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211B1 - 보유프레임및보유프레임을이용하는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보유프레임및보유프레임을이용하는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211B1
KR100272211B1 KR1019970040587A KR19970040587A KR100272211B1 KR 100272211 B1 KR100272211 B1 KR 100272211B1 KR 1019970040587 A KR1019970040587 A KR 1019970040587A KR 19970040587 A KR19970040587 A KR 19970040587A KR 100272211 B1 KR100272211 B1 KR 10027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rotrusion
protrusions
inner edg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971A (ko
Inventor
히로오미 우에다
아끼라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1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보유 프레임은 제1 표면과,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과, 복수의 내면과, 복수의 외면을 포함하여, 복수의 내면 내부에 표시 장치를 수용시킨다. 보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여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는 복수의 내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모서리 상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유 프레임 및 보유 프레임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 {HOLDING FRAME AND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AV 장치, OA 단말기, 광고 표시 장치 등에서 제공된 것과 같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프레임 및 그러한 보유 프레임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용 TV, 데스크탑 개인용 컴퓨터 및 워드 프로세서 등으로서 이용되어 왔다. 스페이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로서 가장 흔히 이용되어 왔다. 그러한 고정 구조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공보 평6-138443호 및 일본 공개 공보 평6-34776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17은 일본 공개 공보 소6-138443호에 개시된 고정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7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4)는 조명 장치(2) 상에 놓여지며, 액정 표시 장치(4)와 조명 장치(2)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 스페이서(3a)를 경유하여 직사각형 보유 프레임(1) 내부에 위치된다. 액정 표시 장치(4)를 둘러싸는 인쇄 기판(5)은 스폰지 스페이서(3b)를 경유하여 보유 프레임(1) 상에 놓여진다. 표시창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6)은 그러한 구조를 덮기 위해 놓여지며, 그 때 액정 표시 장치(4)는 스페이서(3a)를 경유하여 상면 측으로부터 가압된다. 또한, 인쇄 기판(5)은 스폰지 스페이서(3b)를 경유하여 상면 측으로부터 가압된다.
그러한 고정 구조에서, 액정 표시 장치(4)는 스페이서(3a)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고정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액정 표시 장치(4)의 상하 표면 상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고정 구조는 수직 방향(즉, Z축)에서 액정 표시 장치(4)의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개선시킨다.
도18은 일본 공개 공보 평6-347762호에 개시된 고정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8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4)는 스페이서(3)를 경유하여 조명 장치(2) 상에 놓여진다. 스트라이프상의 스페이서는 액정 표시 장치(4) 주위에 제공된 유리 전극부의 표면 상으로 부착된다. 스페이서(8)는 수지 박판으로 형성되고 양면 상에 점착층을 가진다. 스페이서(8)는 상부 프레임(6)의 내부 주연부에서 하향 돌출하는 돌출부(6a)를 경유하여 가압된다.
일본 공개 공보 평6-138443호 및 일본 공개 공보 평6-347762호에 개시된 고정 구조의 양쪽 모두에서, 액정 표시 장치(4)는 기본적으로 그 상하 표면 상에 제공된 스페이서 사이에 개재됨으로써만 고정된다. 따라서, 충격이 그 표면에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4)에 인가될 때 즉, 충격 또는 진동이 X 및/또는 Y 방향으로 주어질 때, 액정 표시 장치(4)는 그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향이 있다.
도1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고정된 액정 표시 장치(4)가 X 및/또는 Y 방향으로 변위될 때, 그 방향으로의 힘이 가요성 회로 기판(7)에 인가되며, 액정 표시 장치(4)를 액정 표시 장치(4)를 둘러싸는 인쇄 기판(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결과적으로, 박리 또는 단선이 가요성 회로 기판(7)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질을 손상시키게 될 수도 있다.
가요성 회로 기판(7)은 액정 표시 장치(4)의 변위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본 공개 공보 평6-138443호에 개시된 고정 구조에서의 인쇄 기판(5)은 스폰지 스페이서(3a) 상에 놓여져서 인쇄 기판(5)은 액정 표시 장치(4)와 함께 어느 정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큰 충격이 외부에서 인가될 때, 충격과 동반된 변위량도 따라서 커지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고정 구조는 가요성 회로 기판(7)이 손상받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표시 장치의 변위 및 응력 집중에 대해 표시 장치의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보유 프레임 및 그 표시 장치의 보유 프레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상면 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하면 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조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a는 상면 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공통 기판 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5b는 상면 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반공통 기판 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6a는 상면 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b는 도6a의 6B-6B 선을 따라 취한 도6a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보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보유 프레임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의 제1 돌출부에 인가된 응력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10a는 도7에 도시된 보유 프레임의 일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10b는 충격이 보유 프레임에 인가된 후에 도7에 도시된 보유 프레임의 일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11은 도6a에 도시된 보유 프레임의 돌출부에 인가된 응력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의 제1 돌출부의 제1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의 제1 돌출부의 제2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의 제1 돌출부의 제3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의 제1 돌출부의 제4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금형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7은 종래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8은 다른 종래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 장치
11a : 공통 기판
11b : 세그먼트 기판
12 : 가요성 회로 기판
20 : 표시 장치 보유 프레임
21 : 보유 프레임 본체
22a, 22b : 제2 돌출부(고정부)
23a, 23b : 제1 돌출부(보유부)
30 : 상부 프레임
40 : 하부 프레임
50 : 광원
60 : 스페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보유 프레임은 제1 표면과,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과, 복수의 내측면과,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하여, 복수의 내측면 내부에 표시 장치를 수용시킨다. 보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여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표면은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를 따라서,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인접하는 내측면에 근접 배치된 제1 돌출부는 인접하는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다른 제1 돌출부보다 조밀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 제1 돌출부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전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는 표시면과 표시면의 대향면 사이에 복수의 측면을 포함한다. 제1 돌출부는 표시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에 대향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한다. 제3 표면은 표시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에 평행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는 표시면과 표시면의 대향면 사이에 복수의 측면을 포함한다. 제1 돌출부는 표시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에 대향하는 만곡된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의 선단부는 테이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유 프레임은 복수의 제2 돌출부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하나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인접하는 내부 에지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하나는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편평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를 둘러싸서 제공되고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인쇄 기판을 표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회로 기판과, 인쇄 기판 및 가요성 회로 기판과 함께 표시 장치를 보유하는 청구항 1에 따르는 보유 프레임과, 표시 장치, 인쇄 기판 및 가요성 회로 기판을 수용시키고 보유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는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는 다른 가요성 회로 기판도 포함한다. 보유 프레임의 복수의 제1 돌출부 중 하나는 가요성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가요성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된다. 보유 프레임의 복수의 제1 돌출부 중 하나는 인쇄 기판에서 제공된 노치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는 상부 프레임과 접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유 프레임은 직사각형이다. 복수의 내측면 중의 제1 내측면에 대응하는 제1 내부 에지는 보유 프레임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제2 돌출부를 가져서,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시키게 된다. 제1 내측면에 인접하는 복수의 내측면 중의 제2 내측면에 대응하는 제2 내부 에지는 보유 프레임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제3 돌출부를 가져서,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시키게 된다. 제2 돌출부는 제3 돌출부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다.
당업자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할 때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장점은 명백해진다.
이하에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기술하겠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단순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상부 프레임(30)과, 액정 표시 장치(10)와, 보유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이들 부품은 스크류에 의해 함께 일체가 되는 한편, 상부 프레임(30)은 상부 프레임(30)을 코오킹함으로써 하부 프레임(40)에 고정된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인쇄 기판(즉, 공통 기판(11a) 및 세그먼트 기판(11b))은 액정 표시 장치(10)를 둘러싸서 제공된다. 특히, 공통 기판(11a)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축 중 하나를 따라서 제공되며, 가요성 회로 기판(12, 도시되지 않음)을 경유하여 액정 표시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세그먼트 기판(11b)은 각각 액정 표시 장치(10)의 장축을 따라서 제공되며, 서로에 대향이다. 세그먼트 기판(11b)은 가요성 회로 기판(12, 도6a 참조)을 경유하여 액정 표시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지 단자(14)는 각각의 세그먼트 기판(11b) 중 한 단부에 제공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장축에 평행한 방향은 X 방향으로 칭하는 한편,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축에 평행한 방향은 Y 방향으로 칭하며, 두께 방향은 Z 방향으로 칭하겠다. 또한, 공통 기판(11a)이 제공된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축 중 하나는 공통 기판 측으로 칭하는 한편, 공통 기판 측과 반대의 다른 단축은 반공통 기판 측으로 칭하겠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본 발명의 보유 프레임(20)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에 보유된다. 보유 프레임(20)은 표시창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30)과 트레이형 하부 프레임(40) 사이에 수용된다. 상부 프레임(30)은 스크류(31) 및 코오킹에 의해 보유 프레임(20)의 상부 표면 상으로 부착된다. 하부 프레임(40)은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41)에 의해 보유 프레임(20)의 후방 표면 상으로 부착된다. 복수의 광원(50)은 보유 프레임(20)의 후방 표면 상으로 부착된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판(51), 확산 시트(52), 렌즈(53) 및 보호 시트(54)는 광원(50) 상에 상기 순서로 쌓여져 있어서 공기층에 개재되는 각각 두 개의 인접하는 층을 가진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그러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 장치 상에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4,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보유 프레임(20)의 구조를 설명하겠다.
도4는 본 예에 따르는 보유 프레임(20)을 도시하고 있다.
보유 프레임(20)은 제1 표면(21)과, 제1 표면(21)에 대향하는 제2 표면(도시되지 않음)과, 복수의 돌출부(24)와, 보유 프레임(20)의 개구를 둘러싸는 복수의 내측면(25, 도6b)과, 복수의 외측면(26, 도6b)과, 제1 돌출부(23a, 23b)와, 제2 돌출부(22a, 22b)를 포함한다. 제1 표면(21)은 각각 내측면 및 외측면(25, 26)에 근접한 내부 및 외부 에지 부분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20)의 개구 내부에 삽입된다.
각각의 돌출부(24)는 스크류 구멍을 포함하여 상부 프레임(30)을 하부 프레임(40)에 부착시키게 된다. 돌출부(24)는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외측면(26)의 돌출부 상에만 제공된다. 돌출부(24)는 복수의 외측면(26)의 모든 돌출부 상에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22a, 22b)는 각각의 내측면(25)에 대응하는 각각의 내부 에지 부분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10)는 제2 돌출부(22a, 22b)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2a, 22b)는 Z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1 돌출부(23a, 23b)는 각각의 내측면(25)에 대응하는 각각의 내부 에지 부분 상에 제공되어서 액정 표시 장치(10)를 보유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돌출부(23a, 23b)는 반공통 기판 측에 근접한 내측면(25) 중 하나의 돌출부 상에 제공될 필요는 없다. 제1 돌출부(23a, 23b)는 Z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5a에 도시된 것처럼, 공통 기판 측 상의 제2 돌출부(22a)는 상부로부터 볼 때 직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면과 각각 접촉되는 두 개의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부분 상에 위치된 제2 돌출부(22a)는 Y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면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부분 상에 위치된 제2 돌출부(22a)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된다. 소정의 거리는 제2 돌출부의 길이의 약 1/2 내지 5 배일 수도 있다. 제2 돌출부의 길이는 X 방향으로의 제2 돌출부의 길이 또는 Y 방향으로의 제2 돌출부의 길이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예의 돌출부(23a)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Y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어서 공통 기판 측 상의 액정 표시 장치(10)의 한 단부면과 접촉된다.
도5b,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제2 돌출부(22b)는 반공통 기판 측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위치된다. 제2 돌출부(22b)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면과 접촉된다.
기본적으로, 제1 돌출부(23b)는 반공통 기판 측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를 배제시키는 내부 에지 부분 상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에지 부분을 따라서, 반공통 기판 측에 근접한 제1 돌출부(23b)는 공통 기판 측에 근접한 제1 돌출부(23b)보다 조밀하다. 또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에지 부분을 따라서, 반공통 기판 측에 근접한 제1 돌출부(23b)는 내부 에지 부분의 중앙 주위의 제1 돌출부(23b)보다 조밀할 수도 있다. 이는 반공통 기판 측 상의 제2 돌출부(22b)는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지 않지만, 제1 돌출부(23b)는 상기 기능을 가진다는 사실 때문이다.
여기에서, 반공통 기판 측 상에서 제2 돌출부(22b)는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반면, 공통 기판 측 상에서 각각의 제2 돌출부(22a)는 X 및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Y 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응력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로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 코너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반공통 기판 측 상의 제2 돌출부(22b)가 상술한 형상으로 형성될 때, 액정 표시 장치(10)는 Y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을 것이어서, Y 방향으로의 충격은 제1 돌출부(23b)에 의해 수용된다. 이와 같이,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10)에 인가된 응력은 분산되고 코너부에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 코너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돌출부(23a, 23b)는 두 개의 인접하고 가요성 회로 기판(도5a 참조) 사이에 위치된다. 노치(13, 도1 참조)는 제1 돌출부(23a, 23b)가 끼워지는 공통 기판(11a) 및 세그먼트 기판(11b)을 따라서 제공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23a, 23b)는 기판(11a, 11b)을 보유하는 기능도 한다.
상술한 보유 프레임(20)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표시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보유되고 고정된다.
도6b를 간략하게 참조하면, 스페이서(60)는 보유 프레임(20)의 내측면을 따라서 광원(50) 상에 놓여져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스페이서(60) 상에 놓여져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20)의 제2 돌출부(22a, 22b) 및 제1 돌출부(23a, 23b)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위치된다. 부가 스페이서(61)는 스페이서(60)에 대향으로 놓여져 있어서 그 사이에서 액정 표시 장치(10)를 개재시키게 된다. 상부 프레임(30)은 보유 프레임(2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는 스페이서(60)에 의해 보유되어서 Z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는 X 및 Y 방향으로 어느 정도 스페이서(6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20)의 제2 돌출부(22a, 22b) 및 제1 돌출부(23a, 23b)에 의해 X 및 Y 방향으로 확실히 위치된다. 또한,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부분을 따라서 제공된 복수의 제1 돌출부(23b)에 의해 보유된다.
이하에서, 본 예의 보유 프레임(20)에 인가된 응력을 본 발명과 일치하지 않는 보유 프레임에 인가된 응력을 비교하면서 본 예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도7은 본 발명과 일치하지 않는 보유 프레임(70)을 도시하고 있는 한편, 도8은 액정 표시 장치가 보유 프레임(70)에 의해 고정된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보유 프레임(70)을 제외하고는 도1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겠다.
도7에 도시된 보유 프레임(70)에서,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70)의 내측면의 네 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부분 상에 제공된 네 개의 제2 돌출부(22)에 의해 X 및 Y 방향으로 확실히 위치된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70)과 접촉된 강체(rigid body)이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것처럼, 충격 또는 진동이 X 및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에 외부에서 인가될 때, 응력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특히, 유리 전극 부분(10a)의 코너부]에 집중된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는 쉽게 손상받을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보유 프레임(20)에서, 반공통 기판 측 상에서 제2 돌출부는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지 않는 반면, 공통 기판 측 상에서 제2 돌출부(22a)는 각각 X 및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Y 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결과적으로 응력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에 집중되지 않아서, 그에 의해 코너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외부 충격이 X 방향으로 보유 프레임(20)에 인가될 때, 응력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에 집중되지 않는다.
X 방향으로 도7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10)의 길이는 Y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다. 따라서,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것처럼, 어떤 충격에 대해 응력은 특히 Y 방향으로 쉽게 집중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고정 구조에서는 어떤 충격 또는 진동이 액정 표시 장치(10)에 외부에서 인가될 때, 수용할 수 있는 값을 초과하는 응력은 Y 방향으로 코너부에 쉽게 인가될 수도 있다. 이는 도10b에 도시된 것처럼 코너부에서 크랙(응력 크랙, C)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예의 보유 프레임(20)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23a)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부분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Y 방향으로의 응력을 분산시키고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구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10)는 X 및 Y 방향으로 확실히 고정되는 동시에, 본 발명의 보유 프레임(20)은 코너부가 손상받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23a, 23b)는 아래의 (1) 또는 (2)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1)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23a, 23b)의 표면은 편평하다(도12). 그러한 경우에, 제1 돌출부(23a, 23b)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과 면접촉되어서, 그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10)를 보유하는 효과를 실제로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2)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23a, 23b)의 표면은 만곡되어 있다(도13). 그러한 경우에, 제1 돌출부(23a, 23b)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과 선접촉되어서, 그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20)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도 있게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23a, 23b)의 표면은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에 평행일 수도 있다(도14).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23a, 23b)의 표면은 상향으로 면하기 위해 경사질 수도 있다(도15). 여기에서, 액정 표시 장치(10)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1 돌출부(23a, 23b)의 표면이 상향으로 면하기 위해 경사질 때, 액정 표시 장치(10)는 보유 프레임(20)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도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예에서, 제1 돌출부(23a, 23b)는 조립될 액정 표시 장치와 함께 상부 프레임(30)의 하부 표면과 접촉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한 구조 때문에, 상부 프레임(30)은 조립될 액정 표시 장치와 함께 위치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부 프레임(30)이 예기치 못하게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품의 재료 및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ABS 수지가 보유 프레임(20)의 재료로 이용된다. 이 재료는 렉산(lexan)에 비해 저렴한 동시에, 성형 중의 유동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제품의 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재료의 색에 관해, 흰색 뿐만 아니라 검정색 등의 차광성을 가지는 색이 이용될 수도 있다.
사출 성형이 보유 프레임(20)의 제조 방법으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큰 테이퍼를 제공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런 방식으로, 분리선으로부터 주형을 제거시키는 것이 개선되어서, 그에 의해 제품의 결함이 감소된다. 또한, 금형에 인가된 부하는 감소되며, 동일한 금형이 장기간 동안 사용되더라도 일정한 형상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0)은 전기 용융 아연 도금판(SECC)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용의 관점에서, 전기 용융 아연 도금판(SECC)의 비용은 스텐레스 스틸의 비용보다 적다.
알루미늄이 하부 프레임(40) 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알루미늄은 내측면에 흰색을 칠함으로써 또는 아크릴계 부착 재료를 이용하는 반사 시트(예를 들면, 도레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의 상품 번호 E-60L)를 부착시킴으로써 하부 프레임(40)에서 반사층을 형성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60)는 약 20의 경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다. PET 테이프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실리콘 고무는 제2 돌출부 및 액정 표시 장치(10)의 먼지 차단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검정색 등의 차광색을 스페이서 용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각각 약 3.0 ㎜의 직경을 가지는 네 개의 램프(예를 들면, 해리슨 덴끼 가부시끼가이샤)가 광원(50)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확산판(51)은 우유빛 흰색의 아크릴 수지(예를 들면,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의 상품 번호 N961)를 가공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확산판(51)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제공된 인쇄 패턴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선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동시에, 광원의 그림자를 흐릿하게 할 수도 있다. 상품 번호 SH-1150128U-15(다이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등의 인쇄 패턴은 광원 측 상의 인쇄 패턴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폴리탄산에스텔을 이용하고 약 140 ㎛의 두께를 가지는 상품 번호 D111T(쯔지모또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등의 확산 시트는 확산 시트(52)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렌즈(53)는 상품 번호 BEF2(스미또모 3M 가부시끼가이샤) 등의 두 개의 렌즈를 적층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약 24 ㎛의 볼록부 피치 및 약 140 ㎛의 두께를 가지는 렌즈가 표시 장치 측 상에 제공될 수도 있는 한편, 약 50 ㎛의 볼록 피치 및 약 155 ㎛의 두께를 가지는 렌즈가 광원 측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볼록 부분은 서로 교차하는 동안 표시 장치 측에 면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PET를 이용하고 약 130 ㎛의 두께를 가지는 상품 번호 D117U(쯔지모또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등의 보호 시트가 보호 시트(54)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보호 시트(54)는 렌즈를 보호하고 먼지가 장치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기타 예)
상술한 예에서, 제2 돌출부는 Y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X 방향으로 액정 표시 장치(10)를 위치되도록(또는 고정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양측 상에 제1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응력이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10)를 제2 돌출부가 X 및 Y 양방향으로 위치되게(또는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 제1 돌출부는 두 개의 장축 및 보유 프레임(20)의 단축 중 하나 상에 제공된다. 본 구조의 목적은 제1 돌출부에 인쇄 기판을 보유하는 기능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10)의 코너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만을 위해, 제1 돌출부는 장축 중 하나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 본 발명이 단순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경을 할 가능성이 명백하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보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여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에 인가된 충격은 제1 돌출부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표시 장치에 인가되더라도, 결과적으로 응력은 표시 장치의 코너부에 집중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의 코너부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부는 표시 장치를 보유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는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표시 장치에 인가되더라도 표시면을 따라서 변위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를 따라서, 복수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내측면에 근접 배치된 제1 돌출부는 인접하는 내측면으로부터 훨씬 멀리 제공된 다른 제1 돌출부보다 조밀하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의 코너부로의 응력 집중이 더욱 감소될 수도 있어서, 그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표시 장치의 코너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점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실현시키기도 한다.
또한, 제1 돌출부에는 인쇄 기판 보유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인쇄 기판 보유 부재의 수를 감소시킬 수도 있어서, 표시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제1 돌출부는 상부 프레임과 접촉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표시 장치, 인쇄 기판, 가요성 회로 기판 및 보유 프레임이 상부 프레임과 일체화된 후에 상부 프레임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상부 프레임의 위치가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부 프레임에 나사를 끼울 때 발생할 수도 있는 상부 프레임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은 (1) 표시 장치가 충격이 외부에서 인가될 때 발생하는 표시 장치의 변위에 의한 손상 및 표시 장치로의 응력 집중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 보유 프레임의 제공, (2) 그러한 보유 프레임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공으로 상기 장점을 가능하게 만든다.

Claims (12)

  1. 제1 표면과,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과, 복수의 내측면과,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하여, 복수의 내측면 내부에 표시 장치를 수용시키는 보유 프레임에 있어서,
    보유 프레임은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표면이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돌출부가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되며,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를 따라서,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인접하는 내측면에 근접 배치된 제1 돌출부가 인접하는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다른 제1 돌출부보다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돌출부가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되며,
    제1 돌출부가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전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표시면과 표시면의 대향면 사이에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며,
    제1 돌출부가 표시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에 대향하는 표면을 포함하며,
    제1 돌출부의 상기 표면이 표시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표시면과 표시면의 대향면 사이에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며,
    제1 돌출부가 표시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에 대향하는 만곡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의 선단부가 테이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돌출부도 포함하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하나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되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내측면 중 하나에 인접하는 내부 에지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9. 편평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를 둘러싸서 제공되고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인쇄 기판을 표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회로 기판과,
    인쇄 기판 및 가요성 회로 기판과 함께 표시 장치를 보유하는 청구항 1에 따르는 보유 프레임과,
    표시 장치, 인쇄 기판 및 가요성 회로 기판을 수용시키고 보유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는 다른 가요성 회로 기판도 포함하며,
    보유 프레임의 복수의 제1 돌출부 중 하나는 가요성 회로 기판과 인접하는 가요성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보유 프레임의 복수의 제1 돌출부 중 하나가 인쇄 기판에 제공된 노치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가 상부 프레임과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보유 프레임은 직사각형이며,
    복수의 내측면 중의 제1 내측면에 대응하는 제1 내부 에지는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하도록 보유 프레임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제1 내부 에지의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제1 내측면에 인접하는 복수의 내측면 중의 제2 내측면에 대응하는 제2 내부 에지는 표시 장치에 인가된 외력을 수용하도록 보유 프레임의 코너부에 인접하는 제2 내부 에지의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내부 에지의 제2 돌출부가 제2 내부 에지의 제2 돌출부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KR1019970040587A 1996-08-26 1997-08-25 보유프레임및보유프레임을이용하는표시장치 KR100272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18196A JP3714735B2 (ja) 1996-08-26 1996-08-26 表示素子保持枠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96-224181 1996-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71A KR19980018971A (ko) 1998-06-05
KR100272211B1 true KR100272211B1 (ko) 2000-11-15

Family

ID=1680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587A KR100272211B1 (ko) 1996-08-26 1997-08-25 보유프레임및보유프레임을이용하는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9623A (ko)
JP (1) JP3714735B2 (ko)
KR (1) KR100272211B1 (ko)
TW (1) TW390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323B2 (ja) * 1997-11-07 2001-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6504587B1 (en) * 1998-06-17 2003-01-07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inner frame having sidewall
US6501641B1 (en) * 1998-10-23 2002-12-31 Lg. Philips Lcd Co. Ltd. Portable computer hav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JP3141869B2 (ja) * 1999-02-15 2001-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携帯用情報端末機器
JP2001108973A (ja) * 1999-08-04 2001-04-20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732955B1 (ko) * 1999-11-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597301B2 (ja) 2000-02-16 2010-12-15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保持枠および液晶表示装置
FR2812112B1 (fr) * 2000-07-21 2003-01-31 Thomson Csf Dispositif de visualisation a cellule d'affichage
KR100783591B1 (ko) * 2001-04-26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3901503B2 (ja) * 2001-07-30 2007-04-0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563868U (en) * 2001-12-28 2003-11-2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hangeable front-frame
KR100913302B1 (ko) 2003-06-18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917005B1 (ko) 2003-06-26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953424B1 (ko) * 2003-06-26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액정표시장치
KR100970264B1 (ko) * 2003-07-24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모듈용 수납유닛, 이를 갖는 표시모듈 및 표시장치
US20050157521A1 (en) * 2004-01-20 2005-07-21 Shih-Hsien Chen Backlight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7369189B2 (en) * 2004-04-15 2008-05-06 Arima Display Corporation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protrudent elements and blocking elements being engaged with mounting openings and indentations
JP4036228B2 (ja) 2005-06-20 2008-01-23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746981B2 (ja) * 2005-12-26 2011-08-10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その防塵方法およびその組立方法
TWI385437B (zh) * 2008-09-12 2013-02-11 Chimei Innolux Corp 液晶顯示器
JP2011048348A (ja) * 2009-07-27 2011-03-10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1048349A (ja) * 2009-07-31 2011-03-10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1767961B1 (ko) * 2010-08-31 2017-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공급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JP5134706B2 (ja) * 2011-05-16 2013-01-3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曲面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曲面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US9370266B2 (en) 2012-06-17 2016-06-21 Best Fit Frames, LLC Method and apparatus of mounting advertising to a display
KR102175818B1 (ko) * 2014-06-10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6067317A1 (ja) * 2014-10-28 2016-05-06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390A (ja) * 1991-09-10 1993-03-1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97Y2 (ko) * 1987-10-08 1993-02-19
FR2637379B1 (fr) * 1988-09-30 1990-12-21 Aerospatiale Dispositif de fixation d'un organe optique tel qu'un filtre sur un support
US5119239A (en) * 1991-01-08 1992-06-02 Curtis Manufacturing Company, Inc. Magnifier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 held video display
JPH06138443A (ja) * 1992-10-23 1994-05-20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6347762A (ja) * 1993-06-03 1994-12-2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DE69423552T2 (de) * 1993-08-10 2000-09-07 Canon Kk Flüssigkristallanzeige
US5631756A (en) * 1994-02-18 1997-05-2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with corner holding plates
JPH0973071A (ja) * 1995-07-03 1997-03-18 Denso Corp 液晶装置
US5570267A (en) * 1995-07-12 1996-10-29 Ma; Hsi-Kuang Flat display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390A (ja) * 1991-09-10 1993-03-1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14735B2 (ja) 2005-11-09
JPH1068932A (ja) 1998-03-10
TW390969B (en) 2000-05-21
US5889623A (en) 1999-03-30
KR1998001897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211B1 (ko) 보유프레임및보유프레임을이용하는표시장치
US94422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EP096115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443460B2 (en) Backlight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US70683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992146B2 (ja) 液晶表示装置
KR950033579A (ko) 액정표시장치 및 정보처리장치
KR2006001325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790112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30091147A (ko) 액정표시장치
US7261457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10539818B2 (en) Display device
KR10048743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82447B1 (ko) 표시장치
JP200225824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880406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JPH09318952A (ja) 液晶表示装置
KR102253430B1 (ko) 표시 장치
US73274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fixing device for light-guiding plate
KR10049915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936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90324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1174789A (ja) 液晶表示装置
KR20060071701A (ko) 광학시트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