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722B1 -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및 그 송신방법 - Google Patents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및 그 송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722B1
KR100286722B1 KR1019950047018A KR19950047018A KR100286722B1 KR 100286722 B1 KR100286722 B1 KR 100286722B1 KR 1019950047018 A KR1019950047018 A KR 1019950047018A KR 19950047018 A KR19950047018 A KR 19950047018A KR 100286722 B1 KR100286722 B1 KR 10028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ated wave
amplifying
signals
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861A (ko
Inventor
이찌하라마사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2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9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vector summing of two or more constant amplitude phase-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5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 H04L27/20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 H04L27/2067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 H04L27/2071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in which the data are represented by the carrier phase, e.g. systems with differenti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Abstract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10)은 변조 신호 I 및 Q를 기초로 한 식 : I1= {I+QㆍSQRT(4/a2- 1)}/2 ; Q1= {Q-IㆍSQRT(4/a2- 1)}/2 ; I2= {I-QㆍSQRT(4/a2- 1)}/2 ; 및 Q2= {Q+IㆍSQRT(4/a2- 1)}/2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SQRT(x)는 x의 평방근, 즉 a2= (I2)2+ (Q2)2이다. 직교 변조기(12)는 I1및 Q1을 갖고 있는 캐리어를 직교 변조한다. 직교 변조기(22)는 I2및 Q2를 갖고 있는 캐리어를 직교 변조한다. 직교 변조기(12 및 13)의 출력 신호는 송신 전력 증폭기(13 및 23)으로 증폭된 다음, 합성된다.

Description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및 그 송신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럭도.
제3도는 종래의 트랜스미터의 블럭도.
제4도는 송신 전력 증폭기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 2, 12, 22 : 직교 변조기
3, 13, 23 : 송신 전력 증폭기 4 : 송신 필터
5 : 안테나 6 : 국부 발진기
본 발명은 4상 시프트 키잉(Phase Shift Keying : 이후 PSK라 함), π/4 시프트 차동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 이후 DQPSK라 함) 등과 같이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탈 셀룰러 폰 시스템은 주파수의 유효 이용을 위해 π/4 시프트 DQPSK와 같이 밴드폭이 좁은 변조파를 사용하는 선형 변조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선형 변조 방법은 주파수 변조(이후, FM이라 함), 가우시안 최소 시프트키잉(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 이후 GMSK라 함) 변조 등을 사용하는 종래의 일정 엔벨로프 변조 방법(엔벨로프가 변하지 않음)에 비해 송신 무선파의 진폭을 크게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진폭의 변동량을 정확하게 송신하는데 트랜스미터가 필요하다. 이것이 선형 증폭기가 쓸모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이유이다.
제3도는 종래의 트랜스미터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1)는 클럭(8)과 동기하는 입사 입력 데이타 신호(7)를 수신하고,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 밴드 신호(변조 신호) I 및 Q를 출력한다. 신호 I는 캐리어에 대한 송신 무선파의 동상 성분(in-phase component)을 표시한다. 신호 Q는 직교 성분(quadrature component)을 표시한다.
이들 신호들은 국부 발진기(6)로부터 출력된 국부 신호(캐리어)를 직교 변조하는 직교 변조기(2)에 입력된다. 직교 변조기(2)의 출력 신호(변조 신호)는 송신 전력 증폭기(3)에 의해 증폭되고, 송신 필터(4)를 통해 불필요한 파를 제거한 후 안테나(5)로부터 송신된다.
π/4 시프트 DQPSK, QPSK 등과 같은 선형 변조로서의 직교 변조기(2)의 출력은 일정하지 않은 엔벨로프 변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엔벨로프 진폭 변동이 수반된다. 송신 전력 증폭기(3)는 가능한 한 정확하게 엔벨로프 진폭 변동을 재생하기 위해 선형 증폭기이어야 한다.
제4도는 송신 전력 증폭기의 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가로 좌표축은 입력 레벨이고, 세로 좌표의 좌축은 출력 레벨이며, 세로 좌표의 우측은 효율이다. 직선은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점선은 입력 전력과 효율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종래의 송신 방법에서는 출력 전력이 선형 증폭을 이루도록 입력 전력에 선형으로 변하는 영역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영역은 효율이 매우 낮다. 또, 종래 방법은 비선형 영역(제4도 그래프의 우측 하단)에 적용가능한 일정 엔벨로프 변조 방법에 비해 송신 소비 전력을 증가시킨다.
선형 증폭기를 갖고 있는 선형 변조파를 증폭하는 상술한 종래 방법은 전력 효율이 매우 낮아, 과도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미터, 및 송신 전력 증폭용 비선형 유효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 신호를 엔벨로프 변동이 없는 2개의 변조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화기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변환기는 동상 성분 신호가 I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인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 신호의 신호를 다음 조건(1) 내지 (3)을 충족시키는 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인 신호 및 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I1)2+ (Q1)2= 일정 (1)
(I2)2+ (Q2)2= 일정 (2)
벡터(I,Q) = 벡터(I1, Q1) + 벡터(I2, Q2) (3)
또, 상기 본 발명은 동상 성분 신호가 I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인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 신호의 신호를 다음 조건 (1) 내지 (3)를 충족시키는 신호(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임) 및 신호(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임)로 변환시키는 수단:
(I1)2+ (Q1)2= 일정 (1)
(I2)2+ (Q2)2= 일정 (2)
벡터(I,Q) = 벡터(I1, Q1) + 벡터(I2, Q2) (3)
신호 (I1, Q1)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1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1 변조 수단;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2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2 변조 수단;
제1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1 증폭 수단;
제2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2 증폭 수단; 및
제1 증폭 수단 및 제2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트랜스미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본 발명은 엔벨로프 변화를 갖고 있는 변조파를 송신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방법은 동상 성분 신호가 I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인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 신호의 신호를 다음 조건 (1) 내지 (3)을 충족시키는 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인 신호, 및 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I1)2+ (Q1)2= 일정 (1)
(I2)2+ (Q2)2= 일정 (2)
벡터(I,Q) = 벡터(I1, Q1) + 벡터(I2, Q2) (3)
신호 (I1, Q1)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1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1 변조 단계;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2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2 변조 단계;
제1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1 증폭 단계;
제2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2 증폭 단계;
제1 증폭 수단 및 제2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합성된 변조파를 밴드 제한하는 단계; 및
밴드 제한된 변조파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폭이 가변인(즉,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 신호를 2개의 일정 엔벨로프 변조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 다음, 본 발명은 각각의 일정 엔벨로프 변조신호를 사용하여 각각의 캐리어를 변조시키고 증폭시키며 합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선형 및 높은 효율 증폭기를 사용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후술하겠다.
제1도는 신호의 위상 및 진폭의 벡터 표시이다.
송신 변조 신호의 벡터가 A로 표시되고, 캐리어의 동상 성분이 I로 표시되며, 직교 성분이 Q로 표시된다고 가정하면, 벡터 A는 다음과 같은 좌표로 표시된다.
A = (I, Q) (1)
벡터 A의 진폭 "a"가 가변이라고 가정하고, 각 벡터 A1 및 A2는 진폭 "a"의 최대값의 1/2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값을 갖는 일정 진폭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A1 및 A2는 단순히 1인 동일 진폭값을 갖는다(즉, a ≤2). 벡터 A1 및 A2는 다음 좌표로 표시된다.
A1 = (I1, Q1), A2 = (I2, Q2)
I1, Q1, I2및 Q2의 값은 벡터 A1 및 A2의 합이 벡터 A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상기 값은 다음 식(3-1) 내지 (3-4)로 얻어진다.
I1= {I+QㆍSQRT(4/a2- 1)}/2 (3-1)
Q1= {Q-IㆍSQRT(4/a2- 1)}/2 (3-2)
I2= {I-QㆍSQRT(4/a2- 1)}/2 (3-3)
Q2= {Q+IㆍSQRT(4/a2- 1)}/2 (3-4)
여기에서, SQRT(x)는 x의 평방근이다. 상기 식 (3-1) 내지 (3-4)는 (I1)2+ (Q1)2= 1 및 (I2)2= (Q2)2= 1이다. 이것은 신호(I1, Q1) 및 (I2, Q2)가 각각 일정 엔베로프 변조 신호임을 나타낸다.
또, 이것은 (I1, Q1) + (I2, Q2) = (I, Q)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 성분이 (I1, Q1)인 일정 엔벨로프 변조 신호 및 위상 성분이 (I2, Q2)인 동일 값의 일정 엔벨로프 변조파를 생성하고, 동일 게인으로 증폭 및 합성시킴으로써 위상 성분 (I, Q)이 가변인 엔벨로프 변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미터는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랜스미터는 동상 성분 신호, I, 직교 성분 신호(변조 신호) Q 및 입력 데이타와 동기한 클럭(8)에 기초한 베이스 밴드 신호(변조 신호)I1, Q1, I2및 Q2를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변환기 : 10); 동상 성분 신호 I1및 직교 성분 신호 Q1을 사용하여 국부 발진기(6)로부터 출력된 국부 신호(캐리어)를 직교 변조시키는 제1 직교변조기(12); 동상 성분 신호 I2및 직교 성분 신호 Q2를 사용하여 국부 신호(캐리어)를 직교 변조시키는 제2 직교 변조기(22); 제1 직교 변조기(12)를 증폭시키는 제1 송신 전력 증폭기(13), 제 2 직교 변조기(22)로부터의 출력된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2 송신 전력 증폭기(23), 송신 전력 증폭기(13 및 23)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전력 합성기(9); 전력 합성기(9)의 출력 신호를 밴드 한정하는 밴드 패스 필터(4) 및 밴드 패스 필터(4)의 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5)를 포함한다.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변환기 :10)는 입력 데이타(7)를 식(3-1) 내지 (3-4)에 적용하고, 동상 성분 신호 I1및 직교 성분 신호 Q1을 제1 직교 변조기(12)에 공급하며, 동상 성분 신호 I2및 직교 성분 신호 Q2를 제2 직교 변조기(22)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10)는 식 (3-1) 내지 (3-4)를 계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1 직교 변조기(12)는 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인 국부 발진기(6)로부터 출력된 국부 신호(캐리어)를 직교 변조시킨다.
제2 직교 변조기(22)는 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인 국부 신호(캐리어)를 직교 변조시킨다.
제1 직교 변조기(12) 및 제 2 직교 변조기(22)는 출력 신호는 각각 제1 송신 전력 증폭기(13) 및 제2 송신 전력 증폭기(23)를 통해 전력 증폭된다. 제1 및 제2 직교 변조기(12 및 22)의 출력 신호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밴드 파형 발생 회로(10)를 통해 처리된 일정 엔벨로프 변조파이기 때문에, 비선형 및 높은 효율 전력 증폭기에 대한 전력 증폭에도 불구하고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송신 전력 증폭기(13 및 23)의 출력 신호는 전력 합성기(9)를 통해 전력 합성된다. 결과적으로, 전력 합성기(9)의 출력 신호에 대해, 국부 신호(캐리어)는 동상 성분 신호 I 및 직교 성분 신호로 직교 변조되어, 변형없이 증폭된 전력의 신호와 비교가능한 신호로 제공한다.
전력 합성기(9)의 출력 신호는 밴드 패스 필터(4)로 밴드 제한한 후, 송신용 안테나(5)에 공급된다.

Claims (11)

  1. 트랜스미터에 있어서, 동상 성분 신호가 I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인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신호의 신호를 다음 조건 (1) 내지 (3)
    (I1)2+ (Q1)2= 일정 (1)
    (I2)2+ (Q2)2= 일정 (2)
    벡터(I,Q) = 벡터(I1, Q1) + 벡터(I2, Q2) (3)
    을 충족시키는 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인 신호, 및 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신호 (I1, Q1)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1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1 변조기;
    상기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2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2 변조기;
    상기 제1 변조파를 전력 증폭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2 변조파를 전력 증폭하는 제2 증폭기; 및
    상기 제1 증폭기 및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들을 합성하는 합성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트랜스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변조 신호 (I, Q)의 신호를 다음 식 (4) 내지 (7)
    I1= {I+QㆍSQRT(4/a2- 1)}/2 (4)
    Q1= {Q-IㆍSQRT(4/a2- 1)}/2 (5)
    I2= {I-QㆍSQRT(4/a2- 1)}/2 (6)
    Q2= {Q+IㆍSQRT(4/a2- 1)}/2 (7)
    (여기에서, SQRT(x)는 x의 평방근, 즉 a2= (I2)2+ (Q2)2이다)
    을 적용하여, 신호(I1, Q1) 및 신호 (I2, Q2)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터.
  3. 트랜스미터에 있어서, 동상 성분 신호가 I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인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 신호의 신호를 다음 조건 (1) 내지 (3)을 총족시키는 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인 신호 및 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단;
    (I1)2+ (Q1)2= 일정 (1)
    (I2)2+ (Q2)2= 일정 (2)
    벡터(I,Q) = 벡터(I1, Q1) + 벡터(I2, Q2) (3)
    상기 신호 (I1, Q1)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1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1 변조 수단;
    상기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2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2 변조 수단;
    상기 제1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1 증폭 수단;
    상기 제2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2 증폭 수단; 및
    상기 제1 증폭 수단 및 상기 제2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변조 신호(I, Q)의 신호를 다음 식 (4) 내지 (7)
    I1= {I+QㆍSQRT(4/a2- 1)}/2 (4)
    Q1= {Q-IㆍSQRT(4/a2- 1)}/2 (5)
    I2= {I-QㆍSQRT(4/a2- 1)}/2 (6)
    Q2= {Q+IㆍSQRT(4/a2- 1)}/2 (7)
    (여기에서, SQRT(x)는 x의 평방근, 즉 a2= (I2)2+ (Q2)2이다)
    을 적용하여, 신호(I1, Q1) 및 신호 (I2, Q2)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 수단 및 상기 제2 변조 수단은 직교 변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 수단 및 상기 제2 증폭 수단은 비선형 전력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터.
  7. 트랜스미터에 있어서, 변조 신호 (I, Q)의 신호를 다음 식 (1) 내지 (4)
    I1= {I+QㆍSQRT(4/a2- 1)}/2 (1)
    Q1= {Q-IㆍSQRT(4/a2- 1)}/2 (2)
    I2= {I-QㆍSQRT(4/a2- 1)}/2 (3)
    Q2= {Q+IㆍSQRT(4/a2- 1)}/2 (4)
    (여기에서, SQRT(x)는 x의 평방근, 즉 a2= (I2)2+ (Q2)2이다)
    를 적용하여, 신호(I1, Q1) 및 신호 (I2, Q2)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신호 (I1, Q1)로 캐리어를 직교 변조시켜, 제1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1 직교 변조 수단;
    상기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직교 변조시켜, 제2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2 직교 변조 수단;
    상기 제1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1 비선형 전력 증폭기;
    상기 제2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2 비선형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1 비선형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2 비선형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터.
  8. 엔벨로프가 변동되는 변조파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상 성분 신호가 I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인 엔벨로프 변동이 있는 변조 신호의 신호를 다음 조건 (1) 내지 (3)
    (I1)2+ (Q1)2= 일정 (1)
    (I2)2+ (Q2)2= 일정 (2)
    벡터(I,Q) = 벡터(I1, Q1) + 벡터(I2, Q2) (3)
    을 충족시키는 동상 성분 신호가 I1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1인 신호, 및 동상 성분 신호가 I2이고 직교 성분 신호가 Q2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신호(I1, Q1)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1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1 변조 단계;
    상기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변조시켜, 제2 변조파를 생성하는 제2 변조 단계;
    상기 제1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1 증폭 단계;
    상기 제2 변조파를 전력 증폭시키는 제2 증폭 단계;
    상기 제1 전력증폭된 변조파와 상기 제2 전력 증폭된 변조파를 합성하는 단계;
    합성된 변조파를 밴드 제한하는 단계; 및
    밴드 제한된 변조파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파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변조 신호 (I, Q)의 신호를 다음 식 (4) 내지 (7)
    I1= {I+QㆍSQRT(4/a2- 1)}/2 (4)
    Q1= {Q-IㆍSQRT(4/a2- 1)}/2 (5)
    I2= {I-QㆍSQRT(4/a2- 1)}/2 (6)
    Q2= {Q+IㆍSQRT(4/a2- 1)}/2 (7)
    (여기에서, SQRT(x)는 x의 평방근, 즉 a2= (I2)2+ (Q2)2이다)
    를 적용하여, 신호(I1, Q1) 및 신호 (I2, Q2)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파 송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 단계는 상기 신호 (I1, Q1)로 캐리어를 직교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조 단계는 상기 신호 (I2, Q2)로 캐리어를 직교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파 송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 단계는 상기 제1 변조파를 비선형 전력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증폭 단계는 상기 제2 변조파를 비선형 전력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파 송신 방법.
KR1019950047018A 1994-12-06 1995-12-06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및 그 송신방법 KR100286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1946A JPH08163189A (ja) 1994-12-06 1994-12-06 送信回路
JP94-301946 1994-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61A KR960027861A (ko) 1996-07-22
KR100286722B1 true KR100286722B1 (ko) 2001-04-16

Family

ID=1790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018A KR100286722B1 (ko) 1994-12-06 1995-12-06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및 그 송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84412A (ko)
EP (1) EP0716526B1 (ko)
JP (1) JPH08163189A (ko)
KR (1) KR100286722B1 (ko)
AU (1) AU705593B2 (ko)
CA (1) CA2164465A1 (ko)
DE (1) DE695340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2028A (en) * 1996-04-12 2000-02-29 Continentral Electronics Corporation Radio transmitter apparatus and method
US6185259B1 (en) * 1996-06-12 2001-02-06 Ericsson Inc. Transmitter/receiver for GMSK and offset-QAM
KR100221832B1 (ko) * 1996-11-19 1999-09-15 유기범 정진폭특성을 갖는 쌍직교진폭변조방법 및 그 장치
US6320914B1 (en) * 1996-12-18 2001-11-20 Ericsson Inc. Spectrally efficient modulation using overlapped GMSK
US6415002B1 (en) * 1998-04-07 2002-07-02 Nortel Networks Limited Phase and amplitude modulation of baseband signals
DE10101911B4 (de) * 2001-01-16 2004-03-18 Interessengemeinschaft für Rundfunkschutzrechte GmbH Schutzrechtsverwertung & Co. KG. Signalverarbeitung eines amplituden- und/oder phasenmodulierten Hochfrequenzsignals
GB0205199D0 (en) * 2002-03-06 2002-04-17 Univ Belfast Modulator/transmitter apparatus and method
US6892057B2 (en) * 2002-08-08 2005-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ynamic range of a power amplifier
JP2005151543A (ja) * 2003-10-20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増幅回路
JP4388402B2 (ja) * 2004-03-31 2009-12-2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送信機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端末
US7327803B2 (en) 2004-10-22 2008-02-05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ctor power amplification
US7355470B2 (en) 2006-04-24 2008-04-08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including embodiments for amplifier class transitioning
US7653146B2 (en) * 2005-09-06 2010-01-26 Liquid Xstream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video, content on demand and IP packets
US7911272B2 (en) 2007-06-19 2011-03-22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including blended control embodiments
US8031804B2 (en) 2006-04-24 2011-10-04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t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including embodiments for compensating for waveform distortion
EP2405277B1 (en) * 2006-04-24 2014-05-14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WO2008090598A1 (ja) * 2007-01-22 2008-07-31 Panasonic Corporation 増幅装置
WO2008144017A1 (en) 2007-05-18 2008-11-27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WO2008156800A1 (en) 2007-06-19 2008-12-24 Parkervision, Inc. Combiner-less 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amplification with blended control
WO2009005768A1 (en) 2007-06-28 2009-01-08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WO2009145887A1 (en) 2008-05-27 2009-12-03 Parker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rf power transmission, modulation, and amplification
US8479374B2 (en) 2010-12-14 2013-07-09 Truesense Imaging, Inc. Method of producing an image sensor having multiple output channels
US8493491B2 (en) 2010-12-14 2013-07-23 Truesense Imaging, Inc. Methods for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by an image sensor having multiple output channels
US8553126B2 (en) 2010-12-14 2013-10-08 Truesense Imaging, Inc. Image sensor with charge multiplication
US8773564B2 (en) 2010-12-14 2014-07-08 Truesense Imaging, Inc. Image sensor with charge multiplication
US8493492B2 (en) 2010-12-14 2013-07-23 Truesense Imaging, Inc. Method of producing an image with pixel signals produced by an image sensor that includes multiple output channels
KR20140026458A (ko) 2011-04-08 2014-03-05 파커비전, 인크. Rf 전력 송신, 변조 및 증폭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2715867A4 (en) 2011-06-02 2014-12-17 Parkervision Inc ANTENNA CONTROL
CN106415435B (zh) 2013-09-17 2020-08-11 帕克维辛股份有限公司 用于呈现信息承载时间函数的方法、装置和系统
US11239990B2 (en) * 2019-06-12 2022-02-01 Infineon Technologies Ag Phase error determination using two modula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6395A (en) * 1974-07-18 1975-07-22 Bell Telephone Labor Inc Linear amplification using quantized envelope components to phase reverse modulate quadrature reference signals
US3927379A (en) * 1975-01-08 1975-12-16 Bell Telephone Labor Inc Linear amplification using nonlinear devices and inverse sine phase modulation
US4485358A (en) * 1981-09-28 1984-11-27 E-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lse angle modulation
JPH0831886B2 (ja) * 1989-09-14 1996-03-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
US5990734A (en) * 1998-06-19 1999-11-23 Datum Telegraphic Inc. System and methods for stimulating and training a power amplifier during non-transmission ev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6526B1 (en) 2005-03-09
EP0716526A2 (en) 1996-06-12
KR960027861A (ko) 1996-07-22
US5784412A (en) 1998-07-21
AU4024695A (en) 1996-06-13
EP0716526A3 (en) 2000-12-20
CA2164465A1 (en) 1996-06-07
DE69534055D1 (de) 2005-04-14
JPH08163189A (ja) 1996-06-21
DE69534055T2 (de) 2006-02-23
AU705593B2 (en) 199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722B1 (ko) 엔벨로프가 가변인 변조파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및 그 송신방법
US4420723A (en) Phase locked loop amplifier for variable amplitude radio waves
JP2000069098A (ja) プレ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US7158582B2 (en) Digital I/Q modulator having a predistortion
JP2000286915A (ja) 信号変調回路及び信号変調方法
US5867071A (en) High power transmitter employing a high power QAM modulator
US20220407478A1 (en) Envelope tracking voltage correction in a transmission circuit
US20220407464A1 (en) Envelope tracking voltage correction in a transmission circuit
JPH0918536A (ja) 変調増幅方式
US8655292B2 (en) Amplifier circuit,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mplifier circuit
WO2022260749A3 (en) Constant envelope bi-phase shift keying (ce-bpsk) modulation for "mode s" and other communication applications
JPH04290321A (ja) 非線形歪補償方法
JPH0525421B2 (ko)
JP3526669B2 (ja) 送信装置
KR20020039611A (ko) 위상 및 진폭-변조 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및그러한 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
KR100246539B1 (ko) 직접변환방식리얼제로단측파대송신장치
JP2003023468A (ja) ディジタル変調器
JP3865336B2 (ja) 高周波電力増幅器
JPS5826861B2 (ja) 振幅位相変調波の非直線ひずみ補償装置
JP2921440B2 (ja) 線形変調増幅方式
JPH03265333A (ja) 線形位相変調回路
JP3615839B2 (ja) 送信装置
US638525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 modulation
JPH0690264A (ja) 自動キャリア調整回路
JP2561506B2 (ja) Ssb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