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049B1 -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049B1
KR100272049B1 KR1019980027111A KR19980027111A KR100272049B1 KR 100272049 B1 KR100272049 B1 KR 100272049B1 KR 1019980027111 A KR1019980027111 A KR 1019980027111A KR 19980027111 A KR19980027111 A KR 19980027111A KR 100272049 B1 KR100272049 B1 KR 10027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voice signal
call
communication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663A (ko
Inventor
정교선
Original Assignee
정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교선 filed Critical 정교선
Priority to KR101998002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0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자식 전화기 및 자석식 전화기로부터 음성신호가 전송되면 무전기의 통화버튼이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되어,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방법은, 전화기로부터 다이얼된 신호에 의하여 발호 검출을 감지함과 아울러 통화로 설정후에, 전화기에서 송출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음성 신호의 감지 동작에 따라, 무전기의 통화 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음성 신호를 고주파에 변조하여 공중망으로 송출하는 단계; 무전기의 음성을 수신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통신이 종료되면,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전자식 전화기 및 자석식 전화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의 유/무선 송신 제어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전화기와 무전기간의 원거리 통신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이다.
정보를 신속ㆍ정확하게 경제적으로 교환할수 있는 교환기는, 가입자선이나 중계선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상호간의 정보교환을 수행할수 있는 교환 장비의 집합체로서, 교환기를 이용한 교환 기술은 수동식에서 자동식으로, 또한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교환기술은 전화교환, 전신교환, 데이터교환, 화상교환등에 널리 이용되어 넓은 분야에서 정보를 손쉽게 교환할수 있는 잇점이 있다.
최근 들어, 일반 전화기 교환망과 휴대폰, PCS 망이 상호 인터페이스 되어,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기기와 통신을 수행할수 있고, 반대로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일반 가입자 전화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수 있다.
이러한 것은 고정 통신망인 유선 전화용 국선을 이용하고, 유선 전화용 국선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가 교환기와 인터페이스되는 이동통신 교환국를 통해 무선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송출된 음성 신호는 송/수신기를 장착하는 이동통신 기기로 전달되고, 상호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한 일 예로서, 특정 교환기에 접속되는 전화기를 사용하여,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무선기기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방법이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즉, 군 통신 수단에서 상기와 같은 통신방법을 사용하여 각종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 제어장치에 의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자석식 전화기(10)가 교환기(12)에 접속되고, 교환기(12)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중계부(14)와 무전기(20)를 통해 무선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중계부(14)는 최대 유효거리가 약 3.2KM정도의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제 1중계부(16)와 제 2중계부(1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무선 통신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자석식 전화기(10)의 수화기를 들고 교환원을 호출한다. 교환원은 교환기(12)의 감시 램프가 온 상태로 됨을 확인하고, 발호 검출이 발생됨을 판단한다.
계속해서, 교환원은 사용자가 요구한 접속 번호를 교환기(12)에 연결하고,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 1중계기(16)로 전송한다. 제 1중계기(16)는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 제 2중계기(18)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전기(20)의 조작자를 호출한다.
이후, 무전기(20) 조작자는 무전기의 통화 버튼(PTT: Push and Talk Transmission)를 눌러, 통화 가능상태로 설정하여 통화로를 구축하고, 소정거리 떨어진 상대방 무전기(22)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무선 통신 제어장치는, 음성 신호 전송시에 전화기의 송수화기 통화 키(Key)를 눌렀을 때, 무전 기기의 통화 버튼이 온(ON)상태로 된후, 무선 송신을 수행할수 있는 전화기가 자석식 전화기로 한정되어 있어,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자식 전화기의 사용이 불가하여 무전기와 전자식 전화기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무선 통신 제어장치는 교환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중계장치와 이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무전기로 다시 전송하는 중계장치가 전용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일정 거리 즉 최대 3.2KM이내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거리 제한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무선 통신 제어장치는 사용전원이 DC-9V 전용으로 설정되어, 타 전원을 사용할수 없어 융통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었고, 교환원에 의하여 통화로를 구성하게 되어 있어 교환원 부재시에는 상호 통신을 수행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교환기에 접속되는 자석식 전화기와 무전기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으로, 전화기에서 음성신호가 전송되면 무전기의 통화버튼이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되어 상호 통신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자석식 전화기와 전자식 전화기를 겸용하도록 하여, 자석식 전화기를 사용할때의 사용 거리의 제한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을 겸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전원의 제한을 제거하고, 또한 수동 교환 및 자동 교환 방식을 선택할수 있어 효과적인 통신 제어장치를 사용할수 있고, 아울러 상호 교신 내용을 감시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 제어장치에 의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가 적용되어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a는 도 2에서 음성 데이터의 송신 흐름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송신된 음성 데이터의 수신 흐름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3c는 도 2에서 음성데이터의 전송 종료후에 통신 제어장치를 복구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환기 106,113,131 : 통신 제어장치
108, 110 : 무전기 112, 140 : 전화기
114 : 링 감지부 116, 134, 144 : 통화 접속부
118, 138 : 통화부 120 : 송신부
122, 136 : 음성 신호 감지부 124, 142 : 감청부
132 : 신호 증폭부 142 : 복구/신호 감시부
146 : 복구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른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방법은, 전화기로부터 다이얼된 신호에 의하여 발호 검출을 감지함과 아울러 통화로 설정후에, 상기 전화기에서 송출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의 감지 동작에 따라, 무전기의 통화 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음성 신호를 공중망으로 송출하는 단계; 무전기 음성을 수신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화기는 자석식 전화기 또는 전자식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통화 버튼은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상태는 상기 전화기의 특수 버튼 및 소정 복구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는,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무전기의 통화버튼을 온/오프 시키고, 통화로를 구성하는 접속수단; 상기 접속수단에 따라 상기 구성된 통화로를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수단; 상기 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성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장치; 및 상기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완료된후, 상기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하는 복구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전화기로부터 송신된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신호 감지부; 상기 음성신호 감지부의 감지 동작에 따라 상기 전송수단과 자동연결·수동연결로 상기 통화로를 설정하는 통화접속부; 상기 통화접속부의 통화로 구성과 아울러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자동연결·수동연결시에 이를 확인하는 신호 점등부; 및 상기 음성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모니터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복구수단은 복구 버튼 및 상기 전화기의 특수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음성신호 감지는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모니터 스피커를 통해 수선·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가 적용되어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다수개의 전화기가 접속되는 교환기(100)와,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감지함과 아울러 무전기(108)를 통해 송출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제어장치(1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교환기(102a)와 제 2교환기(102b)는 구내 자동착신 회선(DID)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구내 교환기에 접속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때 구내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 직접 호출할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0은 수신측의 무전기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에 따른 음성신호의 원거리 통신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을 희망하는 전화 가입자는 전화기(112)의 송/수화기를 들고 통신 제어장치(106)와 연결하기 위하여 다이얼을 한다. 이때, 통신 제어장치(106)의 연결 버튼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통신 제어장치(106)는 소정 횟수동안 호출 신호가 울리고, 이후 전화기(112)와 통화로가 설정되면 호출 신호는 중지된다.
여기서, 통신 제어장치(106)의 링 감지부(114)는 20Hz의 링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게 된다.
계속해서, 통신 제어장치(106)와 전화기(112)가 상호 연결 되면, 통화접속부(116) 및 통화부(118)가 사용가능 상태로 통화로가 설정되고, 이후, 통화로를 따라 전화기(112)로부터 송출된 음성신호가 전송되면, 음성 신호 감지부(122)는 0.3KHz ~ 3.4KHz의 음성대역 주파수를 감지한다.
음성 신호 감지부(122)의 음성 신호 감지에 따라 무전기(108)의 통화버튼이 온(ON)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무전기(108)는 리모트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음성 대역이외의 주파수를 감지하게 되면, 리모트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통화버튼의 상태는 계속 오프(Off)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무전기(108)를 통해 상대 무전기(110)를 호출하고,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 전화번호의 연결을 요구한다. 수신측의 무전기(110)는 이와 같은 음성 신호를 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하게 되고,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즉 다시말해, 통화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 신호는 통신 제어장치(106)의 통화부(118)를 통해 무전기(108)의 송신부(120)로 전송되고, 음성 신호의 변조 및 송신에 필요한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무선 송출된다.
송신부(120)를 통해 송출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부(130)는 신호 증폭 부(132) 및 복조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원래의 음성 신호로 복구하고, 통화 접속부(134) 및 통화부(138)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수 있다. 즉, 신호 증폭부(132)와 음성 신호감지부(136)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원래의 음성 신호로 복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전화기(140)를 통해 상대 가입자와 통화를 할수 있다.
여기서, 음성 신호가 송신부(120) 및 수신부(130)를 통해 상호 통신수행시에, 통신 제어장치(106)의 감청부(124)(142)를 통해 통화 내용을 모니터 할수 있다.
한편, 통신 제어장치(106)의 연결 버튼이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을 희망하는 전화 가입자는 전화기(112)의 송/수화기를 들고 통신 제어장치(106)와 연결하기 위하여 다이얼을 하면, 이때, 통신 제어장치(106)는 20Hz의 링 신호가 출력되고, 링 신호의 출력에 따라 교환원이 송/수화기를 들고 직접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무선 연결을 요구시에 교환원은 통신 제어장치(106)의 수동 연결버튼을 작동시키고, 이후 음성 신호의 통신 방식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자동 연결때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때, 자동 연결 또는 수동 연결을 통해 상호 통신을 수행할 때, 통신 제어장치(106)에 포함되는 자동 연결버튼 램프 및 수동 연결버튼 램프가 점등된다. 그리고 음성 신호의 송/수신시에도 송/수신이 진행중임을 나타내는 송/수신 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통화로 설정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송화기와 같은 별도의 마이크로폰과 통신 제어장치(106)에 제공된 스피커 모니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상호 음성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즉,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일정한 출력레벨이 되도록 소정 회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음량조절이 수행된 후, 전송로를 통해 통신 제어장치(106)로 전송된다.
그리고 전송된 음성신호는 스피커 모니터를 통해 교환원이 청취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감지부(122)의 음성대역 주파수 감지동작 후에, 상기 기술한 자동 연결도는 수동 연결방식과 같은 동일 방식에 의하여 통화로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스피커 모니터를 통한 음성 신호의 음량 조절은 통신 제어장치(106)의 모니터 볼륨 조정다이얼(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수행된다.
이때에도, 통신 제어장치(106)의 자동 연결버튼 램프 또는 수동 연결버튼 램프는 각각의 통화로 연결 방식에 따라 상이한 램프가 점등된다.
한편, 상호 무선 통신이 완료된 후에는, 설정된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 연결 상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화기(112)의 특수 버튼, 예를 들면 "#"와 같은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버튼을 누르면, 통신 제어장치(106)의 복구신호감시부(142)가 이를 감지하고, 복구부(146)에 리셋 신호가 전송됨으로써, 통화로는 초기상태로 복구된다.
또한, 수동 연결 상태에서는 상호 무선 통신이 종료된후에, 교환원이 통신 제어장치(106)의 수동 복구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시킬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은 교환기에 접속되는 전화기와 무전기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자석식 전화기뿐만 아니라, 전자식 전화기를 사용하여 무전기의 통화버튼을 자동으로 온 상태로 구동 시킬수가 있어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자식 전화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고, 또한 기존의 통신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전용 케이블로 인한 거리 제한의 불편함이 제거된다는 것이다.
또한,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을 겸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호 교신내용을 감시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7)

  1. 전화기로부터 다이얼된 신호에 의하여 발호 검출을 감지함과 아울러 통화로 설정후에, 상기 전화기에서 송출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의 감지 동작에 따라, 무전기의 통화 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음성 신호를 고주파에 변조하여 공중망으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된 고주파를 수신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 종료되면, 상기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자석식 전화기 또는 전자식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버튼은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대역내의 주파수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상태는 상기 전화기의 특수 버튼 및 소정 복구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방법.
  5.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무전기의 통화버튼을 온/오프 시키고, 통화로를 구성하는 접속수단; 상기 접속수단에 따라 상기 구성된 통화로를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수단; 상기 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성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장치; 및 상기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완료된후, 상기 통화로를 초기상태로 복구하는 복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전화로부터 송신된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신호 감지부; 상기 음성신호 감지부의 감지 동작에 따라 상기 전송수단과 자동연결·수동연결로 상기 통화로를 설정하는 통화접속부; 상기 통화접속부의 통화로 구성과 아울러 상기 음성신호 전송 및 상기 자동연결·수동연결시에 이를 확인하는 신호 점등부; 및 상기 음성신호를 직접 송, 수신하는 마이크로폰과 모니터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수단은 복구 버튼 및 상기 전화기의 특수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 제어장치.
KR1019980027111A 1998-07-06 1998-07-06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7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11A KR100272049B1 (ko) 1998-07-06 1998-07-06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11A KR100272049B1 (ko) 1998-07-06 1998-07-06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63A KR20000007663A (ko) 2000-02-07
KR100272049B1 true KR100272049B1 (ko) 2000-12-01

Family

ID=1954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111A KR100272049B1 (ko) 1998-07-06 1998-07-06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00A (ko) 2019-05-16 2020-11-25 삼원에프에이 (주) Ip 인터콤 및 무전기 상호간 통화 중계용 디지털 네크워크 및 이를 이용한 중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63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44474A (en) Battery saving system for duplex radio system
JPS63234654A (ja) 無線電話装置
KR100272049B1 (ko) 무전기와 전화기간의 통신제어 방법 및 장치
JP3023776U (ja) ペットコンタクト用交信器
KR100275388B1 (ko) 셀룰러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사용 방지방법
JP3203758B2 (ja) 無線電話装置
JP3738056B2 (ja) コードレス電話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20050040544A (ko) 그룹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3233479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3401922B2 (ja) 無線ボタン電話装置
JPH0799687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および接続装置と受信装置
KR20020059875A (ko) 핸드폰 이용이 가능한 전화기 및 전화기 내 베이스 유닛과핸드 프리 세트의 구동 방법
JPH027015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40019676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일반전화기 톤 소거 장치 및 그 방법
JPH0411576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183613A (ja)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JP2001211114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H07131855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2135472A (ja) 無線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KR19990004542A (ko) 적외선을 이용한 발신 전용 전화기와 적외선 기지국 장치 및 통화시 제어 방법
KR20010037391A (ko) 개인용 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 자동 송출장치
JPH05252242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3964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7222230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制御信号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