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909A -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 Google Patents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909A
KR19980702909A KR1019970706317A KR19970706317A KR19980702909A KR 19980702909 A KR19980702909 A KR 19980702909A KR 1019970706317 A KR1019970706317 A KR 1019970706317A KR 19970706317 A KR19970706317 A KR 19970706317A KR 19980702909 A KR19980702909 A KR 1998070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spring
support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 프린시바흐 베르나데트
요셉 가바니 앤드류
루보미어 멜릭 아드리안
요셉 쉬미드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로렌스 제이. 쉬뢰퍼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렌스 제이. 쉬뢰퍼,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렌스 제이. 쉬뢰퍼
Publication of KR1998070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커넥터 어셈블리(4)는 절연 하우징(6)과 이 하우징의 공동부(9)들에 수용된 스프링 컨택트로 이루어진다. 공동부들은 T형상으로서 일부는 하우징(6)의 컨택트 수용면(12)으로부터 하우징의 취합면(10)에 근접한 위치까지의 직사각형 일정한 단면부 및 그의 일측을 따른 컨택트 지지슬롯(15)을 가진다. 각 스프링 컨택트(8)는 전방측의 리프 컨택트 스프링(32), 지지귀(48)들을 갖춘 중간의 지지부(33), 및 회로기판상의 도체에 납땜하기 위한 후방측 컨택트 테일(34)로 이루어진다. 각 공동부(9) 안에는 지지부(33)와 리프 스프링(32)의 평탄단부가 공동부(9)의 1면(33)에 평탄하게 놓이고, 리프 스프링은 지지 귀(48)들이 슬롯(15)의 표면을 파고들어도 컨택트 테일(34)이 하우징(6)의 컨택트 수용면(12)으로부터 돌기하는 상태로 공동부의 타면(26)쪽으로 구부러진다.
하우징과 스프링 컨택트들은 제조상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스프링 컨택트는 또한 공동부에 장전되기 쉽다. 컨택트 테일들은 회로기판상에 어셈블리를 다양한 모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에 관해, 상세하게는 수직, 수평형, 관통공 또는 표면장착형 리셉터클 어셈블리로서 제조될 수 있는 관점에서 만능형(Universal)으로 칭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어셈블리에 있어 현재 소형화 및 효율적인 제조 비용 측면에서 어셈블리는 성형하기 간편하도록 단지 직선작용 코어핀을 이용하는 절연하우징; 및 복잡하지 않은 구조로 된 스프링 컨택트들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가급적 스프링 컨택트는 스톡상에 수행되는 접힘동작없이 시트 금속 스톡으로부터 쉽게 각인 성형될 수 있고 또한 하우징속으로 매우 간단하게 장전될 수 있다. 스프링 컨택트의 만능형 컨택트 스프링을 위하여, 어셈블리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지는 모드에 관계없이, 단지 스프링 컨택트의 컨택트테일이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모드에 따라 동일하게 변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어셈블리는 핀 헤더의 하우징이 필히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취합되는 구조로 됨이 없이 종래의 핀 헤더의 핀과 취합가능하여야 한다.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게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수많이 알려져 있지만, 어느 것도 상기 모든 이점 또는 다수의 이점을 갖지 않는다.
미국 특허 제4,778,396호는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스프링 컨택트는 비교적 단순한 컨택트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 스프링 컨택트들은 스프링 컨택트의 지지부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러지고 그리고 컨택트 스프링보다 더 큰 스톡 두께를 가지는 귀들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은 특별히 지지 귀와 협동하는 구조로 되어서 스프링컨택트가 하우징의 공동에 내포되게 된다.
본 발명의 1태양에 따르면, 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적어도 1열의 컨택트 수용공동부를 한정하는 직사각형 단면부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각 공동부는 하우징의 양측 컨택트 수용 및 취합면속으로 개방한다. 각 공동부는 직사각형 컨택트 수용부 및 T형 크로스 바아를 한정하고 또한 컨택트 수용부의 일면을 따라 연장하는 컨택트 지지홈을 가지는 T형상이 필수적이다. 컨택트 수용부는 하우징의 컨택트 수용면으로부터 취합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하는 4개의 직교적으로 배열된 평평하게 긴 표면들에 의해 한정되고 그리고 공동부안에 배치된 컨택트의 지지부를 수용하게끔 되어 있다. 이 어셈블리는 아울러 각 공동부안에 스프링 컨택트를 포함하며 이 스프링 컨택트는 전방의 리크 컨택트 스프링, 대향하는 돌기 지지 귀들을 가지는 중간의 평면형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연장하고 그리고 하우징의 컨택트 수용면으로부터 돌기하는 후방의 컨택트 테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는 제1면을 따라 연장하는 지지슬롯에 수용되어 그의 표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지지 귀들에 의해 공동부를 한정하는 4개의 평탄한 긴 표면들중 제1표면에 고정된다. 컨택트 스프링은 제1평탄면으로부터 공동부를 한정하는 반대측 평탄면 쪽을 향해 구부러지며, 또한 이것은 제1평탄면에 결합하는 평탄한 전방 단부를 가진다. 전기핀, 상세하게는 장방형 단면핀이 공동부 속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되어서 반대 평탄면과 결합하게 될 수 있고 결국 제1평탄면을 향해 컨택트 스프링을 누르게 된다.
공동부의 구조에 의해, 하우징은 직선운동 코어 핀의 사용으로 간단하게 성형될 수 있으며, 스프링 컨택트들은 컨택트 스프링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는 접힘 동작도 없이 시트 금속 스톡으로부터 진행다이에 의해 각인 성형동작으로 쉽게 제조된다. 스프링 컨택트는 공동부에 쉽게 장전되어서 컨택트 스프링 전방단부를 인도하는 컨택트 스프링이 공동부를 한정하는 1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지지부의 귀들이 공동부의 각 슬롯부와 결합하여 파고들어 갈때까지 공동부에 스프링 컨택트를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의 컨택트 수용면으로부터 돌기하는 컨택트 테일의 일부는 제조과정 중 구부러질 수도 있는데, 예컨대,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어셈블리의 수직 또는 표면 장착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하우징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에 의해 하우징은 회로 기판상에 수평으로 장착가능하며, 그 경우, 컨택트 테일의 돌기부는 하방으로 구부러져 회로기판의 각 구멍에 삽입하게 된다.
하우징 및 스프링 컨택트의 단순 구조에 의해, 그리고 이들 컨택트가 하우징에 쉽게 장전될 수 있는 것에 의해, 어셈블리는 양용겸용식 제조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도, 레지(ledge) 또는 스톱면이 하우징의 취합면 근처의 각 공동부에 제공되어서, 공동부안에 스프링 컨택트의 컨택트 스프링의 전방단과 결합하게 되고, 따라서 삽입된 핀은 컨택트 스프링으로 하여금 레지와 스프링 컨택트의 지지부사이에 압착되도록 한다. 컨택트 테일은 경우에 따라 하우징의 컨택트 수용면을 경유하여 공동부속으로 삽입될 수 있게 끔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인·성형된 스프링 컨택트는 전방의 리프 컨택트 스프링, 중간의 지지부 및 후방의 컨택트 테일로 구성된다. 컨택트 스프링은 지지부로부터 컨택트 테일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지지부와 공동평면상에 있는 전방단, 컨택트 스프링의 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직선형 전방부, 및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직선형 후방부를 가진다. 컨택트 스프링의 전, 후방부는 전기 포스트와 결합하기 위한 정점부(apex)를 가지는 만곡부를 한정하기 위해 서로 협동한다. 이 정점부는 컨택트 스프링의 직선부 및 전방 단부의 공동평면으로부터 공동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컨택트 테일은 경우에 따라 어떤 소정의 모드로 커넥터 어셈블리가 인쇄회로기판에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는 길이 및 구조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그럼, 본 발명의 구현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다중 컨택트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취합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다중-컨택트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컨택트 수용면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2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택트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컨택트의 측면도.
제6도는 제1도 및 2도의 6-6선을 따라 취한 확대도.
제7도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취합된 4각단면의 핀을 파선으로 보여주는 제3도의 것과 유사한 확대도.
제8도는 리셉터클 어셈블리를 위한 스프링 컨택트의 스트립의 부분, 컨택트와 접속되는 캐리어 스트립 및 선택적인 컨택트 길이를 파선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제9도는 제1모드로서 인쇄회로기판에 어셈블리를 적용하기 위해 구부러진 컨택트 테일을 보여주는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택트의 측면도.
제10도 및 11도는 제2 및 제3모드로서 인쇄회로기판에 어셈블리를 적용하기 위해 구부러진 컨택트 테일을 보여주는 제3도의 것에 유사한 도면.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택트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0도 및 11도에 도시한 어셈블리에 사용하기 위한 스프링 컨택트의 변형예의 평면도.
제14도는 인쇄회로기판에 제4모드로서 장착된 리셉터클 어셈블리 그리고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취합되는 핀 헤더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5도는 단일열의 스프링 컨택트를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상에 수평상태로 장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다른 구현예의 단면도로서, 핀 헤더가 양측으로부터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취합할 수 있게 위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제16도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또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의 일부파단 단면도.
제17도 및 18도는 스프링 컨택트의 또다른 변형예의 측면도 및 평면도.
먼저 제1도 내지 제9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다중 컨택트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4)는 절연하우징(6)과 2열의 스프링 컨택트(8)를 포함한다.
가급적 길다란 직사각형 단면으로된 하우징(6)은 완전히 재연마가능한 재료, 예컨대 밸록스(Valox) 재료로 만들어져서, 사용 수명 말기후에도 완전히 재생가능하도록 한다. 하우징(6)은 2열의 일정간격의 컨택트 수용 관통 공동부(9)를 한정하여, 각 공동부는 일단에서는 하우징(6)의 취합면(10)으로 그리고 타단에서는 하우징(6)의 컨택트 수용면(12)으로 개방하게 되어 있다. 각 공동부(9)는 측면은 하우징(6)의 각 측벽(14)에 의해, 중앙은 하우징(6)의 중앙벽(16)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6)의 종방향으로 각 격벽(18)에 의해 경계진다. 공동부(9)들은 모두 동일한 치수 및 구조로 된다. 제2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공동부(9)는 본질적으로 T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공동부(9)는 직사각형 컨택트 수용부(11) 및 이 컨택트 수용부(11)로부터 측벽(14)을 따라 양방향으로 외향하여 연장하는 크로스바아 또는 슬롯부(15)를 가진다. 각 공동부(9)는 취합면(10)으로 개방하는 핀 안내 마우스(20)를 갖는다. 이 마우스(20)에 근접한 위치에는 각 측벽(14)이 각 공동부(9)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그리고 컨택트 지지슬롯(15)의 단부를 한정하는 받침 레지 또는 컨택트 스톱면(22)을 나타낸다. 측벽(14)은 각 공동부(9)안에 평탄하고 길다란 내부면(24)을 가지는데, 이것은 중앙벽(16)의 대향한 평탄하고 길다란 외부벽(26)에 평행한다. 각 격벽(18)은 각 공동부(9)안에 표면(24 및 26)에 인접한 평탄하고 길다란 내면(28)을 가진다. 따라서, 제6도 및 7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동부(9)의 각 컨택트 수용부(11)는 4개의 평탄하고 길다랗게 직교하여 배열된 표면들, 즉 대립면(24 및 26), 및 레지(22)와 컨택트 수용면(12) 사이에 대립된 분리면(28)에 의해 한정된다. 이들 표면들은 단면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중공 직사각형을 한정한다. 터미널 수용면(12)에는 하우징(6)의 다른 세로 방향으로부터 이격된 스탠트오프(standoff)(30)(단지 하나만 도시하였음)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9)의 단순구조에 의해, 하우징(6)은 직선운동형 코어핀을 이용하면서 단순한 도구에 의해 아주 쉽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성형된다.
제4도 및 5도에서 명료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동 스톡의 단일편으로부터 각인 및 성형된 각 스프링 컨택트(8)는 전방의 컨택트 리프 스프링(32), 중앙 지지부(33) 및 후방의 컨택트 테일(34)로 이루어진다. 지지부(33) 및 컨택트 테일(34)은 동일평면형이다. 컨택트 테일(34)은 경우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4)의 사용 모드에 따라 자신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러질 수도 있다. 컨택트 스프링(32)은 지지부(33)에 인접한 제1평탄부(36), 나머지 스프링 컨택트(8)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러진 접촉부(38), 및 구부러진 접촉부(38)의 전방단에 있는 제2평탄부(40)로 이루어진다. 평탄부(40)는 스프링 컨택트(8)의 중앙종축선인 파선 X-X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평탄부(36), 지지부(33) 및 컨택트 테일(34)과 공동평면으로 되어 있다. 구부러진 접촉부(38)는 컨택트(8)의 스톡두께와 대략 같게 스프링 컨택트(8)의 잔여부의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라운딩형 정점부(42)를 가진다. 이 정점부(42)로부터 각기 같은 길이로 된 직사각형 전방 및 후방부(44 및 46)가 연장하고 그들 사이에는 둔각을 이룬다. 전방부(44)는 평탄부(40)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져 연장하고, 후방부(46)는 평탄부(36)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져서 연장한다. 지지부(33)는 전방으로 테이퍼진 대립형 측면돌기 지지 귀(48)들을 가지며, 각 귀는 라운딩형 전방코너(50), 후방솔더(52) 및 솔더(52)에 코너(50)를 접속시키는 직선형 측면에지(54)를 갖는다. 컨택트 테일(34)은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후향 테이퍼형 후방단부(55)를 갖는다. 제6도 및 7도는 하우징안에 있는 스프링 컨택트(8)의 위치를 보여준다. 제6도는 제1도 및 2도의 6-6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 공동부(9)의 지지슬롯(15)에 배치된 컨택트(8)의 부분들은 예시한다. 제7도는 2개의 공동부(9)를 통해 취한 단면도이다. 각 스프링 컨택트(8)는 컨택트 수용면(12)에 의해 각 공동부(9)로 삽입되고, 컨택트 스프링의 평탄부(40)는 지지 귀(48)가 라운딩된 코너(50)에 의해 슬롯(15)의 표면속으로 찢고 들어갈 때까지 각 외벽(14)의 표면에 인도되어 미끄러져서, 숄더(52)가 공동부(9)로부터 스프링 컨택트(8)가 퇴거를 막게된다(제6도). 스프링 컨택트(8)의 이러한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컨택트 스프링(32)의 선단(56)은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4)의 레지(22)에 근접하여 놓고, 평탄부(36 및 40), 지지부(33) 및 컨택트 테일(34)의 인접부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24)에 대해 평탄하게 놓인다. 컨택트 테일(34)의 큰 부분은 컨택트 수용면(1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기한다. 컨택트 테일(34)은 경우에 따라 면(12)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또는 제3도, 9도 및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리셉터클 어셈블리(4)를 공급받은 수요자(end user)는 컨택트 테일(34)의 테이퍼형 단부(5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CB)(1)에 있는 각각의 도금처리된 관통공(51)을 통해 각각 컨택트 테일(34)을 삽입시키고 그리고 회로기판(1)의 하면을 따라 테일을 구부린다. 그런 다음 수요자는 테이퍼형 엔드(55)를 기판(1)상에 인쇄된 도체(60)들에 납땜시킨다. 스태드오프(30)는 하우징(6)을 인쇄회로기판 위에 올려서 하우징(6)이 납땜열로부터 보호받도록 하고 그리고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진 대로 납땜부위의 청소 및 검사를 행할 수 있게 한다.
리셉터클 어셈블리(4)는 제7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핀 헤더(PH)와 취합태세를 갖추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 핀(P)들은 취합면(10)으로부터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핀들은 또한 회로기판(1)의 하면으로부텨 관통공(H)으로 그리고 각각의 공동부(9)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핀 헤더는 각 공동부(9)에 수용되기 위해 사각 단면 핀(P)을 갖는다. 각 핀(P)는 전방 테이퍼형 취합단부(EP)를 갖는다. 핀이 그의 단부(EP)를 이끌면서 마우스(20)를 통해 공동부(9)로 삽입되기 때문에, 핀헤더(PH)의 몸체(B)가 취합면(10)상에 놓여 있을 때까지 각 핀(P)의 일측(SI)은 하우징(6)의 중앙벽(16)의 각 표면(26)을 따라 미끄러진다. 각 핀(P)의 삽입중, 그의 테이퍼형 단부(EP)는 각각의 공동부(9)에 있는 컨택트 스프링(32)의 정점부(42)와 결합하고 그리고 스프링(32)의 단부(56)가 레지(22)에 멈추어질 때까지 측벽(14)의 표면(24) 쪽으로 스프링(32)을 탄성적으로 누르게 되며, 핀(P)의 반대측(S2)는 제7도의 우측 공동부(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컨택트 스프링(32)을 따라 미끄러진다. 컨택트 스프링(32)의 단부(56)가 지지레지(22)에 의해 멈추어졌을 때 핀에 대해 예컨대 200g의 공칭접촉력이 발생되어져서 스프링(42)은 레지(22)와 상기한 격벽(18)에 고정된 지지부(33) 사이에 압착되어진다. 핀(P)은 그에 의해 기판(1)상의 각 인쇄된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다. 컨택트 스프링(32)의 휨의 량, 즉 정점부(42)가 눌려지는 크기는 제7도에 지시된 바와 같이 핀(P)의 측부(S2)와 가상선(CL)간의 거리이다. 상기 휨의 량은 스프링 컨택트(8)의 스톡 두께보다 약간작다.
제8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컨택트(8)들은 슬러그(62)에 의해 스프링 컨택트(8)의 컨택트 테일(34)에 접속된 캐리어 스트립(60)(파선으로 도시됨)을 남겨놓고 점진적인 다이 각인·성형 작업에 의해 사이드 스트립 형상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컨택트 테일(34)들은 경우에 따라 파선(64)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컨택트(8)의 스트립은 슬러그(62)를 슬러그화하고 그리고 각각의 공동부(8)에 컨택트들을 철하기 위해 컨택트 스티칭 머신(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택트(8)들은 무리장전(gangloaded), 즉 각각의 공동부(9)에 삽입되면서 캐리어 스트립(6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캐리어 스트립은 컨택트 테일이 소정의 형태로 형상화 되기 전이나 후에 절단되어진다.
컨택트 테일(34)은 스프링 컨택트(8)가 공동부(9)에 삽입되기 전 또는 후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웃보드(outbard) 관통공구조로 구부러지기도 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택트 테일(34)은 하우징 측벽(14)의 외방으로 연장하도록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도체들(도시하지 않았음)에 납땜하기 위해 스탠드오프(30)의 기판결합면과 평행하도록 구부러질 수도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택트 테일(34)은 측면(14)의 외방으로 구부러져서 인쇄회로기판(2)안의 구멍(58)의 양측부상에 있는 인쇄된 도체들에 납땜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어셈블리의 사용 모드에 있어, 취합핀들은 취합면(10) 또는 핀 안내 마우스(65)를 개방하는 컨택트 수용면(12)에 의해 공동부(9)에 삽입될 수 있다.
제13도는 컨택트 테일(34')이 무딘 후방단부(55')를 가지는 변형된 스프링 컨택트(8')를 보여주며, 제10도 및 11도의 모드는 인쇄회로기판상의 도체들을 평탄하게 납땜시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제14도는 기판(3)에 평행한 핀(p)과 핀 헤더를 취합시키기 위해 수평모드로 인쇄회로기판(3)에 적용된 하우징(6)을 보여준다. 하우징(6)안에 있는 컨택트들은 하우징(6)의 상부열 공동부에 있는 스프링 컨택트가 컨택트 테일(34)보다 길고 그리고 하우징(6)의 컨택트 수용면(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진 컨택트 테일(34)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스프링 컨택트(8)와 동일하다. 유사하게, 하우징(6)의 하부열 공동부에 있는 스프링 컨택트들도 컨택트 테일(34)보다 짧고 컨택트 수용면(12)에 근접하여 직각하여 구부러진 컨택트 테일(34')을 가진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택트 테일(34 및 34')의 수직부분은 인쇄회로기판(3)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서 각각의 도체들에 납땜되게 된다. 스탠드오프(30)는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6)이 납땜부로부터 측면으로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되지 않는다.
제15도는 단일열의 컨택트 수용공동부가 상기한 공동부(9)와 동일한 하우징(6')을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공동부안의 스프링 컨택트들은 제14도에 도시한 하우징(6)의 하부열의 공동부의 것과 동일하다. 이들 리셉터클 컨택트의 컨택트 테일(34')은 이들이 하우징(6')의 컨택트 수용면(12)을 방해시키지 않는 방도로 인쇄회로기판(4)의 각각의 구멍들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핀헤더(PHI)의 핀들은 하우징(6')의 컨택트 수용면(12)에 의해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취합될 수 있거나 또는 제2핀헤더(PH2)의 핀들은 하우징(6')의 취합면(10')에 의해 어셈블리와 취합될 수 있게 된다.
제16도는 각기 인접한 공동부들이 열을 이루고 있는 경우 인접한 열의 공동부(9')의 레지(22')들이 동일 벽면(24')으로부터 돌출하는 공동부열(9')의 하우징(6)을 포함하는 대안예를 도해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인접한 공동부들의 스프링 컨택트(8)의 정점부(42)들은 따라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7도 및 18도는 컨택트의 지지부(33')나 슬롯(15)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는 2쌍의 지지 귀(48' 및 48)를 가지는 스프링 컨택트(8)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상기 설명한 각 예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각 공동부가 평면에 의해 한정되고 그리고 공동부가 레지(22,22')까지 일정한 단면으로 되어 있어서 매우 간단하게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각각 스프링 컨택트가 단일 리프 컨택트 스프링을 가지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형화는 매우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2개의 동일한 열의 스프링 컨택트를 가지는 20개소 커넥터 어셈블리는 길이가 2.5cm, 폭이 0.5cm 그리고 높이가 0.6cm일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우징(6)은 수직, 수평, 관통공 또는 표면장착형 리셉터클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스프링 컨택트의 컨택트 테일도 컨택트 스프링이 모든 모드에 대해 동일 상태로 쉽게 채택될 수 있다. 어셈블리의 사용모드에 따르면, 취합핀은 하우징의 취합면을 경유하거나 또는 하우징의 컨택트 수용면을 경유하여 취합될 수 있다. 하우징이 재연마성 재료이고 그리고 컨택트 스프링이 황동이기 때문에 어셈블리는 사용 수명이 지나서도 재생될 수 있다. 하우징과 스프링 컨택트의 단순화에 의해 그리고 이들이 하우징 쉽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어셈블리는 전세계에 걸쳐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1열의 컨택트용 공동부를 한정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절연하우징으로서, 각 공동부는 하우징의 제1 및 제2의 양측 외측면으로 개방하여 있고 그리고 일정한 단면의 컨택트 수용부를 가지며 또한 하우징의 제1외측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제2외측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의 직각으로 배열된 평탄하고 길다란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된 상기 절연하우징; 및
    양측으로 돌기하는 지지 귀들을 가지는 중간측 평면형 지지부로부터 연장하는 만곡된 전방측 리프 컨택트 스프링, 및 지지부로부터 후방측 컨택트 테일을 포함하는 각 공동부에 있는 스프링 컨택트으로서, 상기 지지부를 지지귀들에 의해 제1평탄면에 고정되고, 지지 귀는 상기 제2 및 제3평탄면에 근접한 컨택트 지지슬롯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및 제3평탄면은 상기 제1 및 제4평탄면에 인접하고, 컨택트 테일은 하우징의 제1외측면으로부터 돌기하고 컨택트 스프링은 컨택트 스프링의 전방측 자유단부가 제1평단면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1평탄면으로부터 제4평탄면 쪽으로 구부져 있는 상기 스프링 컨택트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제4평탄면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공동부속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전기핀이 컨택트 스프링을 제1평탄면쪽으로 누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적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제2외측면에 근접한 제1평탄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레지(ledge)를 아울러 포함하여서 컨택트 스프링이 전기 핀에 의해 눌려졌을 때 컨택트 스프링이 전방단부의 자유단부에 의해 인접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컨택트 스프링의 전방자유단부가 스프링 컨택트의 중간 지지부와 공동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컨택트 스프링이 전방측 직선부 및 제1평탄면으로부터 경사져 연장하고 그리고 제1평탄면을 향해 돌기하는 정점부를 가지는 만곡부를 한정하도록 상호 협동하는 후방측 직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컨택트 스프링이 전방측 및 후방측 직선부가 동일한 길이 및 폭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만곡부가 중간 지지부의 평면으로부터 리셉터클부의 스톡두께와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컨택트 테일이 상기 제1외측면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멍들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우징의 제1외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돌기하는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컨택트 테일이 상기 제1외측면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인쇄회로기판상의 도체에 납땜되도록 하우징의 제1외측면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제1외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멍들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외측면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단부를 가지며, 하우징의 제1 및 제2외측면에 인접한 하우징의 외측면의 측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컨택트 테일이 하우징의 상기 제1 또는 제2외측면을 경유하여 핀이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취합되어지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KR1019970706317A 1995-03-14 1996-01-16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KR19980702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04,410 US5588878A (en) 1995-03-14 1995-03-14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and spring contact therefor
US8/404,410 1995-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909A true KR19980702909A (ko) 1998-09-05

Family

ID=2359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317A KR19980702909A (ko) 1995-03-14 1996-01-16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588878A (ko)
EP (1) EP0815621B1 (ko)
JP (1) JPH11502053A (ko)
KR (1) KR19980702909A (ko)
CN (1) CN1097323C (ko)
AU (1) AU4656096A (ko)
BR (1) BR9607237A (ko)
CA (1) CA2213323A1 (ko)
DE (1) DE69602020T2 (ko)
ES (1) ES2131390T3 (ko)
FI (1) FI973673A (ko)
NO (1) NO974227L (ko)
TW (1) TW408518B (ko)
WO (1) WO1996028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1779A (nl) * 1993-10-14 1995-05-01 Connector Systems Tech Nv Elektrische connector voor montage op het oppervlak van een printplaat.
US5833498A (en) * 1995-12-28 1998-11-10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tention feature and receptacle for use therein
US6000955A (en) 1997-12-10 1999-12-14 Gabriel Technologies, Inc. Multiple terminal edge connector
JPH11185903A (ja) * 1997-12-22 1999-07-09 Quasar System:Kk 電気コネクタ
CA2360363A1 (en) * 1999-01-15 2000-07-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JP3909213B2 (ja) * 2001-02-06 2007-04-25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3998442B2 (ja) * 2001-08-09 2007-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TW568460U (en) * 2003-04-11 2003-12-21 Surtec Ind Inc Signal connector device
JP2005196975A (ja) * 2003-12-26 2005-07-21 Jst Mfg Co Ltd コネクタ
US7364477B2 (en) * 2004-11-12 2008-04-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EP2342781A1 (en) * 2008-10-27 2011-07-13 Fci Connector with floating terminals
US8002572B2 (en) * 2009-07-15 2011-08-23 Luxi Electronics Corp. HDMI DIY field termination products
CN103050849A (zh) * 2011-10-12 2013-04-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扇插座
KR20180013382A (ko) * 2016-07-29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877404B1 (en) * 2017-01-27 2018-01-23 Ironwood Electronics, Inc. Adapter apparatus with socket contacts held in openings by holding structures
JP2019192527A (ja) * 2018-04-26 2019-10-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699A (en) * 1971-12-02 1973-06-19 Gte Sylvania Inc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3858163A (en) * 1973-06-06 1974-12-31 It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036544A (en) * 1974-10-16 1977-07-19 Bunker Ramo Corporation Contact for multiple conductor connector
US4220393A (en) * 1977-02-22 1980-09-02 Elfab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y
DE3376604D1 (en) * 1983-08-05 1988-06-16 Elfab Corp Press fit connector insulator and contact
US4556267A (en) * 1983-12-08 1985-12-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mounting socket
US4778396A (en) * 1984-02-06 1988-10-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liant posts and improved insertion characteristics
US4597625A (en) * 1984-07-25 1986-07-01 North American Specialti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4560218A (en) * 1984-12-03 1985-12-24 Amp Incorporated Socket for surface mount dip
JPS62157411A (ja) * 1985-12-28 1987-07-13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振動子フイルタの特性調整方法
US4802860A (en) * 1987-03-04 1989-02-07 Hirose Electric Co., Ltd. Surface mount type electrical connector
US4767342A (en) * 1987-12-07 1988-08-30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US4906198A (en) * 1988-12-12 1990-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board assembly and contact pin for use therein
EP0450770B1 (en) * 1990-04-02 1995-11-22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 connector
US5131872A (en) * 1990-05-31 1992-07-21 Amp Incorporated Contact spring socket
JPH074782Y2 (ja) * 1990-09-17 1995-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JPH0741109Y2 (ja) * 1990-09-17 1995-09-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US5161985A (en) * 1991-08-08 1992-11-10 Robinson Nugent, Inc. Board to board interconnect
JP2761489B2 (ja) * 1992-04-06 1998-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256085A (en) * 1992-11-05 1993-10-26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nector with improved ESD protection mechanism
US5403209A (en) * 1993-08-09 1995-04-04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uniform contact receiving sl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3323A1 (en) 1996-09-19
JPH11502053A (ja) 1999-02-16
TW408518B (en) 2000-10-11
MX9706602A (es) 1997-11-29
US5588878A (en) 1996-12-31
EP0815621A1 (en) 1998-01-07
NO974227D0 (no) 1997-09-12
EP0815621B1 (en) 1999-04-07
FI973673A0 (fi) 1997-09-12
ES2131390T3 (es) 1999-07-16
AU4656096A (en) 1996-10-02
BR9607237A (pt) 1997-11-11
DE69602020T2 (de) 1999-10-21
WO1996028866A1 (en) 1996-09-19
NO974227L (no) 1997-09-12
FI973673A (fi) 1997-09-12
CN1178606A (zh) 1998-04-08
CN1097323C (zh) 2002-12-25
DE69602020D1 (de) 199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2644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192228A (en) Shield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barbed board lock
JP3360178B2 (ja) 一体的支持構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H0613134A (ja) 接地バスを有するコネクタ
KR19980702909A (ko) 전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그를 위한 스프링컨택트
KR20000076746A (ko) 전기 단자
EP0194266B1 (en) Electrical connector
EP0717468B1 (en) Make-first-break-last ground connections
JP2767478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EP0774808A1 (en) Right-angle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anti-wicking characteristics and terminal for same
US580020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553390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alignment member
EP0996194A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370350B2 (ko)
JPH09213432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JP3067653B2 (ja) コネクタ
JP3378252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JPH07201424A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CN210296734U (zh) 电池座及电池座组件
JP3405943B2 (ja) コネクタ
KR970013520A (ko) 둥근 납땜 미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단자
MXPA97006602A (en) Assembly of electric receptacle and spring contact for me
KR20020004853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H10172631A (ja) 電気コネクタ
JPH0611187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