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545B1 -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 - Google Patents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545B1
KR100278545B1 KR1019980036528A KR19980036528A KR100278545B1 KR 100278545 B1 KR100278545 B1 KR 100278545B1 KR 1019980036528 A KR1019980036528 A KR 1019980036528A KR 19980036528 A KR19980036528 A KR 19980036528A KR 100278545 B1 KR100278545 B1 KR 10027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low path
coating material
suppl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552A (ko
Inventor
요시유끼 사까이
다쓰야 요시까와
아끼노리 이데
Original Assignee
오카노 사다오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2414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69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03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33315A/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노 사다오,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노 사다오
Publication of KR1999002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05C5/0258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flow controlled, e.g. by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opposite side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05D1/265Extrusion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상부 다이 장치(37) 및 하부 다이 장치(39)는 이송되고 있는 기체(31)에 갭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피복제가 흘러 들어가는 유입로(103, 105)와 기체(31)를 피복하기 위해 피복제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포트(101, 102)를 갖는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를 구비한다. 각 다이 장치(37, 39)의 유로부(97b, 99b)에 삽입된 집적편(119, 121)은 유로부(97b, 99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때 피복제가 흡입되고,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의 피복제의 방출이 중단되어, 비피복부(F)가 형성되고, 왕복 작용을 반복하면 피복 및 비피복이 반복된다. 피복제 공급 유로(339) 도중의 유연판(355)은 캠(387)의 회전에 의한 피스톤 부재(363)의 진퇴 작용에 따라 변위된다.

Description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
본 발명은 기체(基體)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단속적으로 기체의 표면을 피복제로 피복하기 위한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속 피복 시스템(C1)을 나타낸다. 단속 피복 시스템(C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극 기체(3)를 피복제(7)로서 전극 합성물을 사용하여 단속적으로 피복하기 위한 것이다. 기체(3)는 롤러(1)상에 감겨서 방향(A)으로 이송되고, 피복제(7)가 롤러(1)의 일측에 배치된 슬릿 다이(5)로부터 기체에 피복된다.
슬릿 다이(5)는 단부에 방출구를 갖는 공급 유로를 가지며, 이 유로에 탱크(9) 내의 피복제가 펌프(11)의 작용에 의해 공급된다. 개폐 밸브(15)는 슬릿 다이(5)의 상류 부분 방향으로 파이핑(13)상에 장치되고, 컨트롤러(17)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17)는 단속적으로 피복된 기체(3)의 비피복부를 센서(19)로 탐지하여, 밸브(15)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비피복부를 형성한다. 슬릿 다이(5)는 지지축(20)에서 실선 위치로부터 이점 쇄선 위치로 회전 가능하다.
도 2는 다른 종래의 단속 피복 시스템(C2)을 나타낸다. 이 단속 피복 시스템(C2)은 롤러(21)상에 감기면서 방향(B)으로 이송되는 기체(23)상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복 롤러(25)상의 피복제가 피복되도록 배치된다. 피복 롤러(25) 위에는 닥터나이프(doctor knife)(29)가 설치된다.
이 나이프(29)의 끝을 피복 롤러(25)에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킬 때, 피복 롤러(25) 상에 피복제가 단속적으로 들러붙으며, 이 피복제가 기체(23)상으로 이전함으로써 단속 피복 처리가 실행된다.
피복 시스템(C1)에서 개폐 밸브(15)로 피복제의 공급을 휴지시켰을 때, 공급 유로에서의 잔류압으로 인해 방출구로부터 피복 적하(coating drip)가 발생하고, 그 결과 균일 두께를 갖는 피복막을 얻기 어렵다. 이를 막기 위해 슬릿 다이(5)를 이점 쇄선 위치로 돌리면, 그 만큼 피복 처리의 실행에 더 많은 시간을 요하고, 그 결과 생산성이 감소한다.
또한 롤러(1)상의 기체(3)상에 피복제가 피복되므로 피복 형태가 일측(one-side) 표면 피복형이다. 또한 비피복부를 감지함으로써 단속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피복 속도를 고속화하기 어려워 생산성의 감소란 대가를 치르게 된다.
또한 밸브(15)를 열어서 피복제의 공급을 재개할 때, 피복이 개시되는 단부에 잔류압으로 인해 피복제가 쌓인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균일한 두께의 피복막을 얻기가 어렵다.
피복 롤러(25)를 기체(23)에 위치시키고, 나이프(29)를 피복 롤러(25)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피복 시스템(C2)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 결과, 관계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피복제는 그 흐름의 이동이 피복 롤러(25) 위로 이루어지므로 피복막의 두께의 균일성이 손상된다.
또한 피복 형태가 피복 시스템(C1)의 경우와 같이 일측 표면 피복 방식이므로 이 피복 시스템(C2)은 생산성의 견지에서 볼 때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그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빠른 피복 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균일한 두께를 갖는 피복막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이것을 상대적으로 저가로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고생산성을 제공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피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피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상부 및 하부 다이 장치부가 단면으로 나타난 도 3의 피복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a는 피복제가 도 3에 나타낸 피복 시스템의 방출 포트로부터 방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피복제의 방출이 중단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피복제가 도 3에 나타낸 피복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피복되는 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그 측면도이고, 도 7c는 다른 단속 피복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C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피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연판 및 피스톤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9의 피복 시스템에 사용되는 캠 및 롤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a는 피복제가 도 9의 피복 시스템의 방출 포트로부터 방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4b는 피복제의 방출이 중단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하면, 등유량으로 피복제를 방출하는 피복제원, 이렇게 방출된 피복제를 안내하는 유로, 기체의 표면상의 유로로부터 공급된 피복제를 피복하는 다이 장치, 유로와 연통하여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 위치에서 피복제를 집적하는 집적기(accumulator) 및 집적기의 체적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의하면, 유량이 고정된 피복제원으로부터 방출된 피복제가 유로를 따라 안내되어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 위치에서 상기 유로와 연통하여 집적기의 체적의 변화에 상당하는 유량으로 다이 장치로 공급됨으로써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된다.
집적기의 체적을 고정하면, 유량이 고정된 피복제가 다이 장치로 공급됨으로써 형성된 피복막이 두께가 균일해진다. 집적기의 체적을 증가하면, 피복제가 끌려 들어감으로써 다이 장치로의 공급이 휴지된다. 그 결과 단속 피복이 가능해진다. 집적기의 체적을 크게 변화하면, 상류 부분측으로부터 공급된 피복제의 양이 증가할뿐만 아니라 하류 부분측으로 공급되고 있는 피복제부분도 흡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다이 장치로부터 피복제가 적하하거나 낙착하지 않으므로 피복막의 주변부가 선명해진다. 이렇게 해서 흡입된 피복제는 비피복시에 복구될 수도 있고 피복 개시시에 성형을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시스템은 유량의 제어를 통해 단속 피복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가에 상대적으로 고정밀 피복을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집적기가 집적 용기와 이 집적 용기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컨트롤러가 고정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가 피스톤 부재, 고무판 부재 또는 탄성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메커니즘이 단속 사이클에 상당하는 캠과 상기 캠에 연결된 캠 종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이 일정 유량으로 방출되는 피복제를 안내하는 다른 유로, 기체의 반대면상의 상기 다른 유로로부터 공급된 피복제를 피복하는 다른 다이 장치 및 다른 유로와 연통하여 다른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 위치에서 피복제를 집적하는 다른 집적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정 유량으로 피복제를 방출하고, 방출된 피복제를 유로를 따라서 안내하여 다이 장치에 공급하고, 다이 장치에 공급된 피복제를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하고, 유로를 따라서 안내된 피복제를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 위치에서 피복함으로써 다이 장치로의 공급을 휴지시켜 기체의 표면상의 피복을 휴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단속 피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이송되는 기체의 대응하는 표면상에 피복제를 피복하기 위한 다이 장치가 기체의 표면에 가깝게 배치되고 개방 방출 포트를 갖는 피복제 공급 유로가 설치되며, 피복제 공급 유로 중에 위치하고 피복제 공급 유로에 가깝게 위치한 상태에서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기 위한 피복제 공급 위치와 기체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는 것을 휴지시키기 위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피복제 공급 유로와 연통하여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제 공급 휴지 위치 사이에서 집적편(accumulation piece)이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집적편이 계속 피복제 공급 유로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피복제 공급 유로를 통해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가 방출 포트로부터 방출되어서 기체에 공급되어 피복된다. 한편, 집적편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피복제 흡입 공간이 형성될 때, 피복제 공급 유로를 통해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는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되어 방출 포트로 흐르지 않음으로써 기체로의 공급이 휴지된다. 기체상의 피복제의 공급과 상기 공급의 휴지를 집적편의 왕복 이동을 통해서 실현함으로써 이송되고 있는 기체 상에 이송기의 이송 방향으로 피복제가 단속적으로 피복되게 하여 단속 피복을 실행한다.
즉 단속 피복 처리를 위한 기체상의 피복제의 공급 및 상기 공급의 휴지는 방출 포트부의 피복제가 집적편의 왕복 이동에 의해 형성된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되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피복부의 형성을 개시할 때에 방출 포트로부터의 피복제 적하와 피복막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 결과 매끄럽고 고정밀도의 피복면이 얻어지고 또한 피복 속도의 지연이 생기지 않아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집적편이 왕복 이동하는 구조로 피복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시스템을 제조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정밀도 기계 가공을 수행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피복제 공급 유로의 방출 포트가 기체의 거의 전폭에 걸쳐 설치되고, 그에 상응하여 집적편과 피복제 흡입 공간 또한 기체의 거의 전폭에 걸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속 피복 처리가 기체의 거의 전폭에 걸쳐 수행되며, 이에 의해 매끄러운 피복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피복제 공급 유로의 방출 포트의 인근에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방출 포트와 피복제 흡입 공간 사이의 피복제 공급 유로가 짧아지며, 그 결과 상기 공급 유로부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가 신뢰도 높게 피복제 흡입 공간측으로 흡입된다. 그 결과 매끄러운 피복면이 얻어지며, 보다 고정밀도의 단속 피복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다이 장치에는 피복제 공급 유로측으로 집적편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어, 집적편을 스프링으로 규제부측에 눌러서 캠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규제부측에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집적편이 스프링에 의해 눌려서 규제부와 인접한 상태에서 피복제 공급 유로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가 방출 포트를 통해서 기체상에 공급된다. 한편, 캠에 의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집적편이 이동함으로써 피복제가 흡입되는 피복제 흡입 공간이 형성되어, 그 결과 기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이 휴지된다. 결국 집적편은 캠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신뢰성 있게 왕복하며 그에 따라 보다 고정밀도의 단속 피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집적편이 피복제 공급 유로가 위치하는 측의 반대측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눌리고, 캠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피복제 공급 유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집적편이 캠에 의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눌림으로써 계속 피복제 공급 유로측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피복제 공급 유로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는 방출 포트를 통해 기체상에 공급된다. 한편 스프링에 의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집적편에 의해서 피복제가 흡입되는 피복제 흡입 공간이 형성되고, 그 결과 기체상의 피복제의 공급이 휴지된다.
집적편이 피복제 공급 휴지 위치로부터 피복제 공급 위치로 이동될 때, 집적편이 캠에 의해 살짝 눌리고 그 결과 피복제 흡입 공간내의 피복제가 살짝 밀려나오고, 그 결과 고정밀도의 피복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다이 장치를 기체에 대향하도록 짝으로 배치하고, 그 결과 한 쌍의 다이 장치가 피복제를 기체의 양면상에 피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체의 양측에 배치된 다이 장치의 세트에 의해 이송기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체의 양면에 단속 피복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체의 표면에 근접하여 다이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다이 장치에는 방출 포트가 기체의 표면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는 피복제 공급 유로가 설비되고,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의 중간 위치에 유로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판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판이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기 위한 피복제 공급 형태와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피복제 공급 형태로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피복제 공급 유로와 연통하여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기체의 표면상의 피복제 공급 유로의 공급을 휴지시키는 피복제 공급 휴지 형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속 피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피복 시스템에 의하면, 탄성판이 피복제 공급 형태를 취할 때, 피복제 공급 유로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는 방출 포트로부터 방출되어 기체상에 공급됨으로써 기체상에 피복된다. 한편 탄성판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하는 피복제 공급 휴지 형태로 있을 때, 피복제 공급 유로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는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되고 방출 포트로 유입되지 않아 기체상으로의 공급이 휴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된 탄성판의 왕복 변형 이동을 통해서 기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과 상기 공급의 휴지를 실행함으로써 이송되고 있는 기체상에 그 이송 방향으로 피복제가 피복됨으로써 단속 피복이 수행된다.
즉 단속 피복을 실행하기 위한 기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과 상기 공급의 휴지는 탄성판의 왕복 변형 이동에 의해 형성된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방출구 인근의 피복제를 흡입함으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피복부 형성 개시시에 방출 포트로부터의 피복제 적하와 피복막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 결과 매끄러운 고정밀 피복면이 얻어지며 피복 속도의 지연 또한 발생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성판이 변형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구조로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시스템을 제조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고정밀 기계 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탄성판이 그 외부 주변부에서 다이 장치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서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 부재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하는 방향으로 피스톤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판이 다이 장치에 고정되는 외측 주변부를 가지는 상태에서 탄성판이 피복제 공급 형태와 그 중앙부가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피복제 공급 형태로 이동되는 피복제 공급 휴지 형태 사이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피스톤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는 한편, 피복제 공급 유로가 위치한 측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와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캠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피복제 공급 유로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피스톤 부재가 캠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눌려서 피복제 공급 유로측으로 이동되는 상태에서 탄성판은 피복제 공급 형태를 취한다. 이 때 피복제 공급 유로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는 방출 포트를 통해서 기체상으로 공급된다. 한편, 피스톤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눌려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탄성판은 또한 상기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피복제가 흡입되는 피복제 흡입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기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이 휴지된다.
따라서 탄성판은 캠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한 변형으로 신뢰성 있게 왕복 이동되며, 그 결과 고정밀 단속 피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이송되고 있는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피복하기 위한 다이 장치를 기체의 표면에 근접시켜 배치하고, 상기 다이 장치에는 기체의 표면을 향해 방출 포트가 개방되어 있는 피복제 공급 유로를 설비하고, 피복제 공급 유로의 중간 위치에서는 유로벽의 탄성판 구성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탄성판을 거의 평평하게 하여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는 한편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판을 평평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피복제 공급 유로와 연통하는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피복제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기체의 표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을 휴지시키는 공정과, 피복제 공급 공정과 피복제 공급 휴지 공정을 교대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피복제가 기체 표면에 단속적으로 피복되는 단속 피복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단속 피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피복 방법에 의하면, 탄성판의 왕복 변형 운동에 의해서 기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과 상기 공급의 휴지가 수행됨으로써 피복제가 이송기의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기체상에 피복되어 단속 피복 공정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피복 시스템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의 피복제의 방출 포트상의 단부가 방출 포트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피복제 공급 유로로 후퇴한다.
이와 같은 피복 방법에 의하면, 피복제의 공급이 휴지될 때, 방출 포트의 끝으로부터 피복제 공급 유로로 소정의 거리만큼 피복제가 후퇴하는 상태에 이르게 됨으로써 방출 포트의 단으로부터의 피복제의 적하를 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고정밀도의 단속 피복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피복제 공급 수단에 의해 일정량의 피복제가 계속적으로 피복제 공급 유로에 공급되고, 피복제 공급 수단은 피복제 공급량으로서 피복부상에 소정의 두께의 피복막을 형성할 때에 필요한 공급량으로부터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된 피복제의 양을 빼서 얻어지는 양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피복 방법에 의하면 기체상의 방출 포트로부터 피복제를 방출할 때, 방출 포트로부터 방출되는 피복제의 양을 피복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양에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된 양을 더하여 얻어지는 양이다. 따라서 피복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피복제의 양을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된 양을 빼서 얻어진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소정의 피복막 두께를 얻을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3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피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기체(31)는 알루미늄박 혹은 동박으로 구성된 리튬 이온의 이차 전지의 전극 셀의 기체이다. 도면에서 상기 기체(31)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송되고, 그의 양면에 전극의 합성 물질인 피복제가 피복된다.
기체(31)는 도면에서 한쌍의 피드 롤러(33)가 갖추어진 피드 장치(35)에 의해 좌로부터 우로 이송된다. 피드 장치(35)의 이송 방향으로 전방측상에 기체(31)의 표면에 피복제를 피복하기 위한 다이 장치인 한쌍의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를 갖는 피복 장치(41)가 배치된다. 또한 피복 장치(41)의 이송 방향의 전방측상에는 피복된 피복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장치(45)가 배치된다. 기체(31)의 폭방향에서 보아서 양단부에는 동시에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비피복부가 있다.
피드 장치(35)는 기체(31)의 이송 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상에 각각 쌍으로 배치된 지지부(36)를 포함한다. 피드 롤러(33)의 양단부는 각각 지지부(36)에 의해 지지된다. 피복 장치(41)는 또한 기체(31)의 이송 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상에 각각 쌍으로 배치된 지지부(47)를 포함한다. 지지부(47)의 서로 마주하는 측상에는 기체(31)를 경계로 하여 서로 짝을 이루는 한쌍의 상부/하부 실린더(49, 51)가 탑재된다. 따라서 도 3은 도면에서 상기 측상에 위치한 지지부(47)가 생략된 상태에서 취한 정면도이다.
각 실린더(49, 51)는 그 단부에서 지지축(53, 55)에 의해 기체(31) 측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축이 위치한 측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한 피스톤 로드(57, 59)의 단부상에 각각 지지핀(61, 63)을 통해서 요동 레버(65, 67)(rocking arm)의 한쪽 단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요동 레버(65, 67)은 그 세로 방향으로 대략 중앙부에서 요동/지지축(69, 71)을 통해서 지지부(4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요동 레버(65, 67)의 다른 쪽 단부상에는 길다란 구멍(85, 8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서로 마주보는 쪽상에는 각각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가 갖추어진 정치 슬라이더(positioning slider)(73, 75)가 탑재된다. 정치 슬라이더(73, 75)는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의 기체(31)로 정치시키는데 사용되며 안내부(77, 79)를 통해서 지지부(47)의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활주 가능하다. 정치 슬라이더(73, 75)는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가 설치되는 쪽의 반대쪽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요동 레버(65, 67)에 형성된 길다란 구멍(85, 87)에 설치된 연결핀(81, 83)의 삽입에 의해 요동 레버(65, 67)에 연결된다.
상부 및 하부 정치 슬라이더(73, 75) 사이에는 이 이송 방향중 그 전방의 이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기체(31)의 전방측상의 지지부(47)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정치 돌출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련된 부분을 확대하고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치 슬라이더(73, 75)의 서로 마주하는 면상에는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를 기체(31)에 정치하기 위한 정치 볼록부(89, 91)를 설치하여, 볼록부(89, 91)가 돌출부(47a)의 상부/하부 표면상에 각각 접하게 한다. 정치 볼록부(89, 91)는 정치 슬라이더(73, 75)로부터 돌출부(47a)를 향하여 돌출하는 양을 내장 볼스크류 등과 같은 기구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 이는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의 미세한 정치 조정이 가능하다.
상부 다이 장치(37)는 짝을 이루는 좌우 지지부(47)상에 각각 설치된 정치 슬라이더(73) 사이에 클램프되고 고정되도록 지지되며, 하부 다이 장치(39)는 짝을 이루는 좌우 지지부(47)상에 각각 설치된 정치 슬라이더(75) 사이에 클램프되고 고정되도록 지지된다.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에는 각각 서로 연결된 제 1 블록(93, 94)과 제 2 블록(95, 96) 사이의 연결 표면에 피복제 공급 유로(97,99)가 형성된다.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는 제 1 블록(93, 94)측상에 오목부로서 형성된 체적 측정부(97a, 99a)와 한 끝이 체적 측정부(97a, 99a)와 연통하고 있고 다른 끝이 기체(31) 표면에 대향하여 방출 포트(101, 102)로서 개방된 유로부(97b,99b)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는 거의 기체(31)의 전폭에 걸쳐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블록(93, 95) 각각과 제 1 및 제 2 블록(94, 96) 각각은 도 4의 지면에 수직인 세로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시안된 단판을 그 양단에 탑재함으로써 피복제 공급 유로(97, 99)의 양단이 각각 폐쇄된다.
제 2 블록(95, 96)에는 한 끝이 체적 측정부(97a, 99a)와 연통하고 다른 끝은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피복제 진입 유로(103, 105)가 형성된다. 상기 다른 끝은 제 2 블록(95, 96)상에 각각 탑재된 주둥이(107, 109)내의 통로와 연통하고 있다. 상기 주둥이(107, 109)에 도시안된 피복제 공급관이 연결됨으로써 피복제가 도시안된 펌프의 작용으로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에 공급된다.
관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97b, 99b)에 대향하는 제 2 블록(95, 96)의 위치에 연결공(111, 113)이 형성되며, 이 연결공(111, 113)의 한 끝은 유로부(97b, 99b)와 연통하고 있고 다른 끝은 연결공(111, 113)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집적편 삽입공(115, 117)과 연통하고 있다. 상기 집적편 삽입공(115, 117)에는 유로부(97a, 99b)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집적편(119, 121)이 삽입된다.
집적편(119, 121)은 로드부(119a, 121a)와 이 로드부(119a, 121a)의 단부상에 장치되어 있는 활주부(119b, 121b)를 포함한다. 활주부(119b, 121b)의 외부 주변부에는 봉합 부재(123, 125)가 설치되어 연결공(111, 113)측과 집적편 삽입공(115, 117)측 사이에 봉합을 제공한다. 또한 활주부(119b, 121b)와 집적편 삽입공(115, 117)이 외측으로 개방된 위치에 탑재된 안내 보스(127 ,129) 사이에 스프링(131, 133)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31, 133)에 의해 집적편(119, 121)이 연결공(111, 113)측으로 밀림으로써 활주부(119b, 121b)는 연결공(111, 113)과 집적편 삽입공(115, 117) 사이에 위치한 단상부(135, 137)에 인접하여 규제부로서 기능하며, 그 결과 집적편(119, 121)의 유로부(97b, 99b)를 향한 이동이 규제된다.
제 2 블록(95, 96)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집적편(119, 121)의 단부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19c, 121c)가 설치된다. 캠(139, 141)은 상기 플랜지(119c, 121c)의 로드부(119a, 121a)측의 표면에 배치된다. 캠(139, 141)의 회전에 의해서 집적편(119, 121)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위치(피복제 공급 위치)와 도 5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피복제 공급 휴지 위치)사이에서 왕복적으로 이동된다. 집적편(119, 121)이 이점 쇄선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이 집적편(119, 121)의 연결공(111, 113) 및 활주부(119b, 121b)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피복 시스템에 의하면, 실린더(49, 51)의 작용에 의해 정치 슬라이더(73, 75)가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방향으로 활주함으로써 정치 볼록부(89, 91)가 그 단부에서 지지부(47)측상의 돌출부(47a)에 접하게 된다. 이 결과로서 방출 포트(101, 102)가 형성된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의 단부 표면은 기체(31)의 표면으로부터 피복 두께에 상당하는 작은 갭(약 0.2mm)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정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중에 있는 기체(31)에 피복제를 피복하기 위해서 먼저 도시안된 펌프의 구동으로 피복제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피복제가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의 피복제 진입로(103, 105)를 통과하여 피복제 공급로(97, 99)의 체적 측정부(97a, 99a)로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피복제는 유로부(97b, 99b)를 통과하여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 기체(31)를 향해 방출된다.
피복제가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 방출된 상태에서, 집적편(119, 121)은 활주부(119b, 121b)가 단상부(135, 137)와 접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피복제는 또한 연결공(111, 113)으로 계속 진입되며, 그에 의해 피복제가 방출 포트(101, 102)를 포함해서 피복제 공급 유로(97, 99) 전체에 채워진다. 도 6a는 이 때의 상부 다이 장치측의 동작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캠(139, 141)이 이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회전할 때, 집적편(119, 121)이 스프링(131, 133)의 탄성력에 반하여 연결공(111, 1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활주부(119b, 121b)가 도 5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다다르게 된다. 그 결과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이 활주부(119b, 121b)와 연결공(111, 113) 사이에 형성된다.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의 형성에 의해서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로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는 피복제가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로부터 연결공(111, 113)을 통해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으로 흡입된다. 그 결과 방출 포트(101, 102)의 인근에 위치한 피복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로 빨려 들어감으로서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의 피복제의 방출이 휴지된다. 따라서 피복제가 피복되지 않는 비피복부가 기체(31)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캠이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이 형성된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만큼 더 회전하면, 집적편(119, 121)이 연결공(111, 113)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활주부(119b, 121b)가 단상부(135, 137)에 인접한다. 그 결과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내의 피복제가 밀려나와서 상기 피복제가 다시 방출 포트(101, 102)인근의 유로부(97b, 99b)로 진입된다. 이 시기 동안에도 피복제는 계속해서 외측으로부터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로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 방출된 피복제가 기체(31) 표면상에 피복되고, 그 결과 피복부가 그 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적편 삽입공(115, 117) 중의 집적편(119, 121)을 캠(139, 141)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집적편(119, 121)을 피복제 공급 위치 및 피복제 공급 휴지 위치로 교대로 옮김으로써, 피복부(E)와 비피복부(F)가 교대로 형성되는 단속 피복이 동시에 기체(31)의 양면에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그 결과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7b에서 기체(31)의 양면상의 단속 피복 패턴은 외형상으로 동일하지만, 상기 캠(139, 141) 사이의 상부/하부 다이 장치(37, 39)의 캠(139, 141)의 패턴을 바꿀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집적편(119, 121)이 움직이는 상태를 바꾸면, 예를 들어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사이에 단속 피복 패턴을 다르게 만들 수도 있다.
피복 시스템에 의하면, 비피복부(F)를 형성할 때, 유로부(97b, 99b) 중의 피복제가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 중으로 흡입되므로, 그 결과 피복제가 방출 포트(101, 102)의 인근에서 나오는 것을 멈춘다. 이 결과로서 유로부(97b, 99b) 중의 잔류압으로 인한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의 피복제 적하의 발생이 방지되고, 그 결과 매끄러운 고정밀 피복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속 피복이 캠(139, 141)의 회전에 의해서 수행되므로, 피복 속도가 지연되지 않으며, 그 결과 고효율의 단속 피복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집적편(119, 121)이 캠(139, 141)의 구동에 의해 왕복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시스템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스템을 제조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정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집적편(119, 121)이 설치되는 위치를 방출 포트(101, 102)에 가능한 한 가깝도록 해야한다. 결과적으로 연결공(111, 113)과 방출 포트(101, 102)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방출 포트(101, 102) 근처의 피복제를 피복제 흡입 공간(143, 145)으로 신뢰성 높게 빨아들일 수가 있으므로, 보다 고품질의 피복면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앞서 설명한 도 5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상부/하부 다이 장치(237, 239)에는 삽입공(219b, 221b) 중에서 활주가능하지만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집적편(219, 221)이 설치된다. 집적편(219, 221)의 로드부(219a, 221a)의 끝은 플랜지(219c, 221c)에 나사 고정되고, 그 기저단은 또한 보스(219e, 221e)에 나사 고정된다.
삽입공(219b, 221b)의 유로부(97b, 99b)상에는 플랜지(219c, 221c)가 수용된 확대 오목부(211, 21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19c, 221c)에는 플랜지(219c, 221c)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고무제 판상 봉합 부재(223, 225)가 접착된다. 봉합 부재(223, 225)의 주변부는 오목부(211, 213)의 개구부의 주변부에 고정된다.
볼록부(219h, 221h)는 집적편(219, 221)이 위치한 측의 반대측상의 보스(219e, 221e)의 단부에 형성된다. 볼록부(219h, 221h)에 수용된 베어링(219g, 221g)은 보스(219e, 221e)에 삽입 고정된 축(219f, 221f)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하부 다이 장치(237, 239)와 보스(219e, 221e) 사이에 각각 스프링(231, 233)이 배치됨으로써 보스(219e, 221e)가 유로부(97b, 99b)가 위치되는 한편 캠(139, 141)은 베어링(219g, 221g)의 외경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의 반대측을 향하여 눌린다.
도 8의 구성에서, 캠(139, 141)은 도 8과 같이 나타내고, 스프링(231, 233)은 보스(219e, 221e)를 통해서 캠(139, 141)에 의해 눌림으로써 후퇴한다. 이 때, 봉합 부재(223, 225)는 거의 평평한 판상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플랜지(219c, 221c)와 함께 실선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 유로부(97b, 99b)를 흘러 지나가는 피복제가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 방출됨으로써 피복제가 기체(31)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캠(139, 141)이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소정의 각만큼 회전할 때, 보스(219e, 221e)는 스프링(231, 233)에 의해 눌리고, 집적편(219, 221)과 함께 빠르게 유로부(97b, 99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합쳐진 플랜지(219c, 221c)도 상기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봉합 부재(223, 225)가 상기 방향으로 끌린다. 그래서 봉합 부재(223, 225)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됨으로써 유로부(97b, 99b)와 연통하는 피복제 흡입 공간(243, 245)이 빠르게 형성된다.
피복제 흡입 공간(243, 245)의 형성의 결과로서, 피복제 공급 유로(97, 99)로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피복제는 유로부(97b, 99b)로부터 피복제 흡입 공간(243, 245)으로 흡입된다. 그 결과 방출 포트(101, 102) 인근의 피복제는 앞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제 공급 유로(97, 99)의 내부로 상기 피복제가 빨려드는 상태가 되고, 그 결과 기체(31)의 표면상에 피복제가 피복되지 않은 비피복부가 형성된다.
또한 도 8의 상기 피복 시스템에서, 이와 같은 비피복부(F)가 형성될 때, 유로부(97b, 99b) 중의 피복제는 피복제 흡입 공간(243, 245)으로 흡입되고, 그 결과 피복제는 방출 포트(101, 102) 인근에서 나오기를 거의 멈춘다. 그래서 유로부(97b, 99b)의 잔류압으로 인한 방출 포트(101, 102)로부터의 피복제 적하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비피복부의 형성 후에, 피복부의 형성을 개시할 때, 집적편(219, 221)은 살짝 캠(139, 141)에 의해 눌려서 봉합 부재(223, 225)가 이점 쇄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복귀한다. 그 결과 피복제 흡입 공간(243, 245) 중의 피복제는 살짝 유로부(97b, 99b)로 밀려남으로써 피복면의 축적의 발생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이에 의해 보다 매끄러운 고정밀 피복면이 얻어진다.
부가해서, 집적편(119, 121) 및 집적편(219, 221)을 왕복적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은 캠(139, 141)에 의해 수행되는 구동 작업을 사용하는 것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복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체(331)는 알루미늄박이나 동박으로 구성된 리튬 이온의 이차 전지에서의 전극셀의 기체이다. 기체(331)는 도 9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수평 상태로 유지되면서 이송되므로 전극의 합성 물질을 구성하는 피복제가 기체의 양면상에 피복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기체(331)의 상부 표면에만 피복제를 피복하도록 배치하였지만, 양 구성 요소가 수직적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해서 그 하부측에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기체(31)의 양면에 피복제를 피복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다이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블록(333) 및 제 2 블록(335)은 볼트(337)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그에 의해 피복제 공급 유로(339)가 상기 블록(333, 335) 사이에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333, 335)은 각각 양측부에 고정된 지지 부재(340)에 의해 지지된다.
피복제 공급 유로(339)는 제 2 블록(335)상에 오목부로서 형성된 체적 측정부(341)와, 한 끝이 체적 측정부(341)와 연통하고 있고 다른 끝이 기체(331)의 표면에 대향하는 방출 포트(343)로서 개방되어 있는 유로부(345)를 갖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부(345)의 폭(L)은 기체(331)의 폭(W)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기체(331)는 방출 포트(343)에 상당하는 그 중앙부는 그 위에 피복제가 피복되고, 폭 방향에서 보아서 그 양측에 피복된 피복제가 없는 상태로 만들어진다.
제 1 블록(333)은 한 끝이 체적 측정부(341)와 연통하고 있고, 다른 끝이 외측으로 개방되어 피복제 공급관(349)에 의해서 피복제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펌프(351)에 연결된다. 펌프(351)는 일정양의 피복제 공급 유로(339)에로 계속해서 공급한다.
유로부(345)는 체적 측정부(341)측상의 세폭부(345a), 방출 포트(343)측상의 세폭부(345b) 및 상기 2 세폭부(345a, 345b) 사이에 형성된 확대부(345c)를 갖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부(345c)에 상당하는 제 1 블록(333)에는 그 폭이 유로부(345)의 폭(L)과 동일한 오목부(333a)가 형성되며, 오목부(333a) 중앙부에는 외측과 연통하고 있는 관통공(333b)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제 공급 유로(339)의 유로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얇은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테플론판(등록 상표) 등으로 된 탄성판(335)은 오목부(333a)의 제 2 블록(335)측상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탄성판(335)은 확대부(345c)의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333a)의 제 2 블록측(335)에 개구의 주변 모서리상에는 그 전체 원주에 걸쳐서 단상부(333c)가 형성된다. 상기 단상부(333c)에 맞추어진 프레임 부재(357)에 의해, 탄성판(355)의 주변 모서리가 지탱되고, 제 1 블록(333)에 삽입된 볼트(359)를 프레임 부재(357)에 죄어 넣음으로써, 탄성판(355)이 고정된다. 이 때 패킹(361)이 단상부(333c) 및 탄성판(355)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두 요소 사이에 봉합이 형성된다.
제 2 블록(335)이 위치한 측에 대향하는 측상의 탄성판(355)의 표면으로 관통공(333b)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피스톤 부재(363)가 연결된다. 도 11 및 도 11의 평면도인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363)는 복수의 리벳(365)에 의해 탄성판(355)의 중앙부에 고정된 지지판(367)과, 탄성판(355)이 위치한 측에 대향하는 측상의 지지판(367)의 중앙부에 고정된 축(369)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지탱 부재(371)는 축(369)을 둘러싸도록 볼트로 제 1 부재(333)에 고정된다. 축지탱 부재(371)는 관통공(333b)에 하부가 삽입된다. 부시(375, 377)는 각각 축지탱 부재(371)의 상기 삽입부 및 외부 돌출부에 고정된다. 피스톤 부재(363)는 부시(375, 377)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피복제 공급 유로(339)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탄성판(355)이 위치한 측에 대향하는 측상의 축(369)의 단부는 롤러 지탱 부재(379)에 고정된다. 롤러(383)는 지지축(381)을 통해서 롤러 지탱 부재(37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탱된다. 제 1 블록(333)측의 측상의 롤러 지탱 부재(379)의 단부의 외주변부에 플랜지(379a)가 형성된다. 플랜지(379a) 및 축지탱 부재(371) 사이에 롤러 지탱 부재(379)를 제 1 블록(3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주는 스프링(385)이 배치된다.
한편 축(369)이 위치한 측에 대향하는 롤러(383)의 측상에는 캠(387)이 배치되며, 이 캠은 캠축(389)에 고정된 상태에서 롤러(383)와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캠축(389)은 볼트(392)에 의해 제 1 블록(333)상에 고정된 캠 지탱 부재(393)에 의해 베어링(39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탱된다. 캠축(389)의 한 끝으로 커플링(397)을 통해서 AC 서보 모터(399)가 연결된다. AC 서보 모터(399)는 브라킷(401)을 통해서 제 1 블록(333)에 고정된다.
도 13은 캠(387)과 롤러(383)의 각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캠(387)은 D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캠(387)은 P점에서 롤러(383)와 접촉할 때 실선 위치로 롤러(383)를 이동시키고, 그에 상응하여 탄성판(355)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363)에 의해서 상기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거의 평평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펌프(351)에 의해 공급된 피복제는 피복제 공급 유로(339)를 통해서 방출 포트(343)로부터 방출된다. 따라서 탄성판(355)은 이와 같은 평평한 상태일 때 피복제 공급 형태를 취한다.
한편, 캠(387)이 도 13의 상기 상태로부터 D 방향으로 α각만큼 회전할 때, 롤러(383)는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상응하여 탄성판(355)은 스프링의 추력으로 피스톤 부재(363)를 통해서 피복제 공급 유로(33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탄성판(355)의 상기 변위에 의해 피복제 공급 유로(339)와 연통하는 피복제 흡입 공간(K)이 형성된다. 그래서 피복제 공급 유로(339) 중의 피복제가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K)으로 흡입되고 그 결과 기체(331)의 표면상의 피복제의 공급이 휴지된다. 따라서 탄성판(355)은 피복제 공급 유로(33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피복제 공급 휴지 형태를 취한다.
캠(387)의 반경에 대해서, 점(Q)( 및 점(R))에서의 반경(r2)은 점(P)에서의 반경(r1)보다 작다. 따라서 캠(387)의 반경은 점(R)으로부터 캠(387)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증가하고 점(P)에서 최대가 된다. 따라서 캠(387)이 점(P, Q)과 접촉할 때 롤러(383)의 이동 거리(S)는 피스톤 부재(363)의 행정에 상당하고, 탄성판(355)은 상기 행정에 상당하는 정도로 변위된다.
다음에, 피복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판(355)이 평평한 상태에 있을 때, 펌프(351)로부터 방출된 피복제는 피복제 공급관(349) 및 피복제 진입 유로(347)를 통해서 피복제 공급 유로(339)로 흘러 들어가서 방출 포트(343)로부터 방출되어 기체(331)의 표면상에 피복된다.
도 14a는 피복제가 방출 포트(343)로부터 방출되어 기체(331)의 표면에 피복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방출 포트(343) 및 그 인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때 캠(387)의 롤러(383)와의 접촉 위치는 D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점(R)으로부터 점(P)의 범위에 있다. 이 결과 피복제가 피복된 피복부(E)가 기체(331)상에 형성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387)이 D 방향으로 점(P)이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점(Q)이 롤러(383)와 접촉하는 위치로 회전할 때, 롤러(383)가 이점 쇄선의 위치에 다다르게 된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피스톤 부재(363)도 상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탄성판(355)은 이점 쇄선의 위치에 다다름으로써 피복제 흡입 공간(K)이 형성된다.
피복제 흡입 공간(K)의 형성의 결과로서, 피복제 공급 유로(339)로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피복제의 일부가 피복제 흡입 공간(K)으로 흡입된다. 이에 상응하여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 포트(343)의 인근의 피복제는 피복제 공급 유로(339)로 빨려 들어가고 있는 상태에 다다르고, 그 결과 방출 포트(343)로부터의 피복제의 유출이 휴지된다. 따라서 피복제가 피복되지 않은 비피복부(F)가 캠(387)의 점(P)과 점(R) 사이에 형성된다.
캠(387)의 상기 회전을 통해서 도 14a와 같이 캠(387)의 점(R)으로부터 점(P)으로의 시기 동안 피복제가 방출된 상태와 도 14b와 같이 점(P)으로부터 점(R)으로의 시기 동안 피복제가 신뢰성 있게 방출되지 않은 상태를 탄성판(355)이 교대로 반복하여 변위됨으로써 피복부(E)와 비피복부(F)가 교대로 형성되는 단속 피복이 기체(331)에 수행된다.
피복 시스템에 의하면, 비피복부(F)를 형성할 때, 피복제 공급 유로(339) 중의 피복제가 피복제 흡입 공간(K)으로 흡입됨으로써 방출 포트(343)측상의 흡입된 피복제의 단부(G)가 방출 포트(343)의 끝으로부터 피복제 공급 유로(339)로의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된 상태에 다다른다. 따라서 방출 포트(343)중의 피복제의 잔류압에 기인하는 피복제의 피복제 적하가 신뢰성 있게 방지되고, 비피복부(F)의 형성 후 피복부(E)의 형성 개시시의 피복면의 축적도 방지됨으로써 매끄럽고 고정밀의 피복면이 얻어진다.
또한 단속 피복이 캠(387)의 회동에 의해서 수행되므로, 피복 속도가 지연되지 않고, 그 결과 고효율의 단속 피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판(355)이 캠(387)의 구동에 의해서 왕복적으로 변형 이동되는 구성으로 시스템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스템을 제조하기 어려울 정도의 고정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부(E)와 비피복부(F)의 합에 상당하는 피복 피치(H mm)는 캠(387)의 일회전에 상당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387)이 각(α)만큼 회전하고 점(R)이 롤러(383)와 접촉하는 위치로 더욱 회전하는 시기 동안 비피복부(F)가 형성된다. 기체(331)가 이송되는 속도를 V m/min이라 가정하면, 캠(387)의 회전수(N rpm)는 (1000 x V)/H로 계산된다.
피복부(E)를 형성할 때, 펌프(351)로부터 일정양으로 계속적으로 방출되는 피복제 이외에 피복제 흡입 공간(K)으로 흡입된 부분에 상당하는 피복제가 탄성판(355)에 의해 눌림으로써 기체(331)상에 피복된다. 이러한 이유로 비피복부(F)의 형성후 소정의 두께의 피복막을 얻기 위해서 다음 피복부(E)를 형성할 때, 펌프(351)의 방출량으로서 펌프(351)의 방출량으로만 얻어지는 피복막 두께에 상당하는 피복제의 양으로부터 피복제 흡입 공간(K)으로 흡입되는 양을 빼서 얻어지는 양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정신과 청구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가운데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빠른 피복 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균일한 두께를 갖는 피복막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이것을 상대적으로 저가로 실현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8)

  1. 등유량으로 피복제를 방출하기 위한 피복제원;
    상기 방출된 피복제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
    상기 유로로부터 공급된 피복제로 기체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한 다이 장치;
    상기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으로 유로와 연통하여 피복제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기 및 상기 집적기의 체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기는 집적 용기와 상기 집적 용기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고정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피스톤 부재, 고무판 부재 및 탄성판 부재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단속 사이클에 상당하는 캠과 상기 캠에 연결된 캠 종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등유량으로 방출되는 피복제를 안내하기 위한 다른 유로와, 기체의 반대면상에 상기 다른 유로로부터 공급된 피복제를 피복하기 위한 다른 다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으로 상기 다른 유로와 연통하여 피복제를 집적하기 위한 다른 집적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6. 등유량으로 피복제를 방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출된 피복제를 유로를 따라서 안내하여 다이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 장치로의 공급을 위해 기체의 전면을 피복제로 피복하는 단계와;
    상기 유로를 따라서 안내된 피복제를 상기 다이 장치의 상류 부분으로 집적하고, 상기 다이 장치로의 공급을 휴지시키고, 상기 기체의 표면상의 피복제의 피복을 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방법.
  7. 이송되는 기체의 전면상에 피복제를 피복하기 위한 다이 장치가 기체의 표면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다이 장치는 개방 방출 포트를 갖는 피복제 공급 유로와,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의 도중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에 근접 위치한 상태에서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기 위한 피복제 공급 위치와 기체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는 것을 휴지시키기 위해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와 연통하여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제 공급 휴지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집적편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의 방출 포트는 기체의 거의 전폭에 걸쳐 형성되고, 그에 상응하여 상기 집적편과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도 기체의 거의 전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은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의 방출 포트의 인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장치에는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측으로의 집적편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규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집적편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규제부측에 반하여 눌려서 캠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상기 규제부측에 대향하는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편이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가 위치하는 측에 대향하는 측으로 눌려서, 캠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피복제 공급 유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장치는 상기 기체에 대향하도록 짝을 이루어 배치되어, 피복제를 기체의 양면상에 피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3. 이송되는 기체의 표면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피복하는 다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다이 장치에는 그 방출 포트가 기체의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피복제 공급 유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의 중간 위치에 유로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판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판은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기 위한 피복제 공급 형태와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피복제 공급 형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와 연통하여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기체의 표면상의 피복제의 공급을 휴지시키는 피복제 공급 휴지 형태 사이에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이 그 외부 주변부에서 상기 다이 장치에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는 한편,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가 위치한 측에 대향하는 측상에 있는 단부와 미끄럼 접촉을 유지하는 동안 회전하는 캠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측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시스템.
  16. 이송되는 기체의 표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피복하며, 그 방출 포트가 기체의 표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피복제 공급 유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의 중간 위치에 유로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판을 구비하는 다이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와, 거의 평평하게 만들어진 상기 탄성판으로 상기 기체의 표면상에 피복제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판을 평평한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복제 공급 유로와 연통하는 피복제 흡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피복제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기체의 표면상으로의 피복제의 공급을 휴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피복제 공급 처리와 상기 피복제 공급 휴지 처리를 교대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상기 피복제가 기체 표면에 피복되는 단속 피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의 흡입되는 피복제의 방출 포트 상의 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방출 포트의 일단으로부터 피복제 공급 유로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는 상기 피복제 공급 수단에 의해 고정된 양으로 계속적으로 피복제 공급 유로에 공급되고, 상기 피복제 공급 수단은 피복제의 공급량으로서 피복부상에 소정의 피복막 두께를 형성할 때에 필요한 공급량으로부터 상기 피복제 흡입 공간으로 흡입된 피복제의 양을 빼서 얻어지는 양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 피복 방법.
KR1019980036528A 1997-09-05 1998-09-04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 KR100278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1460A JPH1176901A (ja) 1997-09-05 1997-09-05 コーティング装置
JP241460 1997-09-05
JP203868 1998-07-17
JP10203868A JP2000033315A (ja) 1998-07-17 1998-07-17 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コーティン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52A KR19990029552A (ko) 1999-04-26
KR100278545B1 true KR100278545B1 (ko) 2001-02-01

Family

ID=2651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528A KR100278545B1 (ko) 1997-09-05 1998-09-04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55105B1 (ko)
KR (1) KR100278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0101103A2 (hu) * 2000-03-17 2001-11-28 Sony Corporation Eljárás és berendezés száraz tartalék akkumulátor gyártására
JP4596614B2 (ja) * 2000-08-04 2010-12-08 東芝機械株式会社 基材表面に間欠的に塗布剤を塗布する装置
US7344665B2 (en) * 2002-10-23 2008-03-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die with expansible chamber device
EP2004337A1 (de) * 2006-04-10 2008-12-24 S+P Samso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trag von viskosen materialien
US8992204B2 (en) 2010-10-06 2015-03-31 Nordson Corporation Patch coating die
DE102011016761A1 (de) * 2011-04-12 2012-10-18 RWR Patentverwaltung GbR(vertreten durch Josef Rothen, 42699 Solingen, Michael Rothen, 40764 Langenfeld, Harald Wallner, 51371 Leverkusen) Vorrichtung, Koextrusionsdüse und Verfahren zum Auftragen und/oder Herstellen eines flächigen Materialverbunds sowie flächiger Materialverbund
CN102218384A (zh) * 2011-05-25 2011-10-19 深圳市浩能科技有限公司 间歇涂布装置和应用涂布装置的压力涂布机及涂布方法
DE102014112977A1 (de) * 2014-09-09 2016-03-10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ntermittierenden Beschichten
CA2934683C (en) * 2015-06-29 2021-08-24 Building Materials Invest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a moving substrate
CN108480120B (zh) * 2018-02-06 2020-07-07 江西省汇亿新能源有限公司 一种对锂电池辊槽口及盖帽顶部涂油的装置及其涂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8904A (en) * 1973-01-22 1973-09-18 J Kamborian Method and mechanism for applying cement in the corner between an upper margin and an insole
GB1581930A (en) * 1976-03-24 1980-12-31 Curran D G Coverings
US4533563A (en) * 1981-07-13 1985-08-06 Dahlgren Harold P Coating method
US4457259A (en) * 1983-03-14 1984-07-03 Rca Corporation Apparatus for spraying a liquid on a spinning surface
US5183508A (en) * 1987-11-23 1993-02-02 Epicor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patch coa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4938994A (en) 1987-11-23 1990-07-03 Epicor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tch coa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H021197A (ja) * 1988-03-25 1990-0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描画装置
US5516545A (en) * 1991-03-26 1996-05-14 Sandock; Leonard R. Coating processes and apparatus
US5733597A (en) * 1992-07-08 1998-03-31 Nordson Corporation Snuff back controlled coating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s
JPH0768208A (ja) 1993-09-06 1995-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間欠塗布装置
JP2932163B2 (ja) 1994-11-28 1999-08-09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両面塗工型塗工装置
JP2764557B2 (ja) 1995-01-27 1998-06-11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塗工方法及び塗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52A (ko) 1999-04-26
US6455105B1 (en) 200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545B1 (ko) 단속 피복 시스템 및 단속 피복 방법
US7575633B2 (en) Fluid dispenser with positive displacement pump
US4142010A (en) Method for applying a viscous fluid to a substrate
KR102394822B1 (ko) 슬릿 코터
KR900006717B1 (ko) 로울코오터의 제어방법과 로울코오터
EP2653246A1 (en) Intermittently rotating sizing-edging machine for multi-form, large-size metal covers
WO2022116083A1 (zh) 同步上料装配机
KR20130012050A (ko) 도포 시공 장치
CN210950110U (zh) 一种阀门、涂布间歇阀以及涂布机构
JPH1176901A (ja) コーティング装置
CN203498689U (zh) 布料粘接装置
US8079324B2 (en) Device for later application of a two-component material on a substrate
JP2002066420A (ja) 品種切替えに容易なスロットダイヘッド
JP2000033315A (ja) 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コーティング方法
KR20000010680A (ko) 분사장치
KR20160131285A (ko) 복층유리용 간봉 접착액 도포장치
JPH08206567A (ja) 両面塗工型塗工装置
CA2171078C (en) Enclosed multi-blade squeegee structure for screen printing
JPH03238220A (ja) 部品位置決め装置
CN220759654U (zh) 一种滚喷机上料装置
JP2981873B2 (ja) 塗工装置
JP2023133667A (ja) 塗布装置
JPH01105096A (ja) グリース供給装置
JP2981874B2 (ja) 塗工装置
JPH09117706A (ja) コーティングダ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