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004B1 -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 알파-올레핀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 - Google Patents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 알파-올레핀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004B1
KR100276004B1 KR1019940005188A KR19940005188A KR100276004B1 KR 100276004 B1 KR100276004 B1 KR 100276004B1 KR 1019940005188 A KR1019940005188 A KR 1019940005188A KR 19940005188 A KR19940005188 A KR 19940005188A KR 100276004 B1 KR100276004 B1 KR 10027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hain
weight
methyl
tertiary carbon
pent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지로우 가소
가즈미 노리도미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히로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A)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 100중량부와 (B) 하기식(1)의 메타크릴산 금속 또는 아크릴산 금속 0.05~10중량부를 용융반응시켜 얻은 것이 특징인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M은 금속양이온이고, X는 음이온이고 m은 적어도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적어도 2 이상의 정수이다. 단 m

Description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
본 발명은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내충격성, 내열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구조재와 필름분야의 용도에 적합한 변성-올레핀 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에 관한 것이다.
4-메틸-1펜텐 중합체는 용융점이 220℃~240℃로 열변형온도가 높고 투명성과 이형 특성이 우수하다. 때문에 MWO식기류분야와 이형필름 및 합성피혁용 이형지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4-메틸-1-펜텐 중합체는 내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불량하여 구조재로는 그다지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또 연신성이 낮고 특히 그의 2축 연신은 어렵다. 4-메틸-1-펜텐 중합체의 내충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4-메틸-1-펜텐 중합체와 특정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제안한 바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특개소 59-164349호). 그러나 이 혼합물은 고무성분으로써 내열성이 낮은 상기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은 4-메틸-1-펜텐 중합체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매우 낮고 상기 혼합물로 형성된 제품은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등의 기계적 특성이 불량하다.
아크릴산, 메타크릴 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폴리올레핀을 변성시키는 것도 제안된바 있고(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특개소 63-10606호 및 특개평 2-140212호), 이때 퍼옥사이드 등의 라디칼 개시제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4-메틸-1-펜텐 중합체와 같은 적어도 탄소원자가 3개인-올레핀 중합체는 라디칼 개시제로부터 발생된 라디칼 때문에 분해반응이 일어나 분자량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때문에 상기에서 얻은 변성폴리올레핀은 기계적 특성이 매우 낮다. 한편, 폴리에틸렌 등의 가교폴리올레핀의 경우에는 상기 가교가 진행하여 변성품의 기계적 특성이 상기와 유사하게 저하된다.
또 아크릴산, 메타크릴 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폴리올레핀을 변성하는 것도 제안된 바 있으나(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특개소 58-120608호 및 특개소 63-83111호),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금속=2가 이상의 금속양이온)을 사용한 것은 아직 제안된 바 없다. 따라서 본래의 내열성을 보유하고 내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개량되고, 연신성이 우수한 4-메틸-1-펜텐 중합체의 개발이 강력하게 요구되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4-메틸-1-펜텐 중합체와 동등한 내열성을 보유하면서 내충격성과 기계적 당도 및 연신성을 개량한-올레핀 중합체를 제조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과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각종 구조재와 필름 및 연신필름 등의 용도에 적합한 4-메틸-1-펜텐 중합체와 같이 그의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변성-올레핀 중합체로부터 연신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잇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먼저 (A)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 100 중량부와 (B) 하기식(1)의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 금속 0.05~10중량부를 용융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로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M은 금속양이온이고, X는 음이온이고 m은 적어도 2 이상의 정수이고 n은 적어도 2 이상의 정수이다. 단 mn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A)의 예로는 4-메틸-1-펜텐 중합체, 3-메틸-1-부텐 중합체, 4-메틸-1-헥센 중합체, 5-메틸-1-헥센 중합체 및 5-메틸-1-헵텐 중합체 등이다.
상기-올레핀 중합체(A)로써 4-메틸-1-펜텐 중합체의 예로는 4-메틸-1-펜텐 단독중합체 및 4-메틸-1-펜텐과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1-테트라데센 또는 1-옥타데센 등의 탄소원자 2~20의-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중에서 적어도 4-메틸-1-펜텐 성분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4-메틸-1-펜텐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공단량체는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또는 1-에이코센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올레핀을 조합하여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올레핀 중합체(A)로써 4-메틸-1-펜텐 중합체는 상기 공단량체로부터의 성분을 20중량% 이상 함유하면 바람직하지 않게도 4-메틸-1-펜텐 중합체의 내열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러므로 상기 생성된 변성-올레핀은 코스트를 고려하면 구조재나 필름으로써 사용하는 것은 매우 좋지 않다.
상기-올레핀 중합체(A)로써 4-메틸-1-펜텐 중합체는 ASTM D1238에 따라 하중 5.0kg, 온도 260℃에서 측정했을 때 멜트플로우레이트(MFR)는 0.01~400g/10분 범위이다. 상기 MFR은 1~300g/10분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 중합체가 0.01 미만의 MFR일때는 성형온도가 상승해도 유동성이 너무 낮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품을 얻기가 어렵다. MFR이 400 이상 일때는 분자량이 너무 낮아 성형품의 내충격성과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B)은 상기식(1)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예로는 메타크릴산 아연, 메타크릴산 칼슘, 메타크릴산 마그네슘, 메타크릴산 바륨, 메타크릴산 알루미늄 및 메타크릴산 주석 등의 메타크릴산 금속과 아크릴산 아연, 아크릴산 칼슘, 아크릴산 마그네슘, 아크릴산 바륨, 아크릴산 알루미늄, 아크릴산 주석 등의 아크릴산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적어도 2가 이상의 금속양이온을 함유하는 다른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금속 중에서 메타크릴산아연, 메타크릴산마그네슘, 아크릴산아연 및 아크릴산마그네슘이 4-메틸-1-펜텐 중합체와 같은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와 비교적 높은 상용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메타크릴산금속 및 아크릴산금속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금속=적어도 2가의 금속양이온)의 양은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 100중량부당 0.05~1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5.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2~3.0중량부이다.
상기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의 양이 0.05중량부 미만일 때는 내충격성의 개량에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그 배합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MFR이 저하되어 상기-올레핀 중합체는 성형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성형품이 부서지기 쉽다.
(A)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 100중량부와 (B)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 0.05~10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에서 상기 변성-올레핀 중합체를 ASTM D1238에 따라 하중 5.0kg, 온도 260℃에서 측정했을 때 MFR은 바람직하게는 0.01~400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1.0~200g/10분 범위이다.
상기 변성-올레핀 중합체가 0.01미만의 MFR을 가질 때 유동성이 너무 낮기 때문에 우수한 성형품을 얻기 곤란하다. 상기 MFR이 400이상 일때는 상기 중합체의 분자량이 너무 낮기 때문에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는 (A)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 100중량부와 (B) 메타크릴산 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 0.05~10중량부를 용융상태에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폴리스티렌 V-블렌더, 리본블렌더, 헨첼믹서, 텀블러블렌더로 상기 (A)-올레핀 중합체를 상기 (B)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을 혼합한 후 단축압출기, 복수축압출기, 혼련기, 벤버리믹서로 용융 혼련하고, 조립 또는 분쇄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행한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의 제조 온도는 메타크릴산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이 4-메틸-1-펜텐 중합체 등의-올레핀 중합체 (A)에 그라프트 중합되는 온도보다 더 높은 것이 좋다. 즉 용융 혼련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360℃, 더 바람직하게는 200~340℃범위이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는 예를 들어 실란커플링제, 내후안정제, 내열안정제, 슬립방지제, 핵제, 안료, 염료 등의 통상 폴리올레핀에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는 연신성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의-올레핀 중합체로 형성된 연신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필름은 단축 연신필름 및 2축 연신필름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2축 연신필름은 압출기로 변성-올레핀 중합체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필름을 얻고 120~200℃, 바람직하게는 140~180℃ 온도에서 2.5~6배, 바람직하게는 4~5배로 상기 미연신필름을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1축 연신필름을 필요에 따라서 150~220℃ 온도에서 열처리할 수도 있다.
2축 연신필름은 상기 미연신필름을 동시 또는 순차 2축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연신온도는 120~200℃, 바람직하게는 140~180℃이다. 미연신필름을 면연신비율로 2~10배, 바람직하게는 4~8배 2축 연신한다. 이완 열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70~200℃ 온도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미연신필름은 두께 20㎛~1mm가 바람직하고 연신필름은 두께가 2~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는 4-메틸-1-펜텐 중합체와 같은 미변성중합체의 내열성과 같은 내열성을 보유하면서 내충격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연신성도 또한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는 사출성형법과 압출성형법 등의 각종 성형법으로 성형할 때 내충격성, 내열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종 구조재 및 필름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변성-올레핀 중합체를 제공하고, 또한 그로부터 얻은 연신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로부터 얻은 제품은 자동차용 구조재, 플렉시블프린트기판용 이형필름, 인조피혁용이형지 또는 고무호스제조용 피복재로써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는 용융점도에 관한 특이한 거동 즉, 수지온도가 300℃를 초과할 때 상기 용융점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각종 점도조절재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변성-올레핀 중합체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기술한 평가는 다음 조건하에서 다음 방법으로 행했다.
(1) 시료의 제조
다음 조건하에서 시료를 사출성형했다.
성형조건
사출성형기 : M100(메이키 세이사큐소제)
실린더온도(C1/C2/C3 노즐) : 270/290/300/300℃
성형온도 : 60℃
(2) 2축 연신필름의 제조
(i) 원판쉬트의 제조
다음 조건하에서 원판쉬트를 제조했다.
성형조건
압출기 : 65mm(모던 가부시끼가이샤 제)
실린더 온도 : 280℃
냉각롤온도 : 60℃
쉬트두께 : 370㎛
(ii) 2축 연신필름의 제조
다음 조건하에서 원판쉬트를 연신하여 2축 연신필름을 제조했다.
연신조건
장치 : 2축 연신장치(토요세이키가부시끼가이샤 제)
예열온도 : 160℃
예열시간 : 5분
연신비 : 5배×5배
연신속도 : 4m/분
2축 연신용 원판쉬트의 크기 : 95mm×95mm×310mm
(3) 물성의 평가
다음 조건하에서 물성을 평가했다.
(i) MFR
펠레트의 MFR을 ASTM D1238에 따라 하중 5kg, 온도 260℃하에서 측정했다.
(ii) 아이죠드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 아이죠드 충격강도를 측정했다.
(iii) 인장강도
ASTM형 IV의 시료를 제고하여 ASTM D638에 따라 측정했다.
(iv) 굴곡강도
ASTM D790에 따라 굴곡강도 및 탄성율을 측정했다.
(v) 열변형온도(HDT)
하중을 66psi로 설정하여 JIS 7206에 따라 HDT를 측정했다.
[실시예 1]
4-메틸-1펜텐ㆍ1-헥사데센 공중합체분말(1-헥사데센 함량 : 4.0중량%, MFR=0.5kg/10분) 100중량부, 메타크릴산아연(아사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 1.0중량부, 안정제로써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 1-디메틸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 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310℃에서 용융 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상기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사출성형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시료의 물성을 측정했다.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2]
4-메틸-1펜텐ㆍ1-헥사데센 공중합체분말(1-헥사데센 함량 : 4.0중량%, MFR=0.5kg/10분) 100중량부, 메타크릴산마그네슘(아사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 1.0중량부, 안정제로써 3, 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 1-디메틸에틸] 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 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그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310℃에서 용융 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상기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사출성형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시료의 물성을 측정했다.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4-메틸-1펜텐ㆍ1-헥사데센 공중합체분말(1-헥사데센 함량 : 4.0중량%, MFR=0.5kg/10분) 100중량부, 메타크릴산칼슘(아사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 1.0중량부, 안정제로써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 1-디메틸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 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310℃에서 용융 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상기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사출성형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시료의 물성을 측정했다.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표 1]
[비교예 1]
4-메틸-1펜텐ㆍ1-헥사데센 공중합체분말(1-헥사데센 함량 : 4.0중량%, MFR=0.5kg/10분) 100중량부, 안정제로써 3, 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이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310℃에서 용융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상기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사출성형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시료의 물성을 측정했다.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MFR=0.5kg/10분) 100중량부, 안정제로써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 1-디메틸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이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용융 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그리고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사출성형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시료의 물성을 측정했다.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3]
폴리에틸렌(MFR=0.5kg/10분) 100중량부, 안정제로써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 1-디메틸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이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210℃에서 용융 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그리고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사출성형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시료의 물성을 측정했다.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표 2]
[실시예 4]
4-메틸-1펜텐ㆍ1-헥사데센 공중합체분말(1-헥사데센 함량 : 6.0중량%, MFR=0.5kg/10분) 100중량부, 메타크릴산마그네슘(아사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0.25중량부, 안정제로써 3, 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수미토모 케미컬(주)제, 상품명 : 수미라이저 GA80)0.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멜카프토라우릴)프로피오네이트(쉬프로카세이가이샤제, 상품명 : 시녹스 412S)0.1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칼슘(산교유키고세이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 스테아린산칼슘)0.03중량부를 헨첼믹서로 1분동안 고속으로 혼합했다.
생성혼합물을 2축 압출기로 280℃에서 용융 혼련하여 반응시켜 펠레트를 얻었다. 상기 펠레트의 MFR을 측정했다. 상기 펠레트를 두께 370㎛의 원판쉬트로 성형하고 2축 연신필름을 상기 원판쉬트로부터 얻었다. 2축 연신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4]
메타크릴산 마그네슘을 배합하지 않는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2축 연신필름을 얻었다. 상기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Claims (7)

  1. (A)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중합체 100중량부 (B) 하기식(1)의 메타크릴산 금속 또는 아크릴산금속 0.05 ~ 10 중량부를 용융반응시켜 얻은 것이 특징인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중합체.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M은 금속양이온이고, X는 음이온이고 m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이고 n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이다. 단 m ≥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올레핀 중합체가 4-메틸-1-펜텐 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중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4-메틸-1-펜텐 중합체가 탄소원자수 2~20의-올레핀과 4-메틸-1-펜텐의 랜덤공중합체이고, 상기 랜덤공중합체가 4-메틸-1-펜텐성분을 적어도 80중량% 함유한 것이 특징인 측쇄에 제3급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중합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메틸-1-펜텐 중합체가 4-메틸-1-펜텐과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및 이들-올레핀 적어도 2종류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한-올레핀의 랜덤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양이온이 Ca2+, Zn2+, Mg2+, Ba2+, Aℓ3+또는 Sn4+인 것이 특징인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 중합체.
  6. 제1항 기재의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올레핀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연신필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필름이 2축 연신필름인 것이 특징인 연신필름.
KR1019940005188A 1993-03-19 1994-03-16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 알파-올레핀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 KR100276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60076 1993-03-19
JP6007693 1993-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004B1 true KR100276004B1 (ko) 2000-12-15

Family

ID=1313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188A KR100276004B1 (ko) 1993-03-19 1994-03-16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 알파-올레핀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22401A (ko)
EP (1) EP0615982B1 (ko)
KR (1) KR100276004B1 (ko)
CA (1) CA2119162A1 (ko)
DE (1) DE6940097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717A (en) * 1988-05-27 1998-10-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eroxide and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isobutylenene copolymers having acrylate functionality
EP1200485B1 (en) 1999-07-28 2004-01-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melt swell polymer
SG157383A1 (en) 2004-11-17 2009-12-29 Mitsui Chemicals Inc Solid titanium catalyst component, catalyst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olefin poly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914A (en) * 1979-03-23 1980-09-16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cess for forming a Zn sulfonate containing elastomer
EP0529102A1 (en) * 1991-03-15 1993-03-03 Tonen Corporation Terminally modified polyolefi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265A (en) * 1971-04-09 1975-01-2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olymers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process therefor
US3997487A (en) * 1973-10-12 1976-12-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elastomer
DE3174146D1 (en) * 1980-12-22 1986-04-24 Allied Corp Low molecular weight copolymer salts
JPS58120608A (ja) * 1982-01-12 1983-07-18 Mitsubishi Chem Ind Ltd 改質ポリオレフインの製造法
US4713409A (en) * 1982-09-21 1987-12-15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Vulcanizable poly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a zinc dimethacrylate adjuva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adjuvant
JPS59164349A (ja) * 1983-03-08 1984-09-17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メチルペンテン組成物
JPH0794508B2 (ja) * 1986-07-01 1995-10-11 昭和電工株式会社 変性オレフイ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US4716202A (en) * 1986-08-22 1987-12-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aluminum ionomers of carboxylic acid copolymers
JPH0710903B2 (ja) * 1986-09-29 1995-02-08 出光興産株式会社 吸水性材料
DE68920709T2 (de) * 1988-11-21 1995-06-01 Mitsui Petrochemical Ind Modifizierte Polyolefinteilch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914A (en) * 1979-03-23 1980-09-16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cess for forming a Zn sulfonate containing elastomer
EP0529102A1 (en) * 1991-03-15 1993-03-03 Tonen Corporation Terminally modified polyolef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19162A1 (en) 1994-09-20
EP0615982A2 (en) 1994-09-21
EP0615982B1 (en) 1996-11-27
US5422401A (en) 1995-06-06
EP0615982A3 (en) 1995-01-18
DE69400972T2 (de) 1997-04-10
DE69400972D1 (de) 199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606B1 (ko) 그라프트-개질된실질적인선형에틸렌중합체와다른열가소성중합체의블렌드
JP3771583B2 (ja) 改良されたオレフィン系材料
KR860000770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JPH0437097B2 (ko)
AU2005279250A1 (en)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
KR19980701435A (ko) 개선된 표면 경도 및 내긁힘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합금, 및 그의 제조방법(a polyolefin alloy with improved surfac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US4818793A (en) Impact-resistant nylon molding materials which are less susceptible to stress cracking
JPH0288656A (ja) 改良された曲げ特性を有する彩色適性のある熱可塑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20010108304A (ko)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그래프트 개질된폴리올레핀 탄성체를 함유하는 블렌드
US4666988A (en) Ethylene copolymers reacted with metal oxides
KR100276004B1 (ko) 측쇄에 제3급 탄소를 갖는 변성 알파-올레핀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한 연신필름
CA1333508C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H06179791A (ja) 樹脂組成物
EP0426315A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4847164A (en) Ethylene copolymers reacted with metal oxides
EP0459587A2 (en) Polyketone polymer compositions
JPH06322043A (ja) 側鎖に第3級炭素を有する変性α−オレフィン系重合体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延伸フイルム
WO2002051933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surfac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properties
JP2685296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945189B2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3331602B2 (ja) 樹脂組成物
KR100533542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JP2685295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3086357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KR920000174B1 (ko) 4-메틸-1-펜텐중합체와 페닐렌설파이드 중합체의 혼합물로 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