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636B1 -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 Google Patents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636B1
KR100289636B1 KR1019960029103A KR19960029103A KR100289636B1 KR 100289636 B1 KR100289636 B1 KR 100289636B1 KR 1019960029103 A KR1019960029103 A KR 1019960029103A KR 19960029103 A KR19960029103 A KR 19960029103A KR 100289636 B1 KR100289636 B1 KR 10028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container
liquid crystal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02A (ko
Inventor
시게아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데구치 도미하치로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하치카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치 도미하치로,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하치카세이 filed Critical 데구치 도미하치로
Publication of KR97001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2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minated or bonded to the inner wall of a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액정용유리등상면의 청정을 유지하는 필요가 있어, 충격에도 견디는 유리판운반용기를 개발한다.
[해결수단] 용기내에 수용하는 유리판을 분리하는 가이드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뚜껑이 닫히면 L자형 유지구가 수납유리판의 가로방향을 끼우고, 세로방향을 쿠션을 통해 가압하여 안정수용한다. 이 용기양측면에 각대를 돌설하여 용기본체를 옆으로 쓰러 뜨림으로써 유리판은 수평방향에 유지되고, 수납, 취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운반용용기를 일부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운반용용기의 중앙단면이 되는 측면도.
제3도는 가이드판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용기본체의 평면도.
제4도는 유리판을 분리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판의 사시도.
제5도는 반으로 나눈 유리판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서의 도면.
제6도는 반으로 나눈 유리판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용기의 중앙단면측면도.
제7도는 용기본체내에서의 L자형 유지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판운반용용기 2 : 용기본체
3 : 뚜껑 4 : 가이드판
5 : L자형유지구 6 : 방진매트
7 : 쿠션부재 8 : 방진매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정용등의 유리판(이하, 유리판이라함)을 파손이나 상처등의 손상을 주는 일없이, 또한, 청결하게 보존하여, 운반하기 위해서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유리판은 세로550×가로650mm 정도로 부터 그 반의 것까지 여러가지의 것이 있어, 현재 그 보존 및 반송에 관하여는 다음 3종류의 완충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의 방법은 이것들의 유리판을 10매 내지 30매정도를 포개어, 그 각각의 능선에 발포수지성형이 되는 단면 L자형 보호부재를 접촉걸어맞춤시키어, 그 외측을 열수축성 테이프로 체결포장하는 것이다. 제2의 방법은, 폴리에틸렌등의 반경질 내지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홈형 성형품을 각각 유리판의 주변테두리에 끼워 두루 감어, 이것을 적당 매수로 포개어 테이프로 체결하여 포장하는 것이다. 제3의 방법은,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성형한 상자형용기에 소요매수의 유리판을 수용하여, 이들 해당용기에 적합한 뚜껑을 덮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의 3개의 완충포장은 각각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제1의 방법은 적층된 유리판의 표면이 인접하는 유리판과 접촉하여 상처가 나기 쉽고, 또한, 보호부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유리판표면등에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하는 것이 있고 그 취급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제2의 방법에 있어서는, 홈형재를 각 유리판의 사방에 착탈하는 작업은 남의 손에 의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또한, 유리의 가장자리에 의해 부상당할 위험성도 높다.
더욱, 이와 같이 4변이 보호된 유리를 적층하고 또한 완충성능을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포장하지 하여야만 하는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한다. 제3의 방법은, 유리판을 발포수지제의 용기에 수납하고, 또는 꺼내는 때에 그 유리판의 측면이 해당용기의 벽면에 접촉하여 그 면을 절삭함으로써 생기는 절삭부스러기를 발생시킨다.
이 절삭부스러기가 유리판표면에 부착하여 오염을 일으켜 성능을 열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는, 그 포장, 수납 및 그 취출은 반드시 사람의 손에 의지하지 않을 수가 없으므로, 제품의 자동화된 일련의 가공처리공정의 흐름을 차단하는 결점이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유리판을 수직방향으로 수납하여 운반하는 용기에 있어서, 수납하는 유리판을 소정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격벽을 가지는 가이드판과, 수용유리판의 양단부하방으로 유리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단면 L자형의 재치대()를 가지는 유지 부재를 대향모양으로,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함과 동시에 해당용기 저면에 완충부재를 부설한 용기본체와, 그 본체에 끼워 맞추는 뚜껑에는, 그 이면에 완충부재를 돌출모양으로 장착하여, 해당본체와 뚜껑과의 피복끼워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돌기 및 걸어맞춤구멍을 해당본체와 뚜껑에 형성한 구조로 한 것으로, 이 용기본체에 유리판을 수납하여, 그 뚜껑을 피복가압하여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구멍을 걸어맞춤시키면 상기 유지부재의 L자형 유지부의 경사가 해당 유리판의 양단하변에 의해 강제적으로 눌러내려지고 그 L자형부의 세로판면이 그 유리판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해당 유리판을 끼우고, 더욱이 상하의 완충부재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로 하였다.
유리판을 소정간격으로 유지하여 수납하는 가이드판은, 양단에 용기의 가이드홈(2b)에 끼워 걸어맞춤하기 위한 기판을 가지어, 그 기판사이를 잇는 지지벽판에 유리판의 수용가능매수보다 한장 많은 격벽을 양면 또는 한 면에 돌출설치형성한 것이고, 용기본체내부의 양단근방에 각각 1∼2쌍 및 중앙에 한쌍을 형성한 끼움홈에 자유롭게 끼워질 수 있도록 걸어맞춤된다. 이 끼움홈에 걸어맞춤 장착된 양단 또는 양단 및 중앙의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판의 각각의 홈밑바닥사이에서의 거리는 수납되는 유리판의 길이보다 1∼8mm 길게 유지되고 있다. 각종 크기의 유리판이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양단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판(4)에 관해서도 기판에 직교하는 지지벽판은 기판의 중심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그 지지벽판에 굴곡부를 설치하여 수cm 편심시킨 것도 준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운반용용기는 상기와 같이 쌍으로 되는 양가이드판의 간격을 수용하는 유리판의 횡폭(또는 세로길이)보다 넓게 하였기 때문에 유리판의 수납, 취출이 용이하고, 또한, 용기의 뚜껑을 닫는 것에 의해 뚜껑의 이면에 부설한 쿠션재가 해당 유리판을 눌러서 내려가게 하고, 이것에 의해서 해당 유리판의 양단하면에 접촉하고 있는 L자형 유지구가 그 기초부를 지점으로서 회동하여 L자형부의 세로판면이 해당유리판의 측면을 가압하여 유지하게 되고, 용기중의 수납된 유리판은 뚜껑이면에 장착한 쿠션부재와 용기본체의 밑바닥부에 부설한 방진매트에 의해 그 상하면을 유지하고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유리판은 용기의 양측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충격에 대하여 완전히 영향받는 일없고, 따라서 손상하는 일없고, 또한 유리판이 용기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절삭부스러기의 발생도 없게 청결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되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유리판 운반용용기(1)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 이하는 용기 본체의 내부 및 그 부분품을 나타낸 것이다. 이 운반용용기(1)는 경질 또는 반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용기본체(2)와 그 뚜껑(3) 및 가이드판(4), L자형 유지구, 완충재(7)등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해당 용기본체(2)내의 장변측 측벽(2a, 2a)의 양사이드 및 중앙에 후기의 가이드판(4, 4)이 상하방향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 걸어맞춤하는 가이드판 끼움홈(2b, 2b…)을 각각 대향위치에 형성하여, 그 양단측의 홈(2b, 2b)의 아래쪽으로 후기의 L자형 유지구(5)를 얹어놓기 위한 지지돌출조(2c, 2c)가 돌설되어 있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그 지지돌출조(2c, 2c)의 측방용기단변측측벽(2d, 2d)에 수평돌출조(또는 수개의 돌기)(2e, 2e)를 그 지지돌출조(2c, 2c)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돌설하여 L자형 유지구(5, 5)의 후방의 고정대(5c, 5c)가 삽입되는 공간(21)을 형성한다. 더욱이, 용기의 저면에는 완충재(6)를 부설하고 있다. 용기(2)의 전후면(2s) 윗쪽 소정위치에 후기의 뚜껑에 형성한 걸어맞춤구멍에 끼워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돌기(2h, 2h)를, 양옆표면에는 손잡이(2i, 2i)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유리판(G)은 용기본체(2)내에 수직으로 수납되어 있고, 본체(2)를 옆으로 쓰러 뜨리어 포크 리프트의 포크위에 각 한장의 유리를 얹어 꺼내여진다. 이 때문에 용기본체의 전후면(2S, 2S)에 그 유리판과 평행하게 되는 각대(2r, 2r)를 돌설형성하여, 수평판상에 본체(1)를 옆으로 쓰러 뜨릴때 유리판도 수평이 되도록 되어있다.
가이드판(4)은, 용기본체(2)의 안쪽면에 형성한 가이드끼움홈(2b, 2b)에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는 기판(4a, 4a)을 양단에 가지어, 그 기판사이를 잇는 지지벽판(4b)에 유리판의 수용가능매수보다 1매 많은 격벽(4c, 4c…)을 양면 또는 한면(도시않고 있음)에 돌설형성한 것이다. 제3도의 중앙에 나타낸 가이드판(4)은 지지벽판(4b)이 기판(4a)의 중심선상에 형성된 것이고, 동 도면의 측방 및 제4도에 나타내는 것은 지지벽판(4b)이 그 기초부 부근에서 곡절부(4d)를 갖고 그 기판의 중심선보다 예컨대 5mm 편위시킨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판은, 수용되는 유리판의 옆(또는 세로)방향의 치수차(현행의 액정용의 유리판은 10mm 차로 3종류 있다)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판치수가 중간(470mm)의 것에 대하여서는 지지벽판(4b)이 중심선상에 있는 것(제2도에 표시의 것)을, 대형(480mm)의 것에 대하여서는 기판(4a, 4a)의 중심선보다 지지벽판(4b)을 5mm 편위시킨 것을 그 편위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소형(460mm)의 유리판에 대하여서는 상기와는 역방향(편위가 안쪽)에 끼워 사용한다.
용기본체(2)의 밑바닥부 양단에 장착하는 L자형 유지구(5)는, 그 전장이 용기의 단변측(短側)의 저면의 안치수보다 짧은 것으로, 직각 또는 그것보다 예각을 끼는 두 개의 변 즉 세로변(5a) 및 가로변(5b)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 유지부를 가지어, 그 L자형의 교점보다 배면측에 약간 얇은 부(5d)를 통해 두꺼운 고정대(5c)가 연접된 것이다.
그 고정대(5c)는 상기의 돌설한 지지돌출조(2c, 12c)와 수평돌출조(또는 수개의 돌기)(2e, 2e)에서 형성하는 공간(2f)에 삽입되어, 그 고정대(5c)가 수평돌출조(또는 수개의 돌기)(2e, 2e)의 하부에 닿아 윗쪽으로 이동하는 일없이, 또한, 그 얇은부(5d)에 접하는 하부 두꺼운 단부(5f)가 지지돌출조(2c)에 접촉하여 용기의 중앙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 L자형 유지구(5)의 직각 또는 그것보다 약간 예각을 끼는 L자형 유지부는 배면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 있다.
용기본체(2)의 내부저면에 돌설한 돌출조(2c, 2c)의 안쪽 또는 상면에 발포플라스틱, 탄성중합체, 고무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재(6)가 장착된다.
뚜껑(3)의 내면에는, 상기의 용기내에 수용되는 유리판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수조의 돌출조(또는 돌기)(3a, 3a)를 중심보다 좌우에 편위시켜 돌설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조(3a, 3a)사이에 발포플라스틱, 탄성중합체, 고무등으로 이루어지는 원주형상 또는 네모난 형상등 적당한 형상의 완충부재(7, 7)를 끼우고 있다. 그 완충부재(7)의 직경(또는 높이)은 해당 완충부재를 돌출조(3a, 3a)에 끼울때 앞단이 밀려나오는 정도의 크기로, 유리판의 크기에 맞추어 수 종류가 준비된다. 또한, 그 끼움은 수용하는 유리판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돌출조(3a, 3a)를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용기(1)에 수용하는 유리판의 세로방향의 치수가 예컨대 550mm이면 상기의 쿠션의 구성으로 대응되지만, 275mm의 하프 사이즈의 것에 대하여서는, 예컨대 제5도에 나타내는 것 같은 물결판모양부재(8a)의 정상부분에 완충부재(7)를 부설한 완충용 스페이서(8)가 준비되어 있고, 용기의 밑바닥부와 뚜껑의 이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수납유리판(G)의 상하면을 끼워 지지하는 것에 의해 안전히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뚜껑(3)의 전후면에 연장하여 설치한 설편(舌片)(3b, 3b)에는 걸어맞춤구멍(3c, 3c)이 뚫려 있다. 이 걸어맞춤구멍에는 용기본체(2)의 전후면 윗쪽에 돌설한 걸어맞춤돌기(2h, 2h)가 끼워 맞춘다.
본 발명에 관하는 유리판 운반용용기(1)는, 이상의 구조로 되고, 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의 밑바닥부 중앙에 방진매트(6)를 부설하여, 수납하는 유리판에 대응하는 L자형 유지구(5) 및 가이드판(4, 4)을 선정한다.
그 L자형 유지구(5, 5)의 후방고정대(5c, 5c)를 양측변의 지지돌출조(2c, 2c)와 수평돌출조(또는 수개의 돌기)(2e, 2e)에 둘러싸인 공간(2f, 2f)에 장착하고, 또한, 가이드판(4, 4)의 기판(4a, 4a)를 용기내 대향측벽(2a, 2a)에 형성한 가이드판 끼움홈(2b,2b)에 걸어 장착한다. 그리고 가이드판(4, 4)에 형성한 격벽(4c)사이에 유리판(G)을 각 1매를 순차 끼워 수납한다. 유리판은 각형의 것으로, 수납때, 그 각부가 지지벽판(4b)에 접촉하여 그 측면을 깎는 등 원활한 수납이 곤란하지만, 본용기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지지판(4b, 4b)의 홈사이의 거리가 삽입유리판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수납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유리판(G) 소정매수를 수납한 때에는 L자형 유지구(5)는 아직 바깥으로 경사한 상태에 있고, 이어서, 뚜껑(3)을 용기본체에 피복하여, 가압하면 그 이면에 돌설한 돌출조(3a, 3a)에 부설한 완충부재(7, 7)에 의해서 유리판(G)을 완충유지함과 동시에, L자형 유지구(5, 5)가 그 압력에 굴복하여 두께가 얇은 부(薄肉部)(5d, 5d)를 지점(支点)으로서 회동하여 해당 L자형 세로변(5a, 5a)이 유리판(G)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유리판의 좌우면을 끼운다.
또한, 유리판 하면은 방진매트(6)위에 있어, 상부의 뚜껑의 완충부재(7)에 의해 끼워진다. 따라서 유리판(G)은 용기내에서 외부에서의 충격에 거의 영향받지 않고 안정되어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뚜껑(3)을 닫는 것에 의해 유리판(G)을 가압유지하는 것, 그 때문에 뚜껑(3)의 전후면의 설편(3b, 3b)에 뚫어설치한 걸어맞춤구멍(3c, 3c)을 용기본체에 돌설한 걸어맞춤돌기(2h, 2h)에 걸어맞춤시키어 가압력을 유지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운반용용기(1)는, 지지벽판과 기판과의 상대위치가 다른 수종의 가이드판(4) 및 L자형 유지구(5)를 준비해 두면 하나의 용기로 다종류의 유리판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판의 쌍으로 되는 지지벽판(4b, 4b)의 간격을 유리판(G)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판을 수납하기 쉽고, 뚜껑을 닫으면 유리판의 상하, 좌우가 끼워지기 때문에 용기내에서 유리판이 진동에 의한 이동 혹은 파손하는 일은 없다.
작업장에 가지고 들어간 본 발명의 용기(1)는 작업대상에, 유리판(G)의 평면이 수평이 되도록 옆으로 쓰러뜨려 뚜껑(3)이 제거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가동인 포크를 가지는 운반기계에 의해, 그 포크를 용기내의 유리판 하면에 삽입하여 약간 들어 올리어 그 포크상에 유리판을 얹어 놓아 포크를 후퇴시키는 방법에 의해 유리판을 기계적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고, 그 후의 자동화공정에 대응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기계화함으로써 유리판에 사람의 손이 접촉하는 것과 같은 것이 없게 되어 청결성이 유지된다.

Claims (5)

  1. 액정용등의 유리판을 수직방향으로 수납하여 운반하는 용기에 있어서, 수납하는 복수의 유리판을 각각 소정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격벽을 가지는 수납가이드판을 착탈자유롭게 하고, 또한, 수납되는 유리판의 양단하부가 맞닿아 누름으로써 그 유리판의 양단면을 유지하는 유리판 재치대를 장착하고, 그 용기저면 및 그 용기의 뚜껑의 이면에 방진재를 착탈이 자유롭게 한 것이고, 또한, 그 수납되는 유리판의 표리면측의 용기측면판 표면에 그 유리판과 평행한 간격을 유지하는 각대를 돌설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액정용등의 유리판을 소정간격으로 수납하여 운반하는 용기에 있어서, 그 유리판의 수납가이드판은, 용기본체의 안쪽 양측면에 복수개소에 관해서 설치한 가이드 끼움홈에 거꾸로 세워 또한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는 기판을 양단에 가지고, 또한, 그 기판사이를 잇는 지지벽판을 그 기판의 중심선상 또는 그곳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하고, 이 지지벽판에 유리판의 수용가능매수보다 한 장 많은 격벽을 양면 또는 한 면에 돌설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내부저면에 고무 또는 발포플라스틱의 완충재를 부설하고, 또한, 용기의 뚜껑의 이면에 고무 또는 발포플라스틱의 완충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양단면을 유지하는 유리판 재치대는, 전장이 용기의 단변측의 저면의 안치수보다 짧고, 단면이 직각 또는 그것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L자형의 2변을 가지고, 그 교점으로부터 배면측에 두께가 얇은 부를 통해 두께가 두꺼운 고정대를 가지는 형상으로 용기내 길이방향 양단에 대향형상으로 장착되어, 무부하상태에 있어서 그 L자형부는 약간의 각도를 갖고 바깥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수조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완충재를 정상변에 부착한 산모양 완충용스페이서를, 그 수용되는 유리판의 상하에 장착하여, 해당 유리판을 완충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KR1019960029103A 1995-08-29 1996-07-19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KR100289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9912 1995-08-29
JP7219912A JP2736877B2 (ja) 1995-08-29 1995-08-29 ガラス板運搬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02A KR970010602A (ko) 1997-03-27
KR100289636B1 true KR100289636B1 (ko) 2001-06-01

Family

ID=1674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103A KR100289636B1 (ko) 1995-08-29 1996-07-19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36877B2 (ko)
KR (1) KR100289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468B1 (ko) * 2003-10-17 2006-09-13 김봉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포장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710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엘씨디 패널용 카세트 구조
KR20030076852A (ko) * 2002-03-23 2003-09-29 김봉희 엘시디 기판용 완충부재
KR100447637B1 (ko) * 2002-03-30 2004-09-13 김봉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상자
KR100424266B1 (ko) * 2002-05-06 2004-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포장장치와, 이를 이용한적재장치
KR100517652B1 (ko) * 2002-10-21 2005-09-28 김봉희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JP4218757B2 (ja) * 2004-05-13 2009-02-04 旭平硝子加工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に用いる空気清浄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4489616B2 (ja) * 2005-03-07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密閉箱型容器
JP2007091230A (ja) * 2005-09-26 2007-04-12 Shin Etsu Polymer Co Ltd 収納ボックス
MY153570A (en) * 2008-02-11 2015-02-27 Texchem Pack M Bhd A packaging tray for head stack assembly
CN104891029B (zh) * 2015-05-22 2017-02-01 山东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可实现长距离运输变压器线圈的装置
CN105438605A (zh) * 2015-11-24 2016-03-30 无锡普瑞腾传动机械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硅片运输包装盒
CN113998289B (zh) * 2021-11-18 2023-04-11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能够保护肿瘤切片的运输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4732U (ja) * 1982-11-09 1984-05-21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ス用キヤリア
JPS6114675U (ja) * 1984-07-02 1986-01-28 昌男 金子 電子部品を実装した基板の運搬装置
JPS63159888U (ko) * 1987-04-07 1988-10-19
JP2558562Y2 (ja) * 1992-06-17 1997-12-24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基板用運搬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468B1 (ko) * 2003-10-17 2006-09-13 김봉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36877B2 (ja) 1998-04-02
KR970010602A (ko) 1997-03-27
JPH0958770A (ja) 1997-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636B1 (ko)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US6296122B1 (en) Packaging tray
US20040195142A1 (en) Packing of thin glass sheets
KR20040012517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수납용 트레이, 및 그 디스플레이용기판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41780A (ko) 곤포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곤포 장치
KR10194112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포장박스
JP2649903B2 (ja) 液晶ガラス板運搬用容器
KR100748455B1 (ko)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KR101098600B1 (ko) 백라이트 유닛 운반용 포장 블록 및 어셈블리
JP3560933B2 (ja) デイスプレイ用基板の梱包構造
JP2004149149A (ja) 大型ガラス基板用搬送トレイ
CN211309502U (zh) 圆柱体玻璃件包装箱
CN210681460U (zh) 一种托盘
JP2001031165A (ja) ガラス板搬送箱
JP4485963B2 (ja) 板状物収納容器
JP2001048178A (ja) 多段積みトレイ
JP3246368U (ja) 梱包体
JP2010116175A (ja) 梱包装置
KR0122053Y1 (ko) 평판 유리 운반용 트레이
JP2562130Y2 (ja) 板状物包装体
JP7164103B2 (ja) 付属部品セット配膳兼出荷用真空成形トレイの使用方法
CN216071080U (zh) 包装结构
CN213229614U (zh) 组合式蜡块玻片盒
JP2001348037A (ja) 板状物品梱包ユニット
JPH0542948A (ja) トレイ用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