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319B1 - 리어글라스안테나 - Google Patents

리어글라스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319B1
KR100290319B1 KR1019930025426A KR930025426A KR100290319B1 KR 100290319 B1 KR100290319 B1 KR 100290319B1 KR 1019930025426 A KR1019930025426 A KR 1019930025426A KR 930025426 A KR930025426 A KR 930025426A KR 100290319 B1 KR100290319 B1 KR 10029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ar glass
folded
folded port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700A (ko
Inventor
마에다마사루
이이지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쯔무라 미노루
닛본 이따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무라 미노루, 닛본 이따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무라 미노루
Publication of KR94001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마스킹 에어리어로 부터 벗어난 안테나 선의 선폭을 확장할 필요없이 고감도를 얻을 수 있는 리어글라스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
자동차 리어글라스(2)에 수평방향으로 부설한 여러개의 가열용도전선(3)과, 상기 리어글라스(2) 가장자리를 따라 급전점(5)으로 부터 길게 늘인 부분(4d), (4e), 이 부분(4d), (4e)의 선단부로 부터 리어글라스(2) 중앙측으로 되접어 늘인 되접은 부분(4g), 이 되접은 부분(4g)의 선단부로 부터 리어글라스(2) 중앙을 향해 길게 늘인 주 안테나 부분(4c)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선을 구비한 리어글라스 안테나(1)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 부분(4g)은 여러개의 가는 선 안테나 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어 글라스 안테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글라스 안테나의 패턴도.
제 2 도는 2개의 가는 선을 병렬로 늘어놓고 형성했을 때의 되접은 부분의 패턴도.
제 3 도는 3개의 가는 선을 병렬로 늘어놓고 형성했을 때의 되접은 부분의 패턴도.
제 4 도는 평균 수신감도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 5 도는 평균 수신감도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표.
제 6 도는 되접은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어 글라스 안테나 2: 리어 글라스
3: 가열용 도전선조군 3a, 3b: 모선(母線)
4: 안테나 선조군 4a, 4b: L자형 부분
4c: T자형 부분 4g: L자형 부분(4b)의 되접은 부분
5: 급전점(給電点) 6: 중심선
본 발명은 자동차의 라디오 또는 TV 수신용 리어 글라스 안테나(rear glass antenna)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자동차의 프론트 글라스에 안테나 선조(線條)를 설치하는 것은 시계(視界)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리어 글라스에 서리방지용의 복수의 가열용 도전선조(導電線條)와 함께 라디오와 TV 수신용 안테나 선조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안테나에 있어서는 안테나 선조의 도중에 되접은 부분을 설치하고, 특정 대역에 관해서 위상조정하여 수신 이득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통상 안테나 선조가 마스킹 에어리어(masking area)로부터 벗어나면 미관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마스킹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나는 되접은 부분의 선폭은 넓게 할 수 없고, 통상 마스킹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있어서는 선폭을 1mm로 하고 있다.
또한, 보디 플랜지(body flange)에 의해 안테나 선조가 가려지는 마스킹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선폭은 3∼5 mm로 하고 있다.
또한, 되접은 선의 임피던스(impedance)가 높기 때문에, 1 mm 정도의 선폭에서는 감도저하가 현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마스킹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난 안테나 선조의 선폭을 넓히지 않고서도 고감도를 얻을 수 있는 리어 글라스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글라스 안테나는,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다수 개의 가열용 도전선조와, 상기 리어 글라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급전점(給電点)으로부터 연장한 부분, 이 부분의 선단부로부터 리어 글라스의 중앙측으로 되접어 연장한 되접은 부분, 이 되접은 부분의 선단부로부터 리어 글라스의 중앙으로 향해 연장한 주(主) 안테나 부분으로 이루어진 안테나 선조를 구비한 리어 글라스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 부분은 다수 개의 가는 안테나 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는 안테나 선을 다수 개 사용하여 되접은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표피(表皮)효과에 의해 실질적으로 굵은 되접은 부분을 형성한 것과 같게 되어, 고주파 저항을 낮게 하여 양호한 감도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글라스 안테나에 설치된 안테나 선조의 패턴도이다.
리어 글라스 안테나(1)는,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2)에 수평방향으로 설처된 가열용 도전선조군(群)(3)과, 이 가열용 도전선조의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 선조군(4)과, 수신전파를 수신기에 전파하기 위한 급전점(給電点)(5)으로 이루어진다.
가열용 도전선조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모선(母線)(3a, 3b)을 통해 급전(給電)되어, 리어 글라스(2)의 서리방지를 행한다.
안테나 선조군(4)은 L자형 부분(4a, 4b)과, 주(主) 안테나 부분인 T자형 부분(4c)으로 된 3개의 안테나 선조로 이루어진다.
L자형 부분(4a)은 리어 글라스(2)의 가장자리를 따라 급전점(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부분(4d)과, 그 부분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접혀 리어 글라스(2)의 중심선(6)을 넘어 연장하는 수평 부분(4e)으로 이루어진다.
L자형 부분(4d)은 상기 L자형 부분(4a)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혀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부분(4f)과, 그 부분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되접혀 중심선(6)까지 연장하는 되접은 부분(4g)으로 이루어지고, 그 되접은 부분(4g)에서 가열용 도전 선조군(3)과 고주파 결합하는 T자형 부분(4c)에 연결된다.
T자형 부분(4c)은 수직 부분(4h)과 수평 부분(4i)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테나 패턴의 바람직한 치수는 표 1과 같다.
표 1
즉, 표 1에서, a는 L자형 부분(4a)이 중심선(6)을 넘어 연장하는 거리, b는 L자형 부분(4a, 4b)들 각각의 수평 부분의 수직간 거리, c는 L자형 부분(4b)의 되접은 부분(4g)과 T자형 부분(4c)의 수평 부분(4i)의 수직간 거리, d는 T자형 부분(4c)의 수평 부분(4i)과 가열용 도전선과의 거리, e는 T자형 부분(4c)의 수평 부분(4i)의 거리이다.
도면에서, 안테나 선조의 선폭은 L자형 부분(4a)에서는 3 mm, 되접은 부분(4g)을 제외한 기타 부분에서는 1 mm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되접은 부분(4g)을 다수 개의 가는 선으로 형성한다. 가는 선의 바람직한 갯수는 2∼4개이다.
제 2 도는 상기 L자형 부분(4b)의 되접은 부분(4g)을 2개의 가는 선을 병렬로 늘어놓아 형성했을 때의 되접은 부분의 패턴도이고, 제 3 도는 상기 L자형 부분(4b)의 되접은 부분(4g)을 3개의 가는 선을 병렬로 늘어놓아 형성했을 때의 되접은 부분의 패턴도를 나타낸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는, L자형 부분(4a)의 수평 부분(4e)은 리어 글라스(2)의 마스킹 에어리어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와 같이 되접은 부분을 가는 선을 다수 개 늘어놓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등가적(等價的)으로 굵은 선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할 수 있고, 광대역성(廣帶域性)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그의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되접은 부분(4g)의 바람직한 치수는 다음과 같다. 즉, 각각의 가는 선의 선폭은 0.4∼1.2 mm, 선간 거리(선 중심과 중심간의 거리)는 1∼3 mm, 선폭과 선간 거리를 포함한 전체 폭은 3∼10 mm이다.
가열용 도전선조군(3), 모선(3a, 3b), 안테나 선조군(4), 급전점(5)은 은(銀)의 미세한 입자, 저융점 글라스 분말 등을 유기용매로 페이스트상(狀)으로 한 도전 페이스트를 리어 글라스(2)에 스크린 인쇄하거나, 2장의 글라스 사이에 가는 금속선을 삽입하여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리어 글라스 안테나의 수신 전파는 급전점(5)에 결합된 동축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수신기(도시하지 않음)로 전파된다.
제 4 도는, 일례로서, 안테나 선조의 L자형 부분(4a)의 선폭이 3 mm이고, 되접은 부분(4g)을 제외한 기타 부분의 선폭이 1 mm인 경우에 있어서의 76 MHz∼90 MHz의 일본국내 FM 방송대역에서의 평균 수신감도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횡축은 주파수(단위 MHz)를 나타내고, 종축은 안테나의 수신감도(단위 dB)를 나타낸다. 또한, 제 5 도는 상기 그래프를 도표로서 나타낸 것이다.
제 4 도에 있어서의 a는 되접은 부분의 선의 수가 1개일 때의 안테나 수신감도, b는 되접은 부분의 선의 수가 2개일 때의 안테나 수신감도, c는 되접은 부분의 선의 수가 3개일 때의 안테나 수신감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준 다이폴(dippole)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0 dB로 했을 때의 감도차(다이폴 안테나비)로 나타내면, 각각 -13.9 dB, -12.8 dB, -12.2 dB가 되고, 되접은 선의 갯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따라 모든 대역에서 수신감도가 상승하고, 매우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안테나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글라스 안테나는 상기와 같은 성능을 갖기 때문에,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자동차의 측부 윈도에 설치한 글라스 안테나 등과 조합시켜 다이버시티(diversity) 수신을 행하면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 6 도는 되접은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6 도의 (a)는 미관상의 문제를 무시할 수 없고 마스킹 에어리어가 클 때에 마스킹 에어리어내에서만 안테나 선조 부분 전체의 선폭을 넓게 형성한 것이다.
제 6 도의 (b)는 되접은 부분 및 T자형 부분을 다수 개의 가는 선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되접은 부분의 안테나 선조를 다수 개의 가는 선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로부터 급전점까지의 길이를 바꾸는 일 없이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수신감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파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난 안테나 선조를 가는 선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아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Claims (1)

  1.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다수 개의 가열용 도전선조(導電線條)와, 상기 리어 글라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급전점으로부터 연장한 부분, 이 부분의 선단부로부터 리어 글라스의 중앙 측으로 되접어 연장한 되접은 부분, 이 되접은 부분의 선단부로부터 리어 글라스의 중앙으로 향해 연장한 주(主) 안테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선조(線條)를 구비한 리어 글라스 안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 부분이 다수 개의 가는 안테나 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글라스 안테나.
KR1019930025426A 1992-11-27 1993-11-26 리어글라스안테나 KR100290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41176 1992-11-27
JP4341176A JPH06169209A (ja) 1992-11-27 1992-11-27 リヤガラスア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700A KR940012700A (ko) 1994-06-24
KR100290319B1 true KR100290319B1 (ko) 2001-09-17

Family

ID=1834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426A KR100290319B1 (ko) 1992-11-27 1993-11-26 리어글라스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169209A (ko)
KR (1) KR100290319B1 (ko)
GB (1) GB2273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8890B2 (ja) * 1996-12-06 2005-01-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570A (en) * 1982-11-18 1986-08-26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Automotive window glass antenna
JPH0486102A (ja) * 1990-07-30 1992-03-18 Central Glass Co Ltd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DE69313165T2 (de) * 1992-03-06 1997-12-18 Central Glass Co Ltd Scheibenantenne für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324447D0 (en) 1994-01-12
GB2273206A (en) 1994-06-08
GB2273206B (en) 1997-01-08
JPH06169209A (ja) 1994-06-14
KR940012700A (ko) 199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1171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US5663737A (en) Window glass antenna for automobile telephone
JP4941158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AU2014201816B2 (en) Automative glass antenna
JP3613097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EP0766337A1 (en) Window pane antenna for vehicles
JP4055665B2 (ja)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
JPH066581Y2 (ja)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KR100290319B1 (ko) 리어글라스안테나
EP2555321A1 (en) Glass antenna
JP4225373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US6008766A (en) Rear window glass antenna for automobiles
JP3630616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H0113643B2 (ko)
JP2002299932A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2795591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H09153716A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2962394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3199201B2 (ja) ガラスアンテナ
JP3226198B2 (ja) ガラスアンテナ
JPS6150526B2 (ko)
JPH09321518A (ja) 自動車電話用ガラスアンテナ
JP2962400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2962393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2638711B2 (ja)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