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881B1 - 지반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반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881B1
KR100278881B1 KR1019930013790A KR930013790A KR100278881B1 KR 100278881 B1 KR100278881 B1 KR 100278881B1 KR 1019930013790 A KR1019930013790 A KR 1019930013790A KR 930013790 A KR930013790 A KR 930013790A KR 100278881 B1 KR100278881 B1 KR 10027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ore
rod
stirring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71A (ko
Inventor
마사루 다데야마
유끼히꼬 다무라
고세이 후꾸다
요시다시게루
지까시 가미
Original Assignee
부나사와 노리유키
가부시기가이샤데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나사와 노리유키, 가부시기가이샤데녹스 filed Critical 부나사와 노리유키
Publication of KR95000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보강체를 사용하여 굴삭된 직후의 지반이나 또는 일반적인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체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단에 돌기를 설치한 봉형상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 주위에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고, 이 굴삭 교반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지반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
본 발명은, 굴삭된 직후의 지반 또는 일반적인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삭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일반적인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법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경사면에 직경 5 내지 10cm 정도의 작은 지름의 구멍을 복수 천공하고, 이 구멍내에 그라우트재를 충진한 뒤, 철근 등을 삽입하여 경사면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특히 성토와 같이 흙이 푸석푸석하고, 붕괴되기 쉬운 지반의 굴삭이나 열차가 주행중인 철도 부근에서 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종래의 방법으로는 철근 등 단위 길이당의 인발 저항력이 작다. 이 때문에 철근 한 개당의 길이를 길게 하고, 복수개의 철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이다.
<2> 철근 등 단위 길이당의 인발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천공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큰 직경의 구멍을 천공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은, 주위의 토사 붕괴를 초래하기 쉽다. 그렇게 되면 구멍의 일부가 붕괴되는 것만으로도 지표면의 침하로 연결될 경우가 있으며, 특히 철도 부근의 공사에서는 위험하다.
또 보강체의 완성 형상이 확실하지 않으므로, 안정된 인발 저항력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보강체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며 또한 안전하게 지반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체와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선단에 돌기를 설치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그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이 굴삭 교반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선단에 스크류를 형성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의 스크류를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굴삭 회전 로드를 회전하여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시공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선단에 턱형상의 계지판을 설치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의 스크류를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굴삭 회전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선단에 턱형상으로 계지판을 설치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의 계지판을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굴삭 교반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한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고, 굴삭 교반 로드를 회전하여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지하로 진입한 중공 로드의 중공부를 통해 심재를 삽입하여 그 선단을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와, 심재를 중심에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토와 고화재의 혼합체와, 혼합체의 중앙에 위치하여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반내로 삽입한 심재로 구성된 보강체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보강체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보강체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보강체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보강체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보강체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심재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회전통 선단의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보강체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 로드 2 : 심재
3 : 보강체 11 : 굴삭 날개
12 : 교반 날개 13 : 회전통
14 : 선단 구멍 15 : 피드 플레이트(feed plate)
21 : 스크류 22 : 계지판
23 : 고정축 31 : 중앙 보강 기둥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강체 및 시공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1> 지반의 일정 범위를 교반하면서 교반토와 고화재를 지반내에서 교반 혼합하므로, 주위의 지반의 붕괴를 일으키지 않고, 직경이 큰 보강체를 축조할 수 있다.
<2> 굴삭 교반용의 중공 로드에 의해 보강체를 축조할 때, 로드의 중공부를 통해 심재를 보강체의 선단부의 지반으로 삽입하므로, 심재를 보강체의 중심부에 설치시킬 수 있다.
<3> 심재의 주변은 교반 중공 로드의 인발시에 토출된 고화재로 포위되고 심재와 주위의 개량 토사를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강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기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굴삭 교반 로드
굴삭 교반에 사용되는 중공 로드(1)는, 중공의 회전통(13) 선단의 주위에, 굴삭 날개(11), 교반 날개(12), 또는 그 하나를 설치한 장치이다.
회전통(13)은 중공인 긴 통체에 의해 형성된다.
이 회전통(13)의 내부의 중공부를 통해, 회전통(13)의 후단으로부터 고화재가 공급된다. 또한 심재(2)를 뒤에서 삽입하는 타입으로는, 회전통(13)을 통해 삽입을 수행한다.
회전통(13)의 선단부에는 중공부와 연통되는 선단 구멍(14)을 개구한다.
이 선단 구멍(14)의 지름은, 후술하는 심재(2)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심재(2)를 뒤에서 삽입하는 타입으로는, 회전통(13)의 중공부의 선단부는 선단 구멍(14)을 향해 와선 상태로 테이퍼상으로 형성하여 심재(2)가 스무스하게 선단 구멍(14)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선단 구멍(14)의 주위에는 고화재 토출구(16)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회전통(13)의 중공부를 통해 공급된 고화재는 이 토출구(16)를 통해 교반토로 공급된다.
<2> 굴삭 날개, 교반 날개
중공 회전통(13)의 선단 주변부에는 굴삭 날개(11)가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통(13)의 회전과 함께 지반에 들어가, 토사의 교반을 할 수 있다.
굴삭 날개(11)의 치형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굴삭 진행 방향을 향해 경사를 설치한 형상으로서 구성하고 또한 복수로 분할하여 둘 수 있다.
굴삭 날개(11)는, 굴삭뿐만이 아니라, 흙과 고화재를 교반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굴삭 날개(11)에 경사를 형성해 두면, 중공 로드(1)를 역회전시켜 인출할 때에, 교반토와 고화재의 혼합물에 압력을 주어 선단 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는 역할도 한다.
굴삭 날개(11)의 뒷부분에서 중공 회전통(13)의 주위에는 교반 날개(12)가 고정된다. 이 날개에 의해 흙과 고화재 등이 교반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날개(12)는 복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굴삭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를 설치한 형상으로 된다.
또한 굴삭 날개(11)와 교반 날개(12)의 중간 위치에는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한 상태에서 굴삭 날개(11)와 교반 날개(12)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의 판체를 피드플레이트(15)로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드 플레이트(15)는, 회전통(13)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회전통(13)의 전진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토사내로 들어간다. 그 결과, 교반토가 교반 날개(12)의 회전과 함께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기술에서는, 굴삭 날개(11)와 교반 날개(12)를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실제 지하에서의 기능은 확실히 분리되기 어렵고 양자가 일체가 되어 굴삭, 교반을 수행하게 된다.
<3a> 심재 (제 1)
이 심재(2)는 선단에 스크류(21)가 형성된 봉형상체이다.
심재(2)의 봉형상 부분은 철근, FRP, 카본, 스틸 파이프 등 인장 강도가 크고, 그 강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으며, 부식되기 어려운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심재(2)는 사전에 중공 회전통(13)의 중공부를 통해 설치되며, 선단에 형성된 스크류(21)는, 회전통(13)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 심재(2)는, 회전통(13)의 회전력을 받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통(13)과 일체로 회전된다. 그 때문에, 회전통(13)의 전진으로 선행되어 스크류(21)는 지하로 비틀어 넣어진다.
<3b> 심재 (제 2)
이 심재(2)는 선단에 스크류(21) 등이 형성되지 않은 봉형상체이다.
심재(2)의 봉형상 부분은 철근, FRP, 카본, 스틸 파이프 등, 인장 강도가 크고, 그 강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으며 부식되기 어려운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심재(2)는 후술한 바와 같이, 중공 회전통(13)이 지하로 칩입된 후에, 이 중공부를 통해 후단으로부터 삽입되고, 그 선단을 지하로 관입시킨다.
<3c> 심재(제 3)
심재(2)의 선단에 스크류(21)를 설치하지 않고, 원반 형상의 턱판을 계지판(22)으로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 계지판(22)은, 회전통(13) 선단에 개구한 선단 구멍(14)을 바깥측으로부터 폐쇄 가능한 수치, 형상을 가지나, 심재(2)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의 원반이 일반적이다.
심재(2)와 계지판(22)은 용접, 접착, 압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계지판(22)은 선단 구멍(14)으로부터 바깥측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굴삭 전진 중에는 벗어나는 일이 없다.
계지판(22)보다도 앞쪽으로는 고정축(23)을 형성한다.
이 고정축(23)은 원추 형상, 원통 형상 등으로 형성한 부재이다. 이 고정축(23)을 아직 교반하지 않은 토사로 진입시켜둠으로써, 중공 로드(1)를 인발할 때, 심재(2)가 인장되어 빠져 나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시공 방법]
다음으로 시공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심재의 세트
<1a> 스크류가 부착된 심재를 미리 세트하는 경우(도 1 내지 3)
선단으로부터 심재(2)의 스크류(21)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중공 로드(1)에 회전력과 추진력, 또는 압입력을 준다.
그러면 중공 로드(11)의 굴삭 날개(11)는 지반으로 들어가면서 전진한다. 이때, 고화재는 회전통(13)의 선단 부근의 토출구(16)로부터 토출된다.
고화재로서는, 시멘트 밀크, 모르타르, 그 외의 액상, 분말 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토출구(16)는 역지 밸브(17)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토사가 침입되지 않는다.
토출과 동시에 회전통(13)이 회전되므로, 날개로 파낸 흙과 이 고화재가 교반 날개(12)로 교반된다.
그 결과, 토사와 시멘트 밀크 등의 고화재가 혼합되어 구성된, 직경이 큰 보강체(3)가 지하에서 생긴다.
가장 깊은 곳까지 굴삭, 교반이 완료되면 회전통(13)의 회전을 멈춘다.
심재(2)의 선단에 스크류가 설치되므로, 회전통(13)을 관통하여 설치한 심재(2)의 선단의 스크류가 지반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심재(2)를, 개량 범위외의 지반으로 고정할 수 있다.
<1b> 스크류를 설치하지 않는 심재를 뒤에서 삽입할 경우
심재(2)의 선단에 스크류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구조의 경우에는, 소정의 깊이까지 진입된 중공 로드(1)의 회전을 멈추고, 그 끝단에서 심재(2)를 삽입한다.
중공 로드(1)의 선단 구멍(14)에는 덮개가 되어 있으므로 이 덮개를 심재(2)에 의해 외부로 밀어낸다.
그리하여 심재(2)의 선단이, 중공 로드(1)의 선단에서 노출된다면, 심재(2)의 끝단에 타격 등의 밀어 넣는 힘을 준다.
그러면 심재(2)는 아직 교반되지 않는 지하로 관입되어 고정된다.
<1c> 계지판을 설치한 심재를 사전에 세트할 경우
심재(2)의 선단 부근에 턱형상으로 계지판(22)을 설치한 구조의 경우에는, 계지판(22)보다 앞쪽의 고정축(23)이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하의 내부로 꽂혀진다.
그 결과 심재(2)의 확실한 정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에 고정축(23)의 뒤쪽에는 계지판(22)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계지판(22)이 토사내로 박혀서, 인발시의 저항으로 된다.
<2> 중공 로드의 인발
다음으로 중공 로드(1)를 서서히 후퇴하고, 심재(2)를 남긴 상태에서 외부로 인발한다.
이 경우, 회전통(13)에 굴삭 전진시와는 반대 방향의 회전을 주고, 회전 속도와 인발 속도를 적당하게 조정하면, 개량된 보강체(3)의 토사를 선단을 향해 밀어 넣는 상태에서 중공 로드(1)를 인발할 수 있다.
또한 굴삭 교반 날개에 경사를 설치한 타입이 아닌 경우에는 역회전을 주지 않고 인발하는 것도 가능하며, 역회전시키는 것이 인발의 불가결한 조건은 아니다.
인발시에, 회전통(13)의 중심에 위치된 심재(2)는, 선단이 아직 교반되지 않는 지하 내로 관입되므로, 정확하게 보강체(3)의 중심에 위치된 채 중공 로드(1)를 인발할 수 있다.
<3> 고화재의 토출
중공 로드(1)가 인발되면, 회전통(13)의 부피 만큼 토사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그대로라면, 지하에 공동이 생겨 주위의 지반을 약화시키게 된다.
그래서 중공 로드(1) 인발시에, 선단 부근의 토출구(16)로부터 시멘트 밀크, 모르타르, 그 외의 고화재를 토출한다.
그러면 이 고화재가, 후퇴한 중공 로드(1) 인발후의 토사 부족분의 부피를 보강하게 된다.
이 고화재의 토출된 원주 부분은 교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심재(2)의 주위는 토사가 그다지 섞여 있지 않는 고품질의 고화재로 포위된 중앙 보강 기둥(31)이 구성된다.
<4> 심재 끝단의 정착
중공 로드(1)가 인발되면, 주위가 보강된 상태의 심재(2)의 끝단이 지표로 노출된다. 이 끝단을 지반의 면에 설치하는 지압판과, 후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벽체, 또는 임시 방벽의 지지 틀체 등에 의해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재(2)의 끝단을 파지하여 잭(jack)에 의해 인장하여 소정의 인장력을 주어 앵커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종래의 앵커와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그 결과, 길이가 짧은 보강체(3)가 지하에 구축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를 시공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여러번 시공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교하여 효율성 있는 작업에 의해 넓은 지역의 지반 개량이 수행될 수 있다.
<2> 개량해야할 토사는 전혀 외부로 반출되지 않고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과 도로, 건축물에 접근된 장소에서의 작업에 있어서도 주위의 지반을 침하시킬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3> 개량된 보강체는, 중심부는 강도가 큰 고화재의 중앙 보강 기둥, 주위는 토사와 고화재의 혼합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 높은 고품질의 고화체가 지하에 구축될 수 있다.
<4> 심재의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하내로 관입시키기 위하여, 중공 로드를 후퇴시킬 때, 심재를 보강체의 중심 위치에 둘 수 있다.
<5> 굴삭 교반용의 중공 로드의 인발 시에, 회전 속도와 인발 속도를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개량된 보강체의 토사를 선단을 향해 밀어 넣는 상태에서 중공 로드를 인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인발에 의해서도 교반된 토사는 푸석푸석해지지 않고, 반대로 밀어넣어 조여져, 견고한 보강체를 형성할 수 있다.
<6> 직경이 크고, 길이가 짧으며 또한 신뢰성이 높은 보강체를 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좁은 용지, 높이에 제한이 있는 용지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돌기(스크류, 계지판)가 부착된 심재를 미리 세트하여 두는 타입으로 선단에 돌기를 설치한 봉형상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그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굴삭 교반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
  2. 스크류가 부착된 심재를 미리 세트해 두는 타입으로, 선단에 스크류를 형성한 봉형상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의 스크류를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굴삭 회전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
  3. 계지판이 부착된 심재를 미리 세트하여 두는 타입으로, 선단에 턱형상으로 계지판을 설치한 봉형상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선단으로부터 심재 선단의 계지판을 노출시킨 상태의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며, 굴삭 교반 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심재를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
  4. 심재를 뒤에서 삽입하는 타입으로, 봉형상체로 이루어진 심재와, 중공 회전축의 주위에 굴삭 교반용의 날개를 설치한 굴삭 교반 로드를 사용하고, 굴삭 교반로드를 회전시켜 지하로 전진시켜 교반토와 고화재를 동시에 교반하는 단계와, 지하로 진입된 중공 로드의 중공부를 통해, 심재를 삽입하여 그 선단을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와, 심재를 중심에 남긴 채 중공 로드를 선단으로부터 고화재를 토출하면서 지하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심재의 지표로의 노출단을 지표면에 직접,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의 시공 방법.
  5.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토와 고화재와의 혼합체와, 혼합체의 중앙에 위치되고,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반내로 삽입한 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6. 지하에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토와 고화재와의 혼합체와, 이 혼합체의 중앙에 위치되고, 고화재로 이루어진 보강 기둥과, 보강 기둥의 중앙에 위치되며,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반내로 삽입한 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7.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토와 고화재와의 혼합체와, 혼합체의 중앙에 위치되고,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반내로 삽입한 철강제의 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8.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토와 고화재와의 혼합체와, 이 혼합체의 중앙에 위치되고,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반내로 삽입한 카본 섬유제의 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9.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교반토와 고화재와의 혼합체와, 이 혼합체의 중앙에 위치되고, 선단을 아직 교반되지 않은 지반내로 삽입한 FRP 섬유제의 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KR1019930013790A 1992-10-20 1993-07-21 지반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278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06281 1992-10-20
JP4306281A JP2649884B2 (ja) 1992-10-20 1992-10-20 引張り補強体施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71A KR950003571A (ko) 1995-02-17
KR100278881B1 true KR100278881B1 (ko) 2001-01-15

Family

ID=1795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790A KR100278881B1 (ko) 1992-10-20 1993-07-21 지반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649884B2 (ko)
KR (1) KR100278881B1 (ko)
CN (1) CN109454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01B1 (ko) * 2017-11-13 2018-07-31 조성원 오거 드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시공 방법
KR101900343B1 (ko) * 2016-06-22 2018-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선형 지지구조를 갖는 교반 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26538A (ko) 2018-05-02 2019-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크류형 드릴비트를 이용한 비배토 굴착교반장치 및 스크류형 드릴비트를 이용한 비배토 굴착교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2209B2 (ja) * 2001-08-10 2011-04-20 株式会社テノックス 芯材として細径の鋼管パイプが存在するソイルセメント柱体及び築造方法
CN1309910C (zh) * 2003-08-12 2007-04-11 张政丰 预拌土壤工法
CN113047222A (zh) * 2021-02-24 2021-06-29 堡森(上海)新材料科技有限公司 利用搅拌斗制备河道淤泥生态修复护坡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366B2 (ko) * 1972-10-21 1978-04-13
JP2554513B2 (ja) * 1987-12-03 1996-11-13 清水建設株式会社 埋込み部材の定着端部構造
JPH01146014A (ja) * 1987-12-03 1989-06-08 Hirose Kk アースアンカー等用の芯パイプ
JPH045313A (ja) * 1990-04-20 1992-01-09 Mitsui Constr Co Ltd 地盤補強法および地盤補強装置
JPH0452317A (ja) * 1990-06-19 1992-02-20 Kowa:Kk アンカ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343B1 (ko) * 2016-06-22 2018-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선형 지지구조를 갖는 교반 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71801B1 (ko) * 2017-11-13 2018-07-31 조성원 오거 드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시공 방법
KR20190126538A (ko) 2018-05-02 2019-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크류형 드릴비트를 이용한 비배토 굴착교반장치 및 스크류형 드릴비트를 이용한 비배토 굴착교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28954A (ja) 1994-05-10
JP2649884B2 (ja) 1997-09-03
CN1094544C (zh) 2002-11-20
KR950003571A (ko) 1995-02-17
CN1086280A (zh) 199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55530A (ja) 既製杭の埋設方法及び先端金具
US5348424A (en) Reinforcing block for excavation work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0278881B1 (ko) 지반 보강체 및 그 시공 방법
JPH10168880A (ja) 地中埋設障害物の除去装置および同障害物の除去方法
JP2575329B2 (ja) 引張り補強体
JP2619321B2 (ja) 大径引張り補強体を用いた地盤の補強方法
JP2832508B2 (ja) 山留壁の構造および山留工法
JP3931298B2 (ja) 中空管杭の芯ズレ防止装置および中空管杭の芯ズレ防止施工方法
JPH0841870A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連結杭工法
JP2578388B2 (ja) 大径引張り補強体を用いた地盤の補強方法
JP3182674B2 (ja) 攪拌混合補強体の施工方法
JP4360745B2 (ja) 既製杭の施工方法
JPH11200750A (ja) 拡孔用掘削ビットとそのビットを用いた施工方法
JPS6383316A (ja) 杭の埋設方法
JP2645322B2 (ja) ソイルセメント合成杭の造成方法
JP2811038B2 (ja) 大径曲げ引張り補強体とその築造方法
JP2630709B2 (ja) 引張り補強体施工装置
JP3726991B2 (ja) 支持力向上杭の施工方法
JPS62178620A (ja) 角形地盤改良体の造成方法
JPH05311653A (ja) 引張り補強体施工装置
JP2881614B2 (ja) 流出防止蓋及び流出防止樋
JP2564465B2 (ja) 既製杭埋設工法
JP2000345546A (ja) 硬質層を有する軟質地盤の改良工法
JP2001182055A (ja) 芯材を挿入されたソイルセメントコラム柱体およびその築造方法
JPH0757947B2 (ja) 現場打ち杭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