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118B1 - 기록 속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속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118B1
KR100275118B1 KR1019920027367A KR920027367A KR100275118B1 KR 100275118 B1 KR100275118 B1 KR 100275118B1 KR 1019920027367 A KR1019920027367 A KR 1019920027367A KR 920027367 A KR920027367 A KR 920027367A KR 100275118 B1 KR100275118 B1 KR 10027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recording
current
code buffer
data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827A (ko
Inventor
이승환
이영범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2002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118B1/ko
Publication of KR94001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서 기록 속도 제러를 하는데 사용하며 부호 버퍼를 이용하여 안정된 속도 제어를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G3 팩스나 G4팩스에서 처럼 화상 신호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매 라인마다의 기록 속도를 제어하여 안정된 기록부 인쇄를 위하여 부호 버퍼를 이용한 기록 속도 제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호 데이타를 관리하는 중앙제어장치(31), 상기 중앙제어 장치(31)에 연결되어 기록부를 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3), 상기 중앙제어 장치(31)와 마이크로 프롯서(33)에 연결되어 동시에 사용되는 공용 메모리(32),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3)와 상기 공동 메모리(32)에 연결되어부호화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부호 버퍼(35),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3)에 연결되어 상기 부호 버퍼(35)에서 데이타를 읽어 복호화하는 디코더(34), 및 상기 디코더(34)에 연결되어 복호화된 화상 데이타를 인쇄하는 기록장치(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록 속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 버퍼를 이용한 기록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기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록 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화상 데이터 기록을 위한 블럭구성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록 속도 판정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1은 부호버퍼, 2는 복호기(decoder), 3은 복호버퍼, 4는 기록장치, 5는 기록속도측정부, 6은 기록속도판정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부호버퍼(1)에 부호 데이터가 저장되면 복호기(2)에서 복호를 행하고, 그 복호화된 데이터를 복호버퍼(3)에 저장한 후 기록장치(4)로 보내 기록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기록장치(4)에서의 기록 속도는 기록속도측정부(5) 및 기록속도판정부(6)에서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서 먼저, 기록속도를 V0(정지)에서 Vn(최고 속도)까지 n+1단계로 분할하고, 현재 기록중의 라인의 기록 속도를 Vi, K라인 후의 기록 속도를 Vk라 할 때 다음 라인의 기록 속도 Vnext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결정된다.
1)1Ki+1의 범위에 있는 모든 K에 대해서 VkVi-K+1이 성립하면 Vnext=Vi+1로 가속한다. 즉, 바로 다음에 기록하는 라인의 기록 속도가 모두 제 2 도의 가속 영역에 들어있는 경우 그다음 라인의 기록 속도를 1단계 가속한다.
2) 1Ki의 범위에 있는 모든 K에 대해서 VkVi-K+2가 성립하면 Vnext=Vi-1로 감속한다. 즉, 바로 다음에 기록하는 라인의 기록 속도가 제 2 도의 감속 영역에 들어있는 경우에 그다음 라인의 기록 속도를 1 단계 감속한다.
3)상기 1),2)이 경우 이외에 있으면 Vnext=Vi로 등속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기록속도를 제어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첫째, 상기 알고리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항상 i+1라인(가속, 감속, 동속의 속도 영역을 위한 정수)전의 기록 속도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복호버퍼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속도를 예측하고 결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셋째, 매라인 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를 행할 경우보다 최대 10%의 기록 속도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매 라인 기록후 부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사하여 미리 설정된 속도루트를 따라 한 단계씩 증가 또는 감소를 행하도록 하며, 페이지 끝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최고 속도(V1)로 기록을 행하도록 하여 기록 시간 단축 및 하드웨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한 기록 속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화상 데이터 기록을 위한 블록구성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록 속도 판정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속도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속도 제어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중앙제어장치 32 : 공용메모리
33 : 마이크로프로세서 34 : 복호기
35 : 부호버퍼 36 : 기록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부호버퍼,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복호기 및 라인별로 상기 복호기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진 기록속도로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한 기록 속도 제어 장치에서 상기 기록수단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한 기록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최초로 상기 기록수단을 통한 기록 동작을 시작하도록 정해놓은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사하는 제1 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록수단에서 임의의 제1 기록 속도로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응답하는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복호기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하고,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량이 상기 임의의 데이터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될 때까지 기다리는 제2단계;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이 상기 기록수단을 통한 기록 동작의 완료 이전의 데이터량과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다면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기록 동작의 현재 속도를 상기 기록수단의 기록 속도로 설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이 상기 이전의 데이터량보다 작아 상기 부호버퍼의 데이터량이 감소한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저 기록속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저기록속도가 아닐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에서 임의의 크기만큼 1단계 감속한 속도를 상기 기록속도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 수단의 최저기록속도인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를 더 이상 감속하지 않고 상기 최저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7 단계; 상기 제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이 상기 이전의 데이터량보다 커 상기 부호버퍼의 데이터량이 증가한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고기록속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8 단계; 상기 제8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고기록속도가 아닐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에서 임의의 크기만큼 1단계 가속한 속도를 상기 기록속도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고기록속도인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를 더 이상 가속하지 않고 상기 최고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9 단계; 페이지 끝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페이지 끝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부호버퍼의 데이터량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속도를 상기 최고기록속도까지 임의의 크기만큼 1단계씩 증가시켜 상기 기록수단에서 상기 페이지의 마지막 라인까지 상기 최고기록속도로 기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 내지 상기 제10 단계는, 매 라인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속도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31은 중앙제어장치, 32는 공용메모리, 33은 마이크로프로세서, 34는 복호기(decoder), 35는 부호버퍼, 36은 기록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록 속도 제어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36),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용메모리(32), 상기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앙제어장치(31), 상기 중앙 제어장치(31)에 연결되며 상기 공용메모리(32)에 저장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3),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3)에 의해 상기 공용메모리(32)로부터 억세스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부호버퍼(35),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3)에 연결되어 상기 부호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3)로부터 읽어와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장치(36)로 출력하는 복호기(34)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기록 속도 제어 장치는 기록속도 예측 및 결정을 위한 별도의 패스를 구비하지 않으며, 또한 복호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하드웨어를 구성한다.
여기서, 중앙제어장치(31)와 마이크로프로세서(33)가 동시에 공용메모리(32)를 억세스할 수 없기 때문에, 중앙제어장치(31)가 공용메모리(32)를 억세스하는 동안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33)가 공용메모리(32)를 억세스하여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부호버퍼(34)에 쓸 수 없다.
이때, 기록장치(36)를 통해 기록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가 부호버퍼(35)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록장치(36)는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화상 데이터가 입력될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따라서, 기록장치(36)를 통해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양이 부호버퍼(35)에 적당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속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최초로 기록장치(36)를 통한 기록 동작을 시작하도록 정해놓은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부호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사하여 기록동작을 시작할 것인지 기다릴 것인지를 판단하고(40), 상기 판단 결과 최초 기록 동작을 위한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부호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최저의 기록 속도(Vn)로 기록장치(36)에서 최초 기록 동작을 수행하며(41), 만일 부호버퍼(35)에 저장된 데이터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33)가 공용메모리(32)를 억세스하여 부호버퍼(35)에 해당 데이터량 만큼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이때, 단계 41에서와 같이 최저의 기록 속도(Vn)로 최초 기록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아래 〈표 1〉에 나타난 속도 범위 내에 있는 임의의 속도를 시작속도로 정의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매 라인별로 부호버퍼(35)의 데이터량(현 데이터량)이 기록장치(36)를 통한 기록 동작의 완료 후에도 이전의 데이터량(전 데이터량)과 동일한가를 판단하여(42), 판단 결과 동일하면 기록 속도를 현재 속도(데이터에 대한 기록 동작 완료 수의 기록 속도를 말함)로 정한다(48). 만약, 단계 42의 판단 결과가 동일하지 않다면, 다시 부호버퍼(34)의 데이터량(현 데이터량)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한다(43).
다음으로, 상기 단계 43의 판단 결과 부호버퍼(34)의 데이터량(현 데이터량)이 상기 전 데이터량보다 작을 경우, 즉 부호버퍼(34)의 데이터량이 감소한 경우에는 현재 속도가 최저속도(Vn)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44), 현재 속도가 최저속도(Vn)가 아닐 경우에는 현재 속도에서 1단계 감속한 속도를 기록속도로 하여(45) 기록장치(36)에서 기록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만일 현재 속도가 최저속도(Vn)에 이미 도달한 경우에는 현재 속도를 더 이상 감속하지 않고 기록장치(36)에서 최저속도(Vn)를 그대로 유지하여 기록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43의 판단 결과 부호버퍼(34)의 데이터량(현 데이터량)이 상기 전 데이터량보다 큰 경우, 즉 부호버퍼(34)의 데이터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현재 속도가 최고속도(V0)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46), 현재 속도가 최고속도(V0)가 아닐 경우에는 현재 속도에서 1단계 가속한 속도를 기록속도로 하여(47) 기록장치(36)에서 기록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만일 현재 속도가 최고속도(V0)에 이미 도달한 경우에는 현재 속도를 더 이상 가속하지 않고 기록장치(36)에서 최고속도(V0)를 그대로 유지하여 기록 동작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페이지 끝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여(49), 페이지 끝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부호버퍼(35)의 데이터량에 관계없이 현재 속도에서 최고속도(V0)까지 한 단계씩 증가시켜 마지막 라인까지 최고속도(V0)로 기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50 내지 52).
본 발명의 기록속도 가감속 패턴은 〈표 1〉과 같다. 이때 속도의 가감속은 인접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기록속도의 변화에 따른 기록장치에서의 영향은 미소하다. 아래 〈표 1〉 속도 간격은 각 시스템의 전체적인 속도를 고려하여 적당하게 분할되어질 수 있으며 최저속도(Vn)와 최고속도(V0)의 결정은 각 시스템에 맞도록 정의하면 된다.
〈표 1〉 기록 속도제어를 위한 속도범위 및 분할 정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매 라인 기록 후 부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량을 검사하여 미리 지정된 속도루트를 따라 기록 속도를 한단계씩 증가 또는 감소시킨 속도로 기록장치에서 기록동작을 수행하고, 페이지 끝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최고 속도(V1)로 기록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기록 시간 단축 및 하드웨어의 구성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부호버퍼,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하는 복호기 및 라인별로 상기 복호기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진 기록속도로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한 기록 속도 제어 장치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한 기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최초로 상기 기록수단을 통한 기록 동작을 시작하도록 정해놓은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사하는 제1 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록수단에서 임의의 제1 기록 속도로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응답하는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복호기로부터 입력받아 기록하고,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량이 상기 임의의 데이터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임의의 데이터량만큼이 상기 부호버퍼에 저장될때까지 기다리는 제2 단계;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이 상기 기록수단을 통한 기록 동작의 완료 이전의 데이터량과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다면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기록 동작의 현재 속도를 상기 기록수단의 기록 속도로 설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이 상기 이전의 데이터량보다 작아 상기 부호버퍼의 데이터량이 감소한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저기록속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저 기록속도가 아닐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에서 임의의 크기만큼 1단계 감속한 속도를 상기 기록속도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저기록속도인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를 더 이상 감속하지 않고 상기 최저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저하는 제7 단계;
    상기 제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부호버퍼의 현재 데이터량이 상기 이전의 데이터량보다 커 상기 부호버퍼의 데이터량이 증가한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고기록속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8 단계;
    상기 제8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고 기록속도가 아닐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에서 임의의 크기만큼 1단계 가속한 속도를 상기 기록속도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기록수단의 최고기록속도인 경우에 상기 현재 속도를 더 이상 가속하지 않고 상기 최고기록속도로 상기 기록수단에서 기록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9 단계;
    페이지 끝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페이지 끝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부호버퍼의 데이터량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속도를 상기 최고기록속도까지 임의의 크기만큼 1단계씩 증가시켜 상기 기록수단에서 상기 페이지의 마지막 라인까지 상기 최고기록속도로 기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 내지 상기 제10 단계는, 매 라인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속도는,
    상기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진 상기 기록수단의 기록 속도 중 최저기록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속도 제어 방법.
KR1019920027367A 1992-12-31 1992-12-31 기록 속도 제어 방법 KR10027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367A KR100275118B1 (ko) 1992-12-31 1992-12-31 기록 속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367A KR100275118B1 (ko) 1992-12-31 1992-12-31 기록 속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827A KR940017827A (ko) 1994-07-27
KR100275118B1 true KR100275118B1 (ko) 2000-12-15

Family

ID=1934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367A KR100275118B1 (ko) 1992-12-31 1992-12-31 기록 속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157B1 (ko) * 1998-07-10 2003-11-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157B1 (ko) * 1998-07-10 2003-11-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827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5142A (ko)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제어장치
KR860000595A (ko) 정보처리장치를 위한 메모리액세스 제어방식
KR100275118B1 (ko) 기록 속도 제어 방법
US7797700B2 (en) Method of executing concurrent tasks by a subsystem managed by a central processor
JPH0736806A (ja) Dma方式
KR910005152A (ko) 정보처리 장치
KR960015255A (ko) 공용램 억세스 방법 및 장치
KR0120598B1 (ko) 메모리 보드의 설계방법 및 장치
JPH05225001A (ja) 入力履歴情報記憶処理装置
JPH0212519A (ja) 磁気テープ処理装置
JPH11134224A (ja) 信号観測方法及び信号観測装置
JP2580708B2 (ja) プリンタ
JPH05143366A (ja) 割込制御回路
KR19980019816A (ko) Fifo 제어회로
JPH04310164A (ja) 情報処理装置の主記憶装置
KR930014069A (ko) Dma 라이트 테스트 방법
KR970022780A (ko) 어드레스를 자동 증가시켜 롬을 억세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H0936854A (ja) 回線接続情報の管理方式及び装置
JPH081610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4373058A (ja) バッファ制御方式
KR900010592A (ko) 영상처리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시스템
JPH0793243A (ja) チャネル装置
KR950004006A (ko) 다이렉트 메모리 억세스(dma) 전송에러 보정방법 및 장치
JPS58197536A (ja) デバイス選択方式
JPH05334215A (ja) 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