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240B1 -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240B1
KR100286240B1 KR1019950702084A KR19950702084A KR100286240B1 KR 100286240 B1 KR100286240 B1 KR 100286240B1 KR 1019950702084 A KR1019950702084 A KR 1019950702084A KR 19950702084 A KR19950702084 A KR 19950702084A KR 100286240 B1 KR100286240 B1 KR 10028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ontroller means
video
housing
video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777A (ko
Inventor
데니스 더블류. 찰머스
오울 에프. 크리스텐센
에릭 씨. 더블류. 린
Original Assignee
리차드 더블유. 스코트
지티이 메인스트리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더블유. 스코트, 지티이 메인스트리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차드 더블유. 스코트
Publication of KR95070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2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 G11B15/683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the cassettes being transferred to a fixed recorder or player using a moving carriage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는 이 장치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수요자 개개인에 의해 내려진 명령 신호에 반응하여 작동하여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C)를 조밀한 하우징(2) 내에 위치한 카세트 선반(22)으로부터 카세트 플레이어 (32)로 수평면 상에서 이송한다. 그 다음에, 이 장치는 다른 수요자가 다른 비디오 카세트(C)를 선택하여 상기 하우징(2) 내에 위치한 다른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로 작동할 수 있는 사용 준비 상태로 된다. 카세트 플레이어(32)는 비디오 카세트(C)를 작동시켜서 기록된 프로그램을 개개의 수요자의 텔레비전 세트에 송신한다. 매회의 작동이 완료되면 비디오 카세트(C)는 되감겨서 자동적으로 카세트 플레이어(32)로부터 카세트 선반(22)으로 이송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관련 출원]
본원의 관련 출원으로는 Thomas R. Beal과 Dennis W. Chalmers 및 Eric C.W. Lin이 출원하여 GTE Vantage Incorporated에게 양도한 미합중국 특허 출원(출원번호; 미확인, 발명의 명칭;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과, Dennis W. Chalmers 와 Leonard M. Kendall과 Ole F. Kristensen과 Eric C.W. Lin 및 Howard S.K. Wan이 출원하여 GTE Vantage Incorporated에게 양도한 미합중국 특허 출원(출원 번호; 미확인, 발명의 명칭;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시스템)이 있으며, 이들 출원은 미합중국에서 본원과 동시에 출원되었고 본원에 기재된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library) 제어 장치의 상이한 특징을 각각 기재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출원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의 다양한 구조적 특징 및 시스템 특징을 갖는다.
[발명의 배경]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된 텔레비전 오락물을 요금을 받고 호텔 및 모텔의 객실에 설치되어 있는 텔레비전 세트에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호텔 또는 모텔로의 또는 호텔, 또는 모텔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플레이어로의 초단파 링크를 사용하여 투숙객의 호텔 또는 모텔등의 여러 공급원으로부터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공급원에 위치한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카세트 라이브러리는 투숙객의 호텔 또는 모텔의 객실에서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이 제목으로 된 복수개의 비디오 테이프를 수납하고 있다. 선택 시에 이 장치는 선택된 카세트를 자동으로 찾아서 이를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안에 삽입한다. 그러면, 투숙객의 객실에 설치되어 있는 텔레비전 세트에 프로그램이 연결된다. 기록된 프로그램을 주문하는 방법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소정 텔레비전에 중계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명령 신호에 반응하고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로부터 선택된 비디오 카세트를 재생하기 위하여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물리적으로 이송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관련된다. 이러한 이송 작동은 카세트 이송 유닛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 유닛은 카세트 수납 공동을 자체 내에 갖고, 카세트 선반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그리고 카세트 플레이어로 그리고 이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카세트를 이송하고 카세트 이송 유닛을 카세트 보관 선반들 및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X, Y 및 Z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대상물을 저장 및 반출하는 데 유용한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3,536,194호, 제3,750,804호 및 제4,595,332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536,194호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는 복수개의 저장 격실 각각이 100매의 무작위로 배열된 카드를 파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이 이송 장치는 X, Y 및 Z 방향으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배열된 복잡한 케이블 장치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750,804호는 저장 랙과, 로딩물을 랙에 로딩하고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랙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층기 크레인을 포함하는 복잡하고 큰 저장고 시스템을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95,332호는 셔틀 기부와 중간 테이블 및 이 테이블의 상부에 서로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위치한 상부 테이블을 포함하는 절첩식 셔틀을 갖춘 적층기-반출기 리프트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셔틀은 상부 테이블이 중간 테이블의 상대 간격의 두 배로 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모든 특허에서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이동 중에 대상물을 보유하는 이송 유닛에 대하여 이송될 대상물의 자동 이동은 단일축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송 유닛은 특정 축을 따라 대상물을 반출하여 이를 동일 축을 따라 이송한다.
또한, X, Y 및 Z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비디오 카세트를 저장하고 반출하는 데 유용한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4,563,120호, 제4,734,005호 및 제4,867,62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각 특허에서, 비디오 카세트의 이동 중에 분배 및 저장을 위하여 비디오 카세트를 보유하는 이송 유닛에 대한 비디오 카세트의 자동 이동은 단일 방향으로 일어나며, 비디오 카세트는 대개 개시 시로부터 반출 및 저장 사이클의 종료 시까지 이송 유닛에 대하여 동일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734,005호에서, 비디오 카세트는 저장 상자에 대하여 그리고 수요자의 이송 기부판에 대하여 대개 동일 방향으로 이송 유닛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이동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867,628호에도 이와 유사한 제한이 따른다. 이 특허에는 비디오 카세트를 트레이 뱅크로 된 복수개의 개별 트레이로부터 분배하고 이를 삽입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가동 하우징을 마련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비디오 카세트를 수납 트레이에 그리고 이로부터 이송하는 작용을 한다. 가동 하우징에 대한 비디오 카세트의 이동은 이러한 이동이 트레이 뱅크 또는 수납 뱅크로 일어나거나 이로부터 일어나더라도 동일 축을 따라 일어난다. 또한, 상기 특허의 장치는 개별 트레이들과 가동 하우징 및 수납 트레이가 중력 이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각을 이루고 있는(경사져 있는) 중력식 이송 시스템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563,120호의 장치도 상기 장치와 유사한데, 여기에는 비디오 카세트를 중력 이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각을 이루고 있는 저장 지지부에 대하여 반출 및 저장하기 위하여 캐리지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에서 상기 캐리지에 대한 비디오 카세트의 이동은 개시 시로부터 반출 및 저장 사이클의 종료시까지 동일 방향으로 일어난다.
비디오 카세트가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과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이동하게 되는 가동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가동 하우징은 각을 이룬 선반들 상에 저장되는 비디오 카세트가 중력의 영향 하에서 가동 하우징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가동 하우징 안으로 이송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면, 가동 하우징은 필요에 따라 X, Y 및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비디오 플레이어에 정렬되고, 비디오 카세트는 가동 하우징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그 안으로 밀려난다. 가동 하우징은 비디오 카세트의 재생 종료 시에 비디오 카세트를 중력의 영향 하에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가동 하우징으로 동일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이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도 각을 이룬다. 그러면, 가동 하우징은 필요에 따라 X 및 Y 방향으로 재차 이동하여 비디오 카세트 선반에 정렬되고, 비디오 카세트는 가동 하우징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그 안으로 밀려난다.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과, 각을 이루어 위치한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는 현저하게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으로 그리고 이로부터의 비디오 카세트의 이동이 동일 방향으로 또는 개시 시로부터 반출 및 저장 사이클의 종료 시까지 동일축을 따라 일어나게 되고 선반과 카세트 플레이어 사이에서 이송되는 비디오 카세트를 수납하는 이송 유닛이 비디오 카세트가 이동될 수 있게 되는 통로를 제한된 수효로 마련하게 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 수납 공동을 자체 내에 갖고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해 제1방향 및 이 제1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수단을 갖춘 카세트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를 제어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복수개의 수직으로 적층되고 수평으로 배열된 비디오 카세트 선반 및 이들에 인접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그리고 이로부터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를 중력 이송 방식에 의하지 않고 양호하게 이송하기 위한 카세트 이송 유닛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비디오 카세트의 양은 많게 그리고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의 양은 적게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복수개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각 프로그램용의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와, 비디오 카세트들 중 임의의 것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적은 양의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소형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를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이 비디오 카세트를 양호하게 파지하고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를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안에 밀어 넣는 작용을 하는 카세트 이송 유닛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모듀울식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소형 하우징과,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를 수납하고 상기 하우징 안에 그리고 이로부터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고 비디오 카세트를 저장 카트리지로 그리고 이로부터 이송하기 위하여 카세트 이송 유닛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모듀울실 비디오 카세트 저장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를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또 다른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 또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그리고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또 다른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카세트 선반에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카세트 이송 유닛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적절한 불편함 없이 대체할 수 있는 모듀울식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 내의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카세트를 이송하는 데 사용된 부품을 원격 조종하여 복귀시키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카세트 이송 유닛 내에 카세트가 있는 것을 감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가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 내에 특정 카세트의 유무 및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자체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카세트 선반과 복수개의 카세트 플레이어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를 제어하는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목적 및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카세트 이송 유닛은 또한 하우징 내에 수평으로 배열되며 자체 내에 카세트 수납 공동을 갖는다. 이러한 유닛은 제1모드에서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 그리고 제2모드에서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부터 카세트 선반으로 제1축 방향으로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위치한 제1수단과, 제3모드에서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부터 카세트 플레이어로 그리고 제4모드에서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 제1축에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위치한 제2수단을 포함한다. 제3수단은 제1 및 제2 축에 수직한 제3축 방향으로 카세트 이송 유닛을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제4수단은 제2축 방향으로 카세트 이송 유닛을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위치한다. 이동 제어기 수단은 제1 명령신호에 반응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 수단에 전기 접속된다. 캐비넷 제어기 수단은 제1 명령 신호를 이동제어기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카세트 이송 유닛의 후방 및 저면에서 취한 본 발명의 카세트 이송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제3도는 카세트 이송 유닛의 저부를 제거하여 카세트 수납 공동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단부도이다.
제5도는 카세트 이송 유닛을 전방 및 상부에서 취한 제2도의 카세트 이송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마스트, 트랙 및 캐리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마스트 및 트랙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제8a도는 및 제8b도는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카세트 이송 유닛으로 이송되는 비디오 카세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9a도 내지 제9e도는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카세트 이송 유닛에 그리고 이로부터 이송되는 비디오 카세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리미트 스위치 플랙과 대응 광 센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얻기에 특히 적합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오디오 카세트 등의 다른 형태의 카세트에도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비디오 카세트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2)은 수직 프레임 부재(4)와,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6)와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8)를 포함한다. 이들 프레임에는 측면 패널(10)과 후방 패널(12)과 기부 패널(14) 및 상부 패널(16)이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의 전방 접근 패널(18)은 힌지(20)에 의해 수직 프레임 부재(4)에 부착된다. 하우징(2)은 금속 또는 고주파를 차폐하기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된 수납부를 마련한다.
제1도에서, 복수개의 카세트 선반(22)은 하우징(2) 내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 선반은 기부 패널(14)에 평행하다. 각 선반(22)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대향 지지부(28)에 부착되는 대향 각도 부재(24)에 의해 형성된다. 이 지지부(28)는 임의의 공지의 방법으로 하우징(2)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각 선반(22)은 비디오 카세트(C)를 수납하는 치수를 가지며, 각 선반의 전방(30)은 후술하는 것처럼 각각의 대응 비디오 카세트(C)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전체 99개인 비디오 카세트 선반이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 내에 두개의 열로 상하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다. 각 선반(22)의 전방(30)은 반대측 측면 패널(10)에 면한다. 대개,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는 후술하는 것처럼 버퍼 선반(22')을 제외하고는 각 선반(22)에 마련된다. 각각의 카세트 제목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수효의 복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도 하우징(2) 내에 배열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는 공지의 방법으로 하우징(2)에 부착된 수직 지지부(34)에 부착되는 대응 선반(도시 생략) 상에 위치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16개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가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내에서 상하로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다.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는 기부 패널(14)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의 접근 개구(36)는 하우징의 전방에 면한다.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는 비 침입형이며, 내부에서 바뀌지 않아야 한다.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의 작동은 후술하는 것처럼 명령 신호에 반응한다.
하우징(2) 내에 수평하게 배열된 수단은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C)를 특정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다른 비디오 카세트 선반 또는 특정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 이송하거나 특정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다른 특정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특정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비디오 카세트 선반 및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단은 비디오 카세트 선반들 및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들에 대하여 하우징(2)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마스트(40) 상에 설치된 카세트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기부 패널(14)에 평행하다. 전력 및 제어 신호는 카세트 이송 유닛(38)으로부터 제1도에 하우징(2)의 상부에 있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어 수단(44)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가요성 배선 하네스(42)에 의해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공급된다. 이후에 상술하는 것처럼 제어 수단은 이 제어 수단을 전력원에 전기 접속하는 도체와 제어 수단을 호텔의 객실에 있는 텔레비전 세트와 같은 복수개의 원격 위치에 전기 접속하는 복수개의 도체와 제어 수단을 중앙 또는 공급자의 컴퓨터 수단에 전기 접속하는 도체를 갖는 도체(44')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력은 각 하우징에 대하여 최대 15amp를 갖는 단상 60㎐의 교류 120V이다. 각 하우징은 도시되지 않은 표준 접지 플러그를 갖추고 있다. 제어 수단(44)은 접근 및 관리에 편리한 위치에서 하우징(2)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카세트 수납 공동(46)을 포함한다.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으로부터 공동(46)으로의 접근은 측면의 접근 개구(48)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로부터 공동(42)으로의 접근은 후방 접근 개구(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수단은 카세트 수납 공동(46)내에 배열되고, 제1모드에서 카세트(C)를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으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46)으로 그리고 제2모드에서 카세트 수납 공동(46)으로부터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제1축(5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단은 판(54)과 양방향 모터(56)와 풀리(58, 60) 및 무단 벨트(62)를 포함한다. 판(54)은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52)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다. 판(54)은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수납 공동(46) 안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외부로 왕복할 수 있다. 특히,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바닥부(64)는 모서리(70, 72)를 각각 갖춘 기부(66, 68)를 포함한다. 판(54)의 일 단부(74)는 그 대향 모서리들에 홈(78, 80)을 포함하는 활주 부재(76)를 포함한다. 홈(78, 80)은 활주 부재(76)가 모서리(70, 72) 상에서 활주함으로써 판(54)이 제1모드에서 화살표(82) 방향으로 그리고 제2모드에서 화살표(84)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모서리(70, 72)에 각각 정합된다.
양방향 모터(56)는 플랜지(86)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 상에 설치된다. 풀리(58)는 모터(5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풀리(58)는 상기 모터가 여기되어 출력축과 이에 부착된 풀리를 모터의 방향 모드에 따라 일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공지의 방법으로 모터(56)의 출력축(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다른 풀리(60)는 풀리 설치 부재(88)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풀리(58, 60)는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52)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무단 벨트(2)는 풀리(58, 60)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90의 위치에서 판(54)의 활주 부재(76)에 부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양방향 모터(56)는 서보 모터이고, 무단 벨트(62)는 타이밍 벨트 풀리(58, 60) 상에 설치된 타이밍 벨트이다. 예를 들어, 양호한 실시예에서 모터(56)는 서보 모터(92)와, 40:1의 기어비를 갖는 기어 박스(94)와, 매 회전당 64 카운트를 갖는 자석 펄스형 16 라인 엔코더(96)를 포함한다.
제2수단은 카세트 수납 공동(46) 내에 배열되고, 제3모드에서 카세트(C)를 카세트 수납 공동(46)으로부터 비디어 카세트 플레이어(32)로 그리고 제4모드에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46)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축(52)에 수직한 제2축(98)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단은 한 쌍의 파지 아암(제2도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데, 이 아암은 제3모드에서 비디오 카세트를 카세트 수납 공동 외부로 밀도록 비디오 카세트(C)의 측면에 대하여 가압하고, 제4모드에서 카세트를 카세트 수납 공동 안으로 당기도록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방출된 비디오 카세트(C)를 파지한다. 제4모드에서 이러한 파지 아암은 카세트를 그 사이에 유지하도록 카세트의 모서리들을 파지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파지 아암을 카세트를 그 사이에 유지하기 위하여 카세트의 상부 및 바닥부를 파지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제2수단의 양호한 실시예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안내 부재(100)는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전방(102)으로부터 후방(104)으로 축(98)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세트 수납 공동(46) 내에 배열된다. 안내 부재(100)는 110에서 이격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전방(102) 및 후방(104)에 부착된 대향 단부들을 갖는 한 쌍의 평행 바아(106, 108)를 포함한다. 활주 트랙(112)은 축(5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도에 점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안내 부재(100)의 한 단부(114)로부터 제3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안내 부재(100)의 반대측 단부(116)로의 트랙(112)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안내 부재(100)에 정합되는 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어 수단은 트랙(112)으로부터 바아(106, 108)들 사이의 공간(110) 안으로 연장되는 돌기(118)를 포함한다. 제3작동 모드에서 카세트(C)에 인접하고 제4작동 모드에서 카세트(C)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이 트랙(112)에 가동식으로 설치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인접 및 파지 수단은 제4 또는 파지 작동 모드에서 카세트(C)의 일 표면을 결합하기 위하여 트랙(112)의 제1단부(122)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대하여 배열된 제1파지 아암(120)과, 제4 또는 파지 작동 모드에서 카세트의 반대측 표면을 결합하기 위하여 트랙(112)의 반대측 제2단부(126)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이송 유닛에 대하여 배열된 제2파지 아암(124)을 포함한다. 각각의 파지 아암(120, 124)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후방 부재(130)와 트랙(112)의 각 슬롯(132)을 통해서 각 파지 아암(120, 124) 안으로 연장되는 나사(128)에 의해 트랙(112)에 가동식으로 설치된다. 제1파지 아암(120)은 제2파지 아암(124) 쪽으로 스프링 편향되며, 이를 위하여 스프링(134)이 파지 아암(120, 124)의 단부(136, 138)에 각각 부착된다.
제3작동 모드에서 트랙(112)을 안내 수단(100)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제4작동모드에서 트랙(112)을 안내 수단(10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동시에 인접 및 파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 카세트 이송 유닛(38) 및 트랙(112)에 설치된다. 특히, 풀리(140)는 축(142)에 부착되게 마련되며, 이 축은 공지의 방법으로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풀리(144)는 축(146)에 부착되고, 이 축은 공지의 방법으로 카세트 이송 유닛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풀리(140)는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52)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풀리(146)로부터 이격된다. 풀리(140)와 풀리(144)는 대향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께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밴드(148)는 화살표(150) 방향으로의 풀리(140)의 회전이 화살표(152) 방향으로의 풀리(144)의 회전을 일으키고, 화살표(154) 방향으로의 풀리(140)의 회전이 화살표(156) 방향으로의 풀리(144)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한쪽의 풀리로부터 다른 풀리로 연장되어 교차한다. 크랭크 아암(158)은 나사(160)에 의해 풀리(140)에 부착되고, 크랭크 아암(162)은 나사(164)에 의해 풀리(144)에 부착된다. 제1 인접 부재(166)는 트랙(112)의 단부(122)에 활주식으로 설치되고 크랭크 아암(158)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인접 부재(168)는 트랙(112)의 단부(126)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크랭크 아암(16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제4도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접 부재(166, 168)를 트랙(112)에 가동식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트랙(112)의 각 단부가 홈(172, 제4도에는 하나의 단부만 도시되어 있음)을 갖추고 각 인접 부재(166, 168, 제4도에는 인접부 168만 도시되어 있음)가 도브테일형 설부(174)를 갖추고 있어서 각 인접 부재가 홈(172) 내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된 설부 및 홈형 커플링(170)이 마련된다. 각 인접 부재(166, 168)는 피봇 핀(175)에 의해 각 크랭크 아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풀리(14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단은 플랜지(178)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설치된 양방향 모터(176)를 포함한다. 풀리(180)는 양방향 모터(176)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풀리(180)는 상술한 모터의 여기로 출력축 및 이에 연결된 풀리를 모터의 회전 모드에 따라 한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공지의 방법으로 모터(180)의 출력축(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또 다른 풀리(182)는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상부 표면(184)을 통해서 연장되는 축(142)에 부착된다. 풀리(180, 182)는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98)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풀리(180, 182)는 벨트(186)에 의해 함께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양방향 모터(176)는 기어비가 60:1인 것을 제외하고는 양방향 모터(56)와 유사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벨트(186)는 타이밍 벨트 풀리(180, 182)상에 설치된 타이밍 벨트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파지 아암(120)은 트랙(112)이 상술한 것처럼 안내 부재(100)의 단부(116)에 도달하였을 때 인접 부재(166)에 의해 결합되기 위하여 트랙(112)의 단부(122)에 대하여 위치한 핑거(188)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파지 아암(124)은 트랙(112)이 상술한 것처럼 안내 부재(100)의 단부(116)에 도달하였을 때 인접 부재(168)에 의해 결합되기 위하여 트랙(112)의 단부(126)에 대하여 위치한 핑거(190)를 포함한다.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마스트(40)는 축(52, 98)에 수직한 축(194)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랙(192, 192')을 포함한다. 카세트 이송 유닛을 비디오 카세트 선반 및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축(194)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트랙(192, 192')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제1도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캐리지(196)가 마련되어 트랙(192, 192')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된다. 특히, 캐리지(196)는 한 표면(204)으로부터 연장되는 단부 플랜지(200, 202)와 반대측 표면(210)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 플랜지(206, 208)를 갖는 기부판(198)을 포함한다. 한 쌍의 로드(212, 214)는 플랜지(200, 202)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롤러 쌍(216, 218; 220, 222)들은 플랜지(206, 208)에 각각 부착된 지지 부재(224, 226) 상에 각각 설치된다. 롤러(216, 218)는 트랙(192)의 부분(228, 230)을 각각 결합하고, 롤러(220, 222)는 트랙(192')의 부분(232, 234)을 각각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비디오 카세트 선반 및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상술한 축(194) 방향으로 트랙(192, 19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7도에서, 양방향 모터(236)는 플랜지(도시 생략)에 의해 마스트(40)의 상단부 근처에 설치된다. 풀리(238)는 모터(236)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풀리(238)는 상술한 모터의 여기로 출력축과 이에 부착된 풀리(238)를 모터의 작동 모드에 따라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공지의 방법으로 모터(236)의 출력축(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두 개의 다른 풀리(240, 240')는 마스트(40)의 상단부 근처에 공지의 방법으로 회전식으로 설치된 축(242)의 대향 단부들에 부착된다. 또 다른 풀리(244)도 마스트(40)의 하단부 근처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풀리(238, 240)는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이격되고 벨트(246)에 의해 함께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풀리(240, 240')는 축(194)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250)와 너트(252)에 의해 캐리지(196)의 기부판(198)에 부착된 벨트(248)에 의해 함께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양방향 모터(236)는 이 모터가 매분당 2000 카운트를 갖는 광 엔코더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양방향 모터(56)와 유사한 서보 모터이다. 벨트(246, 248)는 타이밍 벨트이고 풀리(238, 240, 240', 244)는 타이밍 벨트 풀리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캐리지(196)에 대하여 가동식으로 설치된다. 특히, 플랜지(254, 256)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카세트 이송 유닛(38)으로부터 연장된다. 구멍들은 플랜지(254, 256)를 통해서 연장된다. 로드(212)는 구멍(258, 260)을 통해서 연장되고, 로드(214)는 상기 구멍과 유사한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서 연장된다. 이 방식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상술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축(98) 방향으로 로드(212, 21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축(98)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캐리지(196)에 부착된다. 특히, 양방향 모터(262)는 플랜지(264)에서 기부판(198)에 설치된다. 풀리(266)는 기부판(198)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또 다른 풀리(268)는 양방향 모터(262)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풀리(268)는 상술한 모터의 여기로 출력축과 이에 부착된 풀리를 모터의 작동 모드에 따라 한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공지의 방법으로 모터(262)의 출력축(270)에 부착된다. 풀리(266, 268)는 축(98)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무단 벨트(272)는 풀리(266, 268) 사이에 작동식으로 결합되고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274)에 의해 플랜지(254)에 부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양방향 모터(262)는 서보 모터(56)와 동일한 서보 모터이고, 벨트(272)는 타이밍 벨트 풀리(266, 268) 상에 설치된 타이밍 벨트이다.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의 작동에서, 각 모터는 전력원 및 상술한 제어 장치에 연결된다. 상술한 것처럼,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에 있어서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를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작동 방식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제1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수요자가 특정 비디오 카세트를 시청하려고 하는 주문을 접수하면 상술한 제어 수단(44)에 의해 신호가 송신되어 서보 모터(236)를 여기시키고 필요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의 높이에 도달하도록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필요가 있는지에 따라 그 방향으로 풀리(238)를 회전시킨다. 유닛(38)을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면 풀리(238)가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풀리(238)는 유닛(238)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으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일례로 유닛(38)을 하강시키는 것을 가정하면, 풀리(238)의 시계방향 회전은 벨트(240)에 의해 풀리(238)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풀리(240)의 시계방향 회전을 일으키고, 풀리(240')의 시계방향 회전은 공통 축(242)에 부착된 풀리(240, 240')의 회전을 일으킨다. 풀리(240')의 시계방향 회전은 풀리(240', 244)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벨트(248)의 시계방향 회전을 일으킨다. 벨트(248)가 상술한 것처럼 캐리지(196)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248)의 시계방향 회전은 캐리지(196)를 하강시키고 이에 부착된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화살표(276) 방향으로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에 인접한 소정의 높이까지 하강시키게 된다.
제2도에서 비디오 카세트(C)가 하우징의 전방에 가장 가까운 선반(22)의 수직 열로부터 반출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명령 신호도 상술한 제어 수단(44)에 의해 송신되어 서보 모터(44)를 여기시키고 풀리(5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판(54)이 90에서 벨트(6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58)의 이러한 회전으로 판(54)을 화살표(84)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이 필요로 하는 수직 높이에 도달하면, 판(54)이 필요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C)를 그 전방(30)에서 지지하는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에 도입되고 상기 비디오 카세트 선반 내에 수납된 비디오 카세트(C)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제8a도 및 제8b도를 보면, 판(54)은 카세트 수납 공동(46)에 대하여 완전 수축된 위치(P1)와 부분적으로 연장된 위치(P2) 및 완전 연장된 위치(P3)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판(54)은 화살표(84) 방향으로 특정 선반(22, 도시 생략) 안으로, 제8a도에 도시된 것처럼 비디오 카세트(C)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플랜지(54')가 모서리(C')를 지나도록 판(54)이 카세트(C)의 완전히 아래에 있으면, 풀리(238)는 선반(22)의 전방(30)으로부터 가장 먼 비디오 카세트의 모서리(C')가 제8b도에 도시된 것처럼 판(54)의 플랜지(54')에 의해 결합될 때까지 캐리지(196)와 이에 부착된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화살표(278)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벨트(24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서보 모터(236)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어 수단(44)의 명령 하에서 서보 모터(56)는 풀리(5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판(54)을 화살표(8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플랜지(54')는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C)를 화살표(82) 방향으로 당겨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카세트 수납 공동(46) 안으로 당기는 작용을 한다.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가장 먼 선반(22)의 수직 열로부터 비디오 카세트(C)를 반출할 필요가 있으면, 카세트 이송 유닛(38)이 필요로 하는 수직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제어 수단(44)에 의해 명령 신호가 송신되어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화살표(28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특히,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명령 신호는 모터(262)를 여기시켜서 풀리(26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풀리(268)의 이러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벨트(27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벨트(272)가 274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27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카세트 이송 유닛(38)이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가장 먼 선반의 수직 열의 다음번 위치에 있을 때까지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화살표(280) 방향으로 로드(212)를 따라 활주하게 한다.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비디오 카세트(C)를 반출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판(54)의 왕복을 일으키기 위하여 명령 신호가 제어 수단(44)에 의해 서보 모터(56)에 송신된다.
비디오 카세트(C)가 카세트 수납 공동(46) 내에 위치하면, 제1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수단(44)에 의해 명령 신호가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필요한 경우에 선택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송신된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이 상승되어야 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명령 신호가 서보 모터(236)를 재차 여기시켜 풀리(238)를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풀리(238)의 이러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풀리(240, 24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일으켜서 벨트(24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벨트(248)가 캐리지(196)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248)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캐리지(196) 및 이에 부착된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화살표(278) 방향으로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에 인접하게 필요로 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제5도에서, 명령 신호는 제어 수단(44)에 의해 송신되어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명령 신호는 모터(262)를 여기시켜 풀리(26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풀리(268)의 이러한 반시계 방향 회전은 벨트(27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벨트(272)가 274에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272)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로드(212, 214)를 따라 화살표(280) 방향으로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활주시키게 된다.
제3도, 제9a도 및 제9b도에서, 명령 신호는 제어 수단(44)에 의해 송신되어 비디오 카세트(C)를 카세트 수납 공동(46)으로부터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안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비디오 카세트(C)가 카세트 수납 공동(46) 내에 위치하면, 트랙(112)은 제3도에 점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그리고 제9a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안내 부재(100)의 단부(114)에 위치하게 된다. 명령 신호는 제어 수단(44)에 의해 송신되어 서보 모터(176)를 여기시켜 풀리(180)를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풀리(180)가 벨트(186)에 의해 풀리(182)에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180)의 이러한 회전은 풀리(18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풀리(182) 및 풀리(140)가 공통축(14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180)의 이러한 회전은 풀리(140)와 이에 부착된 크랭크 아암(158)을 화살표(154)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풀리(144)와 이에 부착된 크랭크 아암(162)은 풀리(140, 144)가 상술한 것처럼 밴드(148)에 의해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156)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화살표(154) 방향으로의 크랭크 아암(158)의 회전 및 화살표(156) 방향으로의 크랭크 아암(162)의 회전은 인접 부재(166, 168)에 의해 174에서 아암(158, 162)에 결합된 트랙(112)을 화살표(280) 방향으로 안내 부재(100)의 단부(114)로부터 단부(116)에 이르기까지 제3도에서 실선 및 제9b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위치로 활주시키게 된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트랙(112)의 상술한 이동을 통해 파지 아암(120, 124)이 비디오 카세트(C)를 화살표(280) 방향으로 카세트 수납 공동(46) 외부로 그리고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밀어내게 하도록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의 접근 개구(36)로부터 이격되는데, 즉 파지 아암(120, 124)은 제어 수단(44)으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서보 모터(176)를 여기시켜 풀리(180)를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시점에서 비디오 카세트(C)를 소정의 비디오 플레이어(32)의 접근 개구(36) 안으로 밀어내게 된다. 풀리(18)의 이러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풀리(182, 140) 및 크랭크 아암(158)을 화살표(150)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풀리(144) 및 크랭크 아암(162)은 화살표(15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화살표(150) 방향으로의 크랭크 아암(158)의 회전 및 화살표(152) 방향으로의 크랭크 아암(162)의 회전은 트랙(112)을 화살표(282) 방향으로 안내 부재(100)의 단부(116)로부터 단부(114)에 이르기까지 제3도에서 점선 및 제9a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위치로 활주시키게 된다. 상술한 작동의 말기에 명령 신호는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에 송신되어 플레이어를 여기시켜서 수요자가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를 시청할 수 있게 해주고 상기 장치가 다음번 명령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두 번째 수요자는 첫 번째 수요자가 비디오 카세트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에 상기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이미 선택된 비디오 카세트가 이미 정해진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의해 작동되는 동안에 또 다른 비디오 카세트를 선택하여 다른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순서는 하우징(2) 내의 모든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가 사용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디오 카세트(C)를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면 제어 수단(44)으로부터의 명령 신호가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236)를 여기시켜서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임의의 필요로 하는 만큼 수직 이동시킨다. 그러면, 명령 신호가 송신되어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262)를 여기시켜서 비디오 카세트 유닛(38)을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이동시키고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176)를 여기시켜서 크랭크 아암(158, 162)을 회전시켜 파지 아암(120, 124)을 소정의 카세트 플레이어(32)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로부터 방출된 비디오 카세트(C)를 반출하였을 때 방출된 비디오 카세트는 파지 아암(120, 124)에 의해 파지된다. 제3도에서, 트랙(112)은 상술한 것처럼 풀리(180)의 시계방향의 회전 결과로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후방부(104)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방부(104)는 소정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32) 및 방출된 비디오 카세트(C)에 면하지만 이들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것처럼 트랙(112)은 화살표(152, 156) 방향으로의 크랭크 아암(158, 162)의 회전에 의해 안내 부재(100)의 단부(114)로부터 단부(116)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랙(112)이 단부(116)에 근접함으로써 화살표(154, 156) 방향으로의 크랭크 아암(158, 162)의 계속된 회전은 인접 부재(166, 168)를 화살표(284, 286)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트랙(112)이 단부(116) 가까이에 위치하면 인접 부재(116, 168)는 핑거(188, 190)에 각각 인접하고, 따라서 인접 부재의 이러한 이동으로 각각의 파지 아암(120, 24)의 핑거(188, 190)를 화살표(284, 286) 방향으로 스프링(134)의 편향에 대하여 이동시키게 되며, 이로써 트랙(112)이 제9c도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 부재(100)의 단부(116) 쪽으로 모든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파지 아암(120, 124)이 비디오 카세트(C)의 모서리(C1, C2)를 지나 연장된다. 파지 아암(120, 124)이 제9d도에 도시된 것처럼 비디오 카세트(C)의 모서리(C1, C2)를 파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명령 신호는 서보 모터(176)를 여기시켜 풀리(180)를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크랭크 아암(158, 162)을 상술한 것처럼 화살표(150, 152)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 중에 인접 부재(166, 168)들은 화살표(288, 290)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각각의 핑거(188, 190)를 분리하며 파지 아암(120, 124)을 서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134)의 장력 하에서 파지 아암(120, 124)이 비디오 카세트(C)의 각각의 모서리(C2, C1)를 파지할 수 있게 해준다. 크랭크 아암(158, 162)이 화살표(150, 152)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트랙(112)을 안내 부재(100)의 단부(116)로부터 단부(114) 쪽으로 이동시켜서 비디오 카세트(C)를 카세트 수납 공동(46) 안으로 당기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캠 표면(292, 294)은 각각의 파지 아암(120, 124)로부터 연장된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공동(46) 안으로 연장되는 대응 캠 종동체(296, 298)를 더 포함한다. 비디오 카세트(C)가 판(54)에 의해 공동(46)으로부터 연속 제거되기 위해 판(54) 상에 위치하도록 비디오 카세트가 공동(46) 안으로 당겨지면, 제9e도에 도시된 것처럼 캠 표면(292, 294)이 캠 종동체(296, 298)를 결합하게 되고 이로써 파지 아암(120, 124)을 비디오 카세트(C)의 모서리(C2, C1)와 분리시키게 된다. 안내 바아(301)는 파지 아암(120, 124)이 카세트(C)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에서 카세트(C)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이로써 트랙(112)이 단부(114) 쪽으로 더 이동하면 카세트가 파지 아암(120, 124)으로부터 벗겨진다. 트랙(112)이 안내 부재(100)의 단부(114) 쪽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면 캠 표면(292, 294)을 캠 종동체(296, 298)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이동시키게 되고, 파지 아암이 스프링(134)의 힘 하에서 서로 급작스럽게 가압되는 결과로 카세트를 카세트 수납 공동 외부로 카세트 플레이어 쪽으로 불필요하게 복귀시키지 않으면서 제9a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34)의 편향 하에서 파지 아암(120, 124)을 이들의 무부하 위치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캠 종동체(296, 298)는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캠 표면(292, 294)의 통로 안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들이며, 도면에는 캠 표면(294)과 캠 종동체(298)만 도시되어 있다.
비디오 카세트(C)가 비디오 카세트 공동(46) 안으로 당겨지면 명령 신호가 송신되어 서보 모터(236, 262)를 여기시켜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상술한 것처럼 필요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선반(22)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명령 신호가 송신되어 서보 모터(56)를 여기시켜 카세트(C)가 놓이는 판(54)을 상술한 것처럼 화살표(84)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세트(C)를 선택된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안으로 이송되게 한다.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상술한 것처럼 카세트를 선반 부재(24, 26) 상에 위치시키고 플랜지(54')를 카세트(C)의 모서리(C')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모터(236)에 송신된 명령 신호에 반응하여 화살표(27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판(56)은 상술한 것처럼 비디오 카세트 공동(46) 안으로 후퇴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장치는 다음번 수요자의 명령을 대기하게 된다.
상술한 자동식 비디오 카세트 라이브러리는 비디오 카세트(C)를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으로부터 또 다른 비디오 카세트 선반(22)으로 이동시키도록 그리고 비디오 카세트(C)를 하나의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다른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 수단(44)에 의해 생성된 다른 명령 신호에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카세트 선반은 하나 이상의 버퍼 선반(22')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하우징(2)이 완전히 로딩되어 있으면 모든 카세트 선반(22)은 버퍼 선반(22')을 제외하고는 비디오 카세트(C)를 포함하게 된다. 버퍼 선반(22')은 비디오 카세트를 작동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이는 결함이 있는 비디오 카트리지를 통상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22) 내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거하는 데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결함이 있는 테이프는 이 테이프가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버퍼 선반(22')으로 이송된다. 버퍼 선반(22')은 상술한 것처럼 또 다른 용도로도 사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제거가능한 카트리지(300)가 마련된다. 카트리지(300)는 비디오 카세트(C)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선반(22)과 유사한 복수개의 선반(도시 생략)을 포함하는 제거가능한 박스형 하우징의 형태이다. 카트리지(300)는 각도 부재(24, 26)와 유사한 대향 각도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형성된 선반에 의해 지지된다. 카트리지(300)는 복수개의 기존 비디오 카세트를 새로운 제목을 갖는 복수개의 비디오 카세트로 대체할 때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양호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300)는 선반(22)들에 의해 지지된 10개의 기존 비디오 카세트를 대체하도록 10개의 새로운 비디오 카세트를 수납하기 위한 10개의 선반을 포함한다. 작동시에, 빈 카트리지(300)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 안에 삽입된다. 제어 수단(44)으로부터의 명령 신호는 상술한 것처럼 여러 서보 모터를 여기시켜서 10개의 비디오 카세트를 카세트 선반(22)으로부터 카트리지(300) 내의 10개의 빈 비디오 카세트 선반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면, 조작자는 카트리지(300)를 제거하여 이를 10개의 상이한 비디오 카세트를 포함하는 다른 카트리지(300)로 대체하게 된다. 제어 수단(44)으로부터의 명령 신호는 상술한 것처럼 여러 서보 모터를 재차 여기시켜서 각각의 대체된 비디오 카세트를 카트리지(300)로부터 이미 비워진 카세트 선반(22)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300)를 사용하면 일군의 비디오 카세트를 다른 군의 비디오 카세트로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카트리지(300)는 필요에 따라 10개 이상 또는 그 미만의 비디오 카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버퍼 선반(22')은 완전 로딩된 카트리지(300)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10개의 대응 선반들에 의해 지지된 10개의 새로운 비디오 카세트를 포함하는 카트리지(300)를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 안에 삽입할 수도 있다. 제어 수단(44)은 상술한 것처럼 여러 서보 모터를 여기시켜 다음의 순서로 즉, 제1카세트를 제1선반(22)으로부터 버퍼 선반(22')으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제1카세트를 카트리지(300)로부터 상기 제1선반으로 이동시키고, 제1카세트를 버퍼 선반(22')으로부터 카트리지(300)의 빈 카세트 선반으로 이동시키고, 제2카세트를 제2선반(22)으로부터 버퍼 선반(22')으로 이동시키키게 된다. 이 순서를 계속함으로써 카트리지(300)의 모든 새로운 카세트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비디오 카세트 선반(22) 상에 배열되며, 대체될 비디오 카세트는 최종적으로 카트리지(3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순서는 버퍼 선반(22')으로 이송될 제1카세트가 카트리지(300)로부터 제거된 새로운 카세트로 되도록 어느 정도의 범위로 변경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새로운 제1카세트는 카트리지(300)로부터 버퍼 선반(22')으로 이송되고, 대체될 제1카세트는 카트리지(300)의 빈 카세트 선반으로 이동하고, 새로운 제1카세트는 버퍼 선반(22')으로부터 빈 카세트 선반(22)으로 이송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모든 부품은 각각 짧은 시간 주기에 정상적인 손공구를 사용하여 유닛으로서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는 모듀울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모든 전기 및 제어 배선은 도시되지 않은 모듀울식 커넥터에서 종결되며, 이로의 접근은 하우징(2)의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의 모듀울화는 모터 제어부 및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의 명령 기능에 반응하는 상술한 온보드 캐비넷 제어기를 마련함으로써 증진시킬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44)은 캐비넷 제어기 수단과 이동 제어기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제10도는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전기 접속되어 RS232 컴퓨터 케이블(306)에 의해 직렬 포트 대 직렬 포트 연결 등에 의해 이동 제어기 수단(304)을 제어하는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을 도시한다.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키보드 커넥터 및 적절한 케이블(308)에 의해 바코드 디코더(312)를 통해서 바코드 판독기(310)에 연결된다.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대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술한 것처럼 바코드 디코더(31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단일 3.5inch, 1.44mb인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프로그램 디스크와 커뮤니케이션 카드 및 텍스트 출력에 적합한 비디오 카드를 사용하며 MS-DOS V 5.0 또는 그 이후의 작동 시스템 하에서 작동하는 80286 겸용 컴퓨터의 마더보드이다.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두 개의 직렬 포트 및 하나의 병렬 포트를 포함한다.
이동 제어기 수단(304)도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동 제어기 수단(304)은 상술한 것처럼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으로부터의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것에 반응하여 양방향 서보 모터(92)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10도에 도시된 제어 수단(44)에 연결된 다른 부품들은 4개의 양방향 전기 서보 기어 모터(92, 176, 236, 262)와, 이들 각각의 기어 모터에 연결된 4개의 대응 디지탈 쿼드레이트 카운트 엔코더와, 각각의 서보 모터에 합체되고 각각의 서보 모터 피동 장치가 자체의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이들을 안내하도록 상술한 것처럼 위치한 4개의 광 센서(L1, L2, L3, L4)와, 두 개의 카세트 유무 센서(L5, L6)를 포함한다.
제어 수단(44) 내에 수납된 모든 부품과 이에 전기 접속된 부품들은 제어 수단(44) 내에 수납된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원(322)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이들 전력 공급원은 교류 120V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고(라인 324) 직류 전력을 각 부품에 적절하게 공급한다.
상술한 모든 부품들은 전류 및 신호를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연결 기구와의 조합으로 케이블에 의해 공지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어 수단(44)에 전기 접속된 부품들은 제어 수단(44)의 외부 표면 상에 설치되고 제어 수단(44) 및 이에 부착된 여러 부품들을 불편하지 않게 교체할 수 있게 해주는 전기 커넥터(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 수단에 접속된다.
바코드 판독기(310) 및 디코더(312)는 예를 들어, 카세트 수납 공동(46)에 도입 및 이로부터 방출되는 각 카세트(C)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 정보(314)를 판독 및 디코딩하고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도체(308)에 의해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에 전기 접속된 수단을 마련한다. 바코드 판독기(310)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된다. 이 방식에서는 카세트 플레이어로 이동하는 카세트의 트랙을 유지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카세트에 특이한 바코드 인식부(314)를 마련함으로써, 전체 사용 수명에 걸쳐 각 카세트의 트랙을 유지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센서 수단은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카세트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세트 수납 공동(46)에 대하여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0도는 적절한 도체에 의해 제어 수단(44)의 입/출력 분리 보드(316)를 통해서 이동 제어 수단(304)에 각각 전기 접속된 두 개의 광 센서(L5, L6)를 도시한다. 광 센서(L5, L6)는 양 센서의 비임이 카세트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통상의 방식으로 신호를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송신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신호들은 카세트 수납 공동(46)에 대하여 카세트(C)가 있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비임이 파괴되지 않으면 이러한 신호들은 공동(46)에 대하여 카세트(C)가 없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광 센서(L5, L6)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설치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장치의 작동 전에 복귀 기능(homing function)을 수행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으로부터의 개시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이동 제어기 수단(304)으로부터 수신된 복귀 명령에 반응하여 서보 모터(176, 262, 92, 236)를 순서적으로 복귀시키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술한 것처럼 각각의 서보 모터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SF)이 제11a도 및 제11b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대응 광 센서(L)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11a도는 광 센서(L)의 비임을 간섭하는 스위치 플랙을 도시하고 제11b도는 광 센서(L)의 비임 외부로 이동한 스위치 플랙을 도시한다.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176)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SF4)은 트랙(112)에 부착되고 광 센서(L4)는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되며, 상기 광 센서(L4)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된다.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92)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 스위치 플랙(SF3)은 판(54)에 부착되고 광 센서(L3)는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되며, 상기 광 센서(L3)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전기 접속된다.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262)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 스위치 플랙(SF2)은 카세트 이송 유닛(38)에 부착되고 광 센서(L2)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캐리지(196)에 부착되며, 상기 광 센서(L2)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어기 수단(306)에 전기 접속된다.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236)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 스위치 플랙(SF1)은 캐리지(196)에 부착되고 광 센서(L1)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마스트(4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광 센서(L1)는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전기 접속된다.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Serial RS232 컴퓨터 케이블(320)에 의해 공급자 컴퓨터 또는 중앙 컴퓨터 수단(318)에 연결된다.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공급자 컴퓨터 수단(318)으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술한 것처럼 반응하기에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명령 하에 있다. 공급자 컴퓨터 수단(318)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시스템의 기동 및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작동을 제어하기 시작한다.
시스템 기동 모드에서 이동 제어기 수단은 캐비넷 제어기 수단으로부터 기동 명령을 수신한다. 이에 반응하여 이동 제어기 수단은 모든 서보 모터들을 순서대로 복귀시킴으로써 자동식 비디오 라이브러리를 기동시킨다. 특히, 제3도 및 제10도를 보면, 서보 모터(176)는 이 서보 모터에 저전압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복귀되며 이로써 순간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비복귀 이동을 일으키고, 즉시 상기 카세트 파지 기구를 포함하는 활주식 트랙(112)을 저전압 전력에 의해 수축시키도록 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SF4)이 광 센서(L4)의 비임을 간섭할 때까지 저속 반시계 방향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이동 제어기 수단이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공지되어 있는 제어 방식으로 서보 모터(176)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동시에, 이후의 임의의 명령에 대해서도 상술한 것처럼 기준으로 되는 제로(zero) 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서보 모터(262, 92, 236)는 마찬가지 방식으로 순서대로 복귀된다. 특히, 서보 모터(262)는 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SF2)에 의해 광 센서(L2)에 복귀되고, 서보 모터(92)는 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SF3)에 의해 광 센서(L3)에 복귀되고, 서보 모터(236)는 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SF1)에 의해 광 센서(L1)에 복귀된다. 복귀 작용이 완료되면 카세트 이송 유닛(38)은 임의의 전력 오작동이 작동 명령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모든 기구의 기계적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있는 안전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제10도에서, 시스템이 기동된 후에 각 서보 모터 및 상술한 것처럼 각각 작동하는 기구의 위치는 케이블(A1 내지 A4)을 통해서 각각의 대응 서보 모터의 광 엔코더에 의해 관찰되며,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케이블(B1 내지 B4)을 통해서 전력에 의해 전자식으로 제어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서보 모터(176)는 카세트 테이프를 카세트 플레이어(32)에 대하여 로딩 및 언로딩하는 것을 제어하고, 서보 모터(92)는 카세트 테이프를 선반(22)에 대하여 저장 및 반출하는 것을 제어하고, 서보 모터(262)는 선반(22) 및/또는 카세트 플레이어(32)에 대한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고, 서보 모터(236)는 마스트(40)에 대한 카세트 이송 유닛(38)의 수직 위치를 제어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 선반(22)은 제1도에서 보았을 때 상부 우측의 1번으로부터 하부 좌측의 100번까지의 위치에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카세트 플레이어 들도 상부로부터 하부로 101번으로부터 116번 위치에 순서대로 할당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이동 제어기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사용법에 따라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의해 저장될 상기 각각의 수직 및 수평 위치의 엔코더의 카운트를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판(54)의 연장 및 수축된 위치들은 각각 위치(P3, P1; 제8a도 및 제8b도)로서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알려지며, 활주식 트랙(112)의 위치들은 위치(P4 내지 P7; 제9a도 내지 제9d도)로서 이동 제어기(304)에 알려진다.
공급자 컴퓨터 수단(318)으로부터 적절한 명령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필요로 하는 카세트 및 사용가능한 카세트 플레이어(32)의 위치를 그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하고, 서보 모터(236, 262)가 카세트 이송 유닛을 전진시키도록 각 서보 모터를 엔코더 카운트의 적절한 수로 증가시킴으로써 현재의 알고 있는 위치로부터 필요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C)가 위치하게 되는 특정 수직 및 수평 위치까지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이동시키도록 이동 제어기 수단(304)에 ASCII 명령을 거쳐 명령을 내린다.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카세트 이송 유닛은 정지하게 되고 이동 제어기 수단(304)은 판(54)을 위치(P1, 제8a도)로부터 위치(P3, 제8b도)까지 이동시키도록 서보 모터(92)에 명령을 내려서 엔코더 카운트를 적절한 방향으로 특정 수로 회전시키게 된다. 필요로 하는 위치(P3)가 얻어진 것을 결정한 이동 제어기 수단은 서보 모터(236)의 회전을 증가시켜서 카세트를 맞물도록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와 유사하게 서보 모터(92)를 회전시켜서 판(54)이 위치(P1)를 취하게 하며 카세트를 카세트 이송 유닛(38) 안에 로딩되게 한다.
카세트(C)의 이동은 이 카세트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314)을 바코드 판독기(310) 앞을 지나가게 하여, 바코드 라벨을 판독할 수 있게 하고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에 전달된 정보를 공지의 방식으로 디코드되게 해준다. 바코드 순서가 오작동한 경우에 위치 (P1)로부터 (P3)으로 그리고 (P1)로 이동하는 이전의 순서를 다시 시도하기 위한 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가 연속적으로 반출되면 이의 유무는 광 센서(L5, L6)에 의해 검출된다. 센서들 중 어느 것이라도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작동 반출 명령으로 간주 하여 또 다른 시도를 수행한다. 수회의 오작동 시도 후에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은 카세트가 그 해당 위치에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가능하다면 또 다른 선반 위치로부터 또 다른 카세트를 반출하는 명령을 이동 제어기에 내린다. 반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이동 제어기 수단(304)은 서보 모터(236, 262)가 카세트 이송 유닛(38)을 이용가능한 비디오 플레이어 위치(101과 116 사이의 위치)로 수직으로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수평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적절한 카세트 플레이어 위치를 얻게 되면 서보 모터(176)가 회전되어 활주 트랙(112)을 위치(P4, 제9a도)로부터 위치(P5, 제9b도)로 이동시켜 카세트를 카세트 플레이어 슬롯(36) 안으로 밀어낸다. 활주식 트랙(112)이 서보 모터(176)의 제어된 회전에 의해 위치(P4)로 수축되었을 때 성공적인 로딩 사이클이 확인되며, 센서(L5, L6)는 카세트(C)가 없는 것을 감지한다. 불완전한 로딩 및 반출 등을 회복하는 수단이 제어 프로그램 내에 마련되며, 이 제어 프로그램은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소정의 카세트(C)가 소정의 카세트 플레이어 내에 로딩되었을 때 테이프가 본 명세서에서 참고하는 미합중국 특허 출원(발명의 명칭;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시스템)에 기재된 것처럼 작동하기 시작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동 제어기 수단(304)이 상술한 것처럼 서보모터(92, 176, 236, 262)를 작동시켜서 각 서보 모터의 출력축이 필요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카세트가 선반(22, 22')으로 또는 이로부터, 카세트 플레이어(32) 또는 카트리지(300)의 선반으로 이동되는 것인지에 관계없이 하나의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 위치로 이송되도록 캐비넷 제어기 수단(302)을 프로그램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서보 모터(92, 176, 236, 262)는 카세트 이송 유닛을 축(98, 194) 방향으로, 판(54)을 축(52) 방향으로, 트랙(112)을 축(98)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술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수개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상기 실시예를 용이하게 여러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Claims (16)

  1.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카세트 선반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카세트 플레이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카세트 수납 공동을 자체 내에 갖고,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고 카세트 이송 유닛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배열된 판과, 상기 판과 카세트를 제1모드에서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 안으로 제1축 방향으로 그리고 제2모드에서 카세트 수납공동으로부터 카세트 선반 안으로 비회전식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배열된 제1수단과, 카세트를 제3모드에서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부터 카세트 플레이어 안으로 그리고 제4모드에서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 안으로 상기 제1축에 대해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배열된 제2수단을포함하는 카세트 이송 유닛과, 상기 카세트 이송 유닛을 제1 및 제2 축에 대해 수직한 제3축 방향으로 그리고 판이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배열되었을 때 복수개의 카세트 선반과 복수개의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그리고 카세트를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할 때 판을 카세트 쪽으로 이동시켜서 이에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판이 카세트 선반 내에 배열되는 제1모드의 개시 시에 카세트 이송 유닛과 판을 제3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그리고 카세트를 카세트 수납 공동으로부터 카세트 선반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할 때 판을 카세트로부터 해제되게 멀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판이 카세트 선반 내에 배열되는 제2모드의 말기에 카세트 이송 유닛과 판을 제3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제3수단과, 제1명령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제2 및 제3수단에 전기 접속된 이동 제어기 수단과, 제1명령 신호를 상기 이동 제어기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신호들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된 캐비넷 제어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모드 중에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 안에 삽입 및 배출되는 각 카세트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 정보를 판독 및 디코딩하여 이 정보를 캐비넷 제어기 수단에 전달하기 위해 캐비넷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및 디코딩 수단이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되고 바코드 디코더에 전기 접속된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디코더가 캐비넷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카세트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배열된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이 이동 제어기 수단에 각각 전기 접속되고 이동 제어기 수단에 카세트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카세트 이송 유닛을 제2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제4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기수단이 제1명령 신호들에 반응하여 제4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4수단에 전기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모드 중에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 안에 삽입 및 배출되는 각 카세트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 정보를 판독 및 디코딩하여 이 정보를 캐비넷 제어기 수단에 전달하기 위해 캐비넷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리이브러리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및 디코딩 수단이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되고 바코드 디코더에 전기 접속된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디코더가 캐비넷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카세트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세트 수납 공동에 대하여 배열된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이 이동 제어기 수단에 각각 전기 접속되고 이동 제어기 수단에 카세트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이동 제어기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복귀 명령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단을 복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기 수단이 캐비넷 제어기 수단으로부터의 기동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수단에 복귀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이동 제어기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복귀 명령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수단을 복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기 수단이 캐비넷 제어기 수단으로부터의 기동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 수단에 복귀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이, 카세트 이송 유닛 상에 설치된 제1양방향 서보 모터와, 카세트 이송 유닛에 회전식으로 설치된 제1풀리와 상기 제1양방향 서보 모터에 작동식으로 결합되고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상기 제1풀리로부터 이격된 제2풀리와,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에 작동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판에 부착된 제1무단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 수단이 상기 판에 부착된 제1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과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된 제1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광 센서가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배열되고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된 안내 부재와, 카세트 수납 공동 내에 배열되고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안내 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반대측 단부로의 활주식 트랙의 활주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안내 부재에 맞물린 수단을 포함하는 활주식 트랙과, 제3모드에서 카세트를 카세트 플레이어 안으로 이동시키도록 카세트에 인접하고 제4모드에서 카세트를 파지하여 이를 카세트 플레이어로부터 당기기 위하여 활주식 트랙에 가동식으로 설치된 수단과, 제3 및 제4 모드에서 안내 부재에 대하여 활주식 트랙을 활주시키고 제4모드에서 인접 및 파지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카세트 이송 유닛과 활주식 트랙에 설치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귀 수단이 활주식 트랙에 부착된 제2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과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된 제2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광 센서가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이 하우징 내에 배열되고 제3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이 복수개의 카세트 선반 및 복수개의 카세트 플레이어에 대하여 카세트 이송 유닛을 제3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트 상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이송 유닛이 소정의 카세트 플레이어 쪽으로 또는 이로부터 멀리 제2축 방향으로 이송 수단에 대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이송 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복귀 수단이 상기 이송 수단에 부착된 제3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과 마스트에 부착된 제3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광 센서가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이 상기 이송 수단에 부착된 제4복귀 리미트 스위치 플랙과 카세트 이송 유닛에 부착된 제4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4광 센서가 이동 제어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KR1019950702084A 1992-11-25 1993-11-24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KR100286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81,533 US5427489A (en) 1992-11-25 1992-11-25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cassette library
US07/981533 1992-11-25
US7/981533 1992-11-25
PCT/US1993/011486 WO1994012980A1 (en) 1992-11-25 1993-11-24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cassette libr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777A KR950704777A (ko) 1995-11-20
KR100286240B1 true KR100286240B1 (ko) 2001-04-16

Family

ID=2552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084A KR100286240B1 (ko) 1992-11-25 1993-11-24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27489A (ko)
EP (1) EP0681732B1 (ko)
KR (1) KR100286240B1 (ko)
AT (1) ATE189333T1 (ko)
CA (1) CA2150128C (ko)
DE (1) DE69327730T2 (ko)
WO (1) WO1994012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084B1 (ko) 2005-07-08 2008-05-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라이브러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399B1 (ko) * 1994-05-12 1996-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이송장치의 수평상태 보정회로 및 방법
US5760995A (en) * 1995-10-27 1998-06-02 Quantum Corporation Multi-drive, multi-magazine mass storage and retrieval unit for tape cartridges
US5905942A (en) * 1997-02-18 1999-05-18 Lodgenet Entertainment Corporation Multiple dwelling unit interactive audio/video distribution system
US5993045A (en) * 1997-05-09 1999-11-30 Hewlett-Packard Company Data cartridge caddy presence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US6028733A (en) * 1997-05-09 2000-02-22 Hewlett-Packard Company Data cartridge caddy-to-storage rack interlock and release system
US5926341A (en) * 1997-05-09 1999-07-20 Hewlett-Packard Company Data cartridge interlock and release system
US6775093B1 (en) 1997-05-09 2004-08-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artridge-to-caddy referencing system for a data cartridge handling mechanism within an autochanger
JP3569109B2 (ja) * 1997-06-02 2004-09-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3260674B2 (ja) * 1997-09-1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
WO1999053490A1 (fr) * 1998-04-10 1999-10-21 Sony Corporation Bibliotheque pour supports d'enregistrement et son procede de gestion
US6231291B1 (en) * 1999-03-18 2001-05-15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data cartridges in a jukebox data storage system
US6309162B1 (en) * 1999-05-13 2001-10-30 Hewlett-Packard Company Data storage system with redundant media handling assemblies
US6631102B2 (en) * 2000-03-22 2003-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an autochanger
US6445651B1 (en) * 2000-08-04 2002-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tridge orientation insertion detection for mass storage systems including finger detections of recesses in the cartridges
DE10115757A1 (de) * 2001-03-23 2002-10-02 Bellheimer Metallwerk Gmbh Lagerlift
US6819524B2 (en) 2001-04-26 2004-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orage device apparatus having multiple interfaces
US6731455B2 (en) 2001-04-26 2004-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library system including a gripper assembly apparatus for interfacing with a storage device
US6826004B2 (en) * 2001-04-26 2004-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ipper assembly for interfacing with portable storage devices in a storage library
US6778351B1 (en) 2001-05-18 2004-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redundant cabling in a media storage system
DE102005011677A1 (de) * 2005-03-11 2006-09-14 Videostore Gmbh & Co. Kg Wareneinzugsschlitten
US7854332B1 (en) 2005-07-14 2010-12-21 Mark Kirqiss Clausen High-density disk storage and retrieval cylin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6450A (en) * 1987-09-16 1989-03-22 Sony Corp Cassette auto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6194A (en) * 1967-02-27 1970-10-27 Mosler Safe Co Document retrieval and handling system
US3750804A (en) * 1969-03-07 1973-08-07 Triax Co Load handling mechanism and automatic storage system
JPS54137305A (en) * 1978-04-17 1979-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producer
FR2524432B1 (fr) * 1982-04-02 1987-04-30 Maatel Dispositif et procede pour le rangement et/ou la mise a disposition d'objets
US4595332A (en) * 1983-06-15 1986-06-17 Litton Systems, Inc. Shuttle
AU578621B2 (en) * 1983-08-31 1988-11-03 Sony Corporation Device for exchanging disks
JPS6076051A (ja) * 1983-09-30 1985-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スク自動交換装置
US4731682A (en) * 1983-11-09 1988-03-15 Sony Corporation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having a cassette storing and transporting arrangement therein
JPH0782692B2 (ja) * 1985-02-14 1995-09-06 ソニー株式会社 カ−トリツジ自動供給選択装置
US4754397A (en) * 1985-02-15 1988-06-28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Fault tolerant modular subsystems for computers
US4668150A (en) * 1985-07-19 1987-05-26 Blumberg Marvin R Vending machine for video cassettes
US4734005A (en) * 1985-07-19 1988-03-29 Marvin Blumberg Vending machine for video cassettes
US5059722A (en) * 1985-09-23 1991-10-22 Ethyl Corporation Tetrabromobisphenol-A process
JPS62134852A (ja) * 1985-12-09 1987-06-17 Hitachi Ltd カ−トリツヂロ−デイングシステム
JP2746575B2 (ja) * 1985-12-20 1998-05-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自動装填装置
JPH07118127B2 (ja) * 1986-04-08 1995-12-18 ソニー株式会社 自動カセツト交換装置
JPH07118128B2 (ja) * 1986-04-14 1995-12-18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移送装置
GB8609524D0 (en) * 1986-04-18 1986-05-21 British Broadcasting Corp Video receivers & recorders
US4885803A (en) * 1987-03-17 1989-12-05 Lawrence W. Herman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entertainment devices
JPS63237256A (ja) * 1987-03-26 1988-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セツト自動交換装置
US4827463A (en) * 1987-04-07 1989-05-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c memory device
US4910619A (en) * 1987-09-16 1990-03-20 Sony Corporation Automatic changing system for cassette-type mediums
JPS6486355A (en) * 1987-09-29 1989-03-31 Sony Corp Cassette autochanger
US4920432A (en) * 1988-01-12 1990-04-24 Eggers Derek C System for random access to an audio video data library with independent selection and display at each of a plurality of remote locations
US4867628A (en) * 1988-01-15 1989-09-19 Ammon J Preston Dispenser storage system
US5132789A (en) * 1988-01-15 1992-07-21 Tiltrac Corporation Tilt rack video tape library and VCP to multiple subscriber system
US4945429A (en) * 1988-01-27 1990-07-3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Data security arrangement for an automated magnetic tape cartridge library system
FR2634608B1 (fr) * 1988-07-22 1994-05-06 Etat Francais Cnet Reseau domotique cable multipoints reconfigurable de distribution simultanee et/ou alternative de plusieurs types de signaux, notamment de signaux d'images en bande de base, et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tel reseau
US4989191A (en) * 1989-01-03 1991-01-29 Frank Sheafen Kuo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ixed media memory packs
US4947244A (en) * 1989-05-03 1990-08-07 On Command Video Corporation Video sele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JPH0363959A (ja) * 1989-08-01 1991-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ストック収納ラック
US5059772A (en) * 1989-11-09 1991-10-22 Exabyte Corporation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 library
US5050020A (en) * 1989-11-09 1991-09-17 Archive Corporation Cartridge loader for loading each of a plurality of cartridges into a cartridge insertion slot
US5182687A (en) * 1989-11-09 1993-01-26 Archiv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cartridges with a cartridge insertion slot
DE69029566T2 (de) * 1989-11-30 1997-04-24 Hewlett Packard Co Fehlerkorrektur in einem Kassettenbehandlungssystem
JPH03283044A (ja) * 1990-03-29 1991-12-13 Victor Co Of Japan Ltd カセットローダ装置
US5123000A (en) * 1990-10-24 1992-06-16 International Data Engineering, Inc. Optical disk cartridge handling apparatus
JPH052802A (ja) * 1991-06-26 1993-01-08 Sony Corp カセツト移送機
US5235474A (en) * 1991-10-28 1993-08-10 Advanced Digital Informati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torage of computer data
US5225691A (en) * 1992-05-18 1993-07-06 Avalon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wafer cassette mapper with emitter and detector arrays for slot interrog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6450A (en) * 1987-09-16 1989-03-22 Sony Corp Cassette autocha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084B1 (ko) 2005-07-08 2008-05-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라이브러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7730D1 (de) 2000-03-02
DE69327730T2 (de) 2000-08-31
ATE189333T1 (de) 2000-02-15
CA2150128A1 (en) 1994-06-09
EP0681732A1 (en) 1995-11-15
CA2150128C (en) 2003-05-27
EP0681732A4 (en) 1996-07-17
WO1994012980A1 (en) 1994-06-09
US5427489A (en) 1995-06-27
KR950704777A (ko) 1995-11-20
EP0681732B1 (en) 200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240B1 (ko) 자동식 카세트 라이브러리 제어 장치
US4815055A (en) Data medium storage and retrieval devices
US5341258A (en) Automated cassette library system
US4654727A (en) Videocassette handling and sequencing system
US7180701B2 (en) Magazine-based data cartridge library
US5153862A (en) Cassette for storing, moving and loading optical storage disk cartridges
US5870245A (en) Modular cabinet for data storage media and drives
US7154703B2 (en) Magazine-based data cartridge library
US7782565B2 (en) Magazine insertion and ejection system
KR19990067467A (ko) 테이프 카트리지용 다중 드라이브 다중 매거진 대량 저장 및 검색 유니트
US20040105187A1 (en) Magazine-Based Data Cartridge Library
US20100027159A1 (en) Magazine-based data cartridge library
JP3338442B2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
EP1168324A1 (en) Horizontally oriented autoloader for data storage cartridges
US7102849B2 (en) Modular data cartridge library
EP0527273B1 (en) Cassette changer
US5434832A (en) Automated cassette library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assette along three perpendicular axes
GB2295047A (en) An automatic cartridge loading apparatus
JP2011023068A (ja) 収納装置、収納方法及びライブラリ装置
US6870703B2 (en) Dual feed through cassette transfer apparatus
US5785489A (en) Case-feeding unit in an automatic apparatus for packaging manufactured articles into cases and automatic case-feeding method relating to same
CA2009438C (en) Vcr loader
JP2645904B2 (ja) カセット移送装置
JPS61127506A (ja) カ−トリツジオ−トチエンジヤ
JPH1069690A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