 완충 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 또는 플로워 패널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하중인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에서 바디 또는 플로워 패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액슬축에 설치된 로드 센서와, 상기한 로드 센서에 연결됨과 아울러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있는 ECU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를 도시한 ㅐ략도,
도2는 도1에서 로드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일반적인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현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로드 센서 2: ECU
3: 수직공 4: 측정공
5: 본체 6: 스프링
7: 캡 8: 피스톤
9: 압력 센서 10: 유체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탄성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액슬축(51)에 설치된 로드 센서(11)와, 상기한 로드 센서(11)에 연결됨과 아울러 컴프레서(55)에 연결되어 있는 ECU(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로드 센서(1)가 과하중을 감지할 경우 공기 스프링에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공기 스프링(53)의 탄성을 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로드 센서(11)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슬축(51)에 고정됨과 아울러 수직공(3)이 형성되고 상기한 수직공(3)에서 연장되도록 측정공(4)이 형성된 본체(5)와, 상기한 수직공(3)에 삽입되고 저면이 스프링(6)으로 지지되며 수직공(3)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캡(7)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피스톤(8)과, 상기한 측정공(4)에 연장 설치되어 수직공(3)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 센서(9)와, 상기한 수직공(3) 및 측정공(4)에 충만된 유체(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화물 차량이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면 상기한 화물의 중량에 따라 공기 스프링(53)이 압축되는 바, 상기한 공기 스프링(53)의 압축 시 상기한 화물의 중량이 과다할 경우 상기한 피스톤(8)이 프레임(50)에 의해 압박된다.
피스톤(8)이 압박되면 상기한 피스톤(8)의 저면에 위치된 스프링(6)을 압축시키면서 피스톤(8)이 하향됨고 아울러 상기한 수직공(3) 내부에 충진된 유체(10)가 압박된다.
유체(10)가 압박되면 측정공(4)을 통해 상기한 유체(10)의 압력이 압력 센서(9)에 전달되는 바, 상기한 압력 센서(9)가 압력을 측정하여 ECU(2)에 전달하게 된다.
ECU(2)에 압력이 전달되면 상기한 ECU(2)가 컴프레서(55)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공기 스프링(53)에 적정량의 압축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즉, 화물의 하중에 적합하도록 ECU(2)가 공기 스프링(53)에 송풍하게 됨으로써 프레임(50)과 액슬축(51)이 접촉되지 않게 된다.
물론, 화물의 하중이 감소되면 상기한 피스톤(8)이 스프링(6)의 탄성에 의해 상향되고, 이를 압력 센서(9)에서 감지함으로써 컴프레서(55)를 정지시키게 되고, 도시되지 않은 배기 장치를 통해 공기 스프링(53)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물의 중량에 따라 공기 스프링의 내부 아력을 증감시킴으로써 프레임과 액슬축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액슬축에 설치되어 감지된 하중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차량의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있는 ECU로 전송하는 로드센서가 수직공에서 연장되도록 측정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한 수직공에 삽입되고 저면이 스프링으로 지지되면 수직공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측정공에 연잘 설치되어 수직공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ECU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 센서 및 상기한 수직공및 측정공에 충만된 유체로 구성되어진 공기 스프링 장착 차량의 조절 장치.
KR1019960059317A 1996-11-29 1996-11-29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KR10029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17A KR100291055B1 (ko) 1996-11-29 1996-11-29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17A KR100291055B1 (ko) 1996-11-29 1996-11-29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173A KR19980040173A (ko) 1998-08-17
KR100291055B1 true KR100291055B1 (ko) 2001-09-17

Family

ID=3752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317A KR100291055B1 (ko) 1996-11-29 1996-11-29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466A (ko) *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재중량에 따른 자동 푸셔액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122A (en) * 1972-07-25 1975-03-25 Friedhelm Fischer Automatic levelling arrangement for vehicles and the li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122A (en) * 1972-07-25 1975-03-25 Friedhelm Fischer Automatic levelling arrangement for vehicle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173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408B2 (en) Vehicle suspension
KR100291055B1 (ko) 공기스프링장착차량의탄성조절장치
CN108621733B (zh) 车辆悬挂装置及包括其的车辆
KR10043534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시스템
KR100448777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진동흡수장치
KR100197501B1 (ko) 속도 감응식 현가장치
KR100235660B1 (ko) 자동차 연료 탱크용 리저버의 평행유지 장치
KR20040006903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2343565B1 (ko)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090059455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950008361Y1 (ko) 콤프레션 밸브 가변식 스트로크 감응식 쇽 업쇼바
KR20020052595A (ko) 차량 현가장치
KR100264261B1 (ko) 차량의 과하중 경보장치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20030006347A (ko) 버스의 현가장치용 공기 스프링
KR100201114B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0120252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9980015655A (ko) 도로 조건 예측이 가능한 자동 서스펜션
KR100587734B1 (ko) 차량의 의자용 완충장치
KR100203835B1 (ko) 자동차 수평 조절장치
KR100643962B1 (ko) 공기 스프링을 이용한 차량 전복방지 장치
KR100229273B1 (ko) 소형화물차의 시트 유동 방지 장치
KR20000001100U (ko) 트럭용 완충기의 감쇠력 자동제어장치
KR19980028231U (ko) 시트 댐핑 시스템
KR19980044919U (ko) 범퍼 스톱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