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350B1 -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 Google Patents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350B1
KR100278350B1 KR1019980054772A KR19980054772A KR100278350B1 KR 100278350 B1 KR100278350 B1 KR 100278350B1 KR 1019980054772 A KR1019980054772 A KR 1019980054772A KR 19980054772 A KR19980054772 A KR 19980054772A KR 100278350 B1 KR100278350 B1 KR 100278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analog
tu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029A (ko
Inventor
타츠오 마에다
시게토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353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774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9343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77456A/ja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6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03J5/0245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 H03J5/0272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the digital values being used to preset a counter or a frequency divider in a phase locked loop, e.g. frequency synthesi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 있어서, 신호 입력 단자; 입력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수신 신호의 종류(아날로그/디지털)에 따라 IF 신호의 전송지를 스위칭하거나 IF 신호를 분배하는 스위칭/분배부; IF 신호를 Low IF 신호로 더욱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부; Low IF 신호의 출력 단자; 및 IF 신호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요소, 즉 신호 입력 단자, 주파수 변환부, 스위칭/분배부, 다운 컨버터부, Low IF 신호의 출력단자 및 IF 신호의 출력 단자는 전자기 밀봉 작용을 하는 단일체에 포함되고, 상기 스위칭/분배부 및/또는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은 상기 본체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본 발명은, 디지털 변조된 텔레비젼 신호와 아날로그 변조된 텔레비젼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젼 방송의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 등에서는, 지상파 방송 텔레비젼의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서 8 VSB (8 Vestigial Sideband)가 채택되어 있다. 8 VSB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과 동일한 CH(channel,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프론트 엔드(front end)를 거의 그대로 이용 할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며, 이중 변환 방식을 사용하는 프론트 엔드 시스템(프론트 엔드∼복조 회로)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프론트 엔드 시스템은, 주파수 변환부(100), 스위치부(101), 다운 컨버터부(102), A/D 변환부(103), VSB 복조부(104) 및 NTSC 복조부(10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래 예에서, 신호 인력 단자(115), 주파수 변환부(100) 및 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 출력 단자(130)까지를 총괄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라 한다.
또한, 주파수 변환부(100)는 제 1 변환부(106) 및 제 2 변환부(107)로 나눌 수 있다. 제 1 변환부(106)는, RF 증폭기(108), 제 1 혼합기(mixer)(109), BPF (Band-Pass Filter)(110), 제 1 IF 증폭기(111), BPF(l12), 제 1 국부 발진기(113) 및 제 1 PLL(Phase Locked Loop) 회로(1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국부 발진기(113)와 제 1 PLL 회로(114)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고 있다.
신호 입력 단자(115)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우선 RF 증폭기(108)로 광대역 증폭된다. 한편, 제 1 PLL 제어 데이터(116)는 단자(117)를 통해 제 1 PLL 회로(114)로 인가되고, 이 제 1 PLL 회로(11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국부 발진기(113)는, 제 1 PLL 제어 데이터(116)에 의해 지정된 주파수의 제 1 로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후, RF 증폭기(108)로부터의 출력과, 제 1 PLL 회로(114) 및 제 1 국부 발진기(113)에 의해 생성된 제 1 로컬 신호는 제 1 혼합기(109)에서 혼합되어 제 1 IF 신호로 업 컨버트된다. 상기 제 1 IF 신호는, BPF(l10)에서 대역 제한된 후, 제 1 IF 증폭기(111)에 의해 증폭되고, 그 후 BPF(l12)에 의해 대역 제한되어 제 2 변환부(107)로 출력된다.
상기 제 2 변환부(107)는, 제 2 혼합기(mixer)(118), 제 2 IF 증폭기(119), BPF(120), 제 2 국부 발진기(121) 및 제 2 PLL 회로(1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국부 발진기(121)와 제 2 PLL 회로(122)는 폐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PLL 제어 데이터(123)는 단자(124)를 통해 제 2 PLL 회로(122)에 인가되고, 이 제 2 PLL 회로(12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2 국부 발진기(121)는, 제 2 PLL 제어 데이터(123)에 의해 지정된 주파수의 제 2 로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후, 제 1 변환부(106)의 BPF(l12)로부터의 출력과, 제 2 PLL 회로(122) 및 제 2 국부 발진기(121)에 의해 생성된 제 2 로컬 신호는 제 2 혼합기(118)에서 혼합되어 제 2 IF 신호로 다운 컨버트된다. 상기 제 2 IF 신호는, 제 2 IF 증폭기(119)에 의해 증폭된 후, BPF(120)에 의해 대역 제한되어 IF 신호 출력 단자(130)로 출력된다.
상기 스위치부(101)는, 수신 신호의 종류(아날로그/디지털)에 따른 외부 제어 신호(125)에 따라 IF 신호 출력 단자(130)로부터의 제 2 IF 신호의 수신지를 스위칭한다. 스위치부(101)의 스위칭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제 2 IF 신호는 단자(141)를 통해 다운 컨버터부(102)로 입력된다. 한편,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제 2 IF 신호는 단자(142)를 통해 직접 NTSC 복조부(105)로 입력된다.
다운 컨버터부(102)는, 스위치부(101)를 통해 얻어지는 제 2 IF 신호(이하, 단지 "IF 신호"라 한다)를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의 입력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수단이다. 상기 다운 컨버터부(102)는, BPF(126), 디지털용 IF 증폭기(127), 다운 컨버터용 혼합기(mixer)(128) 및 다운 컨버터용 국부 발진기(129)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부(101)를 통해 얻어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는, BPF(126)에서 디지털 복조에 필요한 대역 제한이 행해진 후, 디지털용 IF 증폭기(127)에 의해 증폭된다. 이 디지털용 IF 증폭기(127)로부터의 IF 신호와, 다운 컨버터용 국부 발진기(129)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다운 컨버터용 혼합기(128)에서 혼합되어 다운 컨버트된다. 그 후, 다운 컨버트된 IF 신호는 Low IF 신호로서 A/D 변환부(103)로 출력된다.
A/D 변환부(103)는 다운 컨버터부(102)로부터의 Low I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VSB(Vestigial Sideband) 복조부(104)는, A/D 변환부(103)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의 VSB 복조를 행하여,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NTSC 복조부(105)는, 스위치부(101)를 통해 얻어진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의 NTSC 복조를 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프론트 엔드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변환부(100), 신호 입력 단자(115) 및 IF 신호 출력 단자(130)를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로서 단일체(single body)(131)내에 포함하고, 다른 회로(다운 컨버터부(102), A/D 변환부(103), VSB 복조부(104) 및 NTSC 복조부(105))를 동일 기판상에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의 프론트 엔드 시스템에서는, 스위치부(101), 다운 컨버터부(102), A/D 변환부(103), VSB 복조부(104) 및 NTSC 복조부(105)의 동작의 제어에 공통의 제어 신호(125)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로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다운 컨버터부(102)가 A/D 변환부(103) 이후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것은, 다운 컨버터부(102)의 다운 컨버터용 국부 발진기(129)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정밀도 등의 특성이 저하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다운 컨버터부(102)가 단일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므로, 그로 인해 불필요한 복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으로서 베이스밴드(baseband) 복조부가 제공되는 종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에서도 상기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상기 종래의 프론트 엔드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변환 방식을 채용한 상기 종래의 프론트 엔드 시스템은, 주파수 변환부(100), 스위치부(101), 베이스밴드 복조부(150), A/D 변환부(103), VSB 복조부(104) 및 NTSC 복조부(105)로 구성된다. 여기서도, 신호 입력 단자(115), 주파수 변환부(100) 및 IF 신호 출력 단자(130)를 총괄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라 한다.
스위치부(101)는, 수신 신호의 종류(아날로그/디지털)에 따른 제어 신호(125)에 따라 IF 신호 출력 단자(130)로부터의 IF 신호의 수신지를 스위칭한다. 본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101)의 스위칭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가 단자(141)를 통해 베이스밴드 복조부(150)로 입력된다.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는 단자(142)를 통해 직접 NTSC 복조부(105)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복조부(150)는, BPF(151), 디지털용 IF 증폭기(152), I 신호 복조용 혼합기(mixer)(153), Q 신호 복조용 혼합기(mixer)(154), 90°위상 시프터(155),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156) 및 위상 비교용 혼합기(mixer)(157)로 구성되어 있다.
전 단계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로부터 스위치부(101)를 통해 얻어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는, BPF(l51)에서 베이스밴드 복조에 필요한 대역 제한이 행해진다. 그 후, 상기 IF 신호는, 디지털용 IF 증폭기(152)에 의해 증폭된 후, I 신호 복조용 혼합기(153) 및 Q 신호 복조용 혼합기(154)에 입력된다. I 신호 복조용 혼합기(153)에는,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156)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직접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와 디지털용 IF 증폭기(152)로부터의 IF 신호가 I 신호 복조용 혼합기(153)에서 혼합되어, I 신호가 출력된다. Q 신호 복조용 혼합기(154)에는, 상기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156)에 의해 발생시킨 신호가 90°위상 시프터(155)를 통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90°위상 시프터(155)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디지털용 IF 증폭기(152)로부터의 IF 신호가 Q 신호 복조용 혼합기(154)에서 혼합되어, Q 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156)의 위상과, 디지털 증폭기(15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러트 캐리어가 완전히 일치해야 하므로, I 신호 및 Q 신호는 위상 비교용 혼합기(157)에 입력되어, 위상 오차가 검출되는 동시에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156)의 위상이 제어된다. I 신호만이 VSB 복조에 사용되므로, 베이스밴드 복조부(150)는 I 신호만을 A/D 변환부(103)로 출력한다.
A/D 변환부(103)는, 베이스밴드 복조부(150)로부터의 I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VSB 복조부(104)는, A/D 변환부(103)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의 VSB 복조를 행하여, 전송 스트림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NTSC 복조부(105)는, 스위치부(101)를 통해 얻어지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의 NTSC 복조를 행한다.
이런 형태의 종래의 프론트 엔드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변환부(100), 신호 입력 단자(115) 및 IF 신호 출력 단자(130)를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로서 단일체내에 포함하고, 다른 회로(베이스밴드 복조부(150), A/D 변환부(103), VSB 복조부(104) 및 NTSC 복조부(105))를 동일 기판상에 배치하는 동시에, 스위치부(101), 베이스밴드 복조부(150), A/D 변환부(103), VSB 복조부(104) 및 NTSC 복조부(105)의 동작의 제어에 공통의 제어 신호(125)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다운 컨버터부(102)(도 9참조)를 갖는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베이스밴드 복조부(150)가 A/D 변환부(103) 이후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것은, 베이스밴드 복조부(150)의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156)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정밀도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복조부(150)가 단일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므로, 그로 인해 불필요한 복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운 컨버터부, 베이스밴드 복조부 등으로 구성되는 신호변환부가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신호 처리부로부터의 불필요한 복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튜너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부터의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송지를 결정하는 전송지 결정부;
상기 전송지 결정부를 통해 얻어지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외부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의 입력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부, 상기 전송지 결정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본체(body)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파수 변환부, 전송지 결정부 및 신호 변환부가 단일체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와 외부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이 서로 충분히 절연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잡음에 강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실현할 수 있어, 상기 잡음에 의해 신호 변환부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변환부를 상기 본체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의 불필요한 복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IF 신호의 전송지를 결정하는 스위칭/분배부 및 다운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front end)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다운 컨버터부를 베이스밴드(baseband) 복조부로 대체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스위칭/분배부를 스위치부에서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다운 컨버터부를 베이스밴드 복조부로 대체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상기 스위칭/분배부를 스위치부로 구성하는 동시에, 다운 컨버터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다른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상기 다운 컨버터부를 베이스밴드 복조부로 대체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스위칭/분배부를 분배부로 구성하는 동시에, 다운 컨버터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다른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상기 다운 컨버터부를 베이스밴드 복조부로 대체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와 다운 컨버터부를 분리하여 구성한 종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와 베이스밴드 복조부를 분리하여 구성한 종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의 회로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프론트 엔드∼복조 회로)을 도시하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은 이중 변환 방식을 채택한 것이며, 주파수 변환부(2)(주파수 변환 수단), 스위칭/분배부(50)(전송지 결정 수단), 다운 컨버터부(40)(신호 변환 수단), A/D 변환부(41), VSB 복조부(42) 및 NTSC 복조부(44)로 구성된다. A/D 변환부(41), VSB 복조부(42), 분리부 및 디코더(도시하지 않음)가 디지털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편, NTSC 복조부(44)는 아날로그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처리 시스템과 아날로그 처리부는 복조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변환부(2)는 입력 신호(디지털 방송 신호/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IF 신호(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스위칭/분배부(50)는 IF 신호의 전송지를 결정한다. 특히, 스위칭/분배부(50)는, 수신 신호(아날로그/디지털)의 종류에 따라 IF 신호의 전송지를 스위칭하거나, 또는 IF 신호를 단자(32,33)에 분배하여 전송한다. 다운 컨버터부(40)는, 상기 IF 신호를 Low IF 신호로 다운 컨버트함으로써, 스위칭/분배부(50)를 통해 주파수 변환부(2)로부터 얻어지는 IF 신호를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의 입력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부(41), VSB 복조부(42) 및 NTSC 복조부(44)는, 도 1에 도시한 본체(1)의 외부로부터의 공통 제어 신호(43)에 의해 제어된다;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로 둘러싸인 영역내의 회로, 즉 신호 입력 단자(12), 주파수 변환부(2), 스위칭/분배부(50), 다운 컨버터부(40), 출력 단자(38) 및 IF 신호 출력 단자(39)를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로서 정의하여, 이하에 기재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것이며, 이하에 기재된 내용을 그 특징으로 한다.
(1)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신호 입력 단자(12), 주파수 변환부(2), 스위칭/분배부(50), 다운 컨버터부(40), 출력 단자(38) 및 IF 신호 출력 단자(39)를 포함한다.
(2) 상기 구성 요소(신호 입력 단자(12), 주파수 변환부(2), 스위칭/분배부(50), 다운 컨버터부(40), 출력 단자(38), IF 신호 출력 단자(39))는 전자기 밀봉작용(electromagnetic seal function)을 하는 단일체(1)에 포함된다.
(3) 상기 본체(1)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분배부(50) 및/또는 다운 컨버터부(40)의 동작이 제어된다. 도 1은, 상기 본체(1)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일례로서, 주파수 변환부(2)의 제 2 PLL 회로(27)로부터의 제어 전압(29)에 의해 스위칭/분배부(50) 및/또는 다운 컨버터부(40)의 동작이 제어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신호의 다른 예로서, 주파수 변환부(2)의 제 1 PLL 회로(23)로부터의 제어 전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파수 변환부(2)는, 제 1 변환부(3) 및 제 2 변환부(4)로 더 분리할 수 있다. 제 1 변환부(3)는, RF 증폭기(13), 제 1 혼합기(mixer)(14), BPF (Band-Pass Filter)(15), 제 1 IF 증폭기(16), BPF(17), 제 1 PLL(Phase Locked Loop) 회로(23) 및 제 1 국부 발진기(24)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PLL 회로(23)와 제 1 국부 발진기(24)는 폐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신호 입력 단자(12)로부터의 입력 신호(예컨대, 500 MHz)는, 우선, RF 증폭기(13)에 의해 광대역 증폭된다. 한편, 제 1 PLL 제어 데이터(21)는 입력 단자(22)를 통해 제 1 PLL 회로(23)에 인가되고, 이 제 1 PLL 회로(2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1 국부 발진기(24)는 제 1 PLL 제어 데이터(21)에 의해 지정된 주파수의 제 1 로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후, 제 1 혼합기(14)에서, RF 증폭기(13)로부터의 출력과, 제 1 PLL 회로(23) 및 제 1 국부 발진기(24)에 의해 생성된 제 1 로컬 신호가 혼합되어 제 1 IF 신호로 업 컨버트된다. 예컨대, 제 1 IF 신호는 945.75 MHz 이다. 상기 제 1 IF 신호는, BPF(15)에서 대역 제한된 후, 제 1 IF 증폭기(16)에 의해 증폭되고, 그 후 BPF(17)에 의해 대역 제한되어 제 2 변환부(4)로 출력된다.
제 2 변환부(4)는, 제 2 혼합기(mixer)(18), 제 2 IF 증폭기(19), BPF(20), 제 2 PLL 회로(27) 및 제 2 국부 발진기(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PLL 회로(27)와 제 2 국부 발진기(28)는 폐루프를 형성한다.
제 2 PLL 제어 데이터(25)는, 입력 단자(26)를 통해 제 2 PLL 회로(27)에 인가되고, 이 제 2 PLL 회로(2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 2 국부 발진기(28)는 제 2 PLL 제어 데이터(25)에 의해 지정된 주파수의 제 2 로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후, 제 2 혼합기(18)에서, 제 1 변환부(3)의 BPF(17)로부터의 출력과, 제 2 PLL 회로(27) 및 제 2 국부 발진기(28)에 의해 생성된 제 2 로컬 신호가 혼합되어 제 2 IF 신호로 다운 컨버트된다. 예컨대, 제 2 IF 신호는 45.75 MHz 이다. 상기 제 2 IF 신호는, 제 2 IF 증폭기(19)에 의해 증폭된 후, BPF(20)에 의해 대역 제한되어 스위칭/분배부(50)로 출력된다.
스위칭/분배부(50)는 스위치부, 분배부 등으로 구성된다. 스위치부로 구성된 경우에는 IF 신호의 전송지의 완전한 스위칭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분배부는 IF 신호를 단지 2개의 단자(32,33)에 분배할 뿐이지만, 다운 컨버터부(40)의 동작의 정지와의 조합에 의해 IF 신호의 전송지의 완전한 스위칭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에는, 다운 컨버터부(40)의 동작이 정지함과 동시에 IF 신호가 단자(32,33)를 통해 전송된다.
제 1 및 제 2 IF 신호가 각각 945.75 MHz와 45.75 MHz에 고정된 경우, 예컨대 수신된 신호(입력 신호)가 500 MHz일 때, 제 1 로컬 신호는 1445.75 MHz, 제 1 IF 신호는 945.75 MHz, 제 2 로컬 신호는 900 MHz, 제 2 IF 신호는 45.75 MHz가 된다. 또한, 예컨대 수신된 신호(입력 신호)가 700 MHz일 때, 제 1 로컬 신호는 1645.75 MHz, 제 1 IF 신호는 945.75 MHz, 제 2 로컬 신호는 900 MHz, 제 2 IF 신호는 45.75 MHz가 된다.
도 1에서, 상기 본체(1)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일례로서, 스위칭/분배부(50) 및/또는 다운 컨버터부(40)의 동작의 제어에 주파수 변환부(2)의 제 2 PLL 회로(27)로부터의 제어 전압(29)을 사용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스위칭/분배부(50)의 스위칭에 의해 단자(32)를 통해 다운 컨버터부(40)에 입력된다. 한편, 아날로그 방송 신호는, 스위칭/분배부(50)의 스위칭에 의해 단자(33) 및 IF 신호 출력 단자(39)를 통해 직접 NTSC 복조부(44)에 입력된다.
다운 컨버터부(40)는, BPF(34), 디지털용 IF 증폭기(35), 다운 컨버터용 혼합기(mixer)(36) 및 다운 컨버터용 국부 발진기(37)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분배부(50)를 통해 얻어지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는, BPF(34)에서 디지털 복조에 필요한 대역 제한이 행해진 후, 디지털용 IF 증폭기(35)에 의해 증폭된다. 다운 컨버터용 혼합기(36)에서, 디지털 IF 증폭기(35)로부터의 IF 신호와, 국부 발진기(37)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혼합되어 다운 컨버트된다. 그 후, 상기 다운 컨버트된 IF 신호는 Low IF 신호로서 출력 단자(38)를 통해 A/D 변환부(41)로 출력된다.
A/D 변환부(41)는 다운 컨버터부(40)로부터의 Low I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VSB 복조부(42)는, A/D 변환부(4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의 VSB 복조를 행하여 전송 스트림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VSB 전송 스트림 신호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에 따라 부호화된 데이터열이다. VSB 복조 후, 상기 전송 스트림 신호는 분리부에서 각 신호로 분리되고 디코더에 의해 복호되어,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등으로 된다. 이런 형태의 처리부를 일반적으로 MPEG 처리부라 한다. 한편, NTSC 복조부(44)는, 스위칭/분배부(50)를 통해 얻어진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의 NTSC 복조를 행한다.
다음, 도 2는, 신호 변환 수단을, 도 1에 도시한 다운 컨버터부(40) 대신에 베이스밴드 복조부(60)로 구성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베이스밴드 복조부(60)는, BPF(61), 디지털용 IF 증폭기(62), I 신호 복조용 혼합기(mixer)(63), Q 신호 복조용 혼합기(mixer)(64), 90°위상 시프터(65),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66) 및 위상 비교용 혼합기(mixer)(67)로 구성되어 있다.
주파수 변환부(2)로부터 스위칭/분배부(50)를 통해 얻어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IF 신호는, BPF(61)에서, 베이스밴드 복조에 필요한 대역 제한이 행해진다. 그 후, 상기 IF 신호는, 디지털용 IF 증폭기(62)로 증폭된 후, I 신호 복조용 혼합기(63) 및 Q 신호 복조용 혼합기(64)에 입력된다. 상기 I 신호 복조용 혼합기(63)에는,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66)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직접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I 신호 복조용 혼합기(63)에서, 상기 신호와 디지털용 IF 증폭기(62)로부터의 IF 신호가 혼합되어, I 신호가 출력된다. Q 신호 복조용 혼합기(64)에는,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66)에 의해 발생된 상기 신호가 90°위상 시프터(65)를 통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Q 신호용 복조 혼합기(64)에서, 상기 90°위상 시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디지털용 IF 증폭기(62)로부터의 IF 신호가 혼합되어, Q 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66)의 위상과, 디지털용 증폭기(6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러트 캐리어가 완전히 일치해야 하므로, I 신호 및 Q 신호는 위상 비교용 혼합기(67)에 입력되어, 위상 오차가 검출되는 동시에,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66)의 위상이 제어된다. I 신호만이 VSB 복조에 사용되므로, 베이스밴드 복조부(60)는 I 신호만을 A/D 변환부(41)로 출력한다.
A/D 변환부(41), VSB 복조부(42) 및 NTSC 복조부(48)의 동작은, 신호 변환 수단을 다운 컨버터부(40)로 구성하였을 때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시스템에서는, 전자기 밀봉 작용을 하는 단일체(1)에, 주파수 변환부(2), 스위칭/분배부(50) 및 신호 변환 수단(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체(1)에는, 신호 입력 단자(12), IF 신호 출력 단자(39), 출력 단자(38), 제 1 PLL 제어 데이터의 입력 단자(22) 및 제 2 PLL 제어 데이터의 입력 단자(26)가 제공되어 있다. 본체(1)에 의해, (신호 변환 수단까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와 (A/D 변환부(41) 이후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분배부(50)에 의한 IF 신호의 전송지의 스위칭, 및/또는 신호 변환 수단의 ON/OFF 스위칭을, A/D 변환부(41) 이후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신호(43)와는 상이한 본체(1)내의 구성 요소(본 실시예에서, 제 2 PLL 회로(27))로부터의 제어 신호(본 실시예에서, 제어 전압(29))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그 결과,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시에,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와 디지털 처리 시스템을 서로 충분히 절연시킬 수 있어,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잡음에 강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가 전자기 밀봉 작용 을 하는 본체(1)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운 컨버터용 국부 발진기(37) 또는 베이스밴드용 국부 발진기(66)로부터의 불필요한 복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가 주파수 변환부(2)로부터의 제어 전압(29)에 의해 제어되므로, 예컨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상기 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신호 변환 수단과 NTSC 복조부(44)가 서로 충분히 격리될 수 있어,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에 의해 NTSC 복조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분배부(50)(도 1참조)를 스위치부(70)로 구성하여, 제 2 PLL 회로(27)로부터의 제어 전압(29)을 스위치부(70)의 동작의 제어에만 사용하도록 한 점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변환 수단(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의 ON/OFF 동작의 제어를 제어 전압(29)으로 행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위치부(70)를 사용함으로써, 디지털/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전송지의 완전한 스위칭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분배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신호 변환 수단(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의 동작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고,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 컨버터부(40) 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6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스위치 회로(80)를 갖는 전원 라인(81)이 제공되고, 제어 전압(29)에 의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스위치부(70)를 제어하는 주파수 변환부(2)의 제 2 PLL 회로(27)로부터의 제어 전압(29)에 의해 스위치 회로(80)를 OFF 시켜, 신호 변환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킨다.
그 결과,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에는 확실히 정지하므로,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에 의한 NTSC 복조부(44)에 대한 악영향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신호 변환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 신호 수신시의 NTSC 복조부(44)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하면,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주된 원인(예컨대 발진 회로)으로의 전원 공급만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을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신호 변환 수단으로의 모든 전원 공급을 제어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운 컨버터부(40) 및 베이스밴드 복조부(60)에 동작 정지 단자(82)가 제공되어 있다. 제 2 PLL 회로(27)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필요에 따라 동작 정지 단자(82)에 OFF 신호(제어 전압(29))를 공급하여,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정지시킨다.
상기 동작 정지 단자(82)는, 일반적으로 인에이블 단자 또는 셧다운(shut-down) 단자로 불리고, 신호 변환 수단이 IC화되어 있는 경우, OFF 신호의 공급에 의해 신호 변환 수단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지 또는 대기 상태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신호 변환 수단에 의해 NTSC 복조부(44)의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방송 신호 수신시, (1) 스위치 회로(80)를 OFF 시키는 구성과, (2) 동작 정지 단자(82)에 OFF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의 양쪽을 채택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송 신호 수신시의 신호 변환 수단의 NTSC 복조부(44)에 대한 악영향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론 상기 (1)과 (2) 중 어느 한 쪽만을 제공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스위치 회로(80)에 기재된 "+B" 는 IC 등의 반도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나타낸다.
〔실시예4〕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예 1∼3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스위치부(70)가 분배부(90)로 대체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스위치부(70)는 다이오드나 FET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고, IF 신호가 상기 반도체를 통과할 때 왜곡이 발생한다. 그러나, 분배부(90)는 밸룬(balun) 변압기나 저항 분배기 등의 수동 부품으로 구성된 분배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IF 신호의 왜곡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예 3에서 발생하는 스위치부(70)에서의 IF 신호의 왜곡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이중 변환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일 변환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일 변환 방식은, 예컨대, 도 1에서, 주파수 변환부(2)가 단 하나의 변환부로 구성되는 경우(예컨대 제 2 변환부(4)를 생략하여 제 1 변환부(3)로만 구성되는 경우)이고, 중간 주파수로서는 예컨대 45.75 MHz 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튜너이고, 신호 입력 단자; 입력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수신 신호의 종류(아날로그/디지털)에 의해 IF 신호의 전송지를 스위칭하거나 분배하는 스위칭/분배부; IF 신호를 Low IF 신호로 더욱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부; Low IF 신호의 출력 단자; 및 IF 신호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요소, 즉 신호 입력 단자, 주파수 변환부, 스위칭/분배부, 다운 컨버터부, Low IF 신호의 출력 단자 및 IF 신호의 출력 단자는, 전자기 밀봉 작용을 하는 단일체에 포함되고, 상기 본체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분배부 및/또는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운 컨버터부가 후단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다운 컨버터부의 국부 발진기의 국부발진 주파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운 컨버터부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복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에 의해 NTSC 복조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상기 스위칭/분배부는 스위치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위칭/분배부로서 스위치부를 사용함으로써, IF 신호의 전송지의 완전한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상기 스위칭/분배부 및/또는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PLL 회로로부터의 제어 전압을 상기 본체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운 컨버터부가 후단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다운 컨버터부의 국부 발진기의 국부 발진 주파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시, 상기 다운 컨버터부로의 전원 공급의 적어도 일부를 중단함으로써 상기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운 컨버터부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복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에 의해 NTSC 복조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시, 상기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 정지 단자로 OFF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다운 컨버터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운 컨버터부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지 또는 대기 상태로 되어, 다운 컨버터부에 의해 NTSC 복조부가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상기 스위칭/분배부는 분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스위치부에서의 IF 신호의 왜곡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는,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튜너에 있어서, 신호 입력 단자; 입력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수신 신호의 종류(아날로그/디지털)에 따라 IF 신호의 전송지를 스위칭하거나 IF 신호를 분배하는 스위칭/분배부; IF 신호를 I 신호로 베이스밴드 복조하는 베이스밴드 복조부; I 신호의 출력단자; 및 IF 신호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요소, 즉 신호 입력 단자, 주파수 변환부, 스위칭/분배부, 베이스밴드 복조부, I 신호의 출력 단자 및 IF 신호의 출력 단자는 전자기 밀봉 작용을 하는 단일체에 포함되고, 상기 스위칭/분배부 및/또는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은 상기 본체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밴드 복조부가 후단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국부 발진기의 국부발진 주파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베이스밴드 복조부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복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에 의해 NTSC 복조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상기 스위칭/분배부는 스위치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위칭/분배부로서 스위치부를 사용함으로써, IF 신호의 전송지의 완전한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상기 스위칭/분배부 및/또 는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내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제어 신호로서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PLL 회로로부터의 제어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밴드 복조부가 후단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국부 발진기의 국부발진 주파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시, 상기 베이스밴드 복조부로의 전원 공급의 적어도 일부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밴드 복조부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복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에 의해 NTSC 복조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아날로그 신호의 수신시, 상기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 정지 단자로 OFF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밴드 복조부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지 또는 대기 상태로 되어, NTSC 복조부가 베이스밴드 복조부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서, 상기 스위칭/분배부는 분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스위치부에서의 IF 신호의 왜곡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신호 변환 수단에 대해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는, 신호를 필요한 디지털 대역으로 제한하여 A/D 변환에 필요한 레벨로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 블록을 생각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기술된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개시한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5)

  1.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수단;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송지를 결정하는 전송지 결정 수단;
    상기 전송지 결정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외부의 디지털 처리 시스템으로의 입력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수단;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 상기 전송지 결정 수단 및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본체(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자기 밀봉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은,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은 PLL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PLL 회로로부터의 제어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지 결정 수단은, 수신 신호의 종류에 따라 중간 주파수 신호의 전송지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은,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은 PLL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PLL 회로로부터의 제어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신호 변환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의 적어도 일부를 정지시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은, 동작 정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작정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시, 상기 동작 정지 단자에 동작 정지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지 결정 수단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분배하여 전송하는 분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전송지 결정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저주파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는 다운 컨버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전송지 결정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복조하는 베이스밴드 복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13. 제 1 항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양쪽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 및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각각 해당하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개별적으로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의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본체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14. 제 1 항에 기재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및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해 디지털 복조 처리 및 아날로그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front end).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의 동작은, 상기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의 상기 신호 변환 수단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와는 상이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프론트 엔드.
KR1019980054772A 1997-12-15 1998-12-14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KR100278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3530 1997-12-15
JP34353097A JPH11177455A (ja) 1997-12-15 1997-12-15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JP9343531A JPH11177456A (ja) 1997-12-15 1997-12-15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JP9-343531 1997-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029A KR19990063029A (ko) 1999-07-26
KR100278350B1 true KR100278350B1 (ko) 2001-01-15

Family

ID=2657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772A KR100278350B1 (ko) 1997-12-15 1998-12-14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43209B1 (ko)
KR (1) KR100278350B1 (ko)
TW (1) TW4515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04B1 (ko) * 1998-06-16 2006-08-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622B1 (ko) * 2000-03-04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튜너 공용화 장치
KR100363168B1 (ko) * 2000-09-21 200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기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CN1215649C (zh) * 2001-01-12 2005-08-17 旋永南 一种高频信号接收和发送的处理方法
JP3882524B2 (ja) * 2001-04-06 2007-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広帯域チューナ
GB0117591D0 (en) * 2001-07-18 2001-09-12 Zarlink Semiconductor Ltd Television tuner
JP2003189202A (ja) * 2001-12-19 2003-07-04 Alps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ユニット
JP3741648B2 (ja) * 2002-01-04 2006-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JP3702239B2 (ja) * 2002-03-20 2005-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FR2840493A1 (fr) * 2002-05-31 2003-12-05 I F I Istrade Finance And Inve Module de mise a niveau numerique pour poste de television analogique
JP2006157087A (ja) * 2004-11-25 2006-06-15 Orion Denki Kk 不要輻射防止手段を備えたチューナー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KR100620964B1 (ko) * 2005-01-07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Dtv 튜너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 튜닝이 가능한영상표시장치 및 그 아날로그/디지털 튜닝방법
JP6325942B2 (ja) * 2014-08-07 2018-05-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227A (ja) * 1984-01-13 1985-08-06 Sony Corp Shf受信機
US4703520A (en) * 1986-10-31 1987-10-27 Motorola, Inc. Radio transceiver having an adaptive reference oscillator
JP3432921B2 (ja) * 1994-10-31 2003-08-04 株式会社東芝 Tv放送受信機
JPH08289212A (ja) 1995-04-14 1996-11-01 Toshiba Corp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KR0141145B1 (ko) * 1995-07-21 1998-06-15 김광호 2튜너를 갖는 텔레비젼의 자동 선국 및/또는 진단 방법 및 장치
JPH0993152A (ja) * 1995-09-25 1997-04-04 Alps Electric Co Ltd ダブルコンバージョンテレビチューナ
US5940143A (en) * 1995-10-06 1999-08-17 Hitachi, Ltd. High-definition televisio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gain control circuit thereof
US6057889A (en) * 1997-09-26 2000-05-02 Sarnoff Corporation Format-responsive video process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04B1 (ko) * 1998-06-16 2006-08-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43209B1 (en) 2002-01-29
KR19990063029A (ko) 1999-07-26
TW451588B (en) 200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585B2 (en) Satellite signal frequency translation and stacking
EP0777335B1 (en) Satellite broadcast tuner capable of processing both QPSK modulation signal and FM signal
KR100278350B1 (ko) 디지털 및 아날로그 공용 튜너
US7692726B1 (en) Video decoder with integrated audio IF demodulation
US100639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th video and network channels
KR100309513B1 (ko) Catv방송신호와 지상파 fm방송신호를 수신할 수있는 텔레비젼 튜너
KR20050067928A (ko) 위성 dmb 수신기
GB2392566A (en) A tuner in which one band is up-converted and this or a second band is selected for direct conversion to baseband
JP2723196B2 (ja) 衛星放送受信用チュ−ナ及び受信システム
US6738979B1 (en)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which is not influenced by unnecessary signal components
JP3288251B2 (ja) Catv受信装置
JPH11177455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JPH11177456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JP2008124682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050081326A (ko)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JPH0591439A (ja) 映像検波回路
JP2005079698A (ja) 選局装置
JPH11220669A (ja) 衛星放送受信用dbsチューナ
JP2002290253A (ja) Catv受信装置
JPH04363987A (ja) 衛星放送又は衛星通信の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