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157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157B1
KR100405157B1 KR10-2001-7000365A KR20017000365A KR100405157B1 KR 100405157 B1 KR100405157 B1 KR 100405157B1 KR 20017000365 A KR20017000365 A KR 20017000365A KR 100405157 B1 KR100405157 B1 KR 10040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t power
subscriber unit
transceiver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811A (ko
Inventor
캄야 로하니
맨소르 암메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7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수신기에서, 데이터는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며, 각각의 가입자 유닛은 요청 전송 전력 및 할당된 전송 전력을 가지며, 할당된 전송 전력은 요청 전송 전력에 기초한다. 부가 전력 할당(200)에 대한 요청이 검출되며, 그런 부가 할당은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220)을 초과하게 한다. 응답시, 할당된 전송 전력은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최대 송수신기 전력(220)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선택된 가입자 유닛(222)의 최소수에 대한 제한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TRANSMIT POWER TO SUBSCRIBER UNI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이스 송수신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랜덤하게 위치된 가입자 유닛에/으로부터 무선 주파수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각각의 가입자 유닛과의 신뢰성있는 통신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송수신기는 각각의 가입자 유닛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된 서로 다른 전력량을 갖는 복합 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서비스 영역(50)은 복수의 가입자 유닛(54-62)으로 작용하는 기지국 또는 송수신기(52)를 포함한다. 이들 가입자 유닛 중 몇몇은 가입자 유닛(54, 56 및 6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 또는 다른 실시간 데이터를 통신하고 있으며, 반면에 다른 가입자 유닛은 가입자 유닛(58 및 62)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비실시간 데이터를 통신하고 있다. 이하, "실시간 데이터"는 도착의 보증 시간을 요구하는 데이터 또는 선정된 시간량 이상만큼 지연되는 경우 유용하지 않을 수 있는 데이터로서 정의된다. 실시간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및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유사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비실시간 데이터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세션시 전송되는 웹 페이지 또는 다른 파일을 나타내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체 파일이 전송될때 재생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및 다른 유사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54-62)는 각각 다른 전송 전력을 요구하며, 이런 전력은 송수신기(52)에서 할당된다. 가입자에 할당된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중 하나는 송수신기(52)로부터의 거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유닛(54)에 할당된 전력은 전형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 서비스 영역(50)의 에지상에 있는 가입자 유닛(60)에 할당된 전력 보다 작다. 서로 비교하면, 가입자 유닛(62)은 송신기(52)와의 거리 차이때문에 가입자 유닛(58)보다 큰 전력이 할당된다.
가입자 유닛에 할당된 전력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은 가입자 유닛과 송수신기 사이의 전파 경로에서 감쇠물의 존재이다. 예컨데, 도 1에서 빌딩(64)은 가입자 유닛(56)과 송수신기(52) 사이에 놓인다. 빌딩(64)은 신호를 감쇠하기 때문에 송수신기(52)는 신뢰성있는 통신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입자(56)에 더 많은 전력을 할당해야 한다.
할당된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3 요인은 통신 링크의 데이터 레이트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호출에서 가입자 유닛은 비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가입자 유닛 보다 적은 전력 할당을 요구한다. 이는 비실시간 데이터가 바람직하게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에서 전송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수신 가입자 유닛에서 요구되는 비트당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전력 할당을 요구한다. 음성 호출에 대한 전형적인 비트 레이트는 4Kbps이며, 반면에 비실시간 데이터 호출에 대한 비트 레이트는 64Kbps이다.
가입자 유닛 수가 가변적이며 전송기로부터의 거리가 가변적이며 데이터의 타입 및 감쇠물의 할당이 가변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기는 몇몇 경우에 자신이 전송할 수 있는 전력보다 많은 전력을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송수신기는 초과되지 않아야할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가진다. 종래에는, 송수신기에 의해 동시에 동작되는 가입자 유닛의 수를 제한함에 의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넘는 전송을 회피했다. 보다 큰 전력 증폭기의 선택과 더불어 이러한 사용자 수를 제한함으로써 최대 송수신기 전력이 초과되지 않는 설계 마진 및 통계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런 해결책은 설계 마진이 송수신기에 피해를 입히지 않고 시스템 오퍼레이터를 위해 돈을 버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용량이기 때문에 최적이 아니다.
송수신기를 보호하는 다른 방법은 송수신기에서 감온 소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이들 소자가 최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송수신기를 셧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결책은 송수신기가 쿨(cool)되며 안전한 동작 온도로 복귀되는 동안 많은 호출이 드롭(drop)되어 가입자를 실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당업자에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가입자 유닛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에서의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존재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 자명하며, 여기서 전력 할당 기술은 허용할 수 있을 만큼의 가입자 서비스를 유지하는 한편 송수신기를 보호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전력을 송수신기에 할당하며 제한하는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 그 자체, 바람직한 사용모드, 추가 목적 및 그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될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가입자 유닛으로 작용하는 송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한 하이레벨 로직 플로우챠트.
도 3 및 4는 2개의 다른 환경에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는 송수신기를 도시한 도.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하는 하이레벨 로직 플로우챠트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블럭 100에서 시작하며, 그후 프로세스가 각 가입자 유닛에 대해 우선순위 및 요청 전력을 결정하는 블럭 102로 진행한다. 가입자 유닛의 우선순위는 예컨데, 가입자 유닛이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지 여부, 사용자가 시스템 오퍼레이터와 계약한 서비스의 레벨, 가입자 유닛이 긴급 상황에서 동작하는지 여부, 및 다른 유사한 요인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요인에 기초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우선순위 레벨로 지정될 수 있다.
가입자 유닛의 요청된 전력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직접 요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예컨데 프레임 소거 레이트(FER)와 같은 메트릭스를 조사함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블럭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체 요청 전력은 송수신기에 의해 동작되는 각 가입자 유닛에 의해 요청된 모든 전력의 합이다. 최대 송수신기 전력은 송수신기가 회로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다른 문제를 야기함이 없이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는 최대 전력이다.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과전력 조건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블럭 102로 반복해서 돌아간다.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한다고 판정된 후, 프로세스는 블럭 10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이하로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전력 제한량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블럭 10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우선순위에 따라 가입자 유닛을 그룹핑한다. 그후, 프로세스는 블럭 1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그룹에서 각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요청된 전송 전력의 양에 따라 각각의 우선순위 그룹을 쏘트(sort)한다.
필요한 제한량이 결정되고 가입자를 우선순위 그룹으로 분리하고 요청된 전력에 따라 각각의 그룹을 쏘트한 후, 프로세스는 할당 전력이 제한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블럭 1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가장 큰 전력량을 요청하는 가장 하위순위 그룹에서의 가입자를 먼저 선택한다. 이 가입자는 필요한 전력 제한의 양이 만족되는 정도 또는 최소 가입자 유닛 전력이 그 가입자 유닛에 도달할 때까지로 제한된다. 하나 이상의 가입자 유닛이 필요한 전력 제한의 양을 만족하도록 제한되야만 하는 경우, 그룹에서 제2 가장 큰 전력 요청 가입자 유닛은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일 때까지, 또는 그 가입자 유닛이 최소 가입자 유닛 전력으로 제한될 때까지 제한된다. 이런 제한 프로세스는, 필요한 제한 전력량이 만족될 때까지, 또는 하위순위 그룹에서의 모든 가입자 유닛이 최소 가입자 유닛 전력으로 제한될 때까지 요청된 전력 순서의 감소가 계속된다.
최소 가입자 유닛 전력은, 바람직하게 호출 또는 데이터 세션이 드롭됨이 없이 계속되는 것을 보장하는 최소 비트 레이트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력임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그런 최소 비트 레이트는 가입자 유닛에 할당된 전력의 감소 결과로서 개시될 수 있다. 예컨데, 가입자 유닛의 전력이 요청된 전력 이하로 드롭되기 시작할 때, 그 가입자 유닛은 보다 높은 에러 레이트를 허용할 수 있다. 에러 레이트가 계속해서 증가할 때, 가입자 유닛 및 송수신기는 하위 비트 레이트로 통신하길 동의하는 지점에 도달한다. 이는 비트 시간이 증가하여 비트당 에너지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링크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필요한 제한 전력량이 블럭 11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순위 그룹에서 하나 이상의 가입자 유닛을 제한함에 의해 만족되는지를 판정한다. 제한 전력량이 만족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부가적인 전력 제한이 연속적인 전력 증가 요청의 결과로서 요구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블럭 102로 복귀한다. 필요한 전력 제한량이 블럭 114에서 만족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럭 112에 관한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보다 높은 순위 그룹에서 가입자에 대한 전력을 제한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블럭 1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다 높은 순위 그룹에서 가장 큰 전력 사용자의 최소 수는, 많은 가입자 유닛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 아래로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한될 때까지 최소 가입자 유닛 전력 이상의 전력으로 제한된다.
모든 우선 순위 그룹에서 모든 가입자 유닛을 제한한 후, 필요한 전력 제한량이 여전히 만족되지 못한 경우, 프로세스는 블럭 118 및 12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제한 전력량이 만족될 때까지 가장 큰 전력량을 요청하는 가입자로 시작하는 휴면 상태에서 가장 낮은 순위 그룹에 가입자 유닛을 실질적으로 두는 것을 계속한다. 가장 낮은 순위 가입자를 휴면 상태에 위치시킨 후 전력 제한량이 여전히 만족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럭 122 및 1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전력 제한량이 만족될 때까지 높은 순위 가입자의 필요한 수를 휴면 상태에 둔다. 프로세스는 블럭 124에 후속하여 블럭 102로 복귀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입자 유닛이 보다 적은 전력을 요청하거나, 또는 가입자 유닛이 자신들의 호출을 완료할 때, 가입자 유닛에 할당된 전력이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모든 가입자 유닛에는 자신들이 요청해 온 전력량이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이 이용가능하게 될 때, 및 부가 용량이 이용가능할 때, 전력 제한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더 예시된다. 도 2에서 블럭 102를 참고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는 각각의 가입자 유닛에 대한 요청 전력량을 먼저 결정한다. 이는 참조번호 200에 도식적으로 도시되며, 가입자 유닛(54-62)에 의해 요청된 전력량(도 1 참조)은 대응하는 참조번호 254-262에 도시된다. 도 1로부터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 유닛(54)은 도 3에서 참조번호 25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전력량을 요청하며, 반면에 가입자 유닛(62)은 도 3에서 참조번호 262로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큰 전력량을 요청한다.
각 가입자에 의해 요청된 전력이 결정될 때, 요청된 전체 전력은 모든 요청 전력을 합산함에 의해 계산된다. 이 값은 도 3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204)과 비교된다. 이런 요청된 전력량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204)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참조번호 2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청된 전송 전력량에 따라 가입자 유닛을 쏘트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가입자 유닛의 최소수에 대한 할당된 전송 전력은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최대 송수신기 전력(204)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레벨로 제한된다. 이는 참조번호 208로 예시되며, 가입자 유닛(62)에 의해 요청된 전력은 참조번호 362에서 도시된 할당 전력으로 제한된다.
도 3에 예시된 예에서, 단일 가입자 유닛은 전체 전송 전력을 최대 송수신기 전력이하로 감소시키도록 제한된다. 본 발명의 동작의 다른 예로서, 도 4는 2개의 가입자 유닛이 참조 번호 362 및 36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한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 4에서는 최대 송수신기 전력(220)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필요한 전력 제한량이 가입자 유닛(62)에 대한 전력만을 제한함에 의해서 만족될 수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 예에서, 가입자 유닛(62)에 할당된 전력은 호출이 가입자 유닛(62)에 대해 활성을 유지할만큼 충분한 전력인 최소 가입자 유닛 전력으로 제한된다. 필요한 전력 제한의 남아있는 양은 참조번호 36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입자 유닛(60)에 할당된 전력으로부터 취해진다.
도 2의 플로우챠트와 도 3 및 4의 예시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가입자 유닛의 최소 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가장 큰 송수신기 전력량을 요청하는 가입자 유닛이 먼저 제한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가장 적은 수의 가입자 유닛에 역효과를 미치는 한편 필요한 양만큼 할당 전력의 양을 계속해서 제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입자 유닛에 대한 역효과로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시 지연 또는 요청된 전력의 부족에 기인한 통신 성능의 저하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송수신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46)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전송용 데이터를 포맷팅하며 변조하기 위한 복수의 채널 프로세서(400)를 포함한다.
채널 프로세서(400)의 출력은 합산기(402)에서 합산된다. 합산기(400)에 후행하는 복합 데이터는 모든 가입자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무선 주파수 전송기(404)에서 업컨버트, 변조 및 증폭된다. 무선 주파수 전송기(404)의 출력은 안테나(406)에 접속된다.
안테나(406)에는 또한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데이터 수신기(408)가 접속되며, 여기서 그 데이터는 송수신기(46)에 전력을 할당하는데 사용된다. 몇몇 시스템에서, 그 데이터는 프리셋 양만큼 특정 가입자 유닛에 할당된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송수신기(46)로 향하는 주기적인 비트 스트림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가입자 유닛은 절대 전력 설정을 요청하거나, 또는 특정량의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데이터 수신기(408)의 출력은 각 가입자 유닛에 의해 요청된 전력을 추적하고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매니저(410)에 접속된다.
전력 매니저(410)로부터의 출력은 각각의 채널 프로세서(400)에 위치된 채널 전력 제어(412)에 접속된다. 이런 채널 전력 제어(412)는 특정 가입자 유닛에 할당된 전력에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데 사용된다.
전력 매니저(410)는 또한 요청된 전력 합산기(414) 및 전력 리미터 제어(416)에 접속된다. 전력 매니저(410)에 의해 이들 2개 기능부에 전달된 데이터는 각 가입자 유닛의 요청 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요청 전력 합산기(414)의 기능은 모든 요청 전력 할당을 가산하는 것이며 송수신기(46)에 의해 작용되는 모든 가입자 유닛에 대한 전체 요청 전력을 출력한다. 이 출력은 전체 요청 전력과 최대 송수신기(420)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는 비교기(418)에 접속된다. 최대 송수신기 전력(420)은 프리셋값이거나 또는 송수신기(46)에서 측정된 다른 임계값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예컨데, 최대 송수신기 전력(420)은 무선 주파수 전송기(404)에서의 증폭기에서 측정된 온도로부터 계산된다.
따라서, 비교기(418)의 출력은 무선 주파수 전송기(404)내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한되어야 할 전력량을 나타낸다. 이 출력값은,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한되는 전력을 갖는 가입자 유닛을 선택하는 것을 담당하는 전력 리미터 제어(416)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력 리미터 제어(416)는 쏘터(422) 및 최소 할당 전송 전력 레지스터(424)를 포함한다. 쏘터(422)는 가장 큰 전력량을 요청하는 가입자 유닛이 빠르게 식별되도록 요청된 전력의 리스트를 쏘트하는데 사용된다. 최소 할당 전송 전력 레지스터(424)는 가입자 유닛용으로 제한되는 전력 레벨의 상한선을 나타내는 변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최소 할당 전송 전력값은 송수신기와 가입자 유닛 사이의 몇몇 데이터 전송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되거나, 또는 호출의 드롭핑을 회피하는 레벨이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최소 할당 전송 전력은 0으로 설정된다.
전력 리미터 제어(416)의 출력은 각각의 채널 프로세서(400)에서 채널 전력 리미터(426)에 접속된다. 채널 전력 리미터(426)의 목적은 사용자 데이터 신호가 합산기(402)로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 데이터 신호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캐리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서, 가입자 유닛에 전송된 데이터는 다중 캐리어 주파수 상에 동시에 전송되며, 가입자 유닛은 데이터를 수집하며 복조하기 위하여 그런 주파수 모두를 수신한다. 따라서,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서 다중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사용되는 송수신기 각각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독립적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몇몇 캐리어 주파수가 다중 캐리어 가입자 유닛에 의해 사용된 다중 캐리어들 중 하나의 캐리어만을 사용하는 가입자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그 한 캐리어에 대한 제한은 다른 잔여 캐리어에 대해 요구되는 제한과는 다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송수신기내의 외부 영향에 민감한 회로를 보호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는, 송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설계 마진을 대폭 감소시키며, 추가되는 사용자에 서비스하거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런 설계 마진에 포함된 용량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예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변형 또는 수정은 상술한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의 가장 좋은 예시 및 그 실제 응용을 제공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로 및 특정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으로 사용하게 하도록 선택되며 예시되었다. 이런 모든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 송수신기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가입자 유닛 - 상기 각각의 가입자 유닛은 요청된 전송 전력 및 할당된 전송 전력을 가지며, 상기 할당된 전송 전력은 상기 요청된 전송 전력을 기초로 함 - 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게 되어 발생하는 부가 전력 할당용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와,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상기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총량만큼 제한된 할당된 전송 전력을 가질 수 있는 가입자 유닛의 최소 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유닛의 최소 수에 응답하여, 할당된 전송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가입자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상기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만큼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에 대한 할당된 전송 전력 -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에 대한 할당된 전송 전력은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의 현재 진행중인 통신 세션이 중단없이 계속되도록 하는 양만큼 제한됨 - 을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가입자 유닛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낮은 순위 사용자인 가입자 유닛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적어도 선택되지 않은 각각의 가입자 유닛 만큼 큰 요청 전송 전력을 갖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게 하는 부가 전력 할당에 대한 요청을 검출하는 상기 단계는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게 하는 부가 전력 할당에 대한 새로운 가입자 유닛으로부터의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단계는 상기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상기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 필요한 양만큼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에 대한 할당된 전송 전력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최소 할당 전송 전력 이하로 제한되지 않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요청된 전송 전력에 따라서 상기 가입자 유닛을 쏘트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 큰 전송 전력을 요청하는 상기 가입자 유닛으로 시작하는 순서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기 위한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가입자 유닛 - 상기 각각의 가입자 유닛은 요청된 전송 전력 및 할당된 전송 전력을 가지며, 상기 할당된 전송 전력은 상기 요청된 전송 전력을 기초로 함 - 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과,
    전체 요청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게 되어 발생하는 부가 전력 할당용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상기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총량 만큼 제한된 할당된 전송 전력을 가질 수 있는 가입자 유닛의 최소 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가입자 유닛의 최소 수에 응답하여 할당된 전송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가입자 유닛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상기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만큼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에 대해 할당된 전송 전력 -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에 대한 할당된 전송 전력은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의 현재 진행중인 통신 세션이 중단없이 계속되도록 하는 양만큼 제한됨 - 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송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가입자 유닛인 송수신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낮은 순위 사용자인 가입자 유닛인 송수신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적어도 선택되지 않는 각각의 가입자 유닛만큼 큰 요청 전송 전력을 갖는 송수신기.
  12. 제8항에 있어서,
    전체 요청된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게 하는 부가 전력 할당에 대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전체 요청된 전력이 최대 송수신기 전력을 초과하게 하는 부가 전력 할당용 새로운 가입자로부터의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송수신기 전송 전력을 상기 최대 송수신기 전력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만큼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에 대해 할당된 전송 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 각각은 최소 할당 전송 전력 이하로 제한되지 않는 송수신기.
  14. 제8항에 있어서,
    요청된 전송 전력에 따라 상기 가입자 유닛을 쏘트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가장 큰 전송 전력을 요청하는 상기 가입자 유닛으로 시작하는 순서로 상기 선택된 가입자 유닛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기.
KR10-2001-7000365A 1998-07-10 1999-06-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40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13,391 1998-07-10
US09/113,391 US6064659A (en) 1998-07-10 1998-07-10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transmit power to subscriber uni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811A KR20010071811A (ko) 2001-07-31
KR100405157B1 true KR100405157B1 (ko) 2003-11-12

Family

ID=2234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365A KR100405157B1 (ko) 1998-07-10 1999-06-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64659A (ko)
EP (1) EP1097518B1 (ko)
JP (1) JP4486752B2 (ko)
KR (1) KR100405157B1 (ko)
CN (1) CN1153358C (ko)
BR (1) BR9911957B1 (ko)
CA (1) CA2336947C (ko)
DE (1) DE69940402D1 (ko)
IL (1) IL140644A (ko)
WO (1) WO2000003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6629B1 (en) * 1999-06-29 2008-02-26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FR2805703B1 (fr) * 2000-02-29 2003-09-05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Systeme de controle de la puissance d'emission d'une station de base avec laquelle plusieurs stations mobiles sont en communication
EP1134911A1 (en) 2000-03-17 2001-09-19 Alcatel Operating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CN1135745C (zh) * 2000-03-23 2004-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码分多址通讯系统前向功率饱和保护方法及功率控制装置
US6580899B1 (en) * 2000-09-07 2003-06-17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forward power management algorithm for traffic hotspots
EP1239602B1 (en) 2001-01-18 2010-12-29 NTT DoCoMo,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US6775541B2 (en) 2001-01-19 2004-08-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rates to preserve voice quality in a CDMA system
EP1160996A1 (de) * 2001-02-02 2001-12-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Sendeverhaltens einer ersten Mobilfunk-Einrichtung sowie Mobilfunksystem
US7016364B2 (en) * 2001-05-04 2006-03-21 Alcatel Canada Inc. Power pooling in network downstream data transmission
EP1331690B1 (de) * 2002-01-23 2006-04-19 Siemens Schweiz AG Mobilfunkantennenanlage mit einstellbarem Richtverhalten
US6862271B2 (en) * 2002-02-26 2005-03-0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ssion modes
JP4074781B2 (ja) * 2002-05-23 2008-04-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7072679B2 (en) * 2002-06-28 2006-07-04 Harris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disabling
US7164919B2 (en) * 2002-07-01 2007-01-1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of data transmission for terminals with variable scheduling delays
JP3574446B2 (ja) * 2002-09-19 2004-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EP1559290A1 (en) * 2002-11-08 2005-08-03 Noki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base station
US7660282B2 (en) 2003-02-18 2010-02-09 Qualcomm Incorporated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data network
DE10325306A1 (de) * 2003-06-04 2004-12-30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von Sendeleistungen von wenigstens zwei von einer sendenden Station gleichzeitig übertragenen Kanälen sowie sendende Station
AU2004248703B2 (en) * 2003-06-13 2008-07-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control for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1830480B1 (en) * 2003-07-30 2009-04-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ownlink power control with limit to dynamic range using detection of downlink transmit power
CN1833370B (zh) 2003-07-30 2010-05-12 美商内数位科技公司 使用下链传输功率检测进行限制动态范围的下链功率控制
JP4543037B2 (ja) * 2003-08-11 2010-09-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Ack/nack信号の送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移動端末での電力管理
WO2005039209A1 (ja) * 2003-10-17 2005-04-28 Nec Corporation シグナリング方法、システム、基地局並びに移動局
JP4837769B2 (ja) * 2003-11-11 2011-12-1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420329B2 (ja) * 2003-11-11 2010-02-2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20050136960A1 (en) * 2003-12-17 2005-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method
GB2411078B (en) * 2004-02-10 2009-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CN100586044C (zh) * 2004-03-01 2010-01-27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基站设备和传输功率控制方法
EP1938837A4 (en) * 2005-08-29 2010-07-21 Kissei Pharmaceutical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DISEASE CAUSED BY LACRYMAL LIQUID DROP
US7698578B2 (en) * 2006-06-29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mperature-dependent power adjustment of transmitter
EP2015492A1 (en) * 2007-06-19 2009-0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channel quality re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nnel quality reporting structures
CN101174860B (zh) * 2007-11-14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前向功率过载控制方法
DE102012219077A1 (de) * 2012-10-08 2014-04-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erteilung einer elektrischen Leistung
US10149255B2 (en) * 2015-05-01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uplink power control
EP3503635A1 (en) * 2017-12-22 2019-06-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mergency notification (urllc) requesting spontaneous grant free transmission for v2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755A (ko) * 1997-07-30 1999-02-25 윤종용 간섭을 줄이기 위한 역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15947B1 (ko) * 1989-11-07 1999-08-16 밀러 럿셀 비 Cdma셀룰러모빌전화시스템에서의송신전력제어방법및장치
JPH11340948A (ja) * 1998-05-28 1999-12-10 Nec Corp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出捕捉時の電力制御方法
KR100275118B1 (ko) * 1992-12-31 2000-12-15 김영환 기록 속도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5598A (en) * 1992-04-10 1994-09-06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Duplex power control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IT1261365B (it) * 1993-12-02 1996-05-20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i potenza nella tratta stazione base-mezzo mobile di un sistema radiomobile con accesso a divisione di codice
JP2798012B2 (ja) * 1995-07-14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5715526A (en) * 1995-09-08 1998-02-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JP2959458B2 (ja) * 1996-01-19 1999-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47B1 (ko) * 1989-11-07 1999-08-16 밀러 럿셀 비 Cdma셀룰러모빌전화시스템에서의송신전력제어방법및장치
KR100275118B1 (ko) * 1992-12-31 2000-12-15 김영환 기록 속도 제어 방법
KR19990012755A (ko) * 1997-07-30 1999-02-25 윤종용 간섭을 줄이기 위한 역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340948A (ja) * 1998-05-28 1999-12-10 Nec Corp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出捕捉時の電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358C (zh) 2004-06-09
WO2000003487A1 (en) 2000-01-20
EP1097518A4 (en) 2004-06-23
KR20010071811A (ko) 2001-07-31
DE69940402D1 (de) 2009-03-26
EP1097518B1 (en) 2009-02-11
JP2002520939A (ja) 2002-07-09
EP1097518A1 (en) 2001-05-09
US6064659A (en) 2000-05-16
CN1312975A (zh) 2001-09-12
CA2336947A1 (en) 2000-01-20
BR9911957B1 (pt) 2012-06-12
IL140644A (en) 2005-12-18
BR9911957A (pt) 2001-03-27
CA2336947C (en) 2004-02-24
IL140644A0 (en) 2002-02-10
JP4486752B2 (ja)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15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전력을 가입자 유닛에 할당하는방법 및 시스템
US10531399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a high-speed shared channel
KR970003530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JP4887387B2 (ja) 共通制御チャネルに割り当てられたタイムスロットをユーザトラフィックのために再使用することができ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993006B2 (en)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804520B1 (en) Temporary service interrup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EP1510016B1 (en) Signaling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EP1932382B1 (en) Throughput optimized carrier allocation
JP2002232941A (ja) 呼受付制御装置及び方法
JP3031327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過負荷制御方法
JP2004247950A (ja) 無線パケット伝送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6775547B2 (en) Transmission quality measur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H10285110A (ja) Cdma型のセルラ通信網における端末の送信パワー制御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制御装置
EP12191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spectrum resource allocation
CA2217249C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tigate interference caused by an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GB2347317A (en) Determining a cost function from the actual resource impact of supporting a subscriber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1282998A1 (e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cdma system
JP2000050340A (ja) Cdmaセルラ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の基地局のセルトラフィック負荷を制御する方法
US20040085935A1 (en) Performance of a CDMA system
KR100464908B1 (ko) 코드 분할 다중화 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용 채널에 따른 트랙픽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