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80B1 - 수영용 고글 - Google Patents

수영용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80B1
KR100270780B1 KR1019930018532A KR930018532A KR100270780B1 KR 100270780 B1 KR100270780 B1 KR 100270780B1 KR 1019930018532 A KR1019930018532 A KR 1019930018532A KR 930018532 A KR930018532 A KR 930018532A KR 100270780 B1 KR100270780 B1 KR 10027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necting member
eye cup
hole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612A (ko
Inventor
도모유키 야시로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다메노부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다메노부,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다메노부
Publication of KR94000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영용 고글은 좌우 한쌍의 아이컵과, 이 한쌍의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한쌍의 아이컵 외단부에 결합되고 또 착용시 그 후단부가 귀 가까이에 도달하는 길이를 갖는 접속부재와, 그리고 이 접속부재의 외단부 서로를 결합시키는 탄성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재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탄성부재는 머리 뒤쪽의 밀착성이 좋은 부분에 장착되므로 물에 뛰어들 때 늘어나는 일이 없어지고, 아이컵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수영용 고글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 생략 평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아이컵의 중앙횡단면 확대도.
제4도는 동 아이컵의 연결부재 부착부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우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일부 파단 배면도.
제7도는 제3도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도면.
제8도는 동 실시예의 아이컵과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 확대도.
제9도는 제8도의 분해도.
제10도는 동 실시예의 접속부재의 확대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제10도의 C-C선 단면도.
제13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 벨트를 나타내고, (a)도는 정면도, (b)도는 (a)도의 D-D선 단면도, (c)도는 배면도, (d)도는 (c)도의 E-E선 단면도.
제14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 벨트의 클립을 나타내고, (a)도는 정면도, (b)도는 배면도, (c)도는 (a)도의 좌측면도, (d)도는 (a)도의 우측면도, (e)도는 (d)도의 좌측면도, (f)도는 (c)도의 F-F선 단면도.
제15도는 동 실시예의 접속부재 배면도.
제16도는 제11도의 화살표 G 방향에서 본 도면.
제17도는 동 실시예의 벨트 조정기를 나타내고, (a)도는 정면도, (b)도는 배면도, (c)도는 (a)도의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도면, (d)도는 (a)도의 H-H선 단면도, (e)도는 (b)도의 K-K선 단면도.
제18도는 동 실시예의 꼬리잠금부를 나타내고, (a)도는 정면도, (b)도는 배면도, (c)도는 (a)도의 화살표 L 방향에서 본 도면, (d)도는 (c)도의 좌측면도, (e)도는 (c)도의 우측면도, (f)도는 (b)도의 M-M선 단면도, (g)도는 (a)도의 N-N선 단면도.
제19도는 동 실시예의 벨트 정지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0도는 동 실시예의 아이컵과 연속부재의 회동 상태 설명도.
제21도는 탄성밴드의 신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22도는 종래의 고글을 머리에 장착했을 때의 평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고글을 머리에 장착했을 때의 평면도.
제24도는 접속부재가 경질(硬質)재료로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5도는 아이컵 본체와 접속부재가 일체성행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6도는 아이컵 패드와 접속부재가 일체성형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7도는 아이컵 본체 및 패드와 접속부재가 일체성형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글 2 : 아이컵
3 : 연결부재 4 : 탄성밴드
5 : 접속부재 6 : 렌즈부
7 : 둘레벽부 18 : 코 벨트
24 : 벨트 조정기 25 : 꼬리잠금부
27 : 벨트 정지구
[발명의 분야 및 관련기술]
본 발명은 수영용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고글로는 일본국 실개평 1-36505호 공보나 미국특허 제 4,264,987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수영용 고글은 좌우 한쌍의 아이컵과, 이 한쌍의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한쌍의 아이컵 외단부에 결합된 접속부재와, 이 접속부재의 외단부 서로를 결합시키는 탄성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에서는 아이컵과 안면 사이에 수밀성(水密性)을 유지하고, 또한 아이컵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밴드의 장력을 증대시키도록 이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의 결과, 밴드 장력이 과대해지면 아이컵이 눈구멍 (안와(眼瀉); eyesocket)내지 그 가까이에 강하게 밀착되어 착용자에게 통증을 주게된다.
이러한 통증을 없애면서도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장력을 작게하면 물에 뛰어들 때의 충격 등 외력에 의해 안면상의 아이컵 위치가 어긋나거나, 또는 아이컵이 뒤집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즉,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무밴드(5)를 원통체(51)에 감아걸어 그 양단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원통체(51)에 접해있는 고무밴드(50)부분(A)은 마찰에 의해 그 신장이 구속되나 원통체(51)에 접하지 않은 부분(B)은 크게 신장된다.
마찬가지의 작용이 수영 고글을 머리에 장착했을 때에도 발생한다.
즉,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52)뒷부분(A)에서는 밴드(53)와 머리(52)의 밀착도가 높고, 그 마찰에 의해 밴드(53)의 신축이 구속되는데 반해 머리(52)앞부분(B)에서는 밴드(53)와 머리(52)의 밀착도가 낮아, 환언하면 신축의 자유도가 높아, 이 신축이 용이한 부분(B)이 물에 뛰어들 때의 충격으로 과도하게 신장되어 아이컵(54)의 위치 어긋남이나 뒤집힘이 야기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발명의 목적 및 개요]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아이컵의 위치어긋남이나 뒤집힘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또 아이컵의 안면 일치성(fitness)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영용 고글(1)은 좌우 한쌍의 아이컵(2)과, 이 한쌍의 아이컵(2)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와, 상기 한쌍의 아이컵(2)의 외단부에 결합된 접속부재(5)와, 그리고 이 접속부재(5)의 외단부 서로를 결합시키는 탄성밴드(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글(1)을 머리(52)에 장착했을 때, 상기 좌우 양측의 접속부재(5)는 모두 그 외단이 좌우 귀(55)가까이에 도달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재(5)외단이 귀(55)가까이에까지 도달하는 긴 길이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밴드(4)와 머리(52)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물에 뛰어들 때의 외력에 의해 탄성밴드(4)가 신장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아이컵(2)의 위치어긋남이나 뒤집힘이 방지된다.
또, 길이가 긴 접속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아이컵의 안면에 대한 일치성이 나빠지나 이 접속부재를 고무형 탄성체로 구성함으로써 이 접속부재의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므로 아이컵 일치성의 악화가 방지된다.
상기 접속부재와 아이컵을 회동자재로 연결함으로써 일치성을 더한층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부재의 일부 또는 대부분을 고무형 탄성체로 구성함으로써 물에 뛰어들때에 이 접속부재가 신장하려 하나 착용시에 이 고무형 탄성체 부분의 인장변형을 상기 탄성밴드의 인장변형보다 작게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신장이 방지되고, 아이컵의 위치 어긋남은 생기지 않는다.
상기 접속부재 일부를 포(布), 합성수지등 비신축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접속부재를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재료로 구성할 경우, 이 접속부재와 아이컵을 회동자재로 결합함으로써 안면 일치성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아이 컵과의 결합부근에서 이 아이컵의 상하 가장자리부 및 전면과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또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아이 컵과의 결합부에서 상기 탄성밴드와의 결합부에 이름에 따라 상하의 폭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된다. 이와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체저항의 감소가 도모되고, 경기용으로서 최적이 된다.
아이컵에 회동자재로 장착되는 벨트 조정기와, 탄성밴드단에 장착되는 꼬리잠금부와, 상기 벨트 조정기를 꼬리잠금부와 접속시키는 벨트클립으로 상기 접속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벨트클립을 상기 고무형 탄성체로 하고, 상기 조정기 및 꼬리잠금부를 경질 플라스틱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속부재와 아이컵의 결합부재를 경질 플라스틱으로 함으로써 마모의 방지가 도모된다.
또, 벨트 조정기, 벨트클립 및 꼬리잠금부를 일체형성함으로써 접속부재와 아이컵의 일체감을 높이고, 유체저항의 감소 및 디자인성 향상을 도모하고, 의장적 효과를 높일수 있다.
또,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클립의 테이퍼면이 아이컵의 코벨트 부착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에 끼워지고, 아이컵과 코 벨트와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므로 안면 일치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글(1)은 좌우한쌍의 아이컵(2, 2)과, 양 아이컵(2, 2)의 대향 내단부 서로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와, 탄성밴드(4)와, 아이컵(2)과 탄성밴드(4)를 접속하는 접속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컵(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전면의 평판상 렌즈부(6)와, 이 렌즈부(6)의 둘레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둘레벽부(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둘레벽부(7)후단에는 유연한 탄력성을 갖는 환형 패드 (도시생략)를 장착한 패드장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벽부(7)의 좌우 대향 내측에는 연결부재(3)의 부착부(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7)의 각 외단에는 벨트 접속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이컵(2)의 부착부(9)전면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탄면(10)으로 되어 있다.
평탄면(10)상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상하벽(11, 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하벽(11)의 대향 내단측에는 연결편(1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편(12)에는 이 상하면을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의 걸림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벽(11)의 상하 대향면은 연결편(12)측이 좁은 테이퍼면(11A)으로 되어 있으나 외측 상하면은 매끄러운 곡면으로 되어 있어 유체저항을 적게 받음과 동시에 외관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 아이컵(2)의 각 둘레벽부(7)의 좌우방향 외단측 (상기 부착부(9)반대측)은 후방으로 경사진 모양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는 상기 벨트 접속부(14)로 되어 있다.
이 접속부(14)에는 전면측에서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5)의 후벽(16)은 그 내외 양벽면(16A, l6B)이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P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으로 됨과 등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벨트조정기 걸림구멍(17)이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3도, 제6도, 제7도 참조).
그리고, 상기 후벽 외벽면(16B)및 상기 걸림구멍(17)은 각각 후기하는 벨트 조정기의 회동안내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는 코 벨트(18)와 클립(19)으로 이루어진다.
코 벨트(18)는 나일론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제로,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뒤쪽 (안면측)에 오목부(18A)가 형성됨과 동시에 후면 중앙부가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코벨트(15)의 좌우측면 후단 가까이에 걸림돌편(20, 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걸림돌편(2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클립 걸림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코 벨트(18)앞쪽 좌우측면은 중앙을 향하여 파인 클립 걸림오목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클립(17)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4(a)∼ (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장기(將棋)의 말모양인 끼움부(22)와, 이 끼움부(22)의 이면에 돌출설치한 2개의 걸림다리부(23)로 이루어진다. 끼움부(22)의 상하면은 아이컵(2)의 테이퍼면(11A)에 끼워지는 테이퍼면(22A)으로 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22A)사이에 끼워진 코쪽 단부는 돌출부(22B)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22B)는 코 벨트(18)의 끼움오목부(18B)에 끼워진다.
또, 상기 테이퍼면(22A)에 끼워진 상기 돌출부(22B)와 반대측 단부는 오목부(22C)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2C)는 상기 아이컵(2)의 렌즈부(6)정면대향 내측원호(6A;제4도 참조)와 일치하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19)의 전면(19A)은 코 벨트(18)의 전면 및 아이컵(2)의 상하벽(11)외면과 면이 일치하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 클립(19)의 걸림다리부(23)단부에는 걸림클릭(23A)이 형성되고, 이 다리부(23)는 상기 코 벨트(18)의 클립걸림구멍(21)및 아이컵(2)의 걸림구멍(13)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편(12)의 걸림구멍(13)주변에 상기 걸림클릭(23A)이 걸려 클립(19)의 빠짐방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코 벨트(18)는 고글(1)을 장착할 경우에 좌우로 인장되기 때문에 클립(19)은 이 걸림다리부(23)를 통하여 대향내측으로 인장되고, 클립(19)의 테이퍼면(22A)이 아이컵(2)의 부착부 테이퍼면(l1A)에 끼워져, 쐐기효과에 의해 클립(19)이 아이컵(2)부착부(9)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양 아이컵(2)의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동요됨이 없어지며, 양 아이컵(2, 2)의 연결상태가 안정되고, 고글(1)장착자의 안면에 단단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 벨트(18)는 고글장착자의 안면모양,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소한 길이가 다른 대·중·소 3종류를 구비하여 자신의 안면에 일치하는 길이의 고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탄성밴드(4)는 종래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고무벨트이다.
상기 접속부재(5)는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단부는 귀(55)가까이에까지 이르는 길이로 되어 있다.
아이컵(2)의 렌즈부(6) 표면외측에서 접속부재(5)의 후단부 까지의 길이는 약 70mm 이상, 100mm 이하로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재(5)는 제10도, 제11도, 제12도,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질 플라스틱제외 벨트 조정기(24) 및 꼬리잠금부(25)와 고무형 탄성체인 고탄성 (연질) 플라스틱제의 벨트클립(26)으로 이루어진다. 접속부재(5)는 벨트 조정기(24), 꼬리잠금부(25), 및 벨트클립(26)을 일체적으로 결합한 일체 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재(5)는 벨트 정지구(27)를 통하여 아이컵(2) 부착부(14)에 상하방향으로 상대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벨트 조정기(24)는 제17(a)~(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면이 아이컵(2)의 벨트 접속부(14)의 단부 상하면과 면이 일치하게 되어 있고 또한 원호형상의 회동안내면(28A)을 구비한 본체부(28)와, 이 안내면(28A)으로부터 돌출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인 걸림부(29)와, 벨트클립 결합부(30)로 이루어진다.
이 결합부(30)는 2개의 결합봉형상부(31)를 통하여 본체부(28)와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29)에는 원호형상 걸림구멍(32)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멍(32)은 제10도,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 곡률중심(P)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부(28)의 안내면(28A)도 상기 중심(P)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이 되고, 벨트 조정기(24)는 상기 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아이컵(2)에 대해 상호 대향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29)는 그 상하폭(W2)이 상기 아이컵(2)이 걸림구멍(17)의 상하폭(W1)보다 상당히 좁게되어 있어 (제10도 참조), 걸림구멍(17)안을 상항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구멍(32)은 제17(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쪽이 폭넓게 되어 있어, 벨트 정지구(27)의 끼움 걸림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꼬리잠금부(25)는 제18(a)∼ (g)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3)와, 앞쪽의 결합부(34)와, 뒤쪽의 벨트 부착부(3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34)는 봉형상부(34A)를 통하여 본체부(33)와 결합되어 있고, 벨트 부착부(35)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벨트삽입관통구멍(36), 벨트 걸림부(37)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중앙이 절제된 벨트 누름부(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클립(26)은 그 성형시에 벨트조정기(24)의 결합부(30)와 결합봉형상부(31)의 전부 및 본체부(38)의 일부, 그리고 꼬리잠금부(25)의 결합부(34)와 결합봉형상부(34A)의 전부 및 본체부(33)일부를 각각 삽입 (매립)하여 이들을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 조정기(24), 꼬리잠금부(25) 및 벨트클립(26) 상하 및 전후면은 면이 일치되어, 유체저항의 감소, 아이컵(2)과의 일체감 및 디자인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고글(1)을 머리에 장착했을 때, 상기 벨트클립(26)의 인장변형은 상기 탄성밴드(4)의 인장변형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트클립(26)의 인장변형을 탄성밴드(4)의 인장변형보다 작게하기 위하여는 벨트클립(26)의 재료로서 탄성밴드(4)보다 탄성률이 큰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탄성률이 같은 경우라면 탄성밴드(4)보다 단면적이 큰 것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벨트 정지구(27)는 제10도, 제12도, 제15도,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이컵(2)의 부착부(14)에 설치한 오목부(15)에 끼워지는 덮개모양의 끼움부(39)와, 안쪽면에 돌출 설치한 단면이 원호띠 형상인 걸림축부(40)로 이루어진다
끼움부(39)전면은 상기 부착부(14)전면과 면이 일치하도록 매끄러운 원호형상면으로 되어있다. 걸림축부(40)는 상기 조정기(24)의 걸림구멍(32)에 유극을 두고 끼워진다.
이 축부(40)의 상하폭이 걸림구멍(32)의 상하폭보다 좁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부재(5)는 아이컵(2)에 대하여 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각각 5도 정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0도 참조).
또, 상기 걸림축부(40)후단부에는 클릭(40A)이 돌출설치되고, 이 클릭(40A)이 벨트조정기(24)의 걸림부(29)후면의 걸림구멍(32)주변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재(5)는 상기 조정기(24)의 걸림구멍(32)에 헐겁게 끼워진 걸림축부(40)에 의해 전후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이 걸림축부(40)및 아이컵(2)의 부착부 외벽면(16B), 걸림구멍(17)으로 안내되어 상대회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아이컵(2, 2)을 연결부재(3)로 연결할 경우에는, 안면모양, 크기에 따라 대, 중, 소 어느 하나의 코 벨트(18)를 선택하고, 양 아이컵(2)의 부착부(9)의 연결편(12)전면에 코 벨트(18)의 양단걸림돌편(20)을 맞닿게 하여 상기 양 걸림구멍(13, 21)을 합치시킨 후, 클립(19)을 이 걸림다리부(23)가 상기 구멍(13, 21)에 삽입관통하도록 아이컵(2)의 상하벽(11)사이에 끼움으로써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5)를 아이컵(2)에 접속할 경우에는 벨트 조정기(24)의 걸림부(29)를 아이컵(2)의 벨트 접속부(14)걸림구멍(17)에 삽입 관통시키고, 외벽면(16B)에 조정기(24)의 안내면(28A)을 맞닿게한 후, 벨트 정지구(27)를 그 걸림축부(40)가 상기 조정기(24)의 걸림구멍(32)에 끼워넣어지도록 벨트 접속부(14)의 오목부(15)에 끼움으로써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4)의 꼬리잠금부(25)로의 부착 및 탄성밴드의 길이조정은 종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제24도에 도시하는 것은 접속부재(5)를 경질재료로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도 접속부재(5)의 후단부는 귀(55)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아이컵(2)의 안면 일치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접속부재(5)와 아이컵(2)은 회동자재로 피벗결합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재(5)는 그 길이의 대부분 또는 일부분을 포, 합성수지 등 비신축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제25도∼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컵(2)을 경질 플라스틱 제 본체(2a)와 이 본체(2a)에 끼움장착 또는 접착되어 안면에 맞닿는 탄성부재제 패드(2b)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부재(5)를 상기 본체(2a)또는 패드(2b)에, 또는 상기 본체(2a)및 패드(2b)에 일체성 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령 걸림축부(40)는 단면이 원형인 축 (또는 핀)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축부(40)를 중심으로 하여 벨트조정기(24)와 아이컵(2)을 상대회동가능하게 할 수 있고 아이컵(2)의 렌즈부(6)에 교정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채용될 수 있고, 수영용 고글 이외의 다른 고글에 채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히 설계변경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및 필수의 특징적 사항에서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되어 있으며, 이들 청구범위의 의미안에 드는 모든 변형예는 본원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5)

  1. 좌우 한쌍의 아이컵과, 이 한쌍의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한쌍의 아이컵 외단부에 결합된 접속부재와, 그리고 이 접속부재의 외단부 서로를 결합시키는 탄성밴드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착용시 상기 접속부재는 그 후단부가 귀 가까이에 도달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그 길이의 대부분 또는 일부분을 고무형 탄성체로 구성하고, 이 고무형 탄성체 부분은 착용시에 있어서의 이 고무형 탄성체 부분의 인장변형이 상기 탄성밴드의 인장변형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아이컵과의 결합부근에서 이 아이컵의 상하 가장자리부 및 전면과 원활하게 접속하고, 또한 상기 아이컵과의 결합부로부터 상기 밴드와의 결합부에 이름에 따라 상하의 폭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아이컵에 회동자재로 장착되는 벨트 조정기와, 탄성밴드끝에 장착되는 꼬리잠금부와, 상기 벨트 조정기 및 꼬리잠금부를 접속하는 벨트 클립으로 구성되고, 이 벨트클립은 상기 고무형 탄성체로 되어 있고, 상기 조정기 및 꼬리잠금부는 경질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조정기는 아이컵에 상하방향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조정기는 아이컵에 좌우방향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벨트 조정기, 벨트클립 및 꼬리잠금부를 일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컵 외단부에 외면측으로부터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는 상하벽, 외단벽 및 저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외단벽은 원호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단벽에는 상기 오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이 개방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재의 벨트 조정기에는 상기 구멍에 상하방향의 유극을 두고 삽입 관통되어 오목부 내부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가지고, 이 걸림부에는 걸림구멍이 설치되고, 또한 이 벨트 조정기에는 상기 외단벽의 원호면에 미끄럼접촉하는 원호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 개구부에 벨트 정지구가 끼움장착되어 이 정지구에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걸림축부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단벽의 원호면 및 벨트 조정기의 원호면은 상기 걸림축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아이컵에 일체성형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컵은 경질 플라스틱제 본체와, 이 본체에 끼움장착 또는 접착되어 안면에 맞닿는 탄성부재제 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패드에 또는 상기 본체 및 패드에 일체성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그 길이의 대부분 또는 일부분이 포, 합성수지 등 비신축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재는 상기 아이컵과 회동자재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컵의 렌즈표면 외단으로부터 접속부재 외단까지의 길이는 약 70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부착부가 형성되고, 이 부착부는 내측에 이름에 따라 그 간격이 좁아지는 상하의 벽과, 이 상하벽 사이에 형성된 평탄면과, 이 평탄면에 개방설치된 걸림구멍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코 벨트와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 벨트 양단부는 상기 평탄면에 설치되고 또한, 이 코 벨트 양단부에는 상기 걸림구멍과 합치하는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상하벽 사이에 끼워지는 테이퍼면에 형성된 끼움부와, 이 끼움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평탄면의 걸림구멍 및 코 벨트 구멍에 삽입관통되는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15. 좌우 한쌍의 아이컵과, 이 한쌍의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아이컵의 대향 내단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부착부가 형성되고, 이 부착부는 내측에 이름에 따라 그 간격이 좁아지는 상하의 벽과, 이 상하벽 사이에 형성된 평탄면과 이 평탄면에 개방설치된 걸림구멍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코 벨트와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 벨트 양단부는 상기 평탄면에 설치되고, 또한 이 코 벨트 양단부에는 상기 걸림구멍과 합치하는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상하벽 사이에 끼워지는 테이퍼면에 형성된 끼움부와, 이 끼움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평탄면의 걸림구멍 및 코 벨트의 구멍에 삽입관통되는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고글.
KR1019930018532A 1992-09-24 1993-09-15 수영용 고글 KR100270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86592 1992-09-24
JP92-254865 1992-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612A KR940006612A (ko) 1994-04-25
KR100270780B1 true KR100270780B1 (ko) 2000-11-01

Family

ID=1727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532A KR100270780B1 (ko) 1992-09-24 1993-09-15 수영용 고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15551A (ko)
KR (1) KR100270780B1 (ko)
TW (1) TW30123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7346B2 (ja) * 1995-03-23 2005-01-05 山本光学株式会社 ゴーグル
US6023791A (en) * 1997-02-25 2000-02-15 Chiang; Herman Swimming goggle structure
WO1998048905A1 (en) * 1997-04-29 1998-11-05 Sharp Plastics Manufacturing Ltd. Swim goggles with soft frames
USD415780S (en) * 1997-07-08 1999-10-26 Yamamoto Kogaku Co., Ltd. Swimming goggles
US5896588A (en) * 1997-07-11 1999-04-27 Chiang; Herman Swimming goggle structure
USD413913S (en) * 1997-07-24 1999-09-14 Yamamoto Kogaku Co., Ltd. Swimming goggles
JP3490326B2 (ja) * 1999-02-17 2004-01-26 株式会社タバタ 水中眼鏡
ES2228407T3 (es) * 2000-01-20 2005-04-16 Herman Chiang Gafas de natacion.
KR200197125Y1 (ko) 2000-04-25 2000-09-15 이범규 물안경의 코연결구
JP3749823B2 (ja) * 2000-07-31 2006-03-01 株式会社タバタ 水中眼鏡
JP4110548B2 (ja) * 2002-08-27 2008-07-02 山本光学株式会社 スイミングゴーグル
US7475435B2 (en) * 2004-02-23 2009-01-13 Nike, Inc. Swim goggles
JP4427815B2 (ja) * 2004-05-13 2010-03-10 山本光学株式会社 ゴーグル
JP4359326B2 (ja) * 2007-11-22 2009-11-04 株式会社タバタ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6930732B2 (ja) * 2017-11-13 2021-09-01 山本光学株式会社 ゴーグル
JP7100370B2 (ja) * 2019-11-08 2022-07-13 株式会社タバタ スイミングゴーグ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4748A (en) * 1951-01-10 1953-07-29 Andrzej Mariusz Toporsk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protecting the ears and eyes
US3173147A (en) * 1963-12-04 1965-03-16 Chic Maid Hat Mfg Company Inc Headwear construction
US4129362A (en) * 1976-12-29 1978-12-12 Francisco Lorenzo Eyeglasses
US4264987A (en) * 1978-11-02 1981-05-05 Runckel John L Goggles
US4986650A (en) * 1989-06-09 1991-01-22 Gene Wilhelmi Sun glasses for water sports
US5046199A (en) * 1990-07-23 1991-09-10 S. Acquisition Corp. Gogg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1237U (en) 1997-03-21
KR940006612A (ko) 1994-04-25
US5515551A (en) 1996-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780B1 (ko) 수영용 고글
KR100614206B1 (ko) 고글
US6446272B1 (en) Buckle assembly for adjusting straps for headgear
JP3569370B2 (ja) ゴーグル
KR0157579B1 (ko) 고글
EP1541200B1 (en) Swimming goggles
US6145133A (en) Swimming goggles
KR100485417B1 (ko) 수영용 고글
JP3243345B2 (ja) 水泳用ゴーグル
US8359673B2 (en) Swimming goggle
KR102512220B1 (ko) 고글
JP3744738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CN112774143B (zh) 游泳护目镜
JP2875485B2 (ja) ゴーグル
KR200226275Y1 (ko) 다용도 고글
JP2012070794A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KR200151776Y1 (ko) 고글
JP3693713B2 (ja) ゴーグル
JP3615530B2 (ja) ゴーグル
KR200156102Y1 (ko) 물안경 패킹구조
KR20210029664A (ko) 안면 장착구 및 안면 장착구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