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383B1 -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383B1
KR100274383B1 KR1019970075479A KR19970075479A KR100274383B1 KR 100274383 B1 KR100274383 B1 KR 100274383B1 KR 1019970075479 A KR1019970075479 A KR 1019970075479A KR 19970075479 A KR19970075479 A KR 19970075479A KR 100274383 B1 KR100274383 B1 KR 10027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transfer
signal
signal charge
transfer element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763A (ko
Inventor
마사지 아사우미
Original Assignee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가즈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6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3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using interline transf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04N25/445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by skipping some contiguous pixels within the read portion of the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반도체기판상에 복수의 광전변환소자가 배열되고,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수직CCD와, 각 수직CCD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수직CCD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송하는 수평CCD와, 수평CCD로부터 받은 신호전하에 대응하는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CCD에 의한 전하전송은 수평CCD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동하는 통상모드와, 수평CCD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가진다. 수평CCD의 수직CCD와의 접속부와 반대측 변을 따라,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이 배설되고, 전하배출영역의 저항(R)과 정전용량(C)과의 곱이 수직CCD의 고속모드에서의 전송주기의 거의 10배보다 작다.

Description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고체촬상장치를 구성하는 2상구동방식의 수평CCD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b"선을 따르는 전위분포도,
제4도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수평CCD의 드레인영역의 등가회로도,
제5도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수평CCD의 일단당 전위변동을 도시하는 그래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고체촬상장치를 구성하는 2상구동방식의 수평CCD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d'-d"선을 따르는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d-d'-d"선을 따르는 전위분포도.
제9도는 실시형태2의 고체촬상장치의 화소부의 단면도.
제10도는 실시형태2의 고체촬상장치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고체촬상장치의 구동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종래의 고체촬상장치의 구성도.
제13도는 종래의 고체촬상장치를 구성하는 2상구동방식의 수평CCD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과 전위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제13도의 a-a'선을 따르는 단면과 전위분포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종래의 고체촬상장치를 구성하는 2상구동방식의 수평CCD의 구동전압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토다이오드, 2 : 수직CCD,
3 : 수평CCD 4 : 출력앰프,
5, 35 : p형영역, 6, 33, 36 : n형영역,
8a, 8b : 제1층전극(수평CCD전극), 9a, 9b : 제2층전극(수평CCD전극),
10, 11 : 전압인가단자, 12, 39 : 수직CCD전극,
21, 25 : 전위장벽영역, 22, 26 : 드레인영역,
23 : 전원, 24 : 신호전하,
31 : n형기판, 32, 37, 38 : p형영역,
34 : p+형영역, 40 : 차광막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전하전송소자를 이용한 고체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하결합소자(CCD라고도 한다) 등의 전하전송소자를 이용한 고체촬상장치는, 그 저잡음특성 등의 우위성에 의해 비디오카메라 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도12는 종래의 기본적인 고체촬상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포토다이오드(광학변환소자)(1)와 수직CCD(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2)가 1열씩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포토다이오드(1)는 대응하는 수직CCD(2)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수직CCD(2)의 종단부는 수평CCD(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3)에 접속되어 있다. 수평CCD(3)의 종단부는 출력앰프(신호출력회로)(4)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다이오드(1)에서 광전변환되어 발생한 화소마다의 신호전하는 수직CCD(2)에 부여되고, 수직CCD(2)내를 전송된다. 각 수직CCD(2)로부터 동시에 수평CCD(3)에 전송된 1수평라인 분의 신호전하 수평CCD(3)내를 전송되고, 출력앰프에서 전압으로 변환되어 순차 출력된다.
수평CCD(3)의 구체구조로서, 이상구동방식의 수평CCD를 도13~도15에 도시한다. 도13은 도12의 수평CCD(3)를 90도 회전한 방향에서 도시하는 부분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의 a'-a"선을 따르는 단면과 채널부의 전위(포텐셜)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도13의 a-a'선을 따르는 단면과 채널부의 전위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13~도15에 있어서, 5는 p형 영역, 즉 p형 확상층 또는 p형 반도체기판이다. 6은 소위 매립형 채널CCD의 채널부가 되는 n형 영역 즉 n형 확산층이다. 7은 n형 영역 즉 n형확산층이다. 8a, 8b는 구동펄스가 인가되는 제1층전극이고, 9a, 9b는 구동펄스가 인가되는 제2층전극이다. 제1층전극(8a)과 제2층전극(9a)은 전압인가단자(10)에 접속되고, 제1층전극(8b)과 제2층전극(9b)은 전압인가단자(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14에는 수직CCD의 종단부의 전극(12)이 도시되어 있다.
전압인가단자(10, 11)에 인가되는 이상구동펄스(
Figure kpo00001
H1,
Figure kpo00002
H2)의 전압파형을 도16에 도시한다. 이 도면은 시각(t1)에 있어서의 채널부의 전위분포가 도14 및 도15에 실선으로 표시되고, 시각(t2)에 있어서의 채널부의 전위분포가 도14및 도15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16에 있어서, 시각(t1)에서는 전압인가단자(10)에 H레벨의 전압이 인가되고, 전압인가단자(11)에 L레벌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로써, 도15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층 전극(8b) 및 제2층 전극(9b)에 대향하는 전송채널의 전위(포텐셜)가 제1층 전극(8a) 및 제2층 전극(9a)에 대향하는 전송채널의 전위보다 높아진다. 이와 같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되는 포텐셜우물에 신호전하(13)가 축적된다.
다음에 시각(t2)에서는 전압인가단자(11)가 L레벌에서 H레벌로 변화하고, 전압인가단자(10)가 H레벌에서 L레벌로 변화한다. 이 결과, 도15에 파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층 전극(8b)에 대향하는 채널의 포텐셜우물에 축적되어 있던 신호전하(13)는 제1층 전극(8a)에 대향하는 채널의 표텐셜우물로 전송되고, 신호전하(14)가 된다. 신호전하(14)는 이상적으로는 신호전하(13)와 같은 전하량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수평CCD내를 신호전하가 순차 전송된다. 또한,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형영역(6)의 제2층전극(9a, 9b)에 대향하는 부분에 n형 영역(7)을 배설하고 있는 것은, 제1층전극(8a)에 대항하는 부분과 제1층전극(8b)에 대항하는 부분과의 사이의 전위균배를 가능한한 원활하게 하여 신호전하의 이동이 부드러워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12의 수직CCD(2)에 있어서의 전하전송도 기본적으로는 수평CCD(3)의 전하전송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지지만, 수직CCD(2)의 전송속도는 수평CCD(3)의 전송속도에 비해 상당히 늦어도 된다. 이 때문에 수평CCD(3)에 있어서의 n형영역(7)과 같은 구조는 수직CCD(2)에는 통산 배설되지 않는다. 구동펄스를 3상 또는 4상으로 함으로써 전위균배를 가능한한 원활히 한다.
상기와 같은 고체촬영소자를 이용한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예를 들면 수동보정을 행하기 위해 화면의 주변부에 상당하는 화소의 신호전하를 버리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필드마다에 수직CCD로부터 수평CCD로 전송되는 신호전하중, 최초와 최후의 수십~수백라인 분의 신호전하를 버린다.
이 동작을 수직블랭킹(blanking)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수평CCD의 수직CCD와의 접속부와 반대측 변을 따라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형성하고, 수직CCD로부터 수평CCD에 전송되어 오는 신호전하를 수평CCD의 측부부터 전하배출영역을 통하여 전원에 직접 배출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205359호 공보 참조). 이 경우, 수직CCD에 의한 전하전송은 수평CCD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상모드와의 별도로, 수평CCD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불필요 전하의 배출시에는 고속모드로 수직CCD를 구동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 화면주변부의 불필요한 화소의 신호전극을 버리는 동작은 수직부 랭킹기간내에 완료할 필요가 있다. 만약, 수직랭킹기간내에 다 버려지지 않은 신호전하가 수평CCD에 남게 되면, 예를 들면 화면상부에 흰선이 나타나는 부적합한 현상이 발생한다.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가지는 수평CCD로 효율좋게 버림과 동시에, 남은 신호전하를 수직랭킹기간내에 확실히 배출할 수 있는 고체촬상장치의 구조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그와 같은 고체촬상장치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제1의 구성은 반도체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와,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수직CCD)와, 각각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종단측에 접속되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를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송하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수평CCD)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에 대응하는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의 접속부와 반대측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저하전송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상모드돠,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 모드를 가지고, 전하배출영역의 저항(R)과 정전용량(C)과의 곱이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고속 모드에서의 전송주기의 거의 10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전하배출영역의 시정수(CR)를 적절한 값으로 함으로써,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로부터 고속모드로 전송되어 온 신호전하가 제2의전하전송소자에 배설된 전위장벽영역을 넘어 전하배출영역으로부터 전원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지체없이 이루어진다.
또,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이 광전변환소자 또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수를 증가하지 않고,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제2의 전하전송소자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제2의 구성은 반도체기관 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와,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각각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종단측에 접속되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를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송하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에 대응하는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의 접속부와 반대측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구비하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산 모드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가진다. 그리고, 고속모드의 종료부터 통상모드의 개시까지의 시간이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체 전송주기인 수평주사기간의 k배일 때, 전위장벽영역의 전위와 제2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위로 규정되는 축적전하량이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의 거의 k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만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용량에 대해, 전위장벽영역의 내측에 축적가능한 전하량을 k배보다 작게 설정하면, 최후에 쌓인 불필요한 신호전하를 k회의 수평전송에 의해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이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화면품질의 문제는 발생할 수 없다. 또한, 이 구성에서도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이 광전변환소자 또는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위장벽영역의 전위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을 규정하는 낮은 쪽 전위에 대해 거의같거나 또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가 제1층전극과 제2층전극을 가지고, 제1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가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2층전극이 전하 전송방향에 인접하는 제2층전극과 접속되고, 전위장벽영역의 전위가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와 거의 같은 구조도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가 제1층전극과 제2층전극을 가지고, 제1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가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보다
Figure kpo00003
만큼 높게 형성되고, 제2층전극이 전하전송방향에 인점하는 제1층전극과 접속되고, 제1층전극의 반도체기판에 대향하는 면적이 제2층전극의 반도체기판에 대향하는 면적의 x배일 때, 전위장벽영역의 전위(
Figure kpo00004
1)와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
Figure kpo00005
2)와의 사이에 다음식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6
본 발명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구동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 신호출력회로,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구비한 고체촬상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의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구동을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상모드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절환하면서 행하고, 상기 전위장벽영역의 전위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위로 규정되는 축적전하량이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의 k배일 때, 상기 고속모드의 종료부터 상기 통상모드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체 전송주기인 수평주사기간의 k배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고체촬상장치의 전위장벽영역내측에 최후에 쌓인 불필요한 신호전하를 k회의 수평전송에 의해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이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화면품질의 문제는 발생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의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복수의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 전송소자와, 각각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제1의 신호전하정송소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아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형성할 때에, 광전변환소자 또는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상기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정수를 늘리지 않고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제2의 전하전송소자에 구비한 고체촬상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전변환소자로부터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의 신호전하의 이동을 제어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전위장벽영역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2~도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종래예와 상위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고체촬상장치를 구성하는 2상구동방식의 수평CCD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2는 도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하고, 도3은 도1의 b-b'-b"선을 따르는 전위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전위분포는 도16에 도시한 구동펄스의시각(t1)에 있어서의 전위분포이다.
본 실시형태의수평CCD에서는 p형확산층 또는 p형기판인 p형영역(5)의 위에, n형확산층인 n형영역(6)이 형성되어 있다. 이 n형영역(6)이 수평CCD의 채널영역이 된다. n형영역(6)에는 n확산층인 전위장벽영역(21)과, n+확산층인 전하배출영역(이하 「드레인영역」이라고 한다)(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n형영역(6)의 수직CCD에 접속하는 변과 반대측 변을 따라 드레인영역(22)이 형성되고, 이 드레인영역(22)의 내측을 따라 전위장벽영역(21)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영역(22)은 전원(23)에 접속되어 전압(VD)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도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구조와 전위분포, 그리고 구동방법은 도15 및 도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종래예와 같다.
도1의 b-b'-b"선을 따르는 전위분포를 도시하는 도3에 있어서,
Figure kpo00007
1은 전위장벽영역(21)의 전위,
Figure kpo00008
2는 제2층전극(9b)(도15 참조)에 대향하는 채널의 전위,
Figure kpo00009
3은 제1층전극(8b)(도15 참조)에 대향하는 채널의 전위,
Figure kpo00010
4는 드레인영역(22)의 전위이다.
수직CCD의 채널로부터 전송된 전하는 제1층전극(8b)에 대향하는 채널(전위
Figure kpo00011
3)의 포텐셜우물에 신호전하(24)로서 축적된다. 이 제1층전극(8b)에 대향하는 채널의 용량, 즉 제1층전극(8b)의 면적과 전위차(
Figure kpo00012
3-
Figure kpo00013
2)로 결정되는 용량이 수평CCD의 전송용량이다. 통상, 수평CCD의 전송용량은 수직CCD의 전송용량보다 커지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CCD가 고속모드로 동작하여, 수평CCD의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불필요 전하를 계속하여 전송해오면, 수평CCD에 축적되는 전하량이 수평CCD의 전송용량을 넘어 제2층전극(9b)에 대향하는 채널(전위
Figure kpo00014
2)까지 전하가 넘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평CCD에서는 수평CCD에 축적되는 전하량이 수평CCD의 전송용량을 넘은 경우, 전위장벽영역(21)의 전위(
Figure kpo00015
1)를 넘는 부분의 전하는 드레인영역(22)을 통하여 전원(23)(VD)에 배출된다. 그리고, 전위장벽영역(21)의 전위(
Figure kpo00016
1)를 제2층전극(9b)의 전위(
Figure kpo00017
2)와 거의 같게 설정함으로써, 제1층전극(8b) 및 제2층전극(9b)에 대향하는 채널에 축적되는 전하량을 수평CCD의 전송용량의 근방으로 제한할수 있다.
수평CCD가 정상적으로 전하전송할 수 있는 것은 전위(
Figure kpo00018
2)와 (
Figure kpo00019
3)과의 사이에 신호전하가 존재할 경우로 한정된다. 전위(
Figure kpo00020
1)를 전위(
Figure kpo00021
2)보다 높게 설정하면, 수평CCD의 전송용량은 전위차(
Figure kpo00022
2-
Figure kpo00023
1)에 상당하는 분 만큼 작아지므로, 모든 신호전하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일단 전송할 때마다 신호전하가 드레인영역(22)으로 새어나오고, 전송단수가 많아지는 만큼 신호전하량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화면상에서 예를 들면 좌측이 밝고 우측이 어두워지는 쉐이딩(shading)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위(
Figure kpo00024
1)는 전위(
Figure kpo00025
2)에 비해 같거나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위장벽영역(21)의 전위(
Figure kpo00026
1)를 제2층전극(9b)의 전위(
Figure kpo00027
2)보다 낮게 설정한 경우, 그 전위차(
Figure kpo00028
2-
Figure kpo00029
1)가 너무 크면, 드레인영역(22)을 통하여 불필요전하를 배출할 능력이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전위(
Figure kpo00030
1)의 허용치(하한)를 배설할 필요가 있다.
이 전위(
Figure kpo00031
1)의 허용치는 구동방법, 구체적으로는 수직CCD의 고속모드에 의한 수평CCD에의 불필요전하전송이 종료하고 나서 수직블랭킹기간이 종료하고, 유효한 신호전하의 통상모드에 의한 전송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과 관계한다. 이 시간이 수평CCD의 전체 저송주기 즉 수평주사기간의 k배라고 가정하면, 이 동안에 수평CCD의 전송에 의한 불필요전하의 배출을 k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위(
Figure kpo00032
1)에서 규정되는 축적가능한 전하량이 수평CCD의 전송량의 k배 이내이면, 수직블랭킹기간내에 불필요전하를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층전극(8a)과 제2층전극(9a)의 면적비가 1:x라고 하면, 전위(
Figure kpo00033
1)로 규정되는 축적가능한 전하량(Q1)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Q1=((
Figure kpo00034
3-
Figure kpo00035
2)+(
Figure kpo00036
2-
Figure kpo00037
1)(1+x)) C1 ‥ (1)
단 C1은 정수이다. 수평CCD의 전송량은 (3-
Figure kpo00039
2)C1이기 때문에,
Figure kpo00040
1로 규정되는 축적가능한 전하량(Q1)을 수평CCD의 전송용량의 k배 이내로 하는 데에는 다음식을 만족하면 된다.
Figure kpo00041
2-
Figure kpo00042
1〈(k-1)(
Figure kpo00043
3-
Figure kpo00044
2)/(x+1) ‥(2)
예를 들면, x=1, x=2,
Figure kpo00045
3-
Figure kpo00046
2=1V의 경우를 생각하면, 전위(
Figure kpo00047
1)의 허용치(하한치)는 전위(
Figure kpo00048
2)보다 0.5V 낮은 값이 된다.
다음에, 드레인영역(2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장치에 있어서의 배선 및 확산영역은 저항 및 정전용량의 분포정수회로에 근사할 수 있다. 드레인영역(22)의 경우,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저항 및 정전용량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형 회로로 나타나고, 그 동작을 고려하면, 일단이 전원VD에 접속되고, 타단에 전압V0의 펄스가 인가된다. 도4에 있어서, R, C 및 n은 각각 드레인영역(22)의 전체 저항, 전체 용량 및 수평CCD의 단수이다. 이 회로의 펄스입력단자(Vi)의 전위변동 △V/V0은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V/V0 = (4/π)exp(- π2t/4RC) ‥ (3)
식(3)으로 표시되는 전위변동의 수평CCD 일단당 저항치 의존성을 도5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저항치가 커짐에 따라 전위회복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즉, 드레인영역(22)의 저항치가 커지면, 오버플로우한 전하가 전원(23)까지 배출되기 어려워져 드레인영역(22)에 축적되므로, 수평CCD의 불필요전하의 배출을 할 수 없게 된다.
드레인영역(22)이 오버플로우한 전하로 넘치지 않기 위한 조건을 다음에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직CCD가 불필요전하를 수평CCD에 전송하는 주기를 T0, 수직CCD가 전송하는 불필요전하의 단수를 m, 수직CCD가 전송한 일단당 불필요전하에 의해 드레인영역(22)에 발생하는 전위의 초기변위를 V0, 전위장벽영역의 전위를
Figure kpo00049
1, 드레인영역(22)의 초기전위를
Figure kpo00050
4, 식(3)에 t=T0을 대입한 값을 A0이라 한다.
우선, 수직CCD로부터 일단째의 전하가 전송되었을 때의 드레인영역(22)의 전위(v1)는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v1=v0 ‥ (4)
이것에 2단째의 전하가 전송되었을 때의 전위(v2)는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v2= v1 ×A0+V0=V0(1+A0) ‥ (5)
이것에 3단째의 전하가 전송되었을 때의 전위(v3)는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v3= v2×A0+V0=(V0×(1+A0))×A0+V0 = V0(1+A0+A02) ‥ (6)
이하 동일하게 하여, m단째의 전하가 전송되면 드레인영역(22)의 전위(vm)는 다음식으로 나타난다.
vm=V0(1+A0+A02+A03+ …A0m-1) ‥ (7)
가장 엄격한 조건을 고려하면 m은 약 200이고, A0〈1인 것을 고려하면, 식(7)은 다음식과 근사하다.
vm=V0/(1-A0) ‥ (8)
이 전위(vm)가 드레인영역(22)과 전위장벽영역(21)과의 전위차보다 작으면 되기 때문에,
V0/(1-A0)〈(
Figure kpo00051
4-
Figure kpo00052
1) ‥ (9)
가 되고, 이 식(9)에는 식(3)을 대입하여 저항(R)에 대해 풀면, 다음식(10)이 얻어진다.
R×C 〈10.2×T0 ‥ (10)
이 식(10)이 드레인영역(22)의 저항치 및 허용치의 범위를 결정하는 조건이 된다. 예를 들면, T0=3.3μs, C=5pF일 때, 저항치는 6.7MΩ이하, 수평CCD 일단당 고치면 수평CCD단수 800단의 경우로 8.4kΩ이하가 아니면 안되게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고체촬상장치를 구성하는 2상구동방식의 수평CCD의 평면도를 도6에 도시한다. 또, 도7은 도6의 d'-d"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8은 도6의 d-d'-d"선을 따르는 전위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7을 실시형태1의 도2와 비교하면 잘 알 수 있듯이, 이 실시형태는 실시형태1과 달리, 드레인영역을 n형영역(6)과 그 하층의 p형영역(p_확산층)(26)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실시형태1의 n+확산층(도2의 22)에 의한 드레인영역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도8에 있어서의 전위
Figure kpo00053
5 및
Figure kpo00054
6의 값, 그리고 드레인영역의 저항치 및 정전용량치에 관하여,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설명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도9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고체촬상장치의 화소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n형기판(31)상에 p_형영역(32), n형영역(33), p+형영역(34), p형영역(35), n형영역(36), p_형영역(37) 및 p_형영역(38)이 형성되고, n형영역(36)에 대향하여 수직CCD전극(게이트전극)(39) 및 차광막(4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n형기판(31)상에 형성된 p_형확산층(32)중에 포토다이오드영역이 되는 n형확산층(33)과 p+형확산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직CCD의 채널영역이 되는 p형확산층(35)과 n형확산층(36)이 형성되고, n형확산층(36)에 인접하여 p_형확산층(37 및 38)이 형성되어 있다.
도10(a)~(c)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체촬상장치의 제조공정을 도시한다. 도면 중, 좌측에 수평CCD부의 단면이 도시되고, 우측에 화소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형기판(31)상에 형성된 p_형영역(32)에 붕소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수평CCD부와 p형영역(5)과 화소부의 p형영역(35)을 형성한다. 다음에 인 또는 붕소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수평CCD부의 n형영역(6)과 화소부의 n형영역(36)을 형성한다. 또한, p형영역(5, 35)과 n형영역(6, 36)의 형성순서는 특별히 한정받지 않는다. 또, p_형영역(32)중의 드레인영역(26)에는 붕소이온의 주입을 행하지 않도록 하여 p_형영역을 남긴다.
이어서 도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붕소이온의 주입에 의해 수평CCD부의 n형영역(6)에 전위장벽영역(25)이 되는 n_형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화소부의 p_형영역(32)중의 n형영역(36)의 양측에 p_형영역(37, 38)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CCD부에서는 제1층전극(8b)과 수직CCD전극(12)을 기판상에 형성한다. 또, 화소부에서는 p_형영역(32)에 n형영역(33)과 p+형영역(34)을 형성하고, 기판상에 수직CCD전극(39)과 차광막(40)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도10(a)~(c)에 도시한 제조공정을 거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체촬상장치의 수평CCD부와 화소부를 제조할 수 있다. 즉, 화소부(광전변환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수평CCD부의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제조공정을 늘리지 않고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고체촬상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4상구동형 전하전송장치를 수직CCD로서 이용하고, 2상구동형 전하전송장치를 수평CCD로서 이용한 경우의 고체촬상장치의 구동파형을 도11에 도시한다. 도11에 있어서, 수직CCD의 구동펄스
Figure kpo00055
V1 및
Figure kpo00056
V3으로서 3치펄스가 이용된다. 이 구동펄스가 H레벨일 때에 광전변환부로부터 수직CCD에 신호전하가 판독된다. 다음에, 중간(M)레벨과 L레벌을 이용하여 신호전하를
Figure kpo00057
V1에서
Figure kpo00058
V4로 전송한다. 판독된 m단분의 신호전하가 고속모드에 의해 수평CCD로 전송된다.
수평CCD의 구동펄스
Figure kpo00059
H1,
Figure kpo00060
H2에는 2치펄스가 이용된다. 수직CCD의 고속모드에 있어서, 전위장벽영역의 전위
Figure kpo00061
1에 의해 규정되는 전하량이 수평CCD의 전송용량의 k배인 경우, 각 수직CCD로부터 전송된 1당분의 신호전하가 구동펄스
Figure kpo00062
H1 및
Figure kpo00063
H2에 의해 전체 전송되는 시간을 1H로 하면, 수직CCD가 고속모드전송을 종료하고 나서 통상 모드전송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kH보다 길게 하면, 이 시간 내에 모든 불필요전하를 버릴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채널을 n형영역에서 형성하고, 신호전하로서 전자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을 p형영역에서 형성하고, 신호전하로서 정공(正孔)을 이용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화면주변부의 화소의 불필요전하를 고속모드에 의해 확실히 버릴 수 있으므로, 화상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그와 같은 고체촬상장치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공정수를 늘리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반도체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각각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종단측에 접속되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를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송하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에 대응하는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의 접속부와 반대측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상 모드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가지고 상기 전하배출영역의 저항(R)과 정전용량(C)과의 곱이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고속모드에서의 전송주기의 거의 10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정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이 상기 광정변환소자 또는 상기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3. 반도체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각각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종단측에 접속되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를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송하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그 신호전하에 대응하는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의 접속부와 반대측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상 모드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가지고, 상기 고속모드의 종료부터 상기 통상 모드의 개시까지의 시간이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체 전송주기인 수평주사기간의 k배일 때, 상기 전위장벽영역의 전위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위로 규정되는 축적전하량이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의 거의 k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이 상기 광전변환소자 또는 상기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상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장벽영역의 전위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을 규정하는 전위와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전위장벽영역의 전위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을 규정하는 낮은 쪽 전위보다 늦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가 제1층전극과 제2층전극을 가지고, 상기 제1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가 상기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2층전극이 전하전송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1층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전위장벽영역의 전위가 상기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와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시호전하전송소자가 제1층전극과 제2층전극을 가지고, 상기 제1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가 상기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보다
    Figure kpo00064
    만큼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2층전극이 전하전송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1층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제1층전극이 반도체기판에 대향하는 면적이 상기 제2층전극의 반도체기판에 대향하는 면적의 x배일 때, 상기 전위장벽영역의 전위(
    Figure kpo00065
    1)와 상기 제2층전극에 대향하는 반도체기판의 전위(
    Figure kpo00066
    2)와의 사이에 다음식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Figure kpo00067
    2-
    Figure kpo00068
    1〈(k-1)
    Figure kpo00069
    /(x+1)
  9. 반도체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 신호출력회로,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구비한 고체촬상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의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구동을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동기를 취하면서 행하는 통상모드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한 전하전송과 비동기로 고속으로 행하는 고속모드를 절환하면서 행하고, 상기 전위장벽영역의 전위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위로 규정되는 축적전하량이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송용량의 k배일 때, 상기 고속모드의 종료부터 상기 통상모드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전체 전송주기인 수평주사기간의 k배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구동방법.
  10. 반도체기판상에 복수의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받은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각각의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고,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호전하를 전송하는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와,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전하를 받아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상기 제2의 신호전하전송소자의 변을 따라 배설된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형성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소자 또는 상기 제 1의 신호전하전송소자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상기 전위장벽영역 및 전하배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상기 제1의 신호전하전송소자에의 신호전하의 이동을 제어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 공정으로 상기 전위장벽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70075479A 1996-12-27 1997-12-27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KR100274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1555 1996-12-27
JP35155596A JP3370249B2 (ja) 1996-12-27 1996-12-27 固体撮像装置とその駆動方法およ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763A KR19980064763A (ko) 1998-10-07
KR100274383B1 true KR100274383B1 (ko) 2000-12-15

Family

ID=1841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479A KR100274383B1 (ko) 1996-12-27 1997-12-27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78488B1 (ko)
EP (1) EP0851504A3 (ko)
JP (1) JP3370249B2 (ko)
KR (1) KR100274383B1 (ko)
SG (1) SG60178A1 (ko)
TW (1) TW363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632A (ja) * 2000-05-10 2001-11-16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4907941B2 (ja) 2005-09-29 2012-04-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8595635B2 (en) * 2007-01-25 2013-11-26 Salesforce.Com,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ntent from web sources and posting content to web logs
US10341590B2 (en) * 2016-08-12 2019-07-0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CD image 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7A (ja) * 1991-08-21 1998-01-06 Toto Ltd 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059B2 (ja) 1989-02-03 1995-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KR100276971B1 (ko) * 1989-06-20 2001-01-15 다카노 야스아키 고체촬상소자의 구동방법
DE69119624T2 (de) 1990-03-02 1997-01-16 Sony Corp Festkörperbildabtaster
JP2604905B2 (ja) 1990-11-29 1997-04-30 宇宙開発事業団 固体撮像装置
JPH04335573A (ja) 1991-05-10 1992-11-24 Sony Corp Ccd固体撮像素子
JPH05137072A (ja) * 1991-11-15 1993-06-01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JPH05260389A (ja) 1991-12-20 1993-10-08 Eastman Kodak Co 画像捕捉装置
JPH06334166A (ja) 1993-05-18 1994-12-02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2856182B2 (ja) 1995-12-15 1999-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5990953A (en) * 1995-12-15 1999-11-23 Nec Corporation Solid state imaging device having overflow drain region provided in parallel to CCD shift register
JP2910671B2 (ja) * 1996-05-15 1999-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7A (ja) * 1991-08-21 1998-01-06 Toto Ltd トイ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8488B1 (en) 2001-08-21
SG60178A1 (en) 1999-02-22
EP0851504A2 (en) 1998-07-01
EP0851504A3 (en) 1999-02-24
KR19980064763A (ko) 1998-10-07
TW363277B (en) 1999-07-01
JPH10189937A (ja) 1998-07-21
JP3370249B2 (ja) 200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9128B2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カメラ
KR19980079872A (ko) 블루밍 방지 구조를 구비한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방법
US6982751B1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its driving method, and camera system
KR20100090196A (ko) 고체 촬상 장치,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고체 촬상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US6778214B1 (en) Charge generation of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US6570618B1 (en) Solid-state image sensing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camera
JP3878575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4663771A (e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in which the transfer gate areas are supplied with negative voltage during the vertical transfer period and light receiving period but not when the positive readout pulse period is applied
KR20070105261A (ko) 촬상장치 및 고체 촬상장치의 구동방법
US8373780B2 (en) Solid-state image sensor and camera
KR100274383B1 (ko) 고체촬상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JP3317248B2 (ja) 固体撮像装置
US57964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olid state imaging device
JPH0446504B2 (ko)
KR100417215B1 (ko) Ccd 고체촬상소자의 구동방법
JP2856182B2 (ja) 固体撮像装置
JP4296025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001904B2 (ja)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KR100384416B1 (ko) 고체촬상장치및그구동방법
JPH10271395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0101929A (ja) 固体撮像素子の制御方法
KR0129990B1 (ko) 고체촬상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239409B1 (ko) 고체 촬상 소자
JP4001841B2 (ja)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09111427A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