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991B1 -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991B1
KR100280991B1 KR1019980017145A KR19980017145A KR100280991B1 KR 100280991 B1 KR100280991 B1 KR 100280991B1 KR 1019980017145 A KR1019980017145 A KR 1019980017145A KR 19980017145 A KR19980017145 A KR 19980017145A KR 100280991 B1 KR100280991 B1 KR 10028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ortion
piece
partition wall
groo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003A (ko
Inventor
알빈드 파텔
넬스 피어손
잭 제이. 쉐퍼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1998008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 H01S5/183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 H01S5/1830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having a special structure for lateral current or light confinement
    • H01S5/18322Position of the structure
    • H01S5/18327Structure being part of a DB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1/00Functional characteristics
    • H01S2301/16Semiconductor lasers with special structural design to influence the modes, e.g. specific multimode
    • H01S2301/166Single transverse or lateral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 H01S5/183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 H01S5/1830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having a special structure for lateral current or light confinement
    • H01S5/18319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having a special structure for lateral current or light confinement comprising a periodical structure in lateral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 H01S5/183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 H01S5/18355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having a defined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 H01S5/183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 H01S5/18361Structure of the reflectors, e.g. hybrid mirrors
    • H01S5/18369Structure of the reflectors, e.g. hybrid mirrors based on dielectr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10T29/49151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deform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10T29/49151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deforming or shaping
    • Y10T29/49153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deforming or shaping with shaping or forcing terminal into base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7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by elastic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구획벽(40)에 의해 분리되어 병렬로 위치한 다수개의 홈(42)을 일측에 구비한 절연 하우징(12)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10)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홈(42) 내에서 리드부를 갖춘 복수의 단자(28)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홈(42)으로 단자의 리드부(34)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홈(42)에서 리드부를 보유하도록 구획벽(40)으로부터 리드부로 제 1 조각편 또는 소형편(54)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상기 홈(42)에서 리드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리드부(34)로 구획벽의 제 2 조각편 또는 대형편(56)이 성형된다. 상기 안착 단계 및 제 1 성형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러 전화기 잭과 같은 다중 단자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전기 커넥터 리셉터클을 "잭(jack)"이라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비교적 소형의 전기 접속기를 필요로 하는 기타 소비 제품과 함께 전화기 제조업에 널리 사용되어진다. 이 커넥터 또는 잭은 통상적으로 전방 결합 단부에 플러그 수용 개구부를 갖춘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에는 복수개의 단자가 장착되어 있고, 이 단자에는 플러그 수용 개구부 내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된 스프링 접촉부가 갖추어져 있다. 단자는 납땜후미부(solder tail) 같은 리드부를 갖추고, 이 리드부는 상기 결합 단부에서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한 하우징의 종단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단자의 리드부 또는 후미부를 인쇄회로기판 상의 구멍에 삽입하거나 그 기판 상의 접촉패드에 면접속시킬 때 정확하게 그 위치를 설정시켜주는 소정 형태의 수단이 제공된다.
지금까지, 단자의 리드부 또는 후미부는 다수의 다른 장치 또는 방법으로 커넥터 하우징에서 위치가 결정되고, 지지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에는 가열소자나 초음파 혼(horn)으로 단자 수용 홈의 측벽을 융용시켜 이 홈을 따라 하우징의 절연(플라스틱) 물질이 유동하여 단자부 위로 응고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단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바브(barb)를 가압하거나, 단순히 단자의 확장된 가장자리부를 홈 벽 안으로 억지 끼워 맞춤으로 가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단자부의 위로 홈 벽의 일부분이 열을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자부의 가장자리 위로 플라스틱 물질을 유동시키는 냉간 압착(cold staking)에 의해 성형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조 방법은 모두 여러 가지의 단점 및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융용 방법은 명백히 강한 유지 결합부를 제공하지만, 이러한 공정은 비교적 고가이고, 가열 소자나 초음파 혼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하우징을 융용시키는 데에 고가의 장비가 요구된다. 대신에, 바브를 이용하거나 홈 내에 억지끼워맞춤되는 확장된 가장자리부를 구비한 단자를 이용하는 것은 저가의 대안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단자부와 하우징 간에 현저하게 취약한 유지 결합부를 제공한다.
단자부의 가장자리 위로 홈 벽을 냉간압착하는 것은 단자부를 강하게 결합시켜주지만, 냉간압착 공정은 단자의 리드부 또는 후미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먼저 후미부가 그 각각의 홈으로 안착된다. 다음에 홈 벽의 재료가 리드부 위로 가압 또는 냉각압착된다. 냉간압착 공정 중 재료의 홈 벽의 기부에 상당한 힘이 생기는데, 이 힘은 그 기부에서의 플라스틱 일부를 단자와 하우징 사이에서 유동시킴으로써, 단자가 홈의 바닥면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제 위치에서 약간 이탈되게 하고,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한 리드부는 결국 인쇄회로기판 상의 구멍이나 회로선에 대해 바르게 정렬되지 못한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열거한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하고자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러 전화기 잭과 같은 전기 커넥터의 신규하고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잭 형태의 커넥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 단자부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데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장착 및 고정된 단자를 구비한 잭 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전후로 절개한 단면도,
도2a 내지 도2g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커넥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a 내지 도3d 는 단자들 중 하나의 리드부 또는 후미부를 그 각각의 홈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안착/스크레이핑 공구 블레이드의 돌출날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5는 복수 단자의 후미부를 삽입하고 구획벽의 소형편을 스크레이핑하는 데에 사용된 복합 안착/스크레이핑 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기 커넥터
12: 절연 하우징
18: 결합 단부
22: 종단 단부
28: 단자
34: 리드부
42: 홈
50: 안착/스크레이핑 블레이드
54: 소형편, 제 1 조각편
56: 대형편, 제 2 조각편
이와같은 해석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은 여기에서 플러그 수용 개구부가 형성된 결합 단부를 갖춘 절연 하우징이 포함된 전기 커넥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 결합 단부와 떨어진 곳에 종단 단부가 위치해 있고, 이 단부들 사이에 하우징의 상부면이 연장되어 있다. 복수개의 단자가 하우징의 종단 단부에 위치한 리드부를 구비하여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는 하우징의 종단 단부에서 구획벽에 의해 분리된 나란하게 위치한 복수의 홈이 구비된 절연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단자의 리드부는 홈 안으로 안착된다. 구획벽으로부터 단자의 리드부로 소형편(minor portion)이 스크레이핑되어 홈 내에서 리드부를 보유한다. 다음에 이 구획벽의 대형편(major portion)이 단자의 리드부에 접촉하고 있는 소형편 위에 성형되어져 리드부를 홈에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개시된 바와 같이, 안착 및 스크레이핑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단일 안착/스크레이핑 공구 블레이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형 단계는 냉간 압착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듈러 전화기 잭과 관련하여 개시된 본 발명의 방법에서, 단자의 개재부가 상기한 안착 단계에 앞서 절연 하우징의 상부에서 고정된다. 개재부가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고 난 후 안착 단계 전에, 단자의 리드부는 하우징의 종단 단부에서 홈과 병렬로 위치되도록 절곡된다. 단자의 접촉부는 하우징의 결합 단부에서 플러그 수용 개구부 내로 절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첨부된 도면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도면에서의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이 모듈러 전화기 잭(10)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모듈러 잭(10)은 2 부품의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있다. 모듈러 잭은 1 부품의 하우징으로 제작되었지만, 일부 잭들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 부품의 하우징을 갖추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2)은 외측 하우징 셸(14)과 내측 삽입체(16)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1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던 간에, 하우징은 플러그 수용 개구부(20)를 갖춘 결합 단부(18)와, 결합 단부에서 떨어져 있는 종단 단부(22) 및, 상기 단부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상부(2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바닥면(26)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 셸(14)과 삽입체(16)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일체 성형되어진다.
복수의 단자(28)가 하우징(12), 특히, 삽입체(16)에 장착되어 있다. 각 접촉부(28)는 상단 개재부(30), 전방 접촉 단부 또는 접촉부(32) 및, 후방 리드부(34)를 포함한다. 리드부는 인쇄회로기판의 적정 구멍에 삽입되도록 납땜 후미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 및/또는 상기 구멍에서의 회로선과 납땜 접속된다. 한편, 리드부(34)는 납땜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의 납땜 패드에 면접속되도록 푸트(foot)(36)에서 종단될 수 있다. 리드부가 회로기판 상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납땜 후미부이거나, 상기 회로기판 상의 패드에 납땜접속되는 푸트(36)를 갖춘 것에는 상관없이, 단자(28)의 리드부(34)가 회로기판 상의 회로선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와 간격이 되도록 잭(10)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드부(34)의 정렬 및 보유는 잭(10)의 후방 종단 단부(22)에 형성된 단자 보유영역(38)에서 이루어진다.
도2a 내지 도2g는 모듈러 잭(10)의 조립 단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조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도3a를 간단히 참조하면, (도1의) 종단 영역(38)이 인접한 구획벽들 사이에 홈(42)을 형성하도록 하우징 삽입체(16)의 후방측을 따라 수평하게 이격된 복수의 구획벽(40)으로 한정된 빗(comb)과 같은 구조로 시작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단자(28)의 리드부(34)는 도2a 내지 도2g와 관련하여 후술할 과정 동안 이들 상기 홈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단자(28)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형태의 전도성 금속판으로 스탬핑(stamping) 및 성형됨으로써, 단자의 개재부(30), 접촉부(32) 및, 리드부(34)가 스트립(strip) 형태로 된다. 접촉부(32)와 리드부(34)의 끝부분은 스탬핑 작업에서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33)에 아직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재부(30)에는 한 쌍의 구멍(3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35)에는 삽입체(16)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일체식 보스(44)가 끼워진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가 앤빌(46)에 장착되어진 후, 캐리어 스트립(33)은 제거된다. 그 다음에 보스(44)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핑된 단자를 삽입체(16)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개재부(30)의 위에서 냉간 압착된다. 이 방식으로 잭(10)의 모든 단자(28)는 통상적으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펀치(37)의 작동을 통해 삽입체(16)에 동시에 고정된다.
그 후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들의 접촉부(32)는 2개의 이동 작업을 통해 삽입체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된다. 펀치(39)가 먼저 화살표 "B" 방향으로 움직여서 접촉부(32)를 개재부(30)로부터 대략 90도로 절곡하여 도 2B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게 한다. 그 다음에 펀치(39)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움직여서 접촉부(32)를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위치로 절곡시킨다.
도2c에서 성형 펀치(48)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여 단자의 리드부 또는 후미부(34)를 삽입체의 보유영역(38) 근처에 병렬로 절곡시킨다.
그 다음에 안착/스크레이핑(scraping) 공구 블레이드(50)가 도2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E" 방향으로 움직여 단자의 리드부(34)를 구획벽(40)의 사이에 있는 (도3a의) 홈(42)으로 끼워 밀면,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부(40)가 보유영역(38)에 안착된다. 도3a 내지 도3d 를 설명할 때 보다 자세하게 이해될 것인 바, 공구 블레이드(50)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첫째, 홈(42)의 바닥면 또는 기부에 대해 단자의 리드부(34)를 안착시키고, 둘째, 홈에서 리드부를 보유하도록 구획벽(40)의 소형편을 리드부로 스크레이핑하며, 셋째, 후미부(34)의 하부를 절곡하여 푸트(36)를 성형시킨다. 이 때문에, 도2d의 공구 블레이드(50)에는 상기의 안착 기능을 수행하는 전방 돌출날부(50a)들과, 상기의 스크레이핑 기능을 수행하는 오목날부(50b) 및, 앤빌(46)의 하측 선반부와 상호작동하여 푸트의 절곡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50c)가 구비되어 있다.
단자(28)의 리드부(34)가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영역(38)의 홈으로 안착되고 난 후에는, 타격 펀치(52)가 도2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F"로 움직여 보유영역(38)에서 구획벽(40)과 부딪친다. 이 공구는 홈(42)에서 리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리드부(34)에 접촉하고 있는 구획벽(40)의 소형편 위로 구획벽(40)의 대형편을 가압 성형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다시 말하면, 이 구획벽은 펀치(52)에 의해 상기 소형편 위에서 냉간 압착(cold staking)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2g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6)와 고정된 단자(28)의 조립체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하우징 셸(14)의 후방으로 삽입된다. 조립 공정 중, 단자의 접촉부(32)는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하우징 내측부 상의 빗구조물(53)에 걸려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접촉부는 잭의 내부에서 스프링 로드 상태에 있게 된다.
도3a 내지 도3d 는 인접한 구획벽(40)들 사이에서 각각의 홈(42)으로 단자(28)들 중의 하나의 리드부(34)를 삽입 및 고정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3a는 도2d의 도시 내용과 대응하는 바, 단자의 리드부(34)는 종단 영역(38) 근처의 삽입체(16) 후방에서 병렬 배치하면서 절곡되어 있다. 안착/스크레이핑 공구 블레이드(50)가 리드부를 홈으로 막 삽입할 수 있는 위치로 나타나 있다.
도3b는 공구 블레이드(50)가 화살표 "E" 방향으로 움직여 구획벽(40)들 사이의 홈(42)으로 리드부(34)를 초기 이동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리드부는 아직 홈의 기부(42a)에 닿지는 않았다. 블레이드(50)의 돌출날부(50a)는 리드부에 접촉되어 있으나, 블레이드의 오목날부(50b)는 아직 구획벽(40)에 접촉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돌출날부가 도2d 및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E" 방향으로 오목날부의 전방에 있기 때문이다.
공구(50)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E" 방향으로 더욱 전진이동하면 상기 공구의 돌출날부(50a)는 단자의 리드부(34)를 기부(42a)에 접촉할 때까지 밀게 된다. 이러한 작동 중, 상기 공구의 오목날부(50b)는 기부(42)로 대향하여 리드부(34)와 접촉하도록 구획벽(40)으로부터 플라스틱 재질의 소형편(54)을 스크레이핑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간단히 요점을 말하면, 구획벽의 플라스틱물인 이 소형편(54)은 단자의 리드부를 홈의 바닥면에 "일시적으로" 보유시켜 결국 구획벽의 대형편이 소형편에 대해 영구적으로 냉각 압착될 수 있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도3d 는 도2f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에 따라 단자의 리드부(34)를 각각의 홈에 고정시키는 마지막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펀치(52)는 화살표 "F" 방향으로 움직여 리드부(34)에 접촉하고 있는 소형편(54) 위에 구획벽(40)의 대형편(56)을 가압 성형하여 각각의 홈(42)에서 리드부를 견고하게 고착시킨다. 다시 말하면, 펀치(52)는 단자의 리드부 위에서 상기 구획벽을 냉간 압착시킨다.
종래의 기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종래 냉간 압착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의 하나는 성형 작동 중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종종 최소한 일부의 단자 리드부를 각각의 홈의 기부에서 이탈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구획벽(40)의 측부에서 스크레이핑된 플라스틱 재질의 소형편(54)이 보다 큰 규모의 냉간압착 작동 중에 홈의 바닥면에 리드부를 보유하는 데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도4 및 도5에는 돌출 안착부(50a)와 오목 스크레이핑부(50b) 및, 하부(50c)를 구비한 조합 안착/스크레이핑 공구 블레이드(50)의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복수의 블레이드(50)는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60)에 장착되어 있는 바, 하나의 블레이드(50)가 각 리드부(34) 및 그 홈(42)을 위해 제공되어 있다. 도5에는 블레이드(50)의 돌출날부(50a)가 구획벽(40)의 상부와 하부 쪽으로 움직여 각각의 홈 바닥면으로 단자의 리드부를 가압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의 날(50b)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40)과 나란하게 정렬됨으로써 플라스틱 소형편을 구획벽으로부터 스크레이핑하여 최종의 냉간 압착 작동에 앞서 홈에 리드부를 보유시킨다.
구획벽(40)의 조각편(54,56)은 본 명세서에서 각각 "소형편" 및 "대형편"으로 기재된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조각편을 간단하게 각각 "제 1 조각편" 및 "제 2 조각편"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공구(50)는 홈에 단자를 지지시키도록 충분하게 구획벽에서 단자의 리드부로 제 1 조각편을 스크레이핑하는 데에 효과적이고, 공구(52)는 제 1 조각편 위로 구획벽의 제 2 조각편을 냉간 성형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제 1 조각편은 리드부를 홈에 견고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지지시켜주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상기 제 1 조각편과 제 2 조각편 전체로서는 홈에서 리드부를 견고하게 지지시켜주는 데에 충분할 것이다. 이는 제 1 조각편이 제 2 조각편에 대하여 소형편이든 아니든 상관없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 특징에 벗어남이 없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예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또한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단자의 리드부를 효율적으로 정확하고 견고하게 위치시킨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플러그 수용 개구부를 갖춘 결합 단부, 결합 단부에서 떨어져 위치한 종단 단부 및, 단부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상부를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 하우징의 종단 단부에 위치한 리드부를 갖추고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단 단부에서 구획벽에 의해 분리되어 병렬로 위치한 복수의 홈을 갖춘 절연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홈으로 단자의 리드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리드부를 상기 홈에 보유시키도록 리드부와 접촉하는 구획벽으로부터 소형편을 스크레이핑하는 단계 및, 상기 리드부를 상기 홈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리드부에 접촉하고 있는 소형편 위로 구획벽의 대형편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단계와 스크레이핑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단계와 스크레이핑 단계가 단일의 안착/스크레이핑 공구 블레이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단계 이전에 단자의 개재부가 절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가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안착 단계 이전에 단자의 상기 리드부가 하우징의 종단 단부의 홈에 병렬로 위치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의 접촉부가 하우징의 결합 단부의 플러그 수용 개구부 내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가 냉간 압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제조 방법.
  8. 구획벽에 의해 분리되어 병렬로 위치한 복수개의 홈을 일측에 갖춘 절연 하우징과, 상기 홈에 위치한 리드부를 갖추어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가 포함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으로 단자의 리드부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홈에서의 상기 리드부를 보유하도록 리드부와 접촉하는 구획벽으로부터 제 1 조각편을 성형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홈에 상기 리드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리드부와 접촉하고 있는 제 1 조각편으로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제 2 조각편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단계와 제 1 성형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단계와 제 1 성형 단계가 단일의 공구 블레이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성형 단계가 냉각 압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 단계가 스크레이핑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형 단계가 냉간 압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형 단계는 단자의 리드부 위로 구획벽의 소형편만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형 단계는 단자의 리드부 위로 구획벽의 대형편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6. 구획벽에 의해 분리되어 병렬로 위치한 복수의 홈을 일측에 갖춘 절연 하우징과, 상기 홈에 위치한 리드부를 갖추어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가 포함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으로 단자의 리드부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홈에서의 상기 리드부를 지지하도록 리드부와 접촉하는 제 1 위치에서 구획벽으로부터 제 1 조각편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홈에 상기 리드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위치와 인접한 제 2 위치에서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상기 리드부로 제 2 조각편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17. 구획벽에 의해 분리되어 병렬로 위치한 복수의 홈을 일측에 갖춘 절연 하우징과, 상기 홈에 위치한 리드부를 갖추어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단자, 홈에서의 상기 리드부를 보유하도록 리드부 위로 성형되는 상기 구획벽의 제 1 조각편 및, 상기 홈에 상기 리드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리드부 위로 성형되어, 구획벽의 상기 제 1 조각편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상기 구획벽의 제 2 조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80017145A 1997-05-14 1998-05-13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0280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56,033 1997-05-14
US08/856,033 US6003226A (en) 1997-05-14 1997-05-14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003A KR19980087003A (ko) 1998-12-05
KR100280991B1 true KR100280991B1 (ko) 2001-02-01

Family

ID=2532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145A KR100280991B1 (ko) 1997-05-14 1998-05-13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03226A (ko)
EP (1) EP0878879B1 (ko)
JP (1) JP2958883B2 (ko)
KR (1) KR100280991B1 (ko)
CN (1) CN1090397C (ko)
DE (1) DE69821547T2 (ko)
MY (1) MY117401A (ko)
SG (1) SG72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71B1 (ko) 2013-05-24 2014-07-0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844A (en) * 1997-03-26 2000-12-05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a panel-like device on a printed board
US6358103B1 (en) * 1999-08-02 2002-03-19 Swenco Products, Inc. No-crimp electrical connector side-by-side type
US20080223503A1 (en) * 2007-03-15 2008-09-18 Lotes Co., Ltd. Melt glue fixing method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DE102008063506A1 (de) * 2008-12-11 2010-06-17 Aci-Ecote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richten von übereinanderliegenden Enden metallischer Bänder
JP2017098035A (ja) * 2015-11-20 2017-06-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用端子及び基板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991A (en) * 1974-05-10 1978-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lf-stripping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US4088384A (en) * 1976-11-29 1978-05-09 Northern Telecom Limited Adaptor for plug-in telephones
US4292736A (en) * 1978-09-08 1981-10-06 Amp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jack type receptacles
US4193654A (en) * 1978-09-08 1980-03-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s
US4210376A (en) * 1978-12-07 1980-07-0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96550A (en) * 1978-09-20 1981-10-27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02593A (en) * 1979-04-20 1980-05-13 Amp Incorporated Jack
US4327958A (en) * 1980-05-05 1982-05-04 Amp Incorporated Connector jack
US4605276A (en) * 1983-03-30 1986-08-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wo row coaxial cable connector
US4786259A (en) * 1984-02-27 1988-11-22 Hayes Microcomputer Products, Inc. Low profile modular recepta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0147091U (ja) * 1984-03-07 1985-09-30 ミツミティ−ア−ルダブリュ株式会社 コネクタ
US4767355A (en) * 1984-09-28 1988-08-30 Stewart Stamping Corp. Jack and connector
US4757601A (en) * 1985-04-24 1988-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nection of tapered armature conductor to tapered commutator slot
US4618207A (en) * 1985-06-05 1986-10-21 Molex Incorporated Two piece modular receptacle
ATE70669T1 (de) * 1986-02-11 1992-01-15 Du Pont Elektrische steckverbinder.
ATE88048T1 (de) * 1986-10-27 1993-04-15 Black & Decker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empelten substrats.
US4842528A (en) * 1987-03-27 1989-06-27 Amp Incorporated Solder post retention means
US4762507A (en) * 1987-04-24 1988-08-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retention system, and tool for removal and method therefor
US4850902A (en) * 1988-04-11 1989-07-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haracteristics for retaining leads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the electrical connector
US4908335A (en) * 1988-06-03 1990-03-13 Amp Incorporated One-piece molded insulating housing for a circular din connector
FR2677178A1 (fr) * 1991-05-29 1992-12-04 Cit Alcatel Connecteur.
DE69210396T2 (de) * 1992-06-24 1996-11-28 Molex Inc Modularer elektrischer Verbinder
CA2173067A1 (en) * 1995-03-30 1996-10-01 Mark G. Hops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retention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71B1 (ko) 2013-05-24 2014-07-0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1547T2 (de) 2004-07-01
DE69821547D1 (de) 2004-03-18
EP0878879B1 (en) 2004-02-11
EP0878879A3 (en) 1999-11-03
EP0878879A2 (en) 1998-11-18
CN1199258A (zh) 1998-11-18
JPH11149972A (ja) 1999-06-02
US6003226A (en) 1999-12-21
CN1090397C (zh) 2002-09-04
KR19980087003A (ko) 1998-12-05
JP2958883B2 (ja) 1999-10-06
MY117401A (en) 2004-06-30
SG72809A1 (en)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576B1 (ko) 인쇄 회로용 플러그인 커넥터
JP2704510B2 (ja) プリント回路板取付用の電気コネクタ
EP1562262A2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it to an electric device
HU217389B (hu) Áramköri lap, élre szerelt csatlakozóval ellátott áramköri lap, valamint eljárás elektromos csatlakozónak áramköri lap szélére való rászereléséhez
JP2002033147A (ja) 電気コネクタ
KR19980071721A (ko) 전기 회로용 프린트 기판 및 이 프린트 기판의 제조 방법
JP3561125B2 (ja) 基板と圧接コネクタとの組付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圧接コネクタ
US40451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EP1775796A2 (en) Board Connector
KR19980702909A (ko)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KR100280991B1 (ko)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6280247B1 (en)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H11126667A (ja) 電気コンタクト
JP3382621B2 (ja) ケーブルをプラグに装着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に使用されるケーブルプラグ
JPH07282921A (ja) ボ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3414525B2 (ja)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3379310B2 (ja) 電子部品用ケースの製造方法
JP2988608B2 (ja) 雌型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40240A (ja) 端子台
JP2005332796A (ja) 電線圧接型コネクタ
JP3323195B2 (ja) 電気的な構成素子の基部にフラットコネクタを固定する方法及び、基部並びに該基部内に固定された少なくとも1つのフラット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的な構成素子
JPH10116658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1357912A (ja) コネクタ
JP2842814B2 (ja) 電気コネクタ
JP3754078B2 (ja) 端子仮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