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577B1 -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577B1
KR100275577B1 KR1019980028908A KR19980028908A KR100275577B1 KR 100275577 B1 KR100275577 B1 KR 100275577B1 KR 1019980028908 A KR1019980028908 A KR 1019980028908A KR 19980028908 A KR19980028908 A KR 19980028908A KR 100275577 B1 KR100275577 B1 KR 10027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escue mode
request signal
cpi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852A (ko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8002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5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운전제어 씨피유의 고장시에는 속도제어 씨피유가 단독으로 안전신호 검출 및 도어구동을 통해 엘리베이터를 구출모드로 동작시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보수자에게 심리적인 불안감과 보수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 리셋횟수를 카운팅하는 제2단계와; 상기 리셋 카운팅이 기준횟수보다 작으면 상기 제1,2단계를 반복수행하고, 기준횟수보다 크면 기계실 또는 카측으로부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고,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해 구출모드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통해 엘리베이터 보수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보수자가 안심하고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제어 씨피유의 고장시에 속도제어 씨피유에서 보수모드와 구출모드를 구분하여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출모드란 엘리베이터가 자동운전 모드에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하지 못하고 정지하였을 때,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를 말한다. 이와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장버튼을 통해 주제어부(10)와 직렬통신함과 아울러 승장도어 및 승강로 안전신호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승장도어 및 승강로 안전신호를 처리하여 주제어부(10)에 출력하는 승장신호 처리부(20)와; 카 버튼 및 부가스위치를 통해 상기 주제어부(10)와 직렬통신함과 아울러 카 도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주제어부(10)에 출력하고, 그 주제어부(10)로부터 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는 카신호 처리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신호 처리부(30)는 카 버튼 및 부가스위치를 통해 주제어부(10)와 직렬통신하는 카조작반(31)과; 카 도어의 오픈검출신호, 스위치신호를 주제어부(10)에 출력하고, 그 주제어부(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도어를 제어하는 도어구동부(32)와; 카 위치를 검출하여 주제어부(10)에 출력하는 카 위치검출부(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0)는 상기 승장신호 처리부(20) 및 카신호 처리부(30)의 출력신호를 내부의 데이터버스(DATA-BUS1)를 통해 입력받아 승장 및 카의 운전을 총괄제어하는 운전제어부(11)와; 그 운전제어부(11)의 듀얼포트 램(DPRAM)으로부터 내부의 버퍼(BUF)를 통해 운전제어 워치독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버스(DATA-BUS1)로부터 내부의 데이터버스(DATA-BUS2)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카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12)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종래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흐름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계실로부터 입력되는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운전제어부(110) 내부의 입력처리부(111) 및 데이터버스(112)를 통해 운전제어 씨피유(113)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입력되는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카조작반(120)의 입력처리부(121) 및 통신 씨피유(122)를 통해 운전제어부(110)에 입력된 후, 운전제어부(110) 내부의 통신 씨피유(114) 및 버퍼(115)를 통해 상기 운전제어 씨피유(113)에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운전제어 씨피유(113)에 입력된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듀얼포트램(116)을 통해 출력되고, 이는 속도제어부(130) 내부의 버퍼(131)를 통해 속도제어 씨피유(132)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운전제어 씨피유(113)와 속도제어 씨피유(132)는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승장 및 카의 운전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보수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첨부한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 리셋횟수를 카운팅하는 제2단계와; 상기 리셋 카운팅이 2보다 작으면 상기 제1,2단계를 반복수행하고, 2보다 크면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해 구출모드를 수행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구출모드는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 리셋횟수를 카운팅한다.
그리고, 제3단계에서 리셋 카운팅이 2보다 작으면 상기 제1,2단계를 반복수행하고, 2보다 크면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해 구출모드를 수행한다.
즉,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인가를 판단하고, 정상이 아닐 경우는 기준횟수(2)만큼 카운트 하면서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래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고장으로 인식하고, 속도제어 씨피유에 의한 단독 구출운전모드로 전환되어 안전신호 검출 및 도어구동을 통해 구출운전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은 기계실측,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운전제어 씨피유를 경유하여 속도제어 씨피유에 입력되므로, 운전제어 씨피유의 고장시에는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속도제어 씨피유가 단독으로 안전신호 검출 및 도어구동을 통해 엘리베이터를 구출모드로 동작시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보수자에게 심리적인 불안감과 보수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제어 씨피유에 고장이 발생하여 속도제어 씨피유가 단독으로 엘리베이터를 구출모드로 동작시킬 때,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구출모드로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2는 종래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흐름 블록도.
도3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흐름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운전제어부 111,121:입력처리부
112,117,133:데이터버스 113:운전제어 씨피유
114,122:통신 씨피유 115,131:버퍼
116:듀얼포트램 120:카조작반
130:속도제어부 132:속도제어 씨피유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 리셋횟수를 카운팅하는 제2단계와; 상기 리셋 카운팅이 기준횟수보다 작으면 상기 제1,2단계를 반복수행하고, 기준횟수보다 크면 기계실 또는 카측으로부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고,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해 구출모드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신호 처리부(30)의 카조작반(31)으로부터 카측의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운전제어부(11)의 데이터버스(DATA-BUS1)에 입력되고, 그 운전제어부(11)의 데이터버스(DATA-BUS1)로부터 기계실 또는 카측의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속도제어부(11)의 데이터버스(DATA-BUS2)에 입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주제어부(10), 승장신호 처리부(20) 및 카신호 처리부(30)가 종래 도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흐름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와 동일하게 기계실로부터 입력되는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운전제어부(110) 내부의 입력처리부(111) 및 데이터버스(112)를 통해 운전제어 씨피유(113)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입력되는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카조작반(120)의 입력처리부(121) 및 통신 씨피유(122)를 통해 운전제어부(110)에 입력된 후, 운전제어부(110) 내부의 통신 씨피유(114) 및 버퍼(115)를 통해 상기 운전제어 씨피유(113)에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운전제어 씨피유(113)에 입력된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듀얼포트램(116)을 통해 출력되고, 이는 속도제어부(130) 내부의 버퍼(131)를 통해 속도제어 씨피유(132)에 입력된다.
이때, 종래와는 다르게 카측의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카조작반(120)으로부터 기계실측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는 운전제어부(110) 내부의 입력처리부(111)에도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입력처리부(111)에 입력된 기계실과 카측의 보수운전 요구신호는 운전제어부(110)의 데이터버스(117)와 속도제어부(130)의 데이터버스(133)를 통해 속도제어 씨피유(132)에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흐름에 의해 운전제어 씨피유(113)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종래와 동일하게 운전제어 씨피유(113) 및 속도제어 씨피유(132)가 승장 및 카의 운전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보수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운전제어 씨피유(11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때는 속도제어 씨피유(132)가 운전제어부(110)의 데이터버스(117)와 속도제어부(130)의 데이터버스(133)를 통해 보수운전 요구신호를 입력받아 승장 및 카의 운전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보수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첨부한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 리셋횟수를 카운팅하는 제2단계와; 상기 리셋 카운팅이 2보다 작으면 상기 제1,2단계를 반복수행하고, 2보다 크면 기계실 또는 카측으로부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고,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해 구출모드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2회에 걸쳐 운전제어 씨피유의 비정상적인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리셋한 후에도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으면,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가 구출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입력이 없을때는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한 단독 구출운전을 수행하여 승객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은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으면,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보수운전 요구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가 구출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보수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보수자가 안심하고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운전제어 씨피유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운전제어 씨피유를 리셋시키고, 그 리셋횟수를 카운팅하는 제2단계와; 상기 리셋 카운팅이 기준횟수보다 작으면 상기 제1,2단계를 반복수행하고, 기준횟수보다 크면 기계실 또는 카측으로부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구출모드 설정을 종료하고, 보수운전 요구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속도제어 씨피유의 제어에 의해 구출모드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KR1019980028908A 1998-07-16 1998-07-16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KR10027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908A KR100275577B1 (ko) 1998-07-16 1998-07-16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908A KR100275577B1 (ko) 1998-07-16 1998-07-16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52A KR20000008852A (ko) 2000-02-15
KR100275577B1 true KR100275577B1 (ko) 2001-01-15

Family

ID=1954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908A KR100275577B1 (ko) 1998-07-16 1998-07-16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5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52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692B2 (en) Door control device of elevator
GB2041581A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5139113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elevator motion
JPH0514784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275577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JP2002046952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点検装置
JPH11171423A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2006206245A (ja) エレベータ装置の信号伝送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68935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510578B2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952669A (ja)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
JP2633828B2 (ja) エレベーターの端階減速監視装置
JP2002003115A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診断装置
KR970004767B1 (ko) 엘리베이터의 보조운전 제어회로 및 방법
JP2009091101A (ja) エレベータのエ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0764500B2 (ja) エレベータ扉の制御装置
JPH0659984B2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H019219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06144736A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点検装置
JP273535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05314082A (ja) エレベータ点検装置
JPH05270750A (ja) エレベーターの速度制御装置
JPH1020904A (ja) 制御状態監視装置
KR0157950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제어 방법
JPH02300073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