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620B1 -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620B1
KR100287620B1 KR1019960702473A KR19960702473A KR100287620B1 KR 100287620 B1 KR100287620 B1 KR 100287620B1 KR 1019960702473 A KR1019960702473 A KR 1019960702473A KR 19960702473 A KR19960702473 A KR 19960702473A KR 100287620 B1 KR100287620 B1 KR 10028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der plate
slider
cooled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044A (ko
Inventor
이르니히 프란쯔-요셉
조셀 디에트리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코흐, 귄터 볼프
짐머만 앤드 얀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코흐, 귄터 볼프, 짐머만 앤드 얀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코흐, 귄터 볼프
Publication of KR96070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C21B9/12Hot-blast valves or slides for blas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F16K49/005Circulation means for a separate heat transfer fluid
    • F16K49/007Circulation means for a separate heat transfer fluid located within the obtur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16Arrangements of tuye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spirally coi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416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system
    • Y10T137/6579Circulating fluid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Sliding Valv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냉각통로를 갖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양 면들은 열-절연 물질로 피복되어진다.
상기 언급한 슬라이더플레이트들과 함께, 상기 냉각통로들의 생산이 비용이 많이 들며, 비용-집약적이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되어질 수 있는 방법으로 냉각식 슬라이더 플레이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우선, 상기 밀봉에 의하여 한정되어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이중나선형으로 굴곡되어진, 냉각통로를 한정하는 파이프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충족되어질 수 있다.
달리, 이중나선형의 홈이 베이스플레이트내에 설계되어지고, 이 홈이 베이스플레이트 상에서 팽창되어지는 커버플레이트에 의하여 밀폐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다른 가능한 방법은 상기 밀봉에 의하여 한정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일부를 그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금속시이트(42)가 적용되어지는 운송판(37)에 의하여 형성되어져서 이중나선형의 냉각통로가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구성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목적은 또한 상기 밀봉(1)에 의하여 한정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일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내에서 연장되어지는 구멍(44, 45)들을 가지며, 상기 구멍들이 서로에 대하여 유체연결되어져서 냉각 통로를 형성하는 코어플레이트(43)에 의하여 형성되어진다.

Description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본 발명은 열-절연 물질(2, 3, 4, 5, 8 및 17)으로 피복되어진 슬라이더하우징의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밀봉(1)의 부분들을 제외한, 냉매, 특히 물이 흐르는 냉각통로와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양 면들의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밀봉(1)을 갖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특히 수냉식 온풍슬라이더 플레이트(10)에 관한 것이다.
디이-씨(DE-C) 23 66 032 호에 따른 슬라이더플레이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들은 대략 2미터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갖는, 가열된 기체를 운반하는 파이프들을 막는데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공지의 슬라이더플레이트는 대개 그의 주변(perimeter)을 따라 펼쳐지는(stretching) 밀봉을 포함하며, 이 밀봉은 방사상으로 내측에 놓여지는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일부를 한정한다. 디이-씨(DE-C) 23 66 032호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이 부분이 냉매의 도움에 의하여 냉각 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가 폐쇄(close)되어질 때, 1,000℃ 이상의 온도가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에 가해질 수 있으며, 열-의존성 응력(heat-dependant stress)과 그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굽혀짐(bending)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이 필요하다.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구체적인 개념에 있어서, 상기 밀봉에 의하여 한정하여지는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상기 부분은 두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나선으로 형상화되어진 바에 따라 설계되어진 분리벽(dividing wall)들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축상으로 이격되어져 있다. 이들 분리벽들에 의하여 연속적인 흐름통로(flow channel)가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주변 모서리 상에 위치하는 냉매입구(cooling medium inlet)로 부터 역시 주변 모서리 상에 유사하게 위치하는 출구에 까지 형성되어지며, 상기 냉매가 처음에 나선형으로 안쪽으로 안내되어 그곳으로부터 즉,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중심영역(central area)내에 위치하는 흐름역전점(flow reversal point)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냉매출구에까지 다시 나선형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공지의 구조의 불리한 점은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생산의 비용이 비싸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공지의 구조는 이중나선형의 냉각통로들의 한정하는 분리벽들을 두개의 플레이트들에 용접하는데 비교적 많은 비용을 들여야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 더해, 공지의 설계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적절한 냉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냉매가 요구되어진다. 필요한 펌프용량도 상당히 높다. 더우기, 공지의 설계에 있어서는, 불필용하게 많은 양의 열이 공정 으로부터 손실된다. 슬라이더 플레이트와 밀봉자리(seal seat) 사이에서의 냉각 차이가 이를 통한 별도의 응력이 생기는 것과 같은 특히 불리한 효과를 갖게 되며, 이는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신뢰성과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디이-에이(DE-A) 22 43 588 호로부터 열-절연 물질(2, 3, 4, 5, 8 및 17)으로 피복되어진 슬라이더하우징의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밀봉(1)의 부분들을 제외한, 냉매, 특히 물이 흐르는 냉각통로와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양 면들의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밀봉(1)을 갖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디이-씨(DE-C) 23 66 032 호에 따른 선행기술의 상태와 비교하여 상당히 간단한 구조이다. 반면에, 냉매에 의하여 덮여지는 영역이 비교적 적으며, 따라서 디이-에이(DE-A) 22 43 588 호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는 고온에서 또는 단지 제한되어진 방법에서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적절한 냉각이 가능하며, 단순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면서 고온에서 차단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냉각식 슬라이더 플레이트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제 1 항, 제 7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들의 특징적인 부분들의 특징들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만족되어질 수 있다.
단순하게 파이프가 이중나선 또는 이중뇌문 형으로 굴곡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 플레이트는 쉽게 그리고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더우기, 특정의 내부직경 또는 특정의 벽두께 등의 선택을 통하여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개별적인 냉각 또는 안정성 등의 필요성들이 고려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흐름역전영역(flow reversal area)을 형성하는 중앙의 파이프 부분을 제외하고, 나선 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의 인접부분(neighbouring sections)들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동등하게 나선형으로 형성된 선의 접촉이 형성된다. 선의 접촉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파이프 부분들이 바람직하게 다른 하나와 접촉되어지며, 따라서 특별히 안정한 형태의 플레이트 요소가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선의 접촉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한 부분들에 대하여 단순하게 용접이 실행되어질 수 있다.
앞서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흐름역전은 파이프를 이중나선 형으로 굴곡시킨 하나의 조각으로 설계되어진 에스(S)자형으로 굽혀진 파이프부분을 통하여 상기 중앙의 플레이트 영역내에서 일어나며, 나선형으로 설계되어진 두개의 파이프 부분들 사이에서의 유체연결을 형성한다.
에스(S)자형으로 굴곡되어진 파이프 부분과 그에 인접하는 나선형의 파이프 부분들 사이의 상기 중앙흐름역전영역은 상기 파이프 내를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지 않는 공간이다. 이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하여는, 수직으로 서로에 대하여이격되어진 금속판(metal sheets)들이 상기 두개의 외측 표면들의 영역내에 이들이 인접하는 나선형의 파이프 부분들과 함께 이 공간을 감싸도록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냉매는 상기 파이프로부터 에스(S)자형으로 굴곡된 상기 파이프 부분내의 입구와 출구 개구부(opening)들을 경유하여 이 공간 내외로 유도되어진다.
특히, 두개의 금속판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지는 상기 공간을 중간판(intermediate plate)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그 각각을 통하여 냉매가 가압되어지는 부분적인 공간(partial space)들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금속판들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상기 공간을 통한 흐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상기 파이프의 통로가 입구와 출구 구멍(aperture)들 사이에서 제한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로막도록(interrupt)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상기 파이프로에서 하나의 조각(piece)을 끄집어낼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 7 항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두번째 대안에 따르면, 상기 이중나선형의 냉각통로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진 이중나선형의 홈(groove)들을 커버 플레이트로 덮어주는 것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한 흐름역전은 다시 상기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중앙영역내에서 발생되어지며, 상기 에스자형으로 형성된 홈 부분의 굴곡 반경은 생산공정에서 상기 파이프를 이루는 물질에 의존하여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냉매의 공급과 제거를 위하여는, 각각의 경우에서 수직으로 밀접한 홈은 그 단부측에서 냉매입구 또는 출구와 반드시 연결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대안은 또한 원하는 흐름통로표면(flow passage surface)을 갖는 냉각식 슬라이더 플레이트를 저렴한, 간단하게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커버플레이트(cover plate)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에 간편하고도 빠르게 적용하는 방법이 '팽창(exploding)'에 의하여 제공되어 진다.
세번째의 대안에 있어서, 제 9 항에 따르면, 냉각통로가 운송플레이트(carrying plate)와 금속의 시이트(sheet)의 사이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금속시이트는 이중나선형의 또는 이중뇌문형의 비틀림(distortion)을 가져 대응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금속시이트에 형성되어진 비틀림은 상기 운송플레이트에의 상기 금속시이트의 적용의 전에(예를 들면, 임프레싱(impressing)에 의하여), 적용 도중에(예를 들면, 폭발성 팽창 성형(explosive forming)에 의하여) 또는 적용 후에(예를 들면 수력적 인플레이션(hydraulic inflation)에 의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다. 금속시이트가 특히 성형과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가능성들은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슬라이더플레이트 상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냉각통로의 크기는 상기 개구부의 측정에 의하여 결정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되도록이면, 상기 금속시이트는 상기 운송플레이트 상에서 팽창(표면접촉과 함께 팽창성 성형)되어지거나 또는 단접(roll welding)(선접촉과 함께)에 의하여 상기 운송플레이트에 물 등이 스며나가지 못하게 결합시킨다. 이들 두 공정들과 함께, 이들 결합되어져야 할 두 부분들의 신속하고도 확실한 결합이 바깥으로 향하여 물 등이 스며나가지 못하는 냉각통로의 형성을 달성할 수 있다.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의 특히 간단한 변형예는 특허청구범위 제 11 항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구멍(bore)들이 코어플레이트내에 제공되어지며, 이는 다른 하나와 함께 유체연결을 가로질러 바람직하게 뇌문형태의 냉각 통로를 형성시키며, 유체연결내에 위치한다.
원하는 흐름경로(flow course)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밀폐스토퍼(closure stopper)가 상기 구멍내에 놓여질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에 제공되어지는, 상기 구멍들의 영역내에 밀접하게 배열되어지고, 그 안으로 상기 밀폐스토퍼가 삽입되어질수 있는 수직의 구멍들에 의하여 특히 간단하게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들의 외측면 상에서, 냉각재입구 또는 냉각재출구와는 분리되어 상기 냉각통로를 형성하는 구멍들은 플러그(plug) 또는 유사한 차단부재(blocking member)에 의하여 의하여 밀봉되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주변을 따라 밀봉, 특히 용접이 사용되어져 상기 구멍들을 방사상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네번째의 대안에 따라 형성되어진 슬라이더플레이트는 특정의 플레이트에 대한 필요한 냉각요건들에 부합되도록 하는 그리드의 배열 및 구멍의 직경 등의 선택으로 역시 가격이 저렴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생산되어질 수 있다.
낮은 냉각용량으로의 최소의 냉각을 위하여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절연이 거의 바람직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절연덮개(heat-insulating covering)가 상기 가장자리와 마찬가지로 양 면들 상에 각각의 경우에서 두 층들 즉, 내측을 특별히 '마이크로썸(Mikrotherm ; 열전도계수 람다(λ) = 0.02W/mk(20℃에서)를 갖는 미세기공의 세라믹 매트)(상표명)'절연을 그리고 외측을 특별히 세라믹섬유발포체(ceramic fiber foam) 또는 내열성의 콘크리트플레이트(refractory concrete plate)로 절연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 및/또는 열응력(thermal stress)의 굽힘(bending)이 냉각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배제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외측절연은 바람직하게 방사상 및 축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어지며,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가 굽혀지거나 또는 팽창되어진다 하여도 충분한 움직임을 갖도록 하여 그 위에 작용하는 힘들에 의하여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측절연이 파손되더라도 뜨거운 기체들이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내측절연 또는 중앙 및 냉각되어진 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손상은 어떠한 경우에서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첫째로는 상기 내측절연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예를 들면 절연이 녹아나가거나 하는 등을 통하여), 또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냉각이 더이상 적절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절연 또는 절연들은 바람직하게 체결볼트나 핀들 특히 그리드와 같이 배열되어진 것들에의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진다.
상기 외측절연의 방사상 및 축상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볼트 또는 핀들이 피복(coating)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처음 사용되어졌을 때에 고온에서 소실되어져서 확장간격(expansion gap)이 절연과 볼트들 또는 핀들 간에서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외측절연의 고정을 위한 다른 가능성은 절연물질 특히, 세라믹물질로 만들어진 긴장부재(tightening member) 특히 긴장코드(tightening cord)의 존재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외측절연내에 배열되어지고 그리고 링(ring)이나 아일렛(eyelet ; 눈구멍 등의 작은 구멍)을 경유하여 안내 되어져서 상기 절연이 방사상으로 및/또는 축상으로 치장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긴장부재들은 되도록이면 격자(grille)의 방법으로 상기 외측절연의 내부에로 파묻히도록 하여 서로에 대하여 수직의 두방향으로 특히 그물형 또는 개별적으로 뇌문형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주변들과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냉각된 부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전달가교(heat bridge)없이 축상 및 방사상의 방향에서의 상기 외측절연의 움직임이 보장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외측주변 상에서 연장되어지는 절연링내에 긴장코드가 제공되어지며, 이 코드는 절연물질, 특히 세라믹물질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지며, 대략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상의 거리로 배열되어진 링 또는 영문자 와이자(y)자형의 아마츄어(armature)를 통하여 긴장되어져서 상기 외측절연이 서로 방사상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하여 실시예로서의 방법으로 주어진 구체예들의 상세한 설명의 도움과 함께 특징들 및 잇점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어져 있다.
제 1 도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첫번째의 구체예의 운송부분의 측면도이다.
제 2 도는 상기 도면의 상단부분에 나타내어진 슬라이더플레이트절연을 나타내는, 제 1 도의 선 Ⅱ-Ⅱ를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제 3a 도 내지 제 3d 도는 특히 밀봉구조의 배열 및 설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 2 도의 부분(Ⅲ)에 대한 서로 다른 구조의 변형예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제 4a 도 및 4b 도는 특히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중앙영역을 나타내는, 제 2 도의 부분(Ⅳ)에 대한 서로 다른 구조의 변형예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첫번째의 구체예에 따라 생산되어진 슬라이더플레이트에 부착되어진 절연의 방법들을 나타내는, 다른 구조의 변형예의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제 6 도는 제 1 도의 선 Ⅵ-Ⅵ를 따라 잘라내어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두번째의 구체예의 운송부분의 측면도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선 Ⅷ-Ⅷ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여기에서는 다이어그램의 상부부분내의 절연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적용되어진 것이 나타나 있다.
제 9 도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세번째의 구체예의 운송부분의 측면도이다.
제 10 도는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절연들을 잘 나타내는, 제 9 도의 선 Ⅹ-Ⅹ를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제 11 도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절연의 부착의 방법을 나타내는, 제 10 도의 부분(XI)의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2 도는 방사상의 절연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더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슬라이더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밀봉을 제외한, 제 9 도의 학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제 13a 도는 절연을 제외한, 제 12 도의 선 XⅢa-XⅢa를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제 13b 도는 냉각재출구통로의 확대된 다이어그램이다.
제 14 도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운송부분의 측면도이며, 여기에서 코어플레이트내에 배열되어진 구멍들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제 15 도는 슬라이더플레이트 절연과 함께 제 14 도의 선XV-XV를 따라 잘라낸 측단면도이다.
제 16 도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 절연을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 15 도의 부분(XVI)의 확대되어진 다이어그램이다.
제 17 도는 제 14 도에서와 같은 냉각되어질 수 있는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측면도이기는 하나, 상기 외측절연내에 제공되어지는 긴장코드의 안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18 도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 상의 긴장코드를 감고 팽팽하게 하도록 배열되어진 링핀의 확대되어진 다이어그램이다.
제 19a 도 및 제 19b 도는 금속시이트를 상기 운송플레이트의 적용하여 냉각통로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확대되어진 국부부분의 다이어그램이다.
제 20a 도 및 제 20b 도는 상기 금속시이트를 상기 운송플레이트에 적용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계통적이며 확대되어진 국부부분의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들을 언급하는 것이다.
도면들에서 나타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플레이트 하우징내에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가 개방되어지는 경우에 통로가 개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가 폐쇄되어지는 경우에 통로가 폐쇄되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이하에서 기술되어질,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을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둘러싸는 밀봉 또는 상기 밀봉의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밀봉자리(seal seat)에 접합되어져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내에서 막혀지게 될 통로를 밀폐하여 밀봉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는 상기 밀봉의 두 표면들이 또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 하우징내에 제공되어진 상기 밀봉자리들과 함께 밀봉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서, 서로 다른 양식으로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첫번째의 구체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는 금속성의 지지구조를 가지며, 이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슬라이더플레이트디스크(slider plate disc)의 경계들을 넘어 연장되어지는 링형의 밀봉(1)을 포함한다. 제 1 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이 슬라이더플레이트디스크는 이중나선형으로 굴곡되어진 파이프(24)로 형성되어진다. 초기상태에서 곧은 파이프로서 존재하는 상기 파이프(24)는 가온되어진 상태에서 굴곡되어진다.
이중나선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24)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평면내에 배열되어지며, 또한 상기 파이프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측면에 놓여지도록 하여 서로가 맞대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굴곡되어져서 이중나선형의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제 1 도를 참조하시오).
제 2 도의 단면도로부터, 상기 나선형의 부분(29, 30)들의 인접하는 파이프부분들이 매 경우에서 서로 용접되어진다(용접접합부(weld seam)(38)들을 참조하시오). 이러한 방법으로 한편으로는 특히 안정한 형태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충분하게 유연한 플레이트부분이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는 통상적인 차동압력으로 별다른 문제없이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하우징의 성형되어진 자리외형(seat profile)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파이프(24)는 영문자 에스(S)자형으로 굴곡되어지고, 파이프부분(28)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결합되어지는 상기 2개의 파이프부분(29 및 30)들은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다.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은 흐름역전영역(flow reversal area)(27)을 한정하고, 여기에서 상기 파이프(24)를 통하여 흐르는 상기 냉매는 그의 흐름순환 방향이 바뀐다.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의 크기는 기술적으로 결정되어지는 최소의 굴곡반경(56)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며, 이는 냉각파이프의 필요한 벽두께와 마찬가지로 사용되어진 물질에 의존적이다. 대응되게, 파이프가 없는 영역(70)들은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과 상기 인접한 나선형의 파이프부분(29 및 30)들 사이에서 형성되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역내에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를 냉각시키기 위하여는, 제 2 도, 제 4a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 경우에서 서로에 대하여 축상으로 이격되어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두개의 외측표면들의 영역내에 놓여지는 두개의 금속시이트들은 모두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부분(28) 상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는 상기 나선형의 파이프부분(29 및 30)들 상에 용접되어진다. 상기 인접하는 나선형의 파이프부분(29 및 30)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금속시이트(21),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들을 통하여 내포되어진 공간(70)이 형성되어진다. 입구개구부(34) 및 출구개구부(35)들로부터 상기 냉매가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에서 상기 내포되어진 공간(70)내로 또는 그의 외부로 다시 이동하여 나아갈 수 있도록 하여 이 영역에서도 역시 냉각이 일어나도록 한다.
제 2 도, 제 4a 도, 제 4b 도 및 제 6 도에 따르면, 상기 두개의 금속시이트(21)들 사이에서, 매 경우에서 중간플레이트(intermediate plate)가 배열되어지며, 이는 상기 내포된 영역(70)을 두개의 부분공간(32 및 33)들로 분할한다. 상기 개개의 부분공간(32 및 33)들은 제 6 도에 나타난 방법으로 그 속을 흐르는 냉매를 갖는다. 참조번호 67은 상기 냉매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 원으로 둘러싸여진 점들은 상기 도면의 평면에서 바깥으로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원으로 둘러싸여진 교차점들은 상기 도면의 평면에서 안쪽으로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구멍들(도시하지않음) 이 상기 중간플레이트(20)내에 형성되어져서 냉매가 하나의 부분공간으로부터 다른 하나에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금속시이트(21)들에 의하여 내포되어지는 공간 또는 별개의 부분공간(32 및 33)들을 통한 냉매의 보다 나은 흐름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24)의 단면이 상기 입구개구부(34)와 출구개구부(35)들 사이의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에서 줄어들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상기 흐름이 제한되어질 수 있다(제 2 도에서의 참조번호(65)를 참조하시오), 상기 절기부(throttle)는 상기 나선의 도형상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약간 변위되어져서 배열되어진다.
극한의 경우에서, 상기 입구개구부(34)와 출구개구부(35)들 사이의 통로가 함께 방해받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 다음에, 상기 냉매가 완전히 상기 공간(70) 또는 상기 부분공간(32 및 33)들을 통하여 흐를 수 있게 된다. 달리, 상기 이중나선의 곧은 중간부분을 분리하여 중간판(20) 없이 상기 냉매가 자유롭게 상기 두개의 금속시이트(21)들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유입 및 유출영역들을 제 1 도에 참조번호(58 및 59)들로 나타내었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들에 있어서, 그를 통하여 냉매가 공급되어지거나 또는 인출되어지는 냉매입구 또는 냉매출구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는, 실시예의 형태로 주어지는 이하의 구체예들에서 참고가 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24)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일부를 둘러싸는 상기 밀봉(1)은, 특히 제 3a 도 내지 제 3d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U)자형부분고리(22)와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배열되어진 편평한 스트립링(strip ring)으로부터 형성되어지며, 이 링들은 서로에 대하여 용접되어진다(용접접합부(38')).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에 따르면, 상기 유자형고리(22)는 상기 링(23)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위치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접 접합점(38')들은 축상으로 배열되어져야만 한다.
상기 밀봉(1)이 상기 유자형부분고리(22)의 다리(leg)와 함께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하우징의 초기에 언급한 밀봉자리에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용접접합점이 상기 접촉표면내에 배열되지 않도록 하여 용접접합점의 배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더우기,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가 개방되어지는 경우에, 상기 용접접합점이 상기 냉각되어진 밀봉자리와 상기 뜨거운 주변들 사이의 주요 응력을 받는 영역의 외측에 놓여짐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를 달성하는 가능한 방법이 제 3d 도에서 인식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편평한 스트립링(23)이 배열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유자형고리(22)의 다리들 사이에서 용접되어진다.
상기 유자형고리(22)와 상기 편평한 스트립링(23)들의 서로에 대한 결합에 의하여 상기 밀봉(1)내에 링공간(ring cavity)가 형성되어지며, 이를 통하여 냉매가 유도되어져서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링공간의 흐름 단면은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냉각통로의 단면에 대응되어져서 상기 밀봉고리(sealing ring)와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들의 서로 다른 냉각으로부터 일어나는 응력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봉(1)은 상기 이중나선의 파이프(24)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부분에 대하여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상기 흐름 측면으로 향하는 방향(도면들에서, 각각의 경우에서, 오른쪽)으로 변위되어진 곳에 용접되어진다(제 2 도를 참조하시오).
상기 밀봉(1)과 마찬가지로 상기 이중나선의 파이프(24)를 포함하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상기 운송부분은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하우징의 상기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상기 밀봉(1)의 부분에 대하여 완전하게 절연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상기 열-절연덮개는 두개의 층들내에서 조립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양 면들 상에서 내측절연 및 외측절연 두가지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밀봉(1)을 둘러싸는 내측절연(8)과 마찬가지로, 이중나선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24)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상기 플레이트 전부분을 따라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연장되어진,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양 면들 상의 상기 내측절연(2 및 17)들은 마이크로썸 물질로 이루어지며, '마이크로썸'이라는 명칭은 등록상표이며, 그 물질은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의 상기 외측절연(6)과 마찬가지로, 상기 내측절연들의 방사상으로 그리고 축상으로 바깥으로 배열되어진 상기 외측절연들, 즉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양 면들의 외측절연(3 및 4)들은 세라믹섬유발포체판(ceramic fibre foam plate)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매질(medium)의 방향으로 상기 마이크로썸 절연의 표면온도를 1100℃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여 그에 의하여 그의 최대하중 이하가 되도록 한다. 상기 세라믹섬유발포체판들은 일정한 한계들 내에서 자유롭게 방사상으로 그리고 축상으로 팽창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썸 절연으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가져서 상기 금속성의 지지구조의 최대의 유역한 굴곡이 보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절연(3, 4 및 5)들의 자유로운 방사상의 팽창을 위한 절연의 부착의 일련의 가능한 방법들이 이하에서 기술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흐름면 상의 상기 외측절연(3)은 상기 흐름면의 내측절연(2)의 방사상으로 상기 밀봉(1)내로 향하는 것과 같이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 전체 상으로 연장되어진다. 반대되어지는 압력면(상기 도면들에서 왼쪽면)에 대하여, 상기 외측절연(4)은 상기 밀봉(1) 위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지며, 상기 밀봉(1)을 둘러싸는 내측절연에 대하여 맞닿게 된다. 결국, 상기 밀봉의 일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절연(3, 4 및 5)들에 의하여 직사각형의 단면이 한정되어진다.
개개의 절연들의 부착은 이하에서 어느정도 다루어지게 될 것이다. 제 3a 도에 따르면, 세라믹섬유직조물(ceramic fibre fabric)(6)이 상기 외측가장자리절연(5)을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그리고 상기 밀봉에 대하여 상기 밀봉(1) 또는 상기 외측절연(4)으로의 유출을 종식시키는 상기 절연(5)이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달리, 상기 세라믹섬유직조물(6) 대신에 처음에 역치온도(threashold temperature)에 도달하였을 때 방사상의 팽창이 이루어진 세라믹 밀봉매트(ceramic sealng mat)(형태 ; 인터램(Interam)가 또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사상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압력이 일어난다.
달리, '헥스메쉬(Hexmesh ; 등록상표)'를 가지고 상기 방상으로 외측절연(5)을 상기 밀봉 위로 고정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 3b 도에 따르면,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체결핀(retaining pin)(15)들이 대략 등각의 간격으로 상기 일봉의 외측 가장자리 상에 용접되어진다. 이들 체결핀(15)들은 상기 내측절연(8)을 통하여 그리고 상기 외측절연(5)을 관통하여 완전히 연장된다. 이들은 상기 절연(5 및 8)들의 축상으로 및 접선방향으로의 변위를 방지한다.
16,16제 3a 도 및 제 3b 도 또는 제 2 도 및 제 4a 도에서, 상기 외측의 압력면 절연(4)은 특히 상기 절연의 내부내에 배열되어진 캐스트긴장코드(cast tightening cord)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며, 상기 코드는 상기 밀봉(1) 상에 또는 상기 파이프(24) 및/또는 상기 금속시이트(21)들 상에 용접되어지는 아일렛 또는 링핀(50)들에 고정되어지고 안내되어진다. 상기 긴장코드(7)는 상기 외측절연(4)을 방사상으로 그리고 접선방향으로 미리 긴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긴장코드(7)는 상기 절연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특히, 상기 외측절연(4)의 내부내에 위치하는 이러한 종류의 긴장코드(7)의 사용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주변들과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상기 냉각된 부분들 사이에서의 어떠한 열전달가교도 생기지 않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 전체에 대하여 완전히 유효한 절연이 되도록 한다.
상기 외측의 압력면 절연(4)의 부착의 또다른 수단이 제 3c 도에 나타나있다. 이를 위하여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각도들 또는 하나의 각도의 고리에 놓여진 후크(hook)들이 매 경우에서 하나의 다리(leg)가 축상으로 외측으로 한 점을 지적하며, 두번째 다리가 상기 축상으로 외측으로 면접하는 부분의 외측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한 점을 지적하도록 하여 상기 밀봉(1)에 용접되어진다. 이 두번째 다리는 상기 외측절연(4)의 외측가장자리 상에 제공되어진 홈(groove)내로 들어가서, 상기 절연(후자)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외측절연(4)내에 제공되어진 상기 홈의 크기를 통하여 움직임이 제공되어지도록 하여 상기 외측절연(4)의 일정한 한도내에서의 방사상 및 축상으로의 두가지 모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 3d 도에 따르면, 상기 압력면 상으로 상기 외측절연(4)이 상기 외측절연과 함께 하나의 조각으로 연결되어지고, 그리고 유사하게 제 3b 도 또는 제 3c 도에서 체결핀(15)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가장자리 상에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배열되어지며, 이들 핀들은 부분적으로 상기 절연(4) 내측으로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측절연(8)을 통하여 연장되어지며, 유사하게 상기 절연(4)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접선방향으로의 변위를 방지한다. 대칭 때문에, 이러한 변형예에서의 상기 체결핀(15)들은 중심평면내가 아닌, 상기 압력면 상에서 엇갈리도록 하여 배열되어진다.
제 3a 도 내지 제 3d 도내에서의 절연들의 부착이 가능한 방법들은 상기 절연성분들의 자유로운 방사상으로의 팽창을 허용한다.
제 4d 도, 제 5a 도 및 제 5b 도들에서, 상기 내측절연 및 외측절연들의 다른 가능한 부착의 방법들이 나타나 있다.
제 4b 도에 따르면, 이중나선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24)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부분의 중간에서, 머무름플레이트(retaining plate)가 용접되어지며, 이는 원뿔형으로 외측으로 확장되어지고, 상기 내측절연(17)을 통하여 연장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외측절연(4)내에 고정되어진다. 상기 외측절연(4) 내에서 외측으로 넓혀지고 그리고 그에 대응되도록 하여 개구부가 형성되어지는, 상기 머무름플레이트(62)의 원뿔형을 통하여, 상기 외측절연(후자)이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 상에 중심을 이루어 고정되어진다. 상기 외측절연(4 또는 34)과 상기 머무름플레이트(62)의 외측 부분들 또는 외측의 단부면 사이에서 피복(78)을 태워버려서 생기는 간격(gap)을 통하여, 상기 내측절연에 대한 상기 외측절연의 축상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의 이동의 가능성이 유지되어진다. 상기 언급된 간격은 또한 탄성의 충전물(filling)(71)로 대체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제 5a 도 및 제 5b 도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지는 체결볼트(11)들이 상기 파이프(24) 상에 또는 상기 에스자형의 파이프부분(28) 상에 배열되어지며, 이러한 볼트들은 보다 큰 직경의 헤드(head)(12)를 갖는다. 제 5b 도내의 구체예에서, 상기 체결볼트(11)가 상기 내측절연(17)을 통하여 상기 외측절연(4)의 상기 외측표면으로 가능한 한 멀리 연장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볼트(11) 또는 그의 헤드(12)는, 제 5a 도의 구체예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절연(4)의 내부에 포장되게 된다. 따라서, 제 5a 도에 따른 태양에서는 어떠한 열전달가교도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볼트(11)에 마주 대하는 상기 외측 절연(3 및 4)들의 축상으로 및 방사상으로의 이동은 상기 볼트에 적용되어진 연소가능한 층(두꺼운 선으로 표시)(예를 들면, 플라스틱, 페인트, 역청 등등)에 의하여 달성되어질 수 있으며, 이 층은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가 첫번째로 동작에 들어갔을 때 소실 되어져서, 확장간격(expansion gap)이 상기 각각의 절연과 상기 절연볼트(11) 또는 그의 헤드(12) 사이에서 형성되어진다.
상기 체결볼트(11)는 또한 스크류를 상기 파이프(24) 상에 또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다른 부분 상에 용접하는 방법으로도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체결너트(retaining nut)가 이 스크류에 대하여 회전되어질 수 있게 된다.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흐름면 절연(3)(flow-side insulation)은 체결부재(62)들 즉, 체결핀들 또는 링디스크(ring disc)들을 상기 밀봉 상에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용접되어지고 그리고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연장되어짐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외측의 흐름면절연(3)의 대응하는 개구부들 내로 들어가게 된다.
제 3d 도에서 상기 외측절연(3)은 링(64)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며, 상기 밀봉(1)에 용접되어지며, 그를 통한 유출을 종식시키며, 이는 외측절연(3)을 특히 축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한다.
개개의 내측절연(2, 8 및 17)들은 단지 상기 외측절연들에 의하여 제자리에 필수적으로 고정되어진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상기 외측절연(3 및 4)들 상으로 가해지는 힘들, 특히 압축력들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앞서 언급한 합금들, 상기 체결핀들 또는 볼트들에 적용되어져서 첫번째의 사용후에 소실되어버리는 것들에 더해 생산에 관련된 수축간격(shrinkage gap)들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력조절구멍(72)들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측절연의 축상으로 및 방사상으로의 이동은 여기에서는 철(steel)과 절연물질 사이의 팽창계수의 차이가 상쇄되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되어질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앞서 언급한 상기 수축간격은 공기의 열-절연 층을 한정하며, 이를 통하여 전체의 절연의 정도가 부가적으로 증가되어진다.
닫혀졌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가 단지 예를 들면 소위 코우퍼(Cowper)라 불리는 상기 온풍덕트(hot air duct)로부터의 이차의 소용돌이들만의 적용을 받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개방되어졌을 때에는 단지 이차의 소용돌이들만의 적용을 받으며, 어떠한 역학적 흐름도 없기 때문에, 어떠한 역학적 온도감소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하중은 역전(changeover) 공정에서 일어나며, 에기에서 상기 팽창간격들이 조절되어져야 한다.
상기 외측절연(5)의 너무 이른 마모의 표시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지는 차단판(baffle plate)(61)들(제 2 도)이 상기 밀봉(1)의 방사상으로 외측의 가장자리 표면에 대한 상기 흐름면 상에 용접되어진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두번째의 구체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밀봉(1)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운송부분이 원형의 베이스플레이트(39)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보다 얇은 커버플레이트(40)에 의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9)내에는 예를 들면, 기계가공되어진, 이중나선형의 홈(4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9)에의 상기 커버플레이트(40)의 적용에 의하여 상기 홈은 닫혀지게 되고 따라서 냉각통로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홈(41)은 각각의 경우에서 그 단부면에서 냉매입구(51) 및 냉매출구(52)와 연결되어지며, 이들 냉매입구와 냉매출구들을 통하여 냉매가 상기 냉각통로내로 유입되어지거나 또는 다시 밖으로 인출되어진다.
또한 본 경우에서, 흐름역전은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중앙영역내에 제공되어지며 상기 나선형의 부분(29 및 30)들과 연결되어진 에스자형 홈부분내에서 일어난다. 상기 흐름역전영역(27)내의 상기 홈(41)의 굴곡반경(56)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물질특성들에 의하여 제한받지 아니하며, 따라서 상기 중앙영역의 적절한 냉각을 위한 어떠한 부가적인 측정도 고려되어질 필요가 없다.
상기 절연의 설계, 배열 및 부착은 실시예의 방법으로 주어진 앞서의 구체예와 유사한 선들로 나타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9)에의 상기 커버플레이트(40)의 적용은 상기 커버플레이트(40)의 요구되어지는 두께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요한 동작들의 팽창조인트(explosion joint)들의 수단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9)의 결합에서, 상기 이중나선형의 홈(41)은 상기 결합공정에서 상기 홈(41)의 단면형상을 유지하는 물질로 채워진다. 결합의 비정상적인 속도로 인하여, 상기 물질은 어떠한 특정의 강도요건들을 만족시키거나 또는 특정한 온도를 견디는 것이 필요치 않다. 낮은 용융점 및 낮은 젖음성을 갖는 합금 또는 금속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부재를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공정 후에 다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결합 전에, 결합되어져야 할 두 표면들은 한정된 최소표면거칠기를 보증할 수 있도록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합공정에 대하여, 간단하고 확실한 결합 기술이 제공되어지며, 이는 누설이 방지된 냉각통로를 보증한다. 상기 '팽창되어진' 커버플레이트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9)에 대하여 (광범하게)편평하게 결합되어진다.
달리, 각각의 경우에서 거울상인 이중나선형의 홈들이 포함되어진 두개의 보다 얇은 판들을 양면들이 다른 하나 쪽으로 돌려져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되어진 두 플레이트들의 정확하고 중심이 이루어진 결합이 달성되는 경우에는, 그에 의하여 이중나선형의 냉각통로가 역시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상기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금속 표면에 대한 보다 균일한 온도분포가 되는 것이다.
제 9 도 내지 제 13b 도에서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세번째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운송구조는 원형의 운송판(37)으로 이루어진다. 운송판(후자)의 일측면 상으로 동일한 직경의 금속시이트(42)가 적용되어진다. 상기 금속시이트(42)는 이중나선형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금속시이트(42)가 상기 운송판(37)에 대하여 적용되어졌을 때 상기 운송블록(37)과 상기 적용되어진 금속시이트(42)의 사이에 이중나선형의 냉각통로가 형성되어지도록 한다(제 13a 도를 참조하시오).
예를 들면 이하에서의 방법으로, 상기 금속시이트(42)내에 이중나선형의 개구부 또는 비틀림이 달성되어진다.
상기 운송플레이트(37)에 대하여, 앞서 언급한 낮은 용융점과 낮은 젖음성을 갖는 합금 또는 금속(78)(제 19a 도를 참조하시오)이 상기 이중나선형내에 적용되어진다. 이러한 형상의 물질은 상기 금속시이트(42)에 외형을 성형하는 것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운송판(37)에 상기 금속시이트(42)를 결합시키는 경우(제 19a 도에서의 화살표(79)를 보시오), 특히 상기 금속시이트(42)내의 개구부들에 대하여 '팽창되어'져서 그에 의하여 상기 금속시이트(42)와 상기 운송판(37) 사이에 상기 냉각통로(18)(제 19b 도를 참조하시오)가 형성되어지고, 그와 동시에 상기 장소들에서 비틀림 없이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운송판(37)에 대하여 견고하게 그리고 누수 등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진다(제 19b 도에서의 연결표면(77)들을 참조하시오). 메탈시이트가 상기 운송판(37) 상에 놓여질 때, 상기 금속시이트(42)의 필요한 가속거리에 대응하는 냉각통로들의 높이는 약 100킬로바아(kbar) 정도의 압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그 접합점들에서 보다 강한 강도의 금속간 결합을 일으킨다. 그 위로 부어넣고 그리고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공되어지는 측면들 상에서의 상기 금속의 시각내기(bevelling)는 상기 금속시이트(42)의 인성(toughness)에 의존한다. 상기 금속-성형용의 합금 또는 달리 금속-성형용의 금속은 예를 들면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들과 같은 서로 다른 단면들 갖는 온도-저항성 금형의 도움으로 상기 운송판(37) 상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금형은 상기 운송판 상에서 이중나선형, 지그재그형 또는 무문형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질 수 있다.
제 19a 도 및 제 19b 도들에서, 가로대(crosspiece)(73)가 인식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금속-성형용의 합금에 묻혀지고 그리고 상기 금속시이트(42)와 상기 운송판(37)이 결합되어지기 전에 이미 그에 결합되어진다. 금속 시이트가 상기 운송판에 결합되어지는 경우에, 상기 금속시이트(40)는 상기 가로대(73)의 상부측면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지며, 이는 유사하게 이중나선, 무문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어진다. 상기 합금이 녹아나간 후에, 그 다음에 상기 가로대(73)는 상기 냉각제의 유출통로(outflow channel)로부터 상기 냉각제의 유입통로(inflow channel)를 분리한다.
달리, 상기 금속시이트(42)내의 상기 개구부들은 또한 상기 금속시이트(42)가 상기 운송판(37)에 적용되기 전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단접에 의하여 금속시이트(42)와 운송판(37)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통로(18)의 성형의 또다른 가능한 방법이 제 20a 도 및 제 20b 도에 나타나 있다. 정해진 지점들에서 팽창결합에 의하여 상기 금속시이트(42)가 상기 운송판(37)에 적용되어진다. 후에, 상기 냉각통로내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통로(18)에 대응하여 연장되어지는 상기 운송판(37)의 표면은 그 영역내에서 상기 금속시이트(42)와 운송판(37) 사이에서 어떠한 연결도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같은 거친부분(roughness)(81)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 영역내에서는 두꺼운 선(75 및 77)들로 표시한 선연결(line connection) 또는 면연결(surface connection)만이 존재한다.
상기 금속시이트(42)가 상기 운송판(37)에 적용되어진 후에, 수류가 상기 두개의 플레이트부분들 사이로 유입되어지고 5000바아(bar) 이상의 압력이 적용되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금속시이트(42)의 '수력적 팽창"으로 상기 냉각통로(18)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금속시이트의 팽창되어진 부분은 상기 냉각통로(76)의 경계로서 나타난다.
구체예의 방법으로 주어진 상기 두개의 첫번째로 언급되어진 구체예들과는 반대로, 제 9 도 내지 제 13b 도 마다에서의 세번째의 변형예에 따라 상기 밀봉(1)이 형성되어지고, 그 안에서 유자형의 고리가 상기 운송판(37)의 단부영역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흐름면(모든 첨부되어진 전체 도면들에서 항상 오른쪽인 면) 상으로 배열되어진다. 상기 밀봉은 상기 운송판(37)과 함께 방사상으로 외측으로의 유출을 종식시킨다. 상기 언급한 상기 밀봉(1)의 배열은 예를 들면 제 15 도에서와 같이 나타나지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질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조립의 또다른 변형 방법을 나타낸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면 상의 상기 금속시이트(42)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방사상으로 상기 밀봉(1) 내로, 상기 내측절연(2 및 17)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절연(3 및 4)들이 배열되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는,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속시이트(42) 상에 용접되어진 스크류핀(screw pin)이 체결핀(15)으로 사용되어지며, 그 핀 상으로 헤드너트(head nut)(13)가 나사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너트(13)는 적어도 쉽게 소실되어질 수 있는 물질로 된 가장자리 상에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의 첫번째의 사용 후에 팽창 간격이 발생하도록 한다.
제 9 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핀(15)들은 상기 금속시이트(42) 상에 격자와 같이 배열되어져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 전체에 대한 절연의 부착이 보증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금속시이트(42) 내의 개구부들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상기 냉각통로는 그 단부면에서 냉매출구(52)와 마찬가지로 냉매입구(51)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중앙영역 내에서, 상기 냉매의 흐름방향은 또한 그에 의하여 (흐름역전영역(27)) 역전되어질 수 있다.
운송판(37)에 용접되어지는 상기 밀봉(1)과 마찬가지로 상기 외측절연(4), 상기 내측절연(17), 상기 금속시이트(42), 상기 운송판(37)은 상기 가장자리 상에 배열되어진, 그 위로 상기 절연(8)들이 놓여지는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둘러싸는 가장자리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절연(8)과 상기 외측절연(5)의 일부를 통하여 서로로부터 동일한 각도상으로 분리되게 배열되어진 와이자형 아마츄어가 두개의 평면들에서 연장되어지고, 그 아마츄어들의 분기점(fork)들에서 상기 두개의 긴장코드(48)들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달리면서 상기 외측절연고리(5)의 내측으로 연장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외측의 절연자켓(insulating jacket)을 방사상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긴장코드(48)는 절연물질, 특히 세라믹물질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진다.
제 13b 도에는 냉각통로의 출구를 조립하는 가능한 방법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리고 서로 연결되어지도록 형성된 두개의 구멍들이 상기 운송판(37)의 외측단부 상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지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진 상기 구멍들이 상기 냉각통로에 유체연결되어지며,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진 상기 구멍은 예를 들면 상기 냉매출구(52)와의 연결을 제공한다. 제 10 도에 따르면, 상기 냉각통로는 또한 상기 운송판(37)을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진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밀봉(1)내에 제공되어진 공동과 직접적으로 유체연결되어질 수 있다.
제 14 도 내지 제 18 도에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대한 네번째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구체예의 방법으로 주어진 앞서의 구체예들과는 달리, 상기 운송판(37)과 상기 금속시이트(42)들은 코어플레이트(43)에 의하여 대체되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플레이트(433)에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진 구멍(44 및 45)들이 제공되어지고, 이들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간 판내에서 연장되어지고, 가로막아서 냉각통로를 형성한다. 이들 구멍(44 및 45)들의 배열을 제 14 도에 절단선들로 나타내었다. 우선, 수직의, 개구부가 없는 구멍(blind hole bore)(45)을 상기 유체매질입구(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그의 저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진 상기 개구부가 없는 구멍(44)과 교차한다. 이 개구부가 없는 구멍의 외측단부의 영역에서, 구멍(45)이 배열되어지며, 이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지고, 그리고 그의 하단부에서 수평의 개구부가 없는 구멍과 연결되어진다. 이는 수직의 개구부가 없는 구멍과 연결되어지고, 그의 상단부에서 수평의 개구부가 없는 구멍과 교차한다. 따라서 냉각통로의 절반이 실질적으로 형성되어진다. 제 14 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절반이 유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사전-설정되어진 흐름경로(flow course)를 형성하기 위하여 밀폐스토퍼(closure stopper)(46)가 구멍(44)내로 삽입되어진다(제 14 도를 참조하시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수직구멍(54)이 형성되어지며, 이는 상기 수직구멍(54)내의 상기 밀폐스토퍼(46)의 삽입을 통하여 상기 수평의 개구부가 없는 구멍(44)의 통로가 막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수평의 개구부가 없는 구멍을 가로지른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뇌문형의 통로가 형성되어지며, 이를 통하여 냉매가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을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어플레이트(43)내의 개구부들은 상기 구멍(44 및 45)들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막히게 되어 냉매의 어떠한 냉매도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 17 도에 구체예의 방법으로 긴장코드(7)의 가이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외측 압력면절연(4)내에 배열되어진다. 상기 긴장코드(7)는 뇌문형으로 또는 긴장코드망을 형성하도록 하여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두 방향으로 연장되어진다. 따라서 방사상 그리고 축상의 방향에서의 상기 절연에 대하여 잔류하는 움직임의 일정한 양으로, 방사상으로 그리고 접선방향으로의 상기 외측절연(4)의 균일한 유지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상기 긴장코드(7)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운송부분 상에 용접되어진 아일릿들 또는 링핀들내로 안내되어지며, 이들 아일릿들 또는 링핀들 중의 하나를 제 18 도에 나타내었다.
제 15 도의 상단에 상기 코어플레이트(43)를 통한 수직구멍을 통하여 상기 밀봉(1)의 공동이 상기 코어플레이트(43)내에 형성되어진 냉각통로와 유체 연결되어져서 그에 따라 상기 밀봉 역시 냉각되어질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냉각식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언급한 4가지의 변형예들과 함께, 이중으로 층이 진 절연의 사용 및 열전달가교의 형성의 회피로 인하여 단지 최소의 냉각이 필요한 구조의 간단하고도 가격이 저렴한 방법들이 제공되어진다. 이는 물의 소비와 펌프 용량을 낮추는 결과를 낳는다. 상기 언급한 변형예들에서, 상기 냉각통로의 단면은 항상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에 대한 필요한 냉각 욜양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절연요소들의 비파괴성의 제거에 의하여 발생되어질 수 있는 어떠한 누출도 언제든지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번호들의 리스트
1 : 밀봉 2 : 마이크로썸플레이트
3 : 세라믹발포플레이트 4 : 세라믹발포플레이트
5 : 절연(외측) 6 : 세라믹섬유직조물
7 : 긴장코드 8 : 절연(내측)/절연매트(탄성)
10 : 온풍슬라이더플레이트 11 : 체결볼트
12 : 헤드(11의) 15 : 체결핀
17 : 마이크로썸플레이트 18 : 냉각통로
20 : 중간판 21 : 금속시이트
22 : 유자형고리(1의) 23 : 고리(1의)
24 : 파이프(냉각파이프) 27 : 흐름역전영역
28 : 에스자형파이프부분 29 : 나선형파이프부분
30 : 나선형파이프부분 31 : 슬라이더플레이트-중간면
32 : 부분공간 33 : 부분공간
34 : 입구구멍 35 : 출구구멍
36 : 가로벽 37 : 운송판
38 : 용접접합부 38' : 용접접합부
39 : 베이스플레이트 40 : 커버플레이트
41 : 홈 42 : 금속시이트
43 : 코어플레이트 44 : 구멍
45 : 구멍 46 : 밀폐스토퍼
48 : 긴장코드 49 : 와이자형 아마츄어
50 : 링핀/아일릿 51 : 냉매입구
52 : 냉매출구 54 : 수직구멍
56 : 굴곡반경 58 : 외측흐름영역
59 : 내측흐름영역 61 : 차단판
62 : 머무름플레이트 63 : 머무름부재
64 : 머무름고리 65 : 절기부공간
67 : 냉매흐름방향화살표 69 : 연소가능한 피복
70 : 공간(중앙) 71 : 탄성부재 또는 연소가능한 층
72 : 완화구멍 73 : 가로대
75 : 선팽창 76 : 냉각통로경계
77 : 표면결합 78 : 합금
79 : 화살표(표면팽창) 80 : 화살표(선팽창)
81 : 거칠음 차이

Claims (26)

  1. 열-절연 물질(2, 3, 4, 5, 8 및 17)으로 피복되어진 슬라이더하우징의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밀봉(1)의 부분들을 제외한, 냉매, 특히 물이 흐르는 냉각통로와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양 면들의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밀봉(1)을 가지며, 상기 밀봉(1)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일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수회 굴곡되어진 파이프(24)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가 동시에 냉각통로로서 작용하며, 그에 따라 그 일측이 냉매입구(51)와 그리고 그 타측이 냉매출구(52)와 연결되어지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특히 수냉식 온풍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있어서, 냉각통로로서 작용하는 상기 파이프(24)가 중앙의 흐름역전영역(27)을 제외한, 인접하는 파이프부분과 전체 플레이트표면에 대하여 접촉하고, 유사하게 이중나선형의 선접촉을 따라 결합되어지고, 특히 용접(용접접합부(38))되어져서 형태에 있어서 안정한 플레이트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중나선형으로 굴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흐름역전영역(27)이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파이프부분(2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에스자형으로 굴곡된 상기 파이프부분(28)과 그에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나선파이프부분(29, 30)들의 사이의 공간(70)이 특히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상기 두개의 외측표면들의 영역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격되어져서 놓여지는 두개의 금속시이트(21)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지며, 상기 두개의 금속시이트(21)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지는 상기 공간(70)이 그를 통하는 냉매흐름을 가지며, 동일하게 입구구멍(34) 및 출구 구멍(35)를 경유하여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부분과 유체연결이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금속시이트(21)들 사이의 상기 공간(70)이 특히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31)들의 중간평면 내에 놓여지는 중간판(20)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격되어진 두개의 부분공간(32, 33)로 구분되어지며, 이들은 각각 상기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부분(28)내의 입구구멍(34) 및 출구구멍(35)들을 경유하여 제1의 장소(입구구멍(34))에 있는 냉매가 부분공간(33)내로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 부분(28)의 밖으로 계속해서 제2의 장소(출구구멍(35))로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부분(28)내로 도로 흘러나가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파이프부분과 유체연결이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플레이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 부분(28)의 통로가 상기 입구구멍(34)과 출구구멍(35)들의 사이에서 좁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플레이트.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에스자형으로 굴곡되어진 상기 파이프 부분(28)의 통로가 상기 입구구멍(34)과 출구구멍(35)들의 사이에서 가로막혀짐을, 특히 가로벽(36)에 의하여 차단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플레이트.
  7. 열-절연 물질(2, 3, 4, 5, 8 및 17)으로 피복되어진 슬라이더하우징의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밀봉(1)의 부분들을 제외한, 냉매, 특히 물이 흐르는 냉각통로와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양 면들의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밀봉(1)을 갖는 냉각식 슬라이드플레이트, 특히 수냉식 온풍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밀봉(1)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일부가 이중나선형, 지그재그 또는 뇌문형의 홈을 갖는 베이스플레이트(39)와 커버플레이트(40)에 의하여 밀폐되어진 상기 홈(41)을 수직으로 밀폐하고, 상기 냉각통로를 한정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그의 단부들 중의 하나가 냉매입구(51)과 그리고 그의 다른단부가 냉매출구(52)와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커버플레이트(40)에 의하여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4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에 대하여 팽창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9. 열-절연 물질(2, 3, 4, 5, 8 및 17)으로 피복되어진 슬라이더하우징의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밀봉(1)의 부분들을 제외한, 냉매, 특히 물이 흐르는 냉각통로와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양 면들의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밀봉(1)을 갖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특히 수냉식 온풍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밀봉(1)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일부가 운송판(37)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며, 그의 적어도 한면 상에 금속시이트(42)가 용접되어지며, 상기 금속시이트가 상기 금속시이트(42)와 상기 운송판(37)들 사이에서 이중나선형, 지그재그 또는 뇌문형의 냉각통로가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성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로를 한정하는 상기 금속시이트(42)가 상기 운송판(37)에 대하여 팽창되어지거나 또는 단접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운송판(37)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1. 열-절연 물질(2, 3, 4, 5, 8 및 17)으로 피복되어진 슬라이더하우징의 밀봉자리에 인접하는 밀봉(1)의 부분들을 제외한, 냉매, 특히 물이 흐르는 냉각통로와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양 면들의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밀봉(1)을 갖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특히 수냉식 온풍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밀봉(1)에 의하여 제한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일부가 코어플레이트(43)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며, 이 코어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특히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평면에서 연장되어지는 구멍(44, 45)들을 포함하며, 이들 구멍들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져서 사전에 설정되어진, 특히 뇌문형의 냉각통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지는 상기 구멍(44, 45)들이 서로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지며, 바람직하게 방사상으로 외측으로부터 특히 사전에 설정되어진 구멍 및 그에 따른 냉각통로의 형성과 함께 그리드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밀폐스토퍼(46)들이 상기 구멍(44, 45)들 내로 삽입되어져서 상기 냉매에 대한 사전에 설정된 흐름경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스토퍼(46)들 각각이 관련되어진 구멍(44, 45)들의 통로가 누수불가능하게 막혀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멍(44 및/또는 45)의 영역내에 형성되어진 수직구멍(54)내로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5. 제11항 내지 제14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매입구구멍과 냉매출구구멍으로부터 떨어진,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놓여진, 상기 코어플레이트구멍(44, 45)들의 개구부들이 스토퍼들 또는 유사한 차단부재들에 의하여 폐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열-절연 덮개가 두개의 층들 특히,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내측절연 특히, 마이크로썸플레이트(상표명)(2 또는 17 또는 8), 외측절연 특히, 세라믹섬유발포체 또는 내열성의 콘크리트플레이트(3 또는 4 또는 5)로 구성되어진 층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연(3, 4, 5)이 상기 내측절연(2, 8, 17) 및/또는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운송부분에 대하여 축상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 배열되어져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 및/또는 열적 응력을 통한 절연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연(5)이 자켓부재 특히, 세라믹섬유직조물(6)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면접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절연 피복이 그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지는 체결볼트(11)들 또는 핀(15)들에 의하여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11)들 또는 핀(15)들에 고온에서 특히, 소각되어져서 파괴되어지는 층이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슬라이더플레이트.
  21. 제1항 내지 제20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에 평행하게 연장되어진 상기 외측절연(4, 5)이 절연물질, 특히 세라믹물질로 이루어진 긴장부재들 특히, 긴장코드(7)들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및/또는 접선방향으로 사전에 긴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부재들, 특히 긴장코드(7)들이 뇌문 또는 망의 형태로 각각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두 방향으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부재들, 특히 긴장코드(7)들이 상기 외측절연(4, 5)의 내부에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4. 제1항 내지 제23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플레이트(10)의 외측 가장자리 상으로 연장되어지는 상기 절연(5)내에 긴장코드(48)이 배열되어지며, 이것이 외측의 절연자켓을 방사상으로 함께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코드(48)가 상기 밀봉(1)의 외측 가장자리 상에 대략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분리되어져서 배열되어진 링 또는 와이자형의 아마츄어를 통하여 긴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26. 제1항 내지 제25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1)이 또한 그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를 가지며, 상기 자유로운 흐름 단면이 상기 냉매가 상기 밀봉(1)을 통하여 상기 냉각통로부분들의 나머지 부분들과 대략적으로 같은 속도로 흐르도록 하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KR1019960702473A 1993-11-10 1994-11-09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KR100287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38431.5 1993-11-10
DE4338431A DE4338431A1 (de) 1993-11-10 1993-11-10 Gekühlte Schieberplatte
PCT/EP1994/003695 WO1995013493A1 (de) 1993-11-10 1994-11-09 Gekühlte schieberpla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044A KR960706044A (ko) 1996-11-08
KR100287620B1 true KR100287620B1 (ko) 2001-05-02

Family

ID=650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473A KR100287620B1 (ko) 1993-11-10 1994-11-09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15811B1 (ko)
EP (1) EP0727022B1 (ko)
JP (1) JP3181293B2 (ko)
KR (1) KR100287620B1 (ko)
CN (1) CN1043269C (ko)
AT (1) ATE167272T1 (ko)
DE (2) DE4338431A1 (ko)
ES (1) ES2121236T3 (ko)
RU (1) RU2133398C1 (ko)
WO (1) WO1995013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7016A1 (de) * 1997-04-23 1998-11-05 Dietrich Dipl Ing Zosel Absperrorgan für hohe Temperaturen
DE19950445C2 (de) * 1999-10-19 2002-09-19 Zollern Bhw Gleitlager Gmbh & Gleitlagerelement
DE19961739A1 (de) * 1999-12-21 2001-06-28 Rappold & Co Gmbh Hermann Heisswindschieber
GB0115126D0 (en) * 2001-06-21 2001-08-15 Invectoment Ltd High temperature damper
US6953143B2 (en) * 2003-04-11 2005-10-11 Advanced Energy Industries, Inc. Explosion welded design for cooling components
DE10319302B3 (de) * 2003-04-29 2004-08-12 Wacker-Chemie Gmbh Gasdichter Scheibenschieber
WO2005125296A1 (en) * 2004-06-15 2005-12-29 Tm4 Inc. Cooling device for electric circuit
CN101625211B (zh) * 2008-07-11 2012-07-18 中冶焦耐工程技术有限公司 高温烟气管路用自然循环风冷式闸板
TW201014125A (en) * 2008-09-16 2010-04-01 Joy Ride Tech Co Ltd Motor with heat dissipation device
DE102012013494A1 (de) * 2012-07-09 2014-01-09 Kme Germany Gmbh & Co. Kg Kühlelement für einen Schmelzofen
CN103103368B (zh) * 2012-12-13 2014-03-12 吴中区胥口精益生物医药研究所 一种钛反应器
US10190065B2 (en) 2013-03-15 2019-01-29 Mark E. Koenig Fe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gasifier
WO2014143170A1 (en) 2013-03-15 2014-09-18 Koenig Mark E Isolation gate
GB2516122B (en) * 2013-03-15 2016-03-23 Mark Koenig Isolation Gate
US20170010046A1 (en) * 2015-07-08 2017-01-12 Thermolift, Inc. Heat Exchanger
CN106439207B (zh) * 2016-11-11 2019-02-01 攀钢集团西昌钢钒有限公司 大型闸阀的防结焦装置及气体输送管线
US11079185B2 (en) * 2018-03-20 2021-08-03 Lummus Technology Inc. Heat exchanger closur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and installing the same
CN110396996B (zh) * 2019-08-26 2024-05-10 北京奥特美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闸门及其闸框
CN111440912A (zh) * 2020-05-28 2020-07-24 厦门大学嘉庚学院 一种双层双螺旋冷却热风阀阀板及其工作方法
CN113932024A (zh) * 2021-09-23 2022-01-14 成都中科唯实仪器有限责任公司 一种真空阀门的阀芯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517A (en) * 1964-02-12 1966-08-16 Kinney Eng Inc S P Gate valve for use in hot blast lines
DE1212378B (de) 1965-01-09 1966-03-10 Zimmermann & Jansen Gmbh Verschlussplatte fuer einen Heisswindschieber
FR1468188A (fr) * 1966-02-14 1967-02-03 Dingler Werke Ag Opercules pour organes d'obturation, en particulier pour vannes à vent chaud
US3499462A (en) * 1967-06-28 1970-03-10 Anderson Constr Corp A E Slide valve casing
GB1288250A (ko) * 1969-12-08 1972-09-06
FR2051038A5 (ko) 1970-06-10 1971-04-02 Steri
DE2124303A1 (ko) * 1971-05-17 1972-10-26
DE2243588A1 (de) 1972-09-05 1974-03-14 Helmut Heuss Abgasschieber, drehklappen, tueren, rahmen und waende mit gekuehlter tragkonstruktion fuer industrieoefen
DE2322266A1 (de) 1973-05-03 1974-11-14 Eiserntaler Spezial Schweissbe Heisswindschieberzunge
DE2366032C3 (de) * 1973-06-01 1983-11-17 Zimmermann & Jansen GmbH, 5160 Düren Wassergekühlter Hochtemperaturschieber
LU78708A1 (ko) * 1977-12-19 1978-06-21
FR2439925A1 (fr) 1978-10-25 1980-05-23 Semt Soupape, notamment pour moteurs a combustion interne, du type a champignon et refroidie par circulation forcee d'un fluide refrigerant
DE4138283C1 (ko) * 1991-11-21 1992-12-10 Zimmermann & Jansen Gmbh
DE9310388U1 (de) 1993-07-08 1993-12-02 Siemens Ag Vorrichtung zur Messung des Potentials eines Hochspannungslei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13493A1 (de) 1995-05-18
CN1135787A (zh) 1996-11-13
JPH09509239A (ja) 1997-09-16
EP0727022A1 (de) 1996-08-21
EP0727022B1 (de) 1998-06-10
CN1043269C (zh) 1999-05-05
RU2133398C1 (ru) 1999-07-20
ATE167272T1 (de) 1998-06-15
DE4338431A1 (de) 1995-05-11
US6415811B1 (en) 2002-07-09
ES2121236T3 (es) 1998-11-16
KR960706044A (ko) 1996-11-08
DE59406236D1 (de) 1998-07-16
JP3181293B2 (ja)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620B1 (ko) 냉각식 슬라이더플레이트
US5304351A (en) Semi-oval shaped carrier having excellent thermal stress resistance and thermal fatigue resistance for automobile exhaust gas-purifying catalyst
US5433183A (en)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a pipe carrying a hot fluid to a plastic member and its u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78046A (en) Protective device for heat emitting structures
US4253520A (en) Heat exchanger construction
EP0379525B1 (en) Fabric expansion joints for exhaust systems of gas turbines
WO2006091325A1 (en) Cooled transition duct for a gas turbine engine
JPS63105397A (ja) 熱交換器
JP2007510084A (ja) 熱交換器
US4483140A (en) Exhaust gas conduit system for multi-cylinder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997864A (zh) 改进的热交换器外壳和密封装置
US4598667A (en) Cooled tube wall for metallurgical furnace
CN100473935C (zh) 渐开线箔片再生换热器
US6595241B2 (en) Prefabricated elements for thermal maintenance of industrial pipe
US5509567A (en) Tank connector construction
US7637289B1 (en) Sectional heat insulating jacket
US4633939A (en) Heat transfer device for oil temperature regulator
US20060219191A1 (en) Heat transfer enhancement features for a tubular wall combustion chamber
JPS622240B2 (ko)
JP2856948B2 (ja) 切換弁
JPS62131929A (ja) 冷却流体チヤネルを有する壁
US3835648A (en) Heater for hot-gas engine
US4146213A (en) Hot blast or hot gas valve
CA1277312C (en) Device for cooling thick-walled components, especially heat exchanger tubesheets
CN105909860A (zh) 恒温流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