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206B1 - 고글 - Google Patents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206B1
KR100614206B1 KR1019960069386A KR19960069386A KR100614206B1 KR 100614206 B1 KR100614206 B1 KR 100614206B1 KR 1019960069386 A KR1019960069386 A KR 1019960069386A KR 19960069386 A KR19960069386 A KR 19960069386A KR 100614206 B1 KR100614206 B1 KR 10061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belt
belt
goggles
eye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768A (ko
Inventor
다다시 기타
도모유키 야시로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3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yeglasses (AREA)
  • Buckles (AREA)
  • Toy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과제) 아이컵과 코 벨트의 상하방향에 움직임에 융통성을 가지게 하여, 안면에의 맞춤 자유도를 가지게 한다.
(해결수단) 좌우한쌍의 아이컵(2)과, 양아이컵(2)을 연결하는 코 벨트(3)와, 양 아이컵(2)의 대향 외단부(9)상호를 접속하는 탄성 밴드(4)로 부터 이루어지는 고글(1)에 있어서, 아이컵(2)의 코 벨트 부착대부분(8)에 봉형상 돌기(10)를 설치하여, 코 벨트(3)의 양단부(3A)에 돌기 걸어맞춤구멍(13)을 설치하여, 아이컵(2)의 봉형상 돌기(10)를 축으로하여, 아이컵(2)과 코 벨트(3)를 회전자유로이한다.
(선택도) 제 1도.

Description

고글{GOGGLES}
제 1도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제 2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이컵의 확대정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평면도.
제 4도는 제 2도의 A-A선 단면도.
제 5도는 제 3도의 B부 확대도.
제 6도는 제 5도의 C-C선에서 본 도면.
제 7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이컵의 밴드 삽통구멍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8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 벨트의 정면도.
제 9도는 제 8도의 상평면도.
제10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이컵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동 아이컵의 봉형상 돌기 걸림 돌출부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동 아이컵의 걸림 돌출부의 또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 벨트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종래예의 두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5도는 종래예의 확대 평면도.
제16도는 종래예의 아이컵을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고글 2:아이컵 3:코 벨트
3A:양단 경사부 4:탄성밴드 7:둘레벽부
7a:둘레벽부 후단면 8:코 벨트 부착대부분 9:외단부
10:봉형상 돌기 11:걸림 돌출부 13:돌기 걸어맞춤구멍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수영용, 스키용, 오토바이용, 각종 작업용등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 고글로서는, 제14도∼제16도에 예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53-153700호공보, 일본국 실공소 64-4372호공보, 일본국 실개평 2-102265호 공보참조).
제14도∼제16도에 도시된 고글(21)은, 수영용으로, 좌우 한쌍의 아이컵(22,22)과, 양 아이컵(22,22)의 대향 내단부를 연결하는 코 벨트(23)와, 양 아이컵(22,22)의 외단부 상호를 접속하는 탄성 밴드((24))와, 양 아이컵(22,22)의 측벽부 후단에 접착된 유연한 탄력을 가지는 환상의 쿠션패드(2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컵(22)의 대향내단에는, 코 벨트 부착대좌(26)가 돌출형상으로 설치되고 이 대좌(26)에 대략 직사각형의 벨트 삽통구멍(27)이 안면방향에 관통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코 벨트(23)는, 고무, 수지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으로 성형되어, 그 일면(안면측)에 걸림 돌출부(28)가 복수개 설치된다. 이 코 벨트(23)는, 상기 벨트 삽통구멍(27)에 삽통되어, 걸림 돌출부(28)가 벨트 삽통구멍(27)의 안면측 외주부에 걸린다.
또한, 상기 아이컵(22,22)은, 대향 외단부에 안면방향으로 관통하는 탄성 밴드 삽통구멍(29)을 갖추고 있다. 상기 탄성 밴드(24)는, 고무제의 평띠형상을 나타내는 한개의 장척물로, 상기 삽통구멍(29,29)으로 통하여, 그 각 단부(24A,24A)를 포개어 조절식 버클(buckle)(30)에 통해서 연결하여 있다. 따라서, 탄성 밴드(24)는, 고글장착자의 후두부를 이중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고글(2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로서는, 코 벨트(23)의 양단부가, 벨트 부착대좌(26)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길고 눈에 띄고, 외관이 좋지 않고, 코 벨트(23)의 움직임에 융통성이 없다.
따라서, 아이컵(22,22)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은, 코 벨트(23)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미세조정을 하기 어렵고, 고글 장착자의 안면에의 맞춤 자유도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아이컵과 코 벨트의 상하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융통성이 있어, 미세조정이 용이하고, 안면에의 맞춤 자유도가 있는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 기술적수단을 꾀하였다.
즉, 본 발명은, 좌우한쌍의 아이컵과, 양 아이컵을 연결하는 코 벨트와, 양 아이컵의 대향 외단부 상호를 접속하는 탄성 밴드로 이루어지는 고글에 있어서, 상기 아이컵과 코 벨트와의 연결을, 단면 대략 원형의 봉형상 돌기와, 이 돌기가 서로 대향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구멍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봉형상 돌기의 선단부에 돌기 중심축선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하는 걸림 돌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코 벨트의 양단부를 후방으로 경사시켜, 이 코 벨트 양단경사면에 상기돌기부와 걸리도록 하였기 때문에, 아이컵과 코 벨트의 연결·분리가 용이하고, 고글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을 때, 탄성 밴드에 의한 인장력이, 상기 봉형상 돌기를 코 벨트의 걸어맞춤구멍에 삽입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고글 사용시에, 아이컵과 코 벨트가 빠지지 않는다.
이 경우, 아이컵과 코 벨트는, 봉형상 돌기를 축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아이컵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에 융통성이 생겨난다. 그리고, 고글 장착자의 안면에 대한 아이컵의 위치조정은, 아이컵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행하여, 안면에의 맞춤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이컵의 코 벨트 부착대부분에 봉형상 돌기를 설치하여, 코 벨트의 양단에 돌기 걸어맞춤 구멍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고, 충분한 연결강도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아이컵의 둘레벽부 후단면을, 안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한 것이므로, 패드가 불필요하고,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이컵과, 양 아이컵을 연결하는 코 벨트와, 양 아이컵의 대향 외단부 상호를 접속하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고글에 있어서, 양 아이컵의 좌우 대향 내측에는 코 벨트의 부착대부분이 각각 돌출설치되고, 상기 코 벨트의 양단은, 상기 부착대부분의 후면에서 안면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봉형상 돌기를 축으로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아이컵과 연결되어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좌우 한쌍의 아이컵과, 양 아이컵을 연결하는 코 벨트와, 양 아이컵의 대향 외단부 상호를 접속하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지고, 양 아이컵의 좌우 대향 내측에는 코 벨트의 부착대부분이 돌출설치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코 벨트의 좌우 양단부를 후방으로 경사시켜, 이 양단부의 경사면에는 걸어맞춤구멍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부착대부분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상기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춤하는 봉형상 돌기를 돌출설치하고, 이 봉형상 돌기의 선단부에는 걸림돌출부를 설치하고, 고글을 장착하여 사용할 때의 상기 탄성밴드의 장력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구멍의 각 외단측이 상기 부착대부분과 봉형상 돌기의 사이에 눌러 넣도록 아이컵과 코 벨트가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걸어맞춤구멍의 각 외단측이, 아이컵의 부착대부분과 봉형상 돌기의 사이에 압입되고, 고글 사용시에, 아이컵과 코 벨트가 벗겨지지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코 벨트의 양단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출부가 걸리는 절결부가 설치되어있다. 이 경우, 걸림돌출부가 걸리는 절결부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고글 사용중에, 아이컵과 코 벨트가 벗겨지지않는다.
또한, 상기 코 벨트의 양단부의 전방면에는, 코 벨트의 전단면에 대하여, 상기 부착대부분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단차가 설치되어있다. 이 단차는, 아이컵의 부착대부분 전방면과, 코 벨트 전방면을 동일면으로 하는데 유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고글용 아이컵은, 전방면의 렌즈부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둘레벽부를 구비하고, 좌우 일단측에 코 벨트의 부착대부분이 돌출설치되어있고, 상기 부착대부분의 후면에는 봉형상 돌기가 안면으로 향해서 돌출설치되고, 이 봉형상 돌기의 선단부에는 걸림돌출부가 설치되어있다. 이 경우, 코 벨트와의 연결·분리가 용이하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13도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고글(1)은, 좌우한쌍의 아이컵(2,2)과, 코 벨트(3)와, 탄성 밴드(4)와, 밴드 저지구(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이컵(2,2)는, 투명한 경질 플라스틱제로, 제2도, 제3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의 평판형상 렌즈부(6)와, 렌즈부(6)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후방에 돌출하는 둘레벽부(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둘레벽부(7)의 후단부(7A)는, 안면에 맞춤하도록 원활한 곡면으로 되어, 패드가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둘레벽부(7)의 좌우 대향 안쪽에는, 코 벨트(3)가 부착대부분(8)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부(7)의 각 외단은, 밴드 접속부(9)로 되어 있다.
상기 아이컵(2)의 부착대분(8)은, 렌즈부(6)의 전방면보다도 전방으로 향하여 비스듬히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이 부착대부분(8)의 후면(안면측 경사면)(8A)에, 안면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단면 대략 원형의 봉형상 돌기(10)가 설치된다. 이 돌기(10)는, 상기 후방면(8A)에 대하여, 둘레벽부(7)측이 예각으로 되어있다. 또한, 돌기(10)의 후단면(10A)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부착대부분 후방면(8A)과 대략 평행하여야만 하고 돌기(10)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봉형상 돌기(10)의 후단부에는, 대향 내측에 걸림 돌출부(11)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컵은 각 둘레벽부(7)의 좌우방향 외단측(상기 부착대좌(8)의 반대측)이, 후방으로 경사형상으로 연출되어 상기 밴드 접속부(9)로 되어 있다. 이 밴드 접속부(9)는, 두께로 되어, 밴드 삽통구멍(12)이 상하방향(렌즈부(6)의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밴드 삽통구멍(12)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전후방향으로 긴 (길이 L)대략 달걀모양의 긴 구멍으로, 후방단측의 구멍곡률반경(R1)이, 전방렌즈부(6)측의 구멍곡률반경(R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밴드 삽통구멍(12)의 형상치수는, 후술하는 탄성 밴드(4)의 형상 치수에 대응하여 결정되어 있다.
상기 코 벨트(3)는, 제1도, 제3도, 제5도,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만곡형상으로, 연질(또는 반경질) 플라스틱등의 탄성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코 벨트(3)는, 길이 방향(좌우방향)양단부(3A)가, 후방에 향하여 경사형상(ハ자형상)으로 연장되어, 이 양단부(3A)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돌기 걸어맞춤 구멍(13,13)이 설치된다. 이 걸어맞춤구멍(13)은, 상기양단부(3A)의 전후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양단부(3A)의 전방면에는, 코 벨트(3)의 전단면에 대하여, 상기 부착대부분(8)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략 같은 치수의 단차(H)가 설치되어 있다(제5도참조). 이 단차(H)는, 아이컵(2)의 상기 부착대부분(8) 전방면과, 코 벨트(3) 전방면을, 같은 면(플래시면)으로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수영고글에 채용함에 의해, 물의 저항을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
또, 돌기 걸어맞춤 구멍(13)은, 원형이므로, 원형단면의 봉형상 돌기(10)와 걸어맞춤시킬 때, 아이컵(2)과 코 벨트(3)가, 돌기(10)를 축으로서 상대적으로 회전자유자재로 된다. 그리고, 코 벨트(3)의 양단부(3A)후면에는, 좌우 내단측에, 걸림돌기부(11)가 걸리는 노치부(1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 밴드(4)는, 고무등의 탄성재에 의해 신축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밴드(4)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4A)와 양단부(4C)가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띠형상으로 되어, 다른 중간부(4B)가 단면 대략 원형의 끈형상으로 되고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밴드(4)의 중앙부(4A) 및 양단부(4C)의 폭(W)은, 아이컵(2)의 밴드 삽통구멍(12)의 길이방향길이(L)보다도 약간 좁은 치수로 되어, 밴드 삽통구멍(12)에 용이하게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제7도참조).
또한, 중간부(4B)의 반경은, 아이컵(2)의 밴드 삽통구멍(12)의 후단측 곡률반경(R1)과 동일 또는 약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또, 띠형상의 중앙부(4A)와 양단부(4C)의 두께(t)는, 밴드 삽통구멍(12)의 렌즈부(6)측 곡률반경(R2)의 2배와 동일 또는 약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제7도참조). 그리고, 밴드삽통 상태에서는, 끈형상 중간부(4B)가 아이컵(2)의 밴드 삽통구멍(12)에 위치하여, 삽통구멍(12)의 길이방향(아이컵(2)의 전후방향)의 움직임이 적고, 고글 비장착시에 있어서 탄성 밴드(4)의 아이컵(2)에 대하는 이동이 없어 안정된다.
게다가, 밴드 삽통구멍(12)에 위치하는 끈형상 중간부(4B)는, 단면 대략 원형이므로, 아이컵(2)과 탄성 밴드(4)와의 상대 회전이 자유자재가 된다. 따라서, 아이컵(2)의 안면에의 맞춤 자유도가 좋다. 그리고, 탄성 밴드(4)가 비틀어지더라도, 비틀림 응력은 끈형상중간부(4B)에서 흡수되어, 안정된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쿠션패드를 사용하지않은 경기용의 아이컵(2)에는 최적이다.
상기 밴드저지구(5)(버클)로는, 경질 플라스틱제조로, 탄성 밴드(4)의 양단부(4C)를 각각 개별로 삽통하여, 이중으로하여 멈추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지구(5)는, 밴드(4)의 장착길이를, 장착자의 두부의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 밴드(4)의 양단부(4C)를 서로 접속한다. 따라서, 띠형상의 중앙부(4A)및 양단부(4C)가, 고글장착자의 후두부를 안정하게 이중에 지지하여, 맞춤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아이컵(2)의 성형에 있어서는, 파팅라인(P)는, 제4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부(7)단면(7A)또는 플랜지부 외단면으로부터, 플랜지부(7F)의 두께(T)의 반이상의 치수(D)의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둘레벽부단면(7A)는, 고글 장착자의 안면에 직접맞닿더라도, 안면에 부드럽게 접촉하여, 안면에 아픔이나 위화감을 생기지 않게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글(1)을 장착할 때, 좌우의 아이컵(2,2)은, 코 벨트(3)에 대하여 봉형상 돌기(10)를 축으로 하여, 제6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회전한다. 그 때문에, 아이컵(2)은 상하방향으로 융통성을 가지고 움직이며, 장착자의 안면에 아이컵 후단면(7A)이 맞는다. 또한, 아이컵(2)은, 탄성 밴드(4) 중간부(4B)에 대해서도, 제3도에 화살표시(X,Y)로 도시하는 전후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컵(2)의 위치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고글(l)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을 때, 아이컵(2)과 코 벨트(3)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밴드(4)의 장력(F)가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코 벨트(3)의 양단부(3A)에는, 제3도에 화살표(FA)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돌기 걸어맞춤 구멍(13)의 각 외단측이, 아이컵(2)의 부착대부분(8)과 봉형상 돌기(10)의 사이로 압입된다. 또한, 봉형상 돌기(10)의 걸림 돌출부(11)가, 코 벨트(3)의 돌기 걸어맞춤 구멍(13)후방의 노치부(14)에 걸려 있다. 따라서, 고글(1)의 사용중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13)으로부터 봉형상 돌기(10)가 빠져 나가고, 아이컵(2)과 코 벨트(3)가 분리 되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 밴드(4)는, 아이컵(2)의 밴드 삽통구멍(12)에 상하방향에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컵(2)을 비트는 일이 없고, 맞춤성이 양호이다. 또, 탄성 밴드(4)는, 그 띠형상부분(4A,4C)이 후두부에 접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좋고, 단면 대략 원형의 중간부(4B)가 얼굴의 측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영용 고글의 경우 물의 저항이 감소하여, 경기용으로서 최적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형상 돌기(10)의 걸림돌출부(11)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0)의 단부 전둘레에 걸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 돌기(10)의 걸림돌출부(11)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컵(2)의 둘레벽부(7)측에 돌출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코 벨트(3)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봉형상 돌기(10)는 벨트부착대부분(8)의 전방면측에 돌출설치할 수 있다. 또한 코 벨트(3)에 봉형상 돌기를 설치하여, 아이컵(2)의 벨트부착대부분(8)에 돌기 걸어맞춤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아이컵(2)에는, 그 둘레벽부(7)의 후단면(7A)에 쿠션패드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아이컵의 밴드 삽통구멍을 대략 원형, 달걀형, 타원형, 대략 타원형 등으로 할 수 있고 그 외에, 탄성 밴드의 단면 형상을 전장에 걸쳐 대략 원형으로 할 수 있고, 적당 설계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 밴드 및 그 부착부가 종래 공지의 다른 형식의 것으로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술과같이, 아이컵과 코 벨트의 연결을, 단면 대략 원형의 봉형상 돌기와, 해당돌기가 상대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 걸어맞춤구멍에 의해 행하도록 한 것이므로, 아이컵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에 융통성이 발생하여, 고글 장착자의 안면에 대한 위치조정이 용이하고, 맞춤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봉형상 돌기의 선단부에 돌기 중심축선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하는 걸림돌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코 벨트의 양단부를 후방으로 경사시켜, 이 코 벨트 양단 경사면에 상기 돌출부와 걸리도록 하였기 때문에, 아이컵과 코 벨트의 연결이 사용중에 빠지는 일이 없고, 연결·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아이컵의 코 벨트 부착대부분에 봉형상 돌기를 설치하여, 코 벨트의 양단에 돌기 걸어맞춤구멍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고, 연결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패드가 불필요하고, 경량화 및 비용저하를 꾀할 수 있어, 수영 경기용으로서 최적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컵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에 융통성이 생기고, 고글 장착자의 안면에 대한 위치조정이 용이하고, 맞춤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걸어맞춤구멍의 각 외단측이, 아이컵의 부착대부분과 봉형상 돌기의 사이에 압입되고, 고글 사용시에, 아이컵과 코 벨트가 벗겨지지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돌출부가 걸리는 절결부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고글 사용중에, 아이컵과 코 벨트가 벗겨지지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컵의 부착대부분 전방면과, 코 벨트 전방면을 동일한 면으로 하는데 유용하고, 수영 고글에 채용함으써, 물의 저항을 없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 벨트와의 연결분리가 용이하다.

Claims (4)

  1. 좌우 한 쌍의 아이컵(2)과, 양 아이컵(2)을 연결하는 코 벨트(3)와, 양 아이컵(2)의 대향 외단부 상호를 접속하는 탄성밴드(4)로 이루어지고, 양 아이컵(2)의 좌우 대향 내측에는 코 벨트(3)의 부착대부분(8)이 돌출설치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코 벨트(3)의 좌우 양단부(3A)의 전방면은, 상기 부착대부분(8)의 후방면(8A)에 대하여 후방측으로부터 면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 벨트(3)의 양단부(3A)에는 걸어맞춤구멍(1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부착대부분(8)의 후방면(8A)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상기 걸어맞춤구멍(13)에 걸어맞춤하는 봉형상 돌기(10)를 돌출설치하고, 이 봉형상 돌기(10)의 선단부에는 걸림돌출부(11)를 설치하고,
    고글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때의 상기 탄성밴드(4)의 장력에 의해, 부착대부분(8)의 후방면(8A)과 코 벨트(3)의 양단부(3A)의 전방면이 미끄럼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구멍(13)의 각 외단측이 상기 부착대부분(8)과 봉형상 돌기(10)의 사이에 압입되는 것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벨트의 양단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출부가 걸려맞추어지는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 벨트의 양단부의 전방면에는, 코 벨트의 전단면에 대하여, 상기 부착대부분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단차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촉하는, 부착대부분(8)의 후방면(8A)과, 코 벨트(3)의 좌우 양단부(3A)의 전방면은, 좌우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서히 후방으로 향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KR1019960069386A 1995-12-25 1996-12-21 고글 KR100614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37520 1995-12-25
JP33752095A JP3755546B2 (ja) 1995-12-25 1995-12-25 ゴーグ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68A KR970032768A (ko) 1997-07-22
KR100614206B1 true KR100614206B1 (ko) 2006-11-30

Family

ID=1830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386A KR100614206B1 (ko) 1995-12-25 1996-12-21 고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06527A (ko)
JP (1) JP3755546B2 (ko)
KR (1) KR100614206B1 (ko)
AU (1) AU713219B2 (ko)
DE (1) DE19652286B4 (ko)
TW (1) TW3103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69B1 (ko) 2011-06-03 2014-07-24 스피도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스포츠 활동용 스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621A (en) * 1997-11-03 1998-09-08 Chou; Terry Swimming goggles with improved water-proof effect
US5926855A (en) * 1998-01-06 1999-07-27 Brodbeck; Ralph Adjustable elastic protective eyewear strap
US5903929A (en) * 1998-03-17 1999-05-18 Chou; Terry Swimming goggles with nose protection arrangement
MXPA01006451A (es) * 1998-12-22 2002-06-04 Ultraframe Uk Ltd Miembros estructurales de bastidor. .
JP3426995B2 (ja) * 1999-02-05 2003-07-14 株式会社タバタ スイミングゴーグル用バックル
KR200197125Y1 (ko) 2000-04-25 2000-09-15 이범규 물안경의 코연결구
US6513170B1 (en) * 2001-10-01 2003-02-04 Herman Chiang Pair of swimming goggles
FR2838333B1 (fr) * 2002-04-16 2005-02-11 Salomon Sa Masque de protection du visage utilisable notamment pour le ski ou la moto
US6817068B2 (en) * 2003-01-02 2004-11-16 The Burton Corporation Adjustable length strap assembly
US7003811B2 (en) 2003-12-03 2006-02-28 Bacou-Dalloz Eye & Face Protection, Inc. Detachable and rotatable clip
US7640633B2 (en) * 2007-04-05 2010-01-05 First Rank Co., Ltd. Buckle set of swimming goggles
US7730556B2 (en) * 2007-08-06 2010-06-08 First Rank Co., Ltd. Nose strap jointing structure for swimming goggles/mask
TWI345088B (en) * 2008-04-17 2011-07-11 High Rainbow Ent Co Ltd Goggles and strap (or temple) assembly method thereof
JP5418814B2 (ja) * 2009-03-13 2014-02-19 山本光学株式会社 ゴーグル
GB2481882B (en) * 2011-06-03 2012-05-23 Speedo Int Ltd Strap
US9095745B2 (en) * 2013-05-09 2015-08-04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TWM469934U (zh) * 2013-05-09 2014-01-11 Global Esprit Inc 泳鏡
TWM494015U (zh) * 2014-07-18 2015-01-21 Global Esprit Inc 泳鏡
USD799582S1 (en) * 2015-12-22 2017-10-10 Michael-Antonio Vergara Integrated swim cap and goggles
RU197786U1 (ru) * 2019-12-13 2020-05-28 Дунгуан Женьтун Силикон Пластик Продуктс Ко., Лтд. Складные очки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плавания
CN111202957B (zh) * 2020-01-08 2021-11-19 深圳市瑞源祥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水镜头带电动调节方法及电动调节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0786A1 (en) * 1992-04-10 1993-10-28 Sharp Plastics Manufacturing Ltd. Eye goggles
US5390373A (en) * 1993-04-15 1995-02-21 Flory, Inc. Swim gogg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334A (en) * 1913-08-12 Gilbert D George Eye-protector.
DE8401321U1 (de) * 1984-05-10 Giebler, Andreas, 6457 Maintal Sonnenschutzvorrichtung
US1923566A (en) * 1928-11-09 1933-08-22 American Optical Corp Ophthalmic mounting
AT153946B (de) * 1937-06-01 1938-07-25 Max Brunner Schutzbrille.
US2184425A (en) * 1938-05-06 1939-12-26 Bausch & Lomb Adjustable head band device
US2443422A (en) * 1945-07-03 1948-06-15 Julius E Hansen Goggles
US4112521A (en) * 1975-01-21 1978-09-12 Uke Alan K Quick adjust strap for diver's face mask
JPS53153700U (ko) * 1977-05-10 1978-12-02
JP2621425B2 (ja) * 1988-10-07 1997-06-18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株式会社 農業用合成樹脂蛍光フィルム
US5046199A (en) * 1990-07-23 1991-09-10 S. Acquisition Corp. Gogg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0786A1 (en) * 1992-04-10 1993-10-28 Sharp Plastics Manufacturing Ltd. Eye goggles
US5390373A (en) * 1993-04-15 1995-02-21 Flory, Inc. Swim gogg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69B1 (ko) 2011-06-03 2014-07-24 스피도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스포츠 활동용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3219B2 (en) 1999-11-25
JPH09173378A (ja) 1997-07-08
AU7640296A (en) 1997-07-03
US5706527A (en) 1998-01-13
TW310384B (ko) 1997-07-11
DE19652286A1 (de) 1997-06-26
DE19652286B4 (de) 2010-11-11
JP3755546B2 (ja) 2006-03-15
KR97003276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206B1 (ko) 고글
KR100599208B1 (ko) 고글
KR101194535B1 (ko) 고글
KR0157579B1 (ko) 고글
KR100270780B1 (ko) 수영용 고글
US7490365B2 (en) Swimming goggles
JP2001037912A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US5829064A (en) Water-proof goggles
JP3490326B2 (ja) 水中眼鏡
JP3317669B2 (ja) 水中メガネ
JP2003062121A (ja) スイミング用ゴーグル
JP3243345B2 (ja) 水泳用ゴーグル
JP3744738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3838706B2 (ja) ゴーグル
JP2875485B2 (ja) ゴーグル
JP3615530B2 (ja) ゴーグル
CN112774143B (zh) 游泳护目镜
KR0127574Y1 (ko) 스키 고글용 버클
JP3693713B2 (ja) ゴーグル
JP2549883Y2 (ja) ゴーグルのベルト取付構造
KR200226275Y1 (ko) 다용도 고글
KR20210029664A (ko) 안면 장착구 및 안면 장착구용 버클
KR100280600B1 (ko)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08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