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207B1 - 연료첨가제,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 연료 - Google Patents

연료첨가제,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 연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207B1
KR100284207B1 KR1019940005809A KR19940005809A KR100284207B1 KR 100284207 B1 KR100284207 B1 KR 100284207B1 KR 1019940005809 A KR1019940005809 A KR 1019940005809A KR 19940005809 A KR19940005809 A KR 19940005809A KR 100284207 B1 KR100284207 B1 KR 100284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fuel
additives
reaction
azomet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708A (ko
Inventor
로타르프란츠
위르겐모어
페터쉬레이어
위르겐토마스
크누트오펜랜더
볼프강귄테르
Original Assignee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스타르크, 카르크
Publication of KR94002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34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2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2383Polyamines or polyimines, or derivatives thereof (poly)amines and imines;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 macromolecular group containing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단에 극성기를 가진, 사슬이 긴 탄화수소를 기초로 한 무-할로겐 연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히드로포르밀화 올레핀을 폴리아민과 반응시키고, 이 반응생성물을 수소화시켜서 제조된다.

Description

연료 첨가제,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 연료
본 발명은 극성 말단기를 갖는 긴사슬 탄화수소를 기재로 하는 연료 첨가제, 올레핀을 먼저 히드로포르밀화시킨 후에 반응 생성물을 폴리아민과 반응시키고 최종적으로 수소화시켜서 상기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첨가제를 제조하는 동안 수득되는 아조메틴, 및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연료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엔진의 기화기 및 흡기 장치, 및 가솔린 및 디이젤 엔진의 연료계량용 분사 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불연소 탄화수소 잔류물, 및 기화기 내로 통과하는 크랭크케이스 배기가스로 인한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잔류물은 공전하는 동안 그리고 낮은 부분 부하 범위에서 공기/연료 비를 변동시켜서, 혼합물이 증가하여 연소가 더 불완전해지며, 배기 가스 중의 불연소 또는 부분 연소 탄화수소의 비율이 더 커지고 가솔린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밸브 및 기화기 또는 분사 장치를 깨끗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연료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점을 피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 [참조예 : M. Rossenbeck in Katalysatoren, Tenside, Mineraloel-additive, Editors J. Falbe and U. Hasserodt, p 223, G. Thieme Verlag, Stuttgart 1978].
이러한 세정 참가제의 작용 방식과 바람직한 작용 부위에 따라, 2개 세대 첨가제 사이에서 현재 구별이 이루어진다.
제1세대 첨가제는 흡기 장치 중의 침착물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을 뿐이고 존재하는 침착물을 제거할 수는 없는 반면, 제2세대의 현대 첨가제는 열안정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특히 고온 영역에서, 즉 흡기 밸브에서 2가지 효과, 즉 청결 유지 효과 및 세정 효과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세제로서 작용하는 이들 첨가제들의 분자 구조는 극성 구조와 일반적으로 더 높은 분자량의 비극성 또는 친유성 라디칼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제2세대 첨가제의 많은 전형적인 구성 성분은 비극성 부분 중의 폴리이소부텐을 기재로 하는 생성물이다. 여기에서, 또한 폴리이소부틸아민 유형의 첨가제가 특히 주목할만 하다.
폴리이소부틸아민 유형의 세제는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출발하여 필수적으로 2가지 공정을 통해 수득된다.
제1공정은 중합체 모성분을 염소화 반응시키고, 후속적으로 할로겐을 아민 또는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에 의해 친핵성 치환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독일 공개 출원 DOS 2,245,918). 이 공정의 단점은 염소의 사용 및 염소 함유 생성물 또는 염화물 함유 생성물의 발생이며, 이는 현재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제2공정에서는, 반응성 폴리이소부텐을 먼저 옥소 합성법으로 히드로포르밀화시킨 후, 아민의 존재하의 아민화 조건하에 수소화시킨다(독일 공개 출원 DOS 3,611,220).
상기 제2공정에서 아민화 조건하에 수소화 반응에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경우, 암모니아의 반응 생성물은 밸브 및 기화기에서는 매우 효울적인 청정 유지 효과를 갖지만, 엔진 윤활제에 대한 효과, 특히 이것의 슬러지 분산에 대한 효과에서는 분명치 않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세제와 분산제 둘 모두의 성질이 결합된 물질이 특히 기술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폴리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 이들 성질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조 방법에 따라, 이러한 폴리아민 반응 생성물은 상기 언급된 할로겐 함유물의 단점을 나타내거나, 이들 생성물이 제2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에는, 수소화 조건하의 아민화 반응에 사용되는 폴리아민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부생성물이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및 기화기 둘 모두에 대하여 우수한 청정 유지 효과 및 오일 슬러지 분산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 갖고, 또한 할로겐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고 제조시에 폴리아민 축합 반응 부생성물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연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a) 수평균 분자량이 250 내지 5,000인 긴사슬 올레핀을 CO 및 H2의 존재하에 80℃ 내지 200℃ 및 600바아 이하의 CO/H2압력에서 히드로포르밀화시키는 단계;
b) 반응 생성물을 하기 일반식(Ⅰ)의 폴리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수소의 존재 및 NH2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촉매적으로 수소화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극성 말단기를 갖는 긴사슬 탄화수소를 기재로 하는 연료 첨가제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상기 식에서, m은 1 내지 10이고, R1은 탄소수 2개 내지 6개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렌이고, m이 1 보다 큰 경우에 라디칼 R1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R2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탄소수 1개 내지 6개의 알킬 또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히드록시알킬이거나, R2와 R3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한다.
연료 첨가제의 제조에서, 반응 단계 b)에서 중간생성물로서 하기 일반식(Ⅱ)의 아조메틴(쉬프 염기)가 생성된다:
상기 식에서, R4는 알킬 곁사슬 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이 250 내지 5,000인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1, R2, R3및 m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아조메틴이 또한 연료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연료 첨가제의 제조를 위해, 이소부텐으로부터 유도되고 n-부텐의 함량이 0 내지 30중량%인 폴리이소부텐을 올레핀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N-디메틸프로필렌디아민 및 N,N-디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과 같은 N,N-디알킬알킬렌폴리아민,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에틸렌프로필렌트리아민 및 에틸렌디프로필렌테트라아민과 같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 및 올리고에틸렌폴리아민, N-히드록시알킬알킬렌폴리아민,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및 아미노에틸피페라진과 같이 N-헤테로고리를 함유하는 폴리아민의 공업용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르는 연료 첨가제의 제조용 폴리아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일반식(Ⅰ)의 폴리아민은, R1이 에틸렌이고, R2및 R3가 각각 수소이며, m이 1 내지 5인 화합물이다.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신규한 연료 첨가제는 상응하는 폴리올레핀 또는 올리고올레핀을 히드로포르밀화 반응시키고, 이어서 생성된 카르보닐 화합물(주로 알데히드)를 폴리아민과 반응시킨 후, 중간생성물로서 형성되는 쉬프 염기를 수소화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텐이 히드로포르밀화 반응되어, 알데히드가 생성되며, 이것은 후속적으로 폴리아민과 반응하면서 쉬프 염기를 형성시킨다. 히드로포르밀화 반응에서 또한 생성되는 알코올은 추가의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반응 혼합물에 잔류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아조메틴은 수소를 사용하여 촉매 수소화 반응되어 아민 유도체가 수득된다. 이 반응의 변형으로서, 암모니아의 존재하에 환원이 수행된다.
사용되는 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텐)은 분자량이 25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500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소부텐을 공지된 방법으로 양이온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며, 중합체 사슬의 말단이 단량체 중에 최종적으로 혼입된 후에 추가의 작용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이중 결합이 형성된다 : [참조예 : 독일공개 출원 DOS 2,702,604].
반응 단계 a)에 따르는 히드로포르밀화 반응은 독일 공개 출원 DOS 3,611,220호에 또한 개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된다. 히드로포르밀화 반응 생성물과 폴리아민의 반응은 히드로포르밀화 반응 촉매가 분리된 후에 (반응 단계 b)), 반응 혼합물로부터 물을 공비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의 일례는 시클로헥산이다. 반응단계 c)에 따르는 수소화 반응은 공지된 수소화 반응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촉매는 통상적인 촉매, 예를 들어 라니 니켈 또는 라니 코발트일 수 있다. 수소화 반응은 50 내지 300℃의 압력하에 고압솥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소화 반응이 NH3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경우, 부생성물로서 형성되는 알코올이 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연료 첨가제는 흡기 장치 중에서 효율적인 세제일 뿐만 아니라, 엔진 오일 중의 분산매 특성을 갖는 반면, 통상적인 폴리이소부틸아민은 기껏해야 오일 슬러지에 대해 분명치 않은 작용을 나타낸다.
세제 및 분산매로서의 특성으로 인해, 신규한 연료 첨가제는 연료, 특히 가솔린 엔진용 연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은 윤활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가 연료 중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10 내지 5,000ppm, 특히 50 내지 1,000ppm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첨가제가 윤활제에 첨가되어야 한다.
주로 신규한 첨가제의 분산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은 추가의 첨가제로서 통상적인 세제와 배합될 수도 있다.
원리상, 이를 위해 적합하고, 예를 들어 문헌[J. Falbe and U. Hasserodt, Katalysatoren, Tenside und Mineraloel-additive, G. Thieme Vrlag Stuttgart 1978, p 221 et seq. or by K. Owen, Gasoline and Diesel Fuel Additives, John Wiley & Sons 1989 p 23 et seq]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공지된 생성물이 신규한 첨가제를 분산제로서 함유하는 혼합물 중에 세제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N-함유 세제, 예를 들어 아미노기 또는 아미도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P 0 224 616호에 따르는 폴리이소부틸아민, EP 0 188 786호에 따르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아미드 및/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이미드 또는 EP 0 356 725호에 따르는 폴리에테르아민이 특히 적합하며, 이들 공보에 개시된 정의가 인용된다. 제조 방법으로 인해, 이들 공보에 개시된 생성물은 또한 염소 및 염화물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신규한 첨가제의 세제 효과를 주로 이용려고 하는 경우, 이들 첨가제는 또한 담체 오일과 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담체 오일은 공지되어 있으며, 폴리글리콜 기재 담체, 예를 들어 US 5 004 478호 또는 DE 38 38 918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응하는 에테르 및/또는 에스테르가 특히 적합하다. 말단 탄화수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US 4 877 416호) 또는 DE 41 42 241.4호에 개시된 담체 오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솔린 엔진용으로 적합한 연료는 보통 및 고급 유연 및 특히 무연 가솔린이다. 가솔린은 탄화수소 이외의 성분,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또는 3차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및 에테르, 예를 들어 메틸 3차-부틸 에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려는 첨가제 이외에, 연료는 부식억제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또는 추가의 세제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식억제제는, 출발 화합물이 적합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필름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유기 카르복실산의 암모늄염이 일반적이다. pH를 저하시키기 위한 아민이 또한 부식억제제 중에 자주 사용된다. 헤테로고리 방향족 화합물이 비철 금속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VW Polo 엔진에서 그리고 DKA 규정에 따라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 Benz) M 102 E 엔진에서, 신규한 연료 첨가제가 밸브 세제로서 적합한 지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 아조메틴의 제조
1.1. 폴리이소부텐의 히드로포르밀화 반응
분자량(Mw)이 950인 폴리이소부텐(PIB) 500g, 도데칸 300g, 및 코발트 옥타카르보닐 2.8g을 리프트형(lift-type) 교반기가 장착된 2.5ℓ들이 고압솥에서, 185℃에서 5시간 동안 280바아 1:1의 CO/H2의 압력하에 가열하면서 교반시켰다. 그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0% 농도 수성 아세트산 400㎖를 사용하여 촉매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세척에 의해 중화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해서 수득한 생성물은 특히 PIB 알데히드 및 PIB 알코올을 함유하였다.
1.2. 아조메틴 생성
표 1에 따르는 폴리아민 0.5몰을 상기 PIB 생성물 1.7㎏(1몰)에 첨가하였다. 시클로헥산 500㎖를 첨가한 후, 반응으로부터의 물을 분리 제거하였다.
폴리아민 성분으로서의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반응시킨 후, (CH=N)기에 대한1H-NMR 시그널이 7.45 ppm (CDCI3)에서 나타났다.
2. 엔진 시험
흡기 밸브에 대한 청정 유지 시험
엔진 : 오펠-카데트(Opel-Kadett) 1.2ℓ(CEC F-04-A-87에 따름)
연료 : 유럽형 고급 무연 연료, 첨가제 용량은 800 ppm.
사용한 첨가제는 폴리아민 성분으로서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1 및 1.2에 따라 제조한 아조메틴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신규한 아조메틴의 밸브 세정 효과를 분명히 알 수 있다.
3. 아조메틸의 수소화
1)에 따라 제조한 아조메틴 1㎏을 고압솥 내에서, 200℃ 및 250 바아에서 라니 니켈 100g을 첨가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을 4시간 동안 지속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함유된 저비점 물질을 분리 제거한 후, 표 1에 규정된 아민가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소화 반응에 대한 또다른 방법으로서, 수소화 반응 조건하에서 아조메틴의 아민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여기에서는, 상응하는 아조메틴 500g을 또한 4시간 동안 라니 니켈 500g 및 NH3500g과 반응시켰다. 수소화 반응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4. 엔진 시험
흡기 밸브에 대한 청정 유지 시험
4.1. 엔진 : 메르세데스-벤츠 M 102 E (DKA에 따름)
연료 : 유럽형 고급 169 무연 연료, 각각의 경우 첨가제 용량 600 ppm.
상기 결과로부터, 신규한 첨가제를 사용하였을 때에 밸브 세정 효과에 대하여 매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4.2. 엔진 : VW Polo 1.05ℓ
연료 : 유럽형 고급 174 무연 연료, 각각의 경우의 첨가제 용량 400 ppm.
상기 결과로부터, 신규한 첨가제가 공지된 PIBA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 만큼 우수한 결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 분산성을 가지므로, 전체 특성에서 유리함을 분명히 알 수 있다.

Claims (10)

  1. a) 수평균 분자량이 250 내지 5,000인 긴사슬 올레핀을 CO 및 H2의 존재하에 80℃ 내지 200℃ 및 600바아 이하의 CO/H2압력에서 히드로포르밀화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 생성물을 하기 일반식(Ⅰ)의 폴리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수소의 존재 및 NH2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촉매적으로 수소화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극성 말단기를 갖는 긴사슬 탄화수소를 기재로 하는 연료 첨가제 :
    상기 식에서, m은 1 내지 10이고, R1은 탄소수 2개 내지 6개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렌이고, m이 1 보다 큰 경우에 라디칼 R1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R2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탄소수 1개 내지 6개의 알킬 또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히드록시알킬이거나, R2와 R3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긴사슬 올레핀이 이소부텐과 0 내지 30중량%의 n-부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이소부텐인 연료 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에서, R1이 에틸렌이고, R2및 R3가 각각 수소이며, m이 1 내지 5인 연료 첨가제.
  4. 하기 일반식(Ⅱ)의 탄화수소 치환 아조메틴 :
    상기 식에서, R4는 알킬 곁사슬 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이 250 내지 5,000인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1, R2, R3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5. 제4항에 있어서, R4가 이소부텐과 0 내지 30중량%의 부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이소부틸 라디칼인 아조메틴.
  6. 제4항에 있어서, 일반식(Ⅱ)에서, R1이 에틸렌이고, R2및 R3가 각각 수소이며, m이 1 내지 5인 아조메틴.
  7. a) 수평균 분자량이 250 내지 5,000인 긴사슬 올레핀을 CO 및 H2의 존재하에 80℃ 내지 200℃ 및 600바아 이하의 CO/H2압력에서 히드로포르밀화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 생성물을 하기 일반식(Ⅰ)의 폴리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수소의 존재 및 NH2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촉매적으로 수소화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해 연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
    상기 식에서, m은 1 내지 10이고, R1은 탄소수 2개 내지 6개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렌이고, m이 1 보다 큰 경우에 라디칼 R1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R2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탄소수 1개 내지 6개의 알킬 또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히드록시알킬이거나, R2와 R3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한다.
  8. 제7항에 있어서, 반응 단계 b)에서, 반응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반응 단계 c)에서, 수소화 반응을 80 내지 200℃ 및 600bar 이하의 H2압력하에 수행하는 방법.
  10. 제1항에 따르는 연료 첨가제 또는 제4항에 따르는 아조메틴을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용 연료.
KR1019940005809A 1993-03-23 1994-03-23 연료첨가제,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 연료 KR100284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09271.3 1993-03-23
DE4309271A DE4309271A1 (de) 1993-03-23 1993-03-23 Kraftstoffadditiv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Kraftstoffe für Ottomotoren, enthaltend die Addi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708A KR940021708A (ko) 1994-10-19
KR100284207B1 true KR100284207B1 (ko) 2001-05-02

Family

ID=648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809A KR100284207B1 (ko) 1993-03-23 1994-03-23 연료첨가제,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 연료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5496383A (ko)
EP (1) EP0617056B1 (ko)
JP (1) JP3594648B2 (ko)
KR (1) KR100284207B1 (ko)
AT (1) ATE185820T1 (ko)
BR (1) BR9401204A (ko)
CA (1) CA2116747C (ko)
DE (2) DE4309271A1 (ko)
DK (1) DK0617056T3 (ko)
ES (1) ES2139028T3 (ko)
FI (1) FI116066B (ko)
HU (1) HU214672B (ko)
NO (1) NO302179B1 (ko)
PL (2) PL175769B1 (ko)
PT (1) PT617056E (ko)
RU (1) RU213141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68151B2 (en) * 1992-05-06 1996-04-26 Afton Chemical Corporation Composition for control of induction system deposits
US5691422A (en) * 1994-03-07 1997-11-25 Exxon Chemical Patents Inc. Saturated polyolefins having terminal aldehyde or hydroxy substituents and derivatives thereof
US6909018B1 (en) 1996-05-20 2005-06-21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polyalkeneamines
DE19620262A1 (de) * 1996-05-20 1997-11-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lkenaminen
DE19622061A1 (de) * 1996-05-31 1997-12-04 Basf Ag Verfahren zur Hydroformylierung ethylenisch ungesättigter Polymere in wäßriger Dispersion
JP4646345B2 (ja) * 1999-12-27 2011-03-0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燃料油添加剤及び該添加剤を含有してなる燃料油組成物
US20030122104A1 (en) * 2001-02-12 2003-07-03 Dober Chemical Corporation Liquid replacement systems
US6827750B2 (en) 2001-08-24 2004-12-07 Dober Chemical Corp Controlled release additives in fuel systems
US6835218B1 (en) 2001-08-24 2004-12-28 Dober Chemical Corp. Fuel additive compositions
WO2003018163A1 (en) * 2001-08-24 2003-03-06 Dober Chemical Corporation Controlled release of additives in fluid systems
GB2396311B (en) * 2001-08-24 2005-11-30 Dober Chemical Corp Controlled release of additives in cooling systems
US7938277B2 (en) * 2001-08-24 2011-05-10 Dober Chemical Corporation Controlled release of microbiocides
AU2003224933B2 (en) 2002-03-28 2008-05-08 The Lubrizo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introducing detergent into combustion chamber
AU2003301053A1 (en) * 2002-12-18 2004-07-22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for clay exfoliation, compositions therefore, and modified rubber contaiing same
US20050215693A1 (en) * 2004-03-29 2005-09-29 Xiaorong Wang Clay modified rubber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6131707A (ja) * 2004-11-04 2006-05-25 Mitsui Chemicals Inc カルボニル基含有重合体及びその誘導体
US7601772B2 (en) * 2005-12-20 2009-10-13 Bridgestone Corporation Nano-composite and method thereof
US20070299775A1 (en) * 2006-06-02 2007-12-27 Kenneth Algiene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a second source of funds with an electronic check transaction
US7935184B2 (en) 2006-06-19 2011-05-03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imidazolium surfactants
US20080113890A1 (en) 2006-11-09 2008-05-15 The Lubrizol Corporation Quaternary Ammonium Salt of a Polyalkene-Substituted Amine Compound
US7563368B2 (en) 2006-12-12 2009-07-21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device with releasable additive
US20090304868A1 (en) * 2008-05-27 2009-12-10 Dober Chemical Corporation Controlled release cooling additive composition
US7883638B2 (en) 2008-05-27 2011-02-08 Dober Chemical Corporation Controlled release cooling additive compositions
US8702995B2 (en) 2008-05-27 2014-04-22 Dober Chemical Corp. Controlled release of microbiocides
US8591747B2 (en) * 2008-05-27 2013-11-26 Dober Chemical Corp.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release of additive compositions
DE102008046381B4 (de) * 2008-09-09 2011-12-22 Man Truck & Bus Ag Verfahren zur Verminderung von Stickoxiden im Abgasstrom von Brennkraftmaschinen
WO2011033526A2 (en) * 2009-09-17 2011-03-24 Bharat Petroleum Corporation Limited Gasohol fuel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0226586B2 (en) 2011-05-26 2019-03-12 Pourang Bral Means and method to painlessly puncture skin
FR2969654B1 (fr) 2010-12-22 2013-02-08 Rhodia Operations Composition d'additif carburant a base d'une dispersion de particules de fer et d'un detergent
CA2849633A1 (en) 2011-09-23 2013-03-28 The Lubrizol Corporation Quaternary ammonium salts in heating oils
JP6642940B2 (ja) 2012-05-02 2020-02-12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芳香族分散剤組成物
WO2014066344A1 (en) 2012-10-23 2014-05-01 The Lubrizol Corporation Diesel detergent without a low molecular weight penalty
WO2014193692A1 (en) 2013-05-28 2014-12-04 The Lubrizol Corporation Asphaltene inhibition
CN105849238B (zh) 2013-06-07 2017-08-15 巴斯夫欧洲公司 用环氧烷烃和烃基取代的多羧酸季铵化的氮化合物作为燃料和润滑剂中的添加剂的用途
EP3039056B1 (en) 2013-08-29 2020-03-04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Non-fused aromatic dispersant composition
PL3483234T3 (pl) 2013-09-20 2021-12-13 Basf Se Zastosowanie specjalnych pochodnych czwartorzędowanych związków azotowych jako dodatków do paliw silnikowych
EP3099720B1 (de) 2014-01-29 2018-07-04 Basf Se Verwendung von polycarbonsäure-basierten additiven für kraftstoffe
TWI674301B (zh) 2014-04-08 2019-10-11 美商盧伯利索先進材料有限公司 噴墨印墨組成物及研磨無機微粒的方法
US11078418B2 (en) 2016-07-05 2021-08-03 Basf Se Corrosion inhibitors for fuels and lubricants
EP4105301A1 (en) 2021-06-15 2022-12-21 Basf Se New gasoline additive packag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2818A (en) * 1965-12-27 1969-12-03 Monsanto Co Oil Detergents
FR1525149A (fr) * 1967-03-08 1968-05-17 Melle Usines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amines primaires
NL176177C (nl) * 1971-09-21 1985-03-01 Shell Int Research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aminen geschikt als toevoegsel voor smeermiddelen en brandstoffen.
US4357148A (en) * 1981-04-13 1982-11-02 Shell Oil Company Method and fuel composition for control or reversal of octane requirement increase and for improved fuel economy
US4526936A (en) * 1983-03-18 1985-07-02 W. R. Grace & 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amine containing products
ES8703213A1 (es) * 1985-04-25 1987-02-16 Kloeckner Wolfgang Dr Procedimiento para el accionamiento de una maquina motriz de combustion interna
DE3611230A1 (de) * 1986-04-04 1987-10-08 Basf Ag Polybutyl- und polyisobutylamin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kraft- und schmierstoffzusammensetzungen
DE3700363A1 (de) * 1987-01-08 1988-07-21 Basf Ag Kraft- oder schmierstoffzusammensetzung und verwendung von polybutyl- oder polyisobutylderivaten in denselben
GB8902987D0 (en) * 1989-02-10 1989-03-30 Bp Chemicals Additives Chemical product
US5340881A (en) * 1992-11-16 1994-08-23 The University Of Akron Aldehyde-telechelic polyisobutylenes, catalytic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ith high conversion and selectivity, and block copolymers made there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94648B2 (ja) 2004-12-02
ATE185820T1 (de) 1999-11-15
BR9401204A (pt) 1994-11-22
JPH06322021A (ja) 1994-11-22
HU214672B (hu) 1998-04-28
PL176762B1 (pl) 1999-07-30
FI941343A0 (fi) 1994-03-23
ES2139028T3 (es) 2000-02-01
KR940021708A (ko) 1994-10-19
FI941343A (fi) 1994-09-24
PL175769B1 (pl) 1999-02-26
DE4309271A1 (de) 1994-09-29
DK0617056T3 (da) 1999-12-27
NO302179B1 (no) 1998-02-02
HU9400828D0 (en) 1994-06-28
RU2131412C1 (ru) 1999-06-10
NO941023D0 (no) 1994-03-22
NO941023L (no) 1994-09-26
DE59408827D1 (de) 1999-11-25
CA2116747A1 (en) 1994-09-24
HUT69314A (en) 1995-09-28
US5496383A (en) 1996-03-05
EP0617056A1 (de) 1994-09-28
CA2116747C (en) 2004-05-25
US5567845A (en) 1996-10-22
FI116066B (fi) 2005-09-15
PT617056E (pt) 2000-04-28
EP0617056B1 (de) 199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207B1 (ko) 연료첨가제,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가솔린 엔진 연료
KR101320732B1 (ko) 연료 조성물
KR101106316B1 (ko) 개선된 적용성을 갖는 폴리알켄 아민
KR100649460B1 (ko) 프로폭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연료 조성물
CA2091953C (en) Diaminoalkanes, their preparation and fuels and lubricants containing the diaminoalkanes
US5492641A (en) β-aminonitriles and N-alkyl-1,3-propylenediamines and their use as fuel additives and lubricant additives
CA2478643C (en) Fuel additive mixtures for gasoline fuels with synergistic ivd performance
CA2082436C (en) Carbamates, their preparation and fuels and lubricants containing the carbamates
US5876467A (en) Use of carboxylic esters as fuel additives or lubricant additives and their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