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574B1 -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574B1
KR100272574B1 KR1019970080749A KR19970080749A KR100272574B1 KR 100272574 B1 KR100272574 B1 KR 100272574B1 KR 1019970080749 A KR1019970080749 A KR 1019970080749A KR 19970080749 A KR19970080749 A KR 19970080749A KR 100272574 B1 KR100272574 B1 KR 10027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lephone
program
signal
illegal use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522A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8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5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사용자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중계기, 교환기, 통신망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 불법사용 방지방법에 있어서, 교환기에서 중계기롤 통해 동일 시간대에 동일 식별번호를 통한 휴대용 전화기 사용신호 또는 분실신고된 식별번호를 통한 휴대용 전화기 사용신호를 전송받고 식별번호 확인을 통해 전화기 불법사용을 인지하는 단계와, 전화기 불법사용을 인지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부에 프로그램 삭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부에서 프로그램삭제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일정데이터 를 오버 라이트하여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통신서비스의 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on illegal call of handy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 PSDN 등의 국설 교환망(1), 각 통신사업자의 사설교환기(2), 통신서비스 가입자의 통신내역 등을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관리시스템(3), 중계기(4), 안테나(5) 및 가입자의 휴대용 전화기(6)로 구성된다.
이때 휴대용 전화기(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중 일정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11), 수신된 신호의 반송파를 제거하고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화하는 등 일련의 복조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복조기(12),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송신복조기(13), 상기 수신복조기(12)를 통해 복조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4),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송신복조기(13)로 입력시키기 위한 마이크(15), 휴대용 전화기(6)의 신호 송/수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 휴대용 전화기(6)의 통신수행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16)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시키는 제어프로그램 저장부(17), 휴대용 전화기(6)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8),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부(1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의 통신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계기는 일정 주기마다 해당지역(Zone)에서 사용가능한 통신채널 등 통신지역정보를 휴대용 전화기(6)에 전송한다.
이어서 휴대용 전화기(6)는 상기 통신지역정보를 제어프로그램 저장부(17)에 기저장된 통신채널 등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등록된 지역정보일 경우 확인신호(ACK)를 중계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6)의 파워를 '온'하면 자신이 파워-온되었다는 신호와 자신의 ID 등 휴대용 전화기(6)를 등록시키기 위한 등록정보를 중계기로 전송한다.
이어서 중계기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6)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확인 메세지를 휴대용 전화기(6)에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기(6)는 사용자가 통화를 개시하기 전까지 통화대기(Stand-by)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시즈( Seize )하고자 즉, 통화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키버튼부(19)를 통해 디지트(Digit)한후 즉, 전화번호를 누른후 SEND버튼을 누르면 휴대용 전화기(6) 등록정보 및 ID가 중계기에 전송되고 중계기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6)의 ID를 교환기에 전송하여 TRS(Trunked Radio System)에 등록된 ID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ID일 경우 확인신호를 휴대용 전화기(6)에 전송한다.
이어서 교환기는 해당지역 통신채널의 라인 스위치(LINE S/W)를 '온'시킴으로서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휴대용 전화기(6)가 분실되거나 휴대용 전화기(6)의 ID가 복제되어 사용되어도 즉, 동일한 ID로 여러명이 사용하여도 중계기는 이 휴대용 전화기(6)가 복제된 것인지 알 수 없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ID불법복제에 의한 동일 ID를 이용하여 불법통화를 하더라도 알 수 없으므로 정식ID를 가진 사용자의 전화사용료가 자신의 사용시간을 초과하여 부가되는 등 사용자의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사용자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국설 교환망 2: 사설 교환기
3: 가입자 관리시스템 4: 중계기
5: 안테나 6, 20: 휴대용 전화기
11: 필터 12: 수신복조기
13: 송신복조기 14: 스피커
15: 마이크 16: 제어부
17: 제어프로그램 저장부 18: 표시부
19: 키버튼부 21: 스위치
본 발명의 특징은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중계기, 교환기, 통신망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 불법사용 방지방법에 있어서, 교환기에서 중계기롤 통해 동일 시간대에 동일 식별번호를 통한 휴대용 전화기 사용신호 또는 분실신고된 식별번호를 통한 휴대용 전화기 사용신호를 전송받고 식별번호 확인을 통해 전화기 불법사용을 인지하는 단계와, 전화기 불법사용을 인지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부에 프로그램 삭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부에서 프로그램삭제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일정데이터를 오버 라이트하여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휴대용 전화기, 중계기, 교환기, 통신망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 불법사용 방지장치에 있어서, 불법사용을 감지한 교환기에서 프로그램 삭제명령을 전송받고 일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어부 내장 프로그램에 일정 데이터를 오버 라이트하여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 프로그램 저장부(17)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삭제시키기 위한 스위치(21)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기술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때 스위치(21)는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되어 현재 제어부(16)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0,0,0,0… 또는 1,1,1,1…을 오버 라이팅(Over Writting)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휴대용 전화기의 기본적인 통화에 따른 중계기, 교환기와의 신호전송은 종래기술의 설명 즉, 도 3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먼저, 사용자는 휴대용 전화기(20)를 분실한 경우 시스템 오퍼레이터(System Operator)에게 휴대용 전화기(20) 분실을 신고한다.
이어서 분실신고를 접수한 시스템 오퍼레이터는 TRS에 분실된 휴대용 전화기(20)의 ID와 분실정보를 입력시킨다.
한편, 분실접수된 휴대용 전화기(20)를 습득한 사람이 전화를 사용하고자 파워-온 하거나 동일시간대 또는 동일지역 및 서로 다른 지역에서 동일ID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20)가 사용될 경우 휴대용 전화기(20)의 파워-온 신호 또는 ID가 중계기를 통해 교환기에 전송된다.
이어서 교환기는 상기 ID를 입력받고 분실접수된 휴대용 전화기(20) 또는 불법 ID복제에 의한 불법 사용을 인식하여 시스템 오퍼레이터에 그 내용을 알린다.
그리고 시스템 오퍼레이터는 상기 분실접수된 휴대용 전화기(20)의 원등록자에게 연락하고 상기 불법사용 발생을 확인하여 교환기에게 사용정지명령을 전송한다.
따라서 교환기는 불법사용중인 휴대용 전화기(20)를 콜(Call)하여 휴대용 전화기(20)의 제어부(16)에 프로그램 삭제명령을 하달한다.
이어서 휴대용 전화기(20)의 제어부(16)는 프로그램 삭제용 스위치(21)를 '온'시킨다.
따라서 스위치(21)는 제어부(16)에 0,0,0,0… 또는 1,1,1,1…을 오버 라이팅(Over Writting)함으로써 현재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장치 및 방법은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이 인지되면 상기 불법 휴대용 전화기의 프로그램을 삭제함으로써 불법사용을 방지하고 더불어 프로그램 불법복제 또한 방지하므로 사용자가 불이익 당하지 않도록 하여 통신서비스의 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전화기, 중계기, 교환기, 통신망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 불법사용 방지장치에 있어서,
    불법사용을 감지한 교환기에서 프로그램 삭제명령을 전송받고 일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어부 내장 프로그램에 일정 데이터를 오버 라이트하여 제어 프로그램 저장부의 제어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장치.
  2.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중계기, 교환기, 통신망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 불법사용 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에서 중계기롤 통해 동일 시간대에 동일 식별번호를 통한 휴대용 전화기 사용신호 또는 분실신고된 식별번호를 통한 휴대용 전화기 사용신호를 전송받고 식별번호 확인을 통해 전화기 불법사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전화기 불법사용을 인지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부에 프로그램 삭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프로그램삭제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저장된 통신수행관련 프로그램에 일정데이터를 오버 라이트하여 상기 통신수행관련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데이터는 연속되는 '1' 또는 '0'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불법사용 방지방법.
KR1019970080749A 1997-12-31 1997-12-31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KR10027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749A KR100272574B1 (ko) 1997-12-31 1997-12-31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749A KR100272574B1 (ko) 1997-12-31 1997-12-31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522A KR19990060522A (ko) 1999-07-26
KR100272574B1 true KR100272574B1 (ko) 2000-11-15

Family

ID=1953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749A KR100272574B1 (ko) 1997-12-31 1997-12-31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87B1 (ko) 2008-08-25 2013-02-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불법단말기의 사용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164A (ja) * 1993-06-17 199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電話機及び電話機制御方法
JPH0814014A (ja) * 1994-06-30 1996-01-1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164A (ja) * 1993-06-17 199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電話機及び電話機制御方法
JPH0814014A (ja) * 1994-06-30 1996-01-1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87B1 (ko) 2008-08-25 2013-02-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불법단말기의 사용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522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798B2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2000115838A (ja) 移動通信端末
US5890073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ding communication mode signals and a method thereof
KR100272574B1 (ko) 휴대용전화기의불법사용방지장치및방법
KR100417755B1 (ko) 조작시에호출될상대방을표시하기위한휴대용통신장치
JP4403349B2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JP3062836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323763B1 (ko) 휴대폰의분실또는도난방지방법
KR1999000434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 고유번호를 이용한 휴대기 사용방법
JPH04315326A (ja) 無線電話装置
JPH02196532A (ja) ディジタル無線システムの盗聴防止方法とその装置
JP3023776U (ja) ペットコンタクト用交信器
KR1008509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JP3233495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19990061916A (ko) 셀룰러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사용 방지방법
JP2000224660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機
JP2704153B2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発呼接続方法
JP3246414B2 (ja) 携帯端末装置
JP328975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319294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240471B1 (ko) 간이가정용 기지국
JP2002290307A (ja) 無線装置
JP2002027559A (ja) 移動体通信機器の着発信制限方法
JPH02135950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データ伝送中表示方式
JPH06261367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