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126B1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126B1
KR100283126B1 KR1019980042710A KR19980042710A KR100283126B1 KR 100283126 B1 KR100283126 B1 KR 100283126B1 KR 1019980042710 A KR1019980042710 A KR 1019980042710A KR 19980042710 A KR19980042710 A KR 19980042710A KR 100283126 B1 KR100283126 B1 KR 10028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reaction
polybutylene terephthalate
butanediol
naphthalene dicarbox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570A (ko
Inventor
이재환
서영욱
이준희
이재식
조성환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8004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12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6(또는 2,7)-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에스테르교환반응과 축중합반응에 의하여 제조되어 인장강도, 인장신율, 굴곡강도, 굴곡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과 상온 및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가 모두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기계적 물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 부품 및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다른 수지와의 혼합 조성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수지이다. 특히 자동차 커넥터용으로 사용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커넥터 결합시 요구되는 인장강도, 인장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등이 높아서 커넥터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충격강도, 특히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낮아서 복잡하고 박막 성형이 요구되는 커넥터에는 적용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적 물성과 저온(-40℃)에서의 충격강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요구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 제96-22807호, 미국특허 제5,348,999호 및 미국특허 제4,125,572호 등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기계적 물성 및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96-22807호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45 내지 65 중량부, 내충격 개질제 3 내지 15 중량부, 유리섬유 15 내지 45 중량부의 성분으로 혼합하여 물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유리섬유로 인한 흐름성 저하로 박막 성형에 필요한 흐름성을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5,348,999호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A)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B),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0.1~51(A+B) 중량부로 하여 충격 강도 및 흐름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고가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야 하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 및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이 분자량에 따라서 가공 조건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4,125,572호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A) 40 내지 95 중량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B) 5 내지 60 중량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물 1~60/(A+B) 중량부를 혼합하여 충격강도 및 흐름성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역시 고가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야 하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물의 결정화 속도 차이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인장강도, 인장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등의 기계적 물성과 상온 및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개선되어 자동차용 커넥터에 적합한 소재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디메틸-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반응물로 하고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를 촉매로 하는 에스테르 교환 단계 및 축중합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용 커넥터 소재로서 적합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적 물성과 상온 및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강성부분(Hard Segment)과 연성부분(Soft Segment)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물성은 강성부분과, 충격강도는 연성부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1,4-부탄디올의 일부를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이용하여 변성시킨 결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물성과 비교하여 그 함량에 따라서 충격강도는 증가하였으나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사실을 확인하고, 강성부분을 동시에 변성시키기 위하여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일부를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디메틸-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로 반응시켜서 기계적 물성이 유지되면서도 충격강도를 높여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1단계 반응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TBT)를 촉매로 하고, 반응 온도를 140~220 ℃, 반응 시간을 3~4 시간으로 하여 올리고머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 다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말단에 산화방지제를 소량 첨가하여 축중합반응을 진행한다. 축중합반응은 반응 온도 200~250 ℃, 반응 시간 1.5~3 시간으로 760~0.1 mmHg의 단계적인 진공하에서 반응기의 교반기에 걸리는 토크로 분자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분자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얻는다.
상기한 반응에서 반응물의 조성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디메틸-2,6(또는 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를 1~10 몰%, 다욱 좋게는 3~7 몰%로 하고, 분자량 900-2000인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은 상기 반응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더욱 좋게는 3 내지 10 중량%(0.25 내지 0.5 몰%)로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디메틸-2,6(또는 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가 1 몰% 미만이거나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이 1 중량% 미만 일때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특성과 거의 차이가 없으며, 디메틸-2,6(또는 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가 10 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점도가 증가하여 흐름성이 저하되어 제품 사출시 작업성이 나빠지며,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자동차 커넥터로 적용시 커넥터에서 전선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과 물성을 측정한 결과들이다.
[제1실시예]
10ℓ의 반응기에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134.6g, 1-4-부탄디올 2948.6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160.8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150g, 촉매로서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34g을 넣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한다. 반응 온도는 140~220 ℃로 단계적으로 승온시키며 반응 도중 유출되는 메탄올의 양으로 계산하여 반응률이 99% 이상이 될 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종결한다. 이 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종결 이전에 산화방지제로서 이가녹스1010을 2.5g을 첨가한다.
그런 다음, 축중합 반응기로 이송한 후, 촉매를 51g 넣고 0.1mmHg까지 단계적으로 감압하고, 반응 온도를 210~250 ℃, 반응 시간을 1.5~3.0 시간까지 진행하면서 교반기에 걸리는 토크로 원하는 분자량에 따라서 축중합 반응을 종결한다.
이상과 같은 반응을 통하여 얻어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I.V.)는 1.0±0.02이며,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사출한 후 물성을 측정한다.
물성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제2실시예]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반응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055.5g, 1.4-부탄디올 2882.5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157.7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250g를 넣고 반응시킨다. 이때 촉매의 양, 산화방지제의 양, 반응 온도, 반응 시간, 감압 정도 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얻어진 시편의 물성 측정 결과가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제3실시예]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반응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031.7g, 1.4-부탄디올 2935.7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266.8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150g를 넣고 반응시킨다. 이때 촉매의 양, 산화방지제의 양, 반응 온도, 반응 시간, 감압 정도 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얻어진 시편의 물성 측정 결과가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제4실시예]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반응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3954.8g, 1.4-부탄디올 2870.1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261.7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250g를 넣고 반응시킨다. 이때 촉매의 양, 산화방지제의 양, 반응 온도, 반응 시간, 감압 정도 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얻어진 시편의 물성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제5실시예]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반응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3929.7g, 1.4-부탄디올 2922.9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371.9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150g를 넣고 반응시킨다. 이때 촉매의 양, 산화방지제의 양, 반응 온도, 반응 시간, 감압 정도 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얻어진 시편의 물성 측정 결과가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제6실시예]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반응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3855.1g, 1.4-부탄디올 2857.9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364.8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250g를 넣고 반응시킨다. 이때 촉매의 양, 산화방지제의 양, 반응 온도, 반응 시간, 감압 정도 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얻어진 시편의 물성 측정 결과가 아래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DM-2,6-NDC :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DMT :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PTM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의 반응 조성물에 대한 중량%임)
I.V : 고유점도, ASTM D 4603에 의해 측정
T/S : 인장강도, ASTM D 638에 의해 측정
T/E : 인장신율, ASTM D 638에 의해 측정
F/M : 굴곡탄성률, ASTM D 790에 의해 측정
I/I : 충격강도, ASTM D 256에 의해 측정
[제7실시예, 제8실시예]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메틸-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여 공중합체의 고유 점도(I.V)를 1.1±0.02로 하고,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사출한 후 시편의 물성을 측정한다. 물성 측정 결과가 아래의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PTM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의 반응 조성물에 대한 중량%임)
[제9 ~ 제14 실시예]
각각 제1 ~ 제6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대신에 분자량 900-2000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넣고 반응을 실시한다. 사출된 시편의 물성 측정 결과가 다음의 표 3에 정리되어 있다.
PEG*: 분자량 900-2000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의 반응 조성물에 대한 중량%임)
다음의 비교예들은 반응물의 종류와 몰비를 달리하여 얻어지는 시편의 물성을 측정한 것이다.
[제1 ~ 제4 비교예]
제1 ~ 제4 비교예에서는 디메틸-2,6(또는 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물들의 몰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것이다.
제1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409.9g, 1,4-부탄디올 3064.5g을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제2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212g, 1,4-부탄디올 2915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150g를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제3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210g, 1,4-부탄디올 2905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250g를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제4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014g, 1,4-부탄디올 2743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500g를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각 비교에에서 얻어진 시편들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가 다음의 표 4에 정리되어 있다.
PTMG***: 분자량 900-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의 반응 조성물에 대한 중량%임)
[제5비교예, 제6비교예, 제7비교예]
제5비교예, 제6비교예, 제7비교예에서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사용하지 않고, 반응물의 몰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것이다.
제5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249g, 1,4-부탄디올 3044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165g을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제6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142g, 1,4-부탄디올 3030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274g를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제7비교예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3881g, 1,4-부탄디올 2996g,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 542g를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편들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가 다음의 표 5에 정리되어 있다.
[제8비교예, 제9비교예]
제8비교예와 제9비교예에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또는 디메틸-2,6-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분자량 900-2000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제8비교예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224g, 1,4-부탄디올 2897g, 분자량 900-2000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250g을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제9비교예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037g, 1,4-부탄디올 2730g, 분자량 900-2000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500g을 넣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한다.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편들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가 다음의 표 6에 정리되어 있다.
PEG***: 분자량 900-2000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의 반응 조성물에 대한 중량%임)
상기한 비교예들의 결과를 고찰하면, 반응물 중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 비율을 달리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과 충격 강도가 모두 우수한 공중합체를 얻을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분자량 900-2000인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에스테르교환반응과 축중합반응에 의하여 제조되어 인장강도, 인장신율, 굴곡강도, 굴곡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과 상온 및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가 모두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반응물로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4-부탄디올과,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디메틸-2,7-나프탈렌 디 카르복실레이트를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1 내지 10몰%를 첨가하고, 분자량이 900-2000인 폴리알킬렌글라이콜을 상기 반응 조성물에 대하여 0.25 내지 0.5몰%로 첨가하고,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를 촉매로 하는 에스테르 교환 단계 및 축종합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KR1019980042710A 1998-10-13 1998-10-13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KR100283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10A KR100283126B1 (ko) 1998-10-13 1998-10-13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10A KR100283126B1 (ko) 1998-10-13 1998-10-13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570A KR20000025570A (ko) 2000-05-06
KR100283126B1 true KR100283126B1 (ko) 2001-03-02

Family

ID=1955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710A KR100283126B1 (ko) 1998-10-13 1998-10-13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4220B (zh) * 2011-07-20 2012-09-26 上海焦化有限公司 一种脂肪族聚二元酸二元醇酯的制备方法
KR102190327B1 (ko) * 2017-11-28 2020-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테르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248A (en) * 1980-08-18 1981-04-17 Toray Ind Inc Transparent polyester elastomer molded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248A (en) * 1980-08-18 1981-04-17 Toray Ind Inc Transparent polyester elastomer molded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570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95260A (ja) 流動性の改良された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WO1994026802A1 (en)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s
EP0869985B1 (en)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JP3740940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共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より得られる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共重合体組成物
EP0396955B1 (en)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mproved in fluidity
KR100283126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US4927895A (en) Silicon-containing copolyest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861023B1 (ko) 에스테르화된 설퍼이소프탈레이트 글리콜 에스테르의제조방법 및 그의 염을 이용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제조방법
JP3353417B2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アミド
US5298591A (en) Non-crystalline wholly aromatic polyesters
CN110753737B (zh) 用于合成液晶聚合物的组合物、使用该组合物获得的液晶聚合物及包含液晶聚合物的产品
KR20100080085A (ko) 점도 안정성이 향상된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컴파운드
KR960011008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3078644B2 (ja) ポリ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法
CN115536819B (zh) 一种高可加工性对苯二甲酸共聚酯及其制备方法
JP3132881B2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330379B1 (ko) 투명성이우수한열가소성지방족폴리에스테르수지및그제조방법
JP3130359B2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
KR0145803B1 (ko) 폴리 1,4-사이클로 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US10934391B2 (en) Polyest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1423450A1 (en) Process for making reactive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from 2-methyl-1,3-propanediol
US20240026071A1 (en)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prepared by adding reaction rate control agent and molecular weight increasing agent derived from biomas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831877B1 (ko)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960005796B1 (ko) 폴리에스테르 에스테르 블럭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CN116589668A (zh) 可降解共聚酯及其制备方法和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