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714B1 - 마찰마모시험기 - Google Patents

마찰마모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714B1
KR100288714B1 KR1019980010314A KR19980010314A KR100288714B1 KR 100288714 B1 KR100288714 B1 KR 100288714B1 KR 1019980010314 A KR1019980010314 A KR 1019980010314A KR 19980010314 A KR19980010314 A KR 19980010314A KR 100288714 B1 KR100288714 B1 KR 10028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load
disk
arm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653A (ko
Inventor
유키히로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즈노 마사루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마사루,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마사루
Publication of KR1998008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Abstract

디스크 시료의 회전중심에 대한 핀 시료의 미끄러져 접하는 위치를 임의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구조도 간단함과 동시에, 신뢰성이 높은 마찰마모시험기를 제공한다. 핀 시료를 유지하는 부하 암(13), 이 핀 시료에 부하를 가압하는 부하가압기구 및 마찰력을 검출하는 마찰력 검출기구(23) 등을 기대(10)상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또 디스크 시료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구동기구(11)를 이 기대(1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편심기구(80)를 설치했다.

Description

마찰마모시험기
본 발명은 시료의 마찰마모시험을 행하는 마찰마모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정한다면, 본 발명은 마찰마모시험시에 디스크 시료와 이것에 미끄러져 접하는 피스 시료와의 미끄러져 접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마찰마모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트라이볼로지(tribology), 즉 마찰·마모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마찰마모시험이 행해지고 있다. 이 마찰마모시험으로서, 원판상의 디스크 시료 위에 핀 형태의 핀 시료, 볼 형태의 볼 시료, 링 형태의 링 시료 등의 소위 피스 시료를 소정의 하중으로 가압하고, 이 디스크 시료를 회전시켜서 이 디스크 시료와 피스 시료와의 사이의 마찰·마모 현상을 측정하는 것이 있다.
또한, 상기 암의 기단부(基端部)를 회전축에 설치하고, 이 회전축의 토크를 토크 검출기에 의해 측정하고, 마찰력을 측정하는 것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마찰마모시험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의 디스크 시료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이 피스 시료의 미끄러져 접하는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조정할 필요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험기에서는 상기 암의 선단부(先端部)에 장착하는 피스 시료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 디스크 시료에 미끄러져 접하는 위치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피스 시료의 설치 위치의 조정은 번잡스럽고 비능률적임과 동시에, 이 피스 시료와 디스크 시료와의 미끄러져 접하는 위치의 조정 정밀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핀 시료 등의 피스 시료를 디스크 시료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 미끄러져 접하게 할 수 있고, 또 이 미끄러져 접하는 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고 또 정확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신뢰성이 높은 마찰마모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마찰마모시험기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정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4-4에서 본 도면,
도 5는 비구속 커플링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6은 다른 형태의 비구속 커플링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비구속 커플링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8은 판스프링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저부하용 암이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뒷면에서 본 배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에서 본 도면,
도 11은 저부하용 암의 확대측면도,
도 12는 마찰마모시험의 예를 설명하는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디스크 구동기구, 13 고부하용 암,
14 저부하용 암, 22 고부하용 가압기구,
23 고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 24 저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
71 무게추, 80 편심기구,
81 이동대, 83 마이크로미터 기구,
A 디스크 시료, B 핀시료.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은, 기대(基臺)와, 디스크 시료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구동기구와, 상기 디스크 시료에 미끄러져 접하는 피스 시료를 유지하는 부하 암과, 이 부하 암의 선단부에 유지된 상기 피스 시료에 소정의 부하 하중을 작용시키는 부하가압기구(負荷加壓機構)와, 상기 디스크 시료와 피스 시료와의 마찰에 의해 이 부하 암에 작용하는 힘을 검출하는 마찰력 검출기구와를 구비하고, 상기의 부하 암, 부하가압기구 및 마찰력 검출기구를 상기 기대 위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 구동기구를 상기 기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편심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이동대를 이동시켜서 이 디스크 구동기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하 암의 선단부에 장착된 피스 시료와 디스크 시료의 회전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이 피스 시료를 이 디스크 시료의 임의의 위치에 정확하게 미끄러져 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시키는 것은 디스크 구동기구만이고, 다른 기구는 기대 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또한, 이 디스크 구동기구는 디스크 시료를 회전구동만 하는 것이고, 다른 기구와 비교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유닛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디스크 구동기구를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구조의 복잡화는 작고, 또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게다가, 상기의 디스크 시료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디스크 구동기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이 디스크 시료 위에 상기의 피스 시료를 임의의 궤적을 그리며 미끄러져 접하게 할 수도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편심기구는 상기 디스크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기대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된 이동대와, 이 이동대를 이동시키는 마이크로미터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디스크 구동기구를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 그 이동의 조작도 간단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것은, 디스크 시료와 피스 시료와의 마찰마모시험을 행하는 암 형태의 마찰마모시험기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의 마찰마모시험기의 개략을 설명한다.
이 시험기는 측정부(1)와 제어부(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정부(1)는 프레임을 구비한 상자형태를 이루고, 내부 온도나 기압을 변화시키고, 또한 기름 순환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온(室溫), 항온(恒溫), 저온, 고온, 진공, 기름 순환 등의 각종의 분위기 내에서 마찰마모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에는 각종의 제어장치가 마련되고, 후술하는 마찰마모시험의 각 기구의 제어나 측정, 및 상기 측정부내의 분위기의 제어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어부(2)에는 소정 프로세스의 마찰마모시험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램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1)내에는 마찰마모시험을 행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측정부(1)내에는 이 장치의 기대(基臺)를 이루는 하부기대(10)와, 그 상방에 세워 설치된 상부기대(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기대(10)에는 디스크 구동기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디스크 구동기구(11)에는 서보모터, 감속기 등의 기구가 내장되고, 또한 그 상단부에는 원판상의 디스크 시료재치판(12)이 수평으로 장착되고, 그 위에 디스크 시료가 장착된다. 이 디스크 구동기구(11)는 상기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디스크 시료재치판(12) 상에 장착된 디스크 시료를 임의의 속도로 회전구동한다. 또한, 이 디스크 구동기구(11)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 시료재치판(12)을 수용하는 기름용기(19)가 마련되고, 기름 순환 분위기에서 마찰마모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디스크 구동기구(11) 전체는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하부기대(10)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기대(10)의 위에는 부하 암으로서 고부하용 암(13) 및 저부하용 암(14)이 마련되어 있다. 이 고부하용 암(13) 및 저부하용 암(14)의 기단부는 상기 디스크 구동기구(11)의 회전축과 평행한 연직방향의 축(15, 1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그 선단부에는 핀 시료 등의 피스 시료가 장착되고, 이들 암(13, 14)의 선단부를 상기 디스크 구동기구(11)의 디스크 시료 위에까지 회동시켜서 이 피스 시료를 디스크 시료 위에 가압하여 이 디스크 시료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시료 사이의 마찰마모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또, 상기 암(13, 14)의 축(15, 16)은 상기 디스크 구동기구(11)에 대해서 서로 180°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들 암(13, 14)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13, 14)의 선단부에는 피스 시료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부(31, 34)가 마련되고, 이 홀더부(31, 34)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피스 시료의 진동을 검출하는 기구 등이 장착된다.
상기 고부하용 암(13)은 상기 피스 시료에 예를 들어 5000N까지의 고부하를 가압하여 마찰마모시험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부하용 암은, 예를 들어 0.5∼50N의 저부하를 피스 시료에 가압하여 마찰마모시험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또, 이들 암(13, 14)은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선단부가 상기 디스크 시료 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사용위치에 회동되고,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선단부가 디스크 구동기구(11)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대기위치로 회동된다. 도 3에는 상기 고부하용 암(13)이 사용위치에, 또한 저부하용 암(14)이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이들 암(13, 14)이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들 선단부는 블록 형태의 유지블록(21)에 의해 유지된다. 또, 이들 유지블록(21)은 자유롭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기대(20)에는 상기 피스 시료에 소정의 부하를 가압하는 부하가압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고부하용 암(13)에 높은 부하를 가압하는 고부하가압기구(22)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벨로우 다이아프램 기구(bellow-diaphragm mechanism)에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범위의 임의의 부하를 상기 고부하용 암(13)의 선단부에 작용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저부하용 암(14)에는 무게추에 의해 소정의 부하가 가압된다.
또한, 이들 암(13, 14) 및 축(15, 16)의 중량을 상쇄하기 위해 밸런스 기구(17,18)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중량에 맞춘 무게추 등에 의해 축(15, 16)에 상향 하중을 작용시켜서 이들 중량을 상쇄한다.
또한, 상기의 하부기대(10) 상에는 고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3) 및 저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4)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마찰력 검출기구(23, 24)는 암형태의 것이고, 상기 사용위치에 있는 고부하용 암(13) 또는 저부하용 암(14)의 선단부의 측부에 디스크 시료의 회전 둘레 방향에서 맞닿고, 피스 시료와 디스크 시료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이들 암(13, 14)의 선단부에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하중을 로드셀 등에 의해 검출하고, 마찰력을 측정한다.
다음에, 상기 각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부하용 가압기구(22)는 전술한 벨로우 다이아프램 기구(35)를 구비하고, 이 벨로우 다이아프램 기구(35)는 제어된 소정압력의 가압공기가 공급되고, 소정의 가압하중을 발생한다. 이 가압하중은 상하로 자유롭게 미끄러지는 로드(36)를 거쳐서 상기 고부하용 암(13)의 선단의 홀더부(31)의 상면을 위쪽에서 가압한다. 또, 이 로드(36)의 하단부에는 롤러(37)가 마련되고, 이 고부하용 암(13)의 선단부의 디스크 시료의 회전 둘레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고부하용 가압기구(22)의 가압하중은 적절한 개소에 마련된 로드셀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상기 고부하용 암(13)은 암본체(30)와, 이 암본체(30)의 선단부에 마련된 상기 홀더부(31)와, 이 암본체(30)의 기단부를 상기 축(1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부(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3)는,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암부재(41)와 마찰력 검출용의 로드셀(4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41)의 선단부는 비구속 커플링기구(43)를 거쳐서 상기 고부하용 암(13)의 홀더부(31)의 측부, 예를 들면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에 맞닿아 있다.
이 비구속 커플링기구(43)는 상기 홀더부(31)에서 암부재(41)에 대해서 디스크 시료의 회전둘레방향이고 또한 수평방향인 분력(分力) 성분, 즉 도 4에 도시하는 디스크 시료(A)와 핀 시료(B) 등의 피스 시료(B)와의 마찰력에 정확하게 대응한 분력성분만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 비구속 커플링기구(4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예를 들면 상기 홀더부(31)에 수직의 축(46)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러(44)와, 상기 암부재(41)의 선단부 측에 상기 축(46)과 직교하는 수평의 축(47)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러(45)를 구비하고, 이들 롤러(44,45)의 둘레면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시료(A)와 핀 시료(B)와의 마찰면은,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고부하용 암(13)의 비틀림 중심과는 떨어진 위치에 있고, 따라서 이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이 암(13)에 비틀림 변형이 생긴다. 또한, 이 암(13)에는 상기 고부하용 가압기구(22) 등으로부터의 기타의 하중도 작용한다. 따라서, 마찰마모시험을 행할 때에는 이 암(13)에 복잡한 변형이나 하중이 작용하고, 이들이 상기 고부하용 마찰검출기구(23)의 로드셀에 전달되면 오차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비구속 커플링기구(43)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축(46, 47)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쌍의 롤러(44,45)의 둘레면이 서로 맞닿아 있으므로, 상기 홀더부(31)에서 암부재에 소정의 방향, 즉 디스크 시료(A)의 회전둘레방향이고 또한 수평인 방향의 분력성분 이외의 하중은 이들 롤러(44,45)의 회동에 의해 전부 회피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셀(42)에는 상기 방향의 힘밖에 전달되지 않고, 이 방향의 힘은 상기 디스크 시료(A)와 핀 시료(B)의 마찰력에 정확하게 대응하고 있고, 따라서 이 마찰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비구속 커플링기구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6 및 도 7에 예시하는 것과 같은 각종 구성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비구속 커플링기구(43a)는, 암부재(41)측에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의 축(5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러(51)를 마련함과 동시에, 홀더부재(31)측에는 한쌍의 시트(seat)부재(53)의 사이에 쇠공(54)을 개재시킨 볼커플링을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은 비구속 커플링기구(43a)도 상기의 비구속 커플링기구(43)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비구속 커플링기구(43b)는 암부재(41)측에 프리베어라고 불리는 회전볼 베어링(55)을 마련하고, 또한 홀더부(31)측에는 평활(平滑)하게 마무리된 수직 받침면을 가지는 받침면부재(58)를 마련한 것이다. 또, 상기 프리베어(55)는 대략 반구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소켓부재(57)에 쇠공(56)을 수용하고, 이 쇠공(56)과 소켓부재(57)의 오목부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작은 쇠공(도시하지 않음)을 개재시킨 것이다. 이것은, 상기 작은 쇠공의 전동(轉動)에 의해 상기 쇠공(56)이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비구속 커플링기구(43)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고부하용 암(13)의 홀더부(31)는 디스크 시료(A)에 핀 시료(B) 등의 피스 시료를 정확하게 눌러주기 위해 이하와 같은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즉, 상기 홀더부(31)는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ㄷ자 모양을 이루고 있고, 그 양단부에는 판스프링부재(60)의 양단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부재(60)는 도 8에 도시하는 것처럼, 강(鋼) 재료의 블록을 절삭가공하여 형성되고, 양단부에 블록형태의 설치부(61)가 형성되고, 또한 중앙부에는 블록형태의 시료설치부(62)가 형성되고, 여기에 핀시료(B)가 설치되어 있다. 또, 64는 핀시료(B)의 설치나사이다.
그리고, 이 시료설치부(62)와 양단의 설치부(61)의 사이에는, 각각 상하 한쌍의 판스프링부(6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판스프링부(63)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이 판스프링부재(60)는 판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하 한쌍의 판스프링부(63)가 일체로 형성된 상자모양의 구조이므로, 이 판스프링부재(60)는 소정의 강성(剛性), 예를 들면 비틀림 변형에 대해서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고부하용 암(13)에 각종의 원치 않는 변형이 생긴 경우에, 이 판스프링부재(60)의 판스프링부(63)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이들 원치 않는 변형이 흡수되고, 핀시료(B)를 정확한 방향으로, 예를 들면 정확히 수직인 방향에서 디스크 시료(A)상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판스프링부재(60)는 소정의 방향으로는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핀시료(B)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이 핀시료(B) 자체가 원치 않게 경사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판스프링부재(60)에는 상기의 핀시료(B) 등의 피스시료의 진동을 직접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판스프링부재(60)의 시료설치부(62)의 상부에는, 가속도 검출기(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속도 검출기(65)는 예를 들어 상하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이고, 이 가속도검출기(65)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신호선(66) 등을 거쳐서 이 마찰마모시험기의 상기 제어부(2)에 보내지고, 이 가속도 신호를 예를 들어 적분하는 것에 의해 이 시료설치부(62)에 설치된 핀시료(B) 등의 피스 시료의 진동, 진폭 등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핀시료(B) 등의 진동의 측정은, 마찰·마모의 거동을 해석할 때 등에 측정되지만, 상기의 것은 가속도 검출기(65)가 시료설치부(62)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핀시료(B)의 진동이 가속도 검출기(65)에 전달되는 경로가 짧고, 그 진동이 도중의 부재의 변형이나 내부손실, 또는 관성질량 등에 의해 감쇄되는 일이 적고, 높은 정밀도로 이 핀시료(B)의 진동 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시료설치부(62)가 블록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핀시료(B)의 진동이 전달될 때의 감쇄가 극히 작고, 측정정밀도를 보다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판스프링부재(60)는 복수의 부재를 접합하여 구성한 것이 아니라, 블록형태의 재료를 절삭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핀시료(B)의 진동에 의해 복수의 부재의 접합부의 사이에서 이들 부재가 다른 모드로 미세하게 진동하는 현상이 생기는 일이 없고, 측정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저부하용 암(14)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부(34)도 상기와 같은 구성이고, 또 이 홀더부(34)에는 상기와 같은 판스프링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이 저부하용 암(14)에 대응하여 저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4)가 설치되고, 이 저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4)도 상기의 고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3)와 같은 구성이며, 또한 상기와 같은 비구속 커플링기구를 거쳐서 저부하용 암(14)의 홀더부(34)의 측면부에 맞닿아 있다. 또, 이들 기구는 저부하용으로 설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에는, 상기와 같은 가속도 검출기(65)에 의해 핀시료(B)의 진동을 검출하여 행하는 마찰마모시험의 예를 보여준다. 이 시험에서는, 이 핀시료(B)와 디스크 시료(A) 사이의 하중과 마찰력의 관계를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가속도 검출기(65)에 의해 이 핀시료(B)의 상하 가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 도 12에 보인 것처럼, 어느 영역에서 이 가속도가 급격히 증대한 경우에는, 이 핀시료(B)에 마찰면의 타버림 현상이 발생하여 면거칠어짐이 생긴 것을 판명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는 이 저부하용 암(14)이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저부하용 암(14)에는 예를 들어 경감(輕減)구멍(70) 등이 형성되는 등, 저부하용으로 경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저부하용 암(14)의 저부하용 가압기구는,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무게추(71)가 사용되고, 이 저부하용 암(14)의 홀더부(34) 상에는 이 무게추(71)를 놓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저부하용 암(14)의 베어링부(35)는 도 11에 도시하는 것처럼 볼베어링 등의 구름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고, 상기 축(16)과의 회동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저부하용 암(14)에는 낮은 부하밖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구름베어링(35)에 의해 이 부하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디스크 구동기구(11)이외의 각 기구, 즉 전술한 고부하용 암(13), 저부하용 암(14), 고부하용 가압기구(22), 밸런스 기구(17,18), 고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3), 저부하용 마찰력 검출기구(24) 등은 상기 하부기대(10) 및 상부기대(20)에 붙박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디스크 구동기구(11)는 편심기구(80)에 의해 이 하부기대(10)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디스크 구동기구(11)는 그 전체가 이동대(81) 상에 설치되어 있고, 이 이동대(81)는 레일(82)을 따라 사용위치에 있는 암(13, 14)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하부기대(10) 상에는 이 이동대(81)를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마이크로미터 기구(8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이동대(8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크랭크 기구(84)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마이크로미터 기구(83)를 조작함으로써, 이 이동대(81)와 함께 이 디스크 구동기구(1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암(13, 14)의 홀더부(31, 34)에 설치된 핀시료(B)와 디스크 시료(A)의 회전중심의 편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이 핀시료(B)를 디스크 시료(A)의 임의의 위치에 정확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암(13, 14) 등의 각 기구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대신, 이 디스크 구동기구(11)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이 편심량의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고부하용 암과 저부하용 암의 양쪽을 구비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한쪽만을 구비한 마찰마모시험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디스크 구동기구를 이동시키는 편심기구는 반드시 상기와 같은 구조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기구, 예컨대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기구, 링크기구 등, 각종 구조의 것이 채용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대를 이동시켜서 이 디스크 구동기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의 부하 암의 선단부에 장착된 피스 시료와 디스크 시료의 회전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이 피스 시료를 이 디스크 시료의 임의의 위치에 정확하게 미끄러지져 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시키는 것은 디스크 구동기구만이고, 다른 기구는 기대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또한, 이 디스크 구동기구는 디스크 시료를 회전구동만 하는 것이고, 다른 기구와 비교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유닛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디스크 구동기구를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에 의한 구조의 복잡화는 작고, 또 정밀도의 저하를 초해하는 것도 없다.

Claims (2)

  1. 기대와, 디스크 시료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 구동기구와, 상기 디스크 시료에 접하는 피스(Piece)시료를 보호유지하는 부하 암과, 이 부라 암의 선단부에 접하여 이것을 가압하여 상기 피스(Piece)시료에 소정의 부하 하중을 작용시키는 부하가압기구를 갖추고 이 부하가압기구에는 상기 부하 암의 선단부의 상기 디스크 시료 회전방향의 이동의 고속을 방지하는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부하 암의 선단부 측부에 상기 디스크시료의 회전원주 방향에서 접하여, 상기 디스크시료와 피스(Piece)시료와의 마찰력에 의해 이 부하 암의 선단부에 적용하는 상기 디스크시료의 회전원방향 힘을 검출하는 마찰력 검출기구를 갖추고,
    상기의 부하 암, 부하가압기구 및 마찰력 검출기구를 상기의 기대상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의 디스크 구동기구를 상기 기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편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마모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기구는 상기의 디스크 구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대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된 이동대와, 이 이동대를 이동시키는 마이크로미터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마모시험기.
KR1019980010314A 1997-03-28 1998-03-25 마찰마모시험기 KR100288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818497A JP3340048B2 (ja) 1997-03-28 1997-03-28 摩擦摩耗試験機
JP97-078184 199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653A KR19980080653A (ko) 1998-11-25
KR100288714B1 true KR100288714B1 (ko) 2001-06-01

Family

ID=1365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314A KR100288714B1 (ko) 1997-03-28 1998-03-25 마찰마모시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40048B2 (ko)
KR (1) KR100288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169B1 (ko) 2019-09-27 2020-05-14 서태욱 마모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5844B (zh) * 2015-09-24 2017-09-12 广东越联仪器有限公司 用于扶正器摩擦性能检测的耐磨试验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169B1 (ko) 2019-09-27 2020-05-14 서태욱 마모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40048B2 (ja) 2002-10-28
KR19980080653A (ko) 1998-11-25
JPH10267820A (ja) 199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0082B2 (en) Machine for testing wear, wear-preventative and friction properties of lubricants and other materials
RU1887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риболог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материалов
JP2000074616A (ja) 表面追従型測定機
US9989428B2 (en) Bi-directional force sensing device with reduced cross-talk between the sensitive elements
JPH02285209A (ja) 直交座標測定機とそのテーブルの回転軸線を決定する方法
JP2868684B2 (ja) 摩擦・摩耗試験装置
KR100515395B1 (ko) 정밀 마찰시험기
CN109540782A (zh) 一种销盘式摩擦磨损试验机
JPH0541921B2 (ko)
JP3369430B2 (ja) 摩擦摩耗試験機
JP2005016972A (ja) 測定ヘッド
JPH09178613A (ja) 転がり軸受用回転精度測定装置
KR100272919B1 (ko) 마찰마모시험기
KR100288714B1 (ko) 마찰마모시험기
JP3452010B2 (ja) 転がり軸受用回転精度測定装置
KR100288715B1 (ko) 마찰마모시험기
JP3340049B2 (ja) 摩擦摩耗試験機
JP2972203B2 (ja) 表面うねり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3021572A (ja) 転がり軸受用の衝撃試験装置
CN113386173B (zh) 扭矩测量装置
SU13868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момента сил трени в подшипниках
RU2743496C1 (ru) Машин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сталостно-фрикционных свойств материалов
JP2003148522A (ja) 滑動部材の制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測定機
JPS622253B2 (ko)
JPH02208553A (ja) 玉軸受の音響検査機およ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