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793B1 - 인덱스신호형성회로 - Google Patents

인덱스신호형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793B1
KR100269793B1 KR1019970022782A KR19970022782A KR100269793B1 KR 100269793 B1 KR100269793 B1 KR 100269793B1 KR 1019970022782 A KR1019970022782 A KR 1019970022782A KR 19970022782 A KR19970022782 A KR 19970022782A KR 100269793 B1 KR100269793 B1 KR 10026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agnetic flux
circuit
detec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768A (ko
Inventor
시게루 후루끼
미끼오 세끼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8000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4Arrangements for providing constant relative speed between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9/247Arrangements for providing constant relative speed between record carrier and head using electr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02P29/68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a drive component or a semiconductor component
    • H02P29/685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a drive component or a semiconductor component compensating for Hall sensor temperature non-linearity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온도의 변동에 의해서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이 변동하지 않고, 고정밀도의 인덱스 신호 형성이 가능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1)의 로우터(1R) 둘레에 장착된 마그네트(2)와, 마그네트(2)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3)와, 스핀들모터(1)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4(1)~4(3)]와, 자속검출소자(3)의 검출출력을 방형파정형
하는 제 1 파형정형회로(7)와, 홀소자(4(3))의 출력을 방형파정형하는 제 2 파형정형회로(6)와, 제 1 및 제 2파형정형회로(7, 6)의 각 출력방형파의 논리적을 구하는 논리회로(8)로 구성하고, 논리회로(8)의 논리적 출력의 변화시를 기준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INDEX SIGNAL FORMING CIRCUIT}
본 발명은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피디스크 등의 회전기록매체를 회전구동하는 스핀들모터를 회전시킬 때 스핀들모터의 회전상태에 따른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고 있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를 회전구동하기 위하여 스핀들모터가 이용되고, 동시에 스핀들모터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도 10은 종래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개략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에 있어서의 인덱스 신호 형성의 원리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도면중 실선은 주위온도가 상온시(예를 들어 약 20℃)의 특성, 점선은 주위온도가 저온시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의 로우터(101)의 둘레에 설치된 단극(N 또는 S극) 마그네트(102)와, 로우터(101)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로우터(101)의 회전시에 단극마그네트(102)로부터 받는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홀소자(103)와, 제 1 및 제 2의 입력이 각각 홀소자(103) 및 기준전압원(104)에 접속되고, 홀소자(103)의 검출출력과 기준전압원(104)의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회로(10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동작을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핀들모터의 로우터(101)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따라 단극마그네트(102)가 회전이동하여, 홀소자(103)로부터 이간하거나 홀소자(103)에 근접한다. 홀소자(103)는 단극마그네트(102)가 이간되어 있으면, 단극마그네트(102)의 자속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검출출력이 대략 0이나, 단극마그네트(102)가 근접하면, 단극마그네트(102)의 자속을 받기 때문에 검출출력이 그 근방의 형편에 따라 증감한다. 그 결과, 홀소자(10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출력(VF)은 도 11의 곡선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으로 되고, 이 검출출력(VF)이 비교회로(105)의 제 1입력에 공급된다. 한편, 비교회로(105)의 제 2입력에는 기준전압원(104)의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기 때문에 비교회로(105)는 검출출력(VF)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출력으로 도 11의 파형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교출력(VC)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비교출력(VC)의 한쪽 에지, 예를 들어 상승에지를 인덱스 신호의 형성에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상태를 홀소자(103)에 의하여 검출하고, 홀소자(103)의 검출출력(VF)과 기준전압원(104)의 기준전압(Vref)을 비교회로(105)로 비교하고, 그 비교출력(VC)으로부터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에 이용하고 있는 홀소자(103)는 주위온도변화에 대하여 자속검출감도가 변동하는 것으로 주위온도가 상온보다 저하하면, 그 저하의 정도에 따라 자속검출감도가 증대하고, 홀소자(10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출력(VFH)은 도 11의 곡선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으로 되어, 상온시의 검출출력(VF)에 비하여 큰 진폭의 것이 된다. 그리고 비교회로(105)에 있어서, 큰 진폭의 검출출력(VFH)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한 경우, 통상 진폭의 검출출력(VF)과 기준전압(VFH)을 비교한 경우에 비하여 일치점이 전단측 및 후단측의 쌍방으로 퍼지고, 그 결과, 저온시의 비교출력(VCH)은 도 11의 파형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온시의 비교출력(VC)에 비하여 한쪽의 에지(상승에지) 및 다른 쪽 에지(하강에지)의 쌍방이 전단측 및 후단측으로 퍼지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종래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홀소자(103)가 가지는 고유의 온도특성에 의하여 주위온도의 저하 또는 상승에 따라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타이밍이 어긋나고, 고정밀도의 인덱스 신호를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주위온도의 변동에 의해서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이 변동하지 않고, 고정밀도의 인덱스 신호 형성이 가능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 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 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 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도 10은 기지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개략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에 있어서의 인덱스 신호 형성의 원리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핀들모터 1R : 로우터
1S : 스테이터 1C(U),1C(V), 1C(W) : 구동코일
1J : 중심축 1U(1) : 베어링
1U(2) : 베어링케이스 1H(U), 1H(V), 1H(W) : 삿갓모양 지지체
2 : 단극 마그네트 2' : 2극 마그네트
3 : 자속검출 코일
4(1), 4(2), 4(3) : 구동전류전환용 홀소자
5 : 모터드라이버 6 : 제 1파형 정형회로
7 : 제 2파형 정형회로 8 : AND회로(논리회로)
9 : 신호출력단자 10 : 파형정형회로
11, 16 : 트랜지스터 12 : 비교회로
13 : 전원단자 14 : 바이어스전원
15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1수단은 스핀들모터의 로우터에 장착된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스핀들모터에 설치되고,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자속검출소자로부터의 검출출력과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이 일치한 타이밍으로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 1수단에 의하면, 홀소자의 온도특성에 의하여 홀소자의 출력진폭특성이 변동하여도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은 주위온도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면,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가 형성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2수단은 제 1수단과 마찬가지로 스핀들모터의 로우터에 장착된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스핀들모터에 설치되고,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자속검출소자로부터의 검출출력과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이 일치한 타이밍으로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 2수단에 의하면, 제 1수단과 마찬가지로 홀소자의 온도특성에 의하여 홀소자의 출력진폭특성이 변동하여도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은 주위온도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면,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3수단은 스핀들모터의 로우터에 장착된 2극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코일과, 자속검출코일의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하는 마스크전압발생회로와, 검출출력과 마스크전압을 비교하는 귀환형 비교회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검출출력과 마스크전압의 발생이 일치한 타이밍으로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 3수단에 의하면, 2극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용 소자에 자속검출코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온도의 변동에 따라 자속검출코일의 검출출력이 변동하는 일은 없고,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가 형성된다. 또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전압으로 마스크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동극성 피크가 같은 정도의 레벨인 것이더라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4수단은 스핀들모터의 로우터에 장착된 2극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스핀들모터에 설치되고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과 홀소자의 출력을 비교하는 귀환형 비교회로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홀소자의 출력 및 귀환형 비교회로의 출력의 가산출력에 의하여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하고, 귀환형 비교회로에 있어서의 마스크기능이 실행되는 타이밍으로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 4수단에 의하면, 2극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의 진폭이 주위온도의 변동에 따라 변동하여도 검출출력과 홀소자의 출력 및 귀환형 비교회로의 출력의 가산출력과의 일치점이 변동하는 일은 없고,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가 형성된다. 또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동극성 피크가 같은 정도의 레벨인 것이더라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마그네트 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을 방형파정형하는 제 1파형정형회로와, 홀소자의 출력을 방형파정형하는 제 2파형정형회로와, 제 1 및 제 2파형정형회로의 각 출력방형파의 논리적을 구하는 논리회로로 이루어지고, 논리회로의 논리적(論理積)출력의 변화시를 기준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을 정형한 제 1방형파신호와, 홀소자의 출력을 정형한 제 2방형파신호와의 논리적출력을 구하고, 그 논리적출력에 의거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홀소자의 온도특성에 의해 홀소자의 출력의 진폭특성이 변동하였다고 하여도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의 도래타이밍이 주위온도 변동에 관계없이 불변이기 때문에 이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함으로써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마그네트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홀소자의 출력을 방형파정형하는 파형정형회로와, 제 1입력에 공급된 파형정형회로의 출력방형파와 제 2입력에 공급된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을 비교하여 비교출력을 발생하는 귀환형 비교회로와, 제 2입력에 공급되는 자속검출소자의 자속비검출시의 출력레벨이 출력방형파의 마이너스극성레벨보다도 작고, 출력방형파의 마이너스극성일 때 얻어지는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이 출력방형파의 마이너스극성 레벨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고, 비교출력의 변화시를 기준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과, 홀소자의 출력을 정형한 방형파신호와의 비교출력을 구하고, 그 비교출력에 의거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홀소자의 온도특성에 의해 홀소자의 출력의 진폭특성이 변동하였다고 하여도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이 주위온도 변동에 관계없이 불변이기 때문에 이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함으로써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2극 마그네트와, 2극 마그네트 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고, 두 개의 동극성 피크를 가지는 검출출력을 발생하는 자속검출코일과, 제 1입력에 공급된 직류전압과 제 2입력에 공급된 자속검출코일의 검출출력을 비교하여 비교출력을 발생하는 귀환형 비교회로와, 비교출력이 변화한 때부터 일정시간 지속되는 검출신호를 발생하고, 제 1입력에 마스크전압으로서 공급하는 마스크전압 발생회로로 이루어지고, 제 1입력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자속검출코일의 자속비검출시의 레벨보다도 크고 또한 자속검출코일의 자속검출시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보다도 작아지도록 또한 마스크전압을 제 1입력의 신호레벨을 두 개의 동극성 레벨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고, 마스크전압의 공급 타이밍을 두 개의 동극성 피크중 하나의 피크를 마스크하도록 선택하고, 비교출력의 변화시를 기준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자속검출코일로부터 얻어진 두 개의 동극성 피크를 가지는 검출출력과, 귀환형 비교회로의 비교출력에 마스크전압 발생회로로부터의 마스크전압을 중첩한 가산출력과의 비교출력을 구하고, 그 비교출력에 의거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 2극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할 때 온도특성을 가지지 않는 검출출력을 발생하는 자속검출코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불변인 인덱스 신호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 제 3실시예에 의하면,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전압으로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동극성 피크가 같은 정도의 레벨의 것이더라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는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2극 마그네트와, 2극 마그네트의 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고, 두 개의 동극성 피크를 가지는 검출출력을 발생하는 자속검출코일과,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홀소자의 출력을 방형파정형하는 파형정형회로와, 제 1입력에 공급된 파형정형회로의 출력방형파신호와, 제 2입력에 공급된 2극마그네트의 검출출력을 비교하여 비교출력을 발생하는 귀환형 비교회로로 이루어지고, 제 1입력에 공급되는 방형파신호의 마이너스극성 레벨을 2극 마그네트의 자속비검출시의 레벨보다도 크고 또한 2극 마그네트의 자속검출시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제 1입력에 공급되는 방형파신호가 플러스극성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을 두 개의 동극성 피크중 하나의 피크를 마스크하는 시점으로 선택하고, 비교출력의 변화시를 기준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자속검출소자로부터 얻어진 두 개의 동극성 피크를 가지는 검출출력과 홀소자의 출력을 정형한 방형파신호에 귀환형 비교회로의 비교출력을 가산한 가산출력과의 비교출력을 구하고, 그 비교출력에 의거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2극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의 진폭이 주위온도의 변동에 따라 변동하여도 검출출력의 진폭의 제로교차점근방에서 가산출력과의 레벨일치점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온도의 변동에 의거하는 레벨일치점이 변동하는 일은 없고,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가 형성된다.
또 제 4실시예에 의하면,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전압으로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동극성 피크가 같은 정도의 레벨인 것이더라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의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스핀들모터에 있어서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a) 내지 (e) 및 (c') 내지 (d')는 도 1에 도시한 제 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실시예는 스핀들모터(1)의 로우터(1R)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단극마그네트(2)와, 로우터(1R)의 둘레 가장자리에 근접배치되고 단극마그네트(2)의 자속을 검출하는 자속검출코일(3)과, 스핀들모터(1)의 스테이터(1S)에 설치되고, 구동코일(1C(U), 1C(V), 1C(W))의 전류를 전환하는 3개의 홀소자(4(1), 4(2), 4(3))와 스핀들모터(1)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5)와,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을 제 1방형파신호로 정형하는 제 1파형정형회로(6)와, 3개의 홀소자(4(1) 내지 4(3))중 한 개의 홀소자, 예를 들어 홀소자(4(3))의 출력을 제 2방형파신호로 정형하는 제 2파형정형회로(7)와, 제 1 및 제 2방형파 신호의 논리적 출력을 발생시키는 논리적(AND)회로(8)와, 인덱스 신호를 인출하는 신호출력단자(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드라이버(5)는 3개의 홀소자(4(1), 4(2), 4(3))및 스핀들모터(1)의 3상 구동코일(1C(U), 1C(V), 1C(W))에 접속된다. 자속검출코일(3)은 제 1파형정형회로(6)의 입력에 접속되고, 한 개의 홀소자(4(3))는 제 2파형정형회로(7)의 입력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파형정형회로(6, 7)의 출력은 AND회로(8)의 입력에 접속되고, AND회로(8)의 출력은 신호출력단자(9)에 접속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모터(1)는 로우터(1R)와 스테이터(1S)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중 로우터(1R)는 미소 길이의 무착자영역(자성을 띠지 않는 영역, 기호없음)을 거쳐 규칙적으로 8개의 마그네트자극(마찬가지로 기호없음)을 배치한 것으로, 스테이터(1S)는 기판상에 중심축(1J)과, 중심축(1J)의 주위에 배치되는 베어링(1U(1))및 베어링케이스(1U(2))와, 중심축(1J)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삿갓모양 지지체(1H(U), 1H(V), 1H(W))와, 각각의 삿갓모양 지지체(1H(U), 1H(V), 1H(W))의 기부에 감겨진 3상 구동코일(1C(U), 1C(V), 1C(W))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테이터 (1s),에는 각각 서로 인접한 삿갓모양 지지체(1H(W)-1H(U)간, 1H(U)-1H(V)간, 1H(V)-1H(W))간에 각각 홀소자(4(1), 4(2), 4(3))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스핀들모터(1)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도시생략)으로부터 3상교류를 공급하면, 구동코일(1C(U))에 U상 전류, 구동코일(1C(V))에 V상 전류, 구동코일(1C(W))에 W상 전류가 각각 흐르고, 로우터(1R)가 스테이터(1S)주위를 회전한다. 이때 홀소자(4(1))는 8개의 마그네트자극의 위치를 로우터(1R)의 무착자영역의 근방에 따르는 자속변화에 의하여 검출하고, U상용 구동코일(1C(U))을 흐르는 U상전류의 전환제어출력을 발생하여, 마찬가지로 홀소자(4(2))는 V상용 구동코일(1C(V))을 흐르는 V상 전류의 전환제어출력을 발생하고, 홀소자(4(3))는 W상용 구동코일(1C(W))을 흐르는 W상전류의 전환제어출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도 3(a) 내지 (e) 및 (c')내지 (d')에 도시한 전압파형도를 이용하여 제 1실시예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스핀들모터(1)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스테이터(1S)에 배치되어 있는 홀소자(4(3))가 상기와 같이 8개의 마그네트자극의 위치를 검출하고,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러스- 마이너스 극성의 전압출력을 발생한다. 또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로우터(1R)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단극마그네트(2)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로우터(1R)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자속검출코일(3)이 단극마그네트(2)의 주기적인 근접을 자속변화에 의하여 검출하고,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속검출출력을 발생한다. 홀소자(4(3))로부터 얻어진 전압출력은 제 2파형정형회로(7)에 의해 방형파로 정형되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극성이 변화하는 제 2방형파신호로 변환되고, 자속검출코일(3)로부터 얻어진 자속검출출력은 제 1파형정형회로(6)에 의해 방형파로 정형되고,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발적인 제 1방형파신호로 변환된다. AND회로(8)는 제 1방형파신호와 제 2방형파신호의 논리적을 취하고, 그 출력에 도 3(e)에 나타낸 바와같은 제 2방형파신호보다도 폭이 좁은 단발적인 방형파신호(논리적출력)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논리적 출력은 제 2방형파신호의 상승에지, 즉 홀소자(4(3))의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에 일치한 상승에지와, 제 1방형파신호의 하강에지의 도래 타이밍에 일치한 하강에지를 가지는 것으로 논리적 출력의 상승에지를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 1실시예는 단극마그네트(2)의 자속을 검출하기 위하여 자속검출코일(3)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자속검출코일(3)대신 자속검출 홀소자(도시생략)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자속검출 홀소자의 출력전압이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되고, 제 1파형정형회로(6)로부터 얻어지는 제 1방형파신호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되는 점을 제외하면, 제 1실시예의 동작과 아주 동일하다.
또 제 1실시예는 단극마그네트(2)를 이용하고 있으나, 그 대신 2극마그네트(도시생략)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자속검출 홀소자의 출력전압이 플러스-마이너스 양극성의 것이 되고, 제 1파형정형회로(6)로부터 얻어지는 제 1방형파신호가 두 개의 것이 되나, 한 개의 제 1방형파신호의 도래 타이밍과 제 2방형파신호의 상승에지의 도래 타이밍이 서로 겹쳐지도록 설정하면, 제 1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인덱스 신호의 형성에 논리적 출력의 상승에지의 타이밍, 즉 홀소자(4(3))의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홀소자(4(3))의 전압출력의 진폭에 온도의존성이 있더라도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에 온도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주위온도 변동에 따라 발생 타이밍이 불변인 인덱스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5(a) 내지 (c)는 도 4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동일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스핀들모터(1)의 로우터(1R)의 둘레에 설치된 단극마그네트(2)와, 로우터(1R)의 둘레에 근접배치되고 단극마그네트(2)의 자속을 검출하는 자속검출코일(3)과, 스핀들모터(1)의 스테이터(1S)에 설치되고 구동코일(1C(W))의 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4(3))와 홀소자(4(3))의 출력을 방형파신호로 정형하는 파형정형회로(10)와, 파형정형회로(10)의 출력방형파신호를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11)와,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과 트랜지스터(11)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회로(12)와, 전원단자(13)와 바이어스전원(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형정형회로(10)는 비반전입력과 출력시간에 귀환저항(10f)이 접속되고, 비반전입력이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홀소자(4(3))의 한쪽끝에, 반전입력이 직접 홀소자(4(3))의 다른쪽 끝에 각각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는 베이스가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파형정형회로(10)의 출력에, 에미터가 전원단자(13)에, 콜렉터가 비교회로(12)의 비반전입력에 각각 접속된다. 비교회로(12)는 비반전입력과 출력사이에 귀환저항(12f)이 접속되고, 비반전입력이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자속검출코일(3)의 다른쪽 끝에 반전입력이 직접 자속검출코일(3)의 한쪽끝에 출력이 신호출력단자(9)와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3)에 각각 접속된다. 바이어스전원(14)은 자속검출코일(3)의 다른쪽끝과 접지점사이에 접속된다.
여기서 도 5(a) 내지 (c)에 도시한 전압파형도를 이용하여 제 2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핀들모터(1)의 회전시에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스테이터(1S)에 배치한 홀소자(4(3))가 8개의 마그네트자극의 위치를 검출하고, 도 5(a)에 나타낸 바와같은 플라스-마이너스극성의 전압출력을 발생한다. 또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로우터(1R)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단극 마그네트(2)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로우터(1R)의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자속검출코일(3)이 단극마그네트(2)의 주기적인 근접을 자속변화에 의하여 검출하고, 자속검출출력을 발생한다. 홀소자(4(3))로부터 얻어진 전압출력은 파형정형회로(10)에서 방형파신호로 정형되고, 트랜지스터(11)에 의해 스위칭됨으로써 도 5(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전압레벨이 V1과V2사이에서 변화하는 방형파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자속검출코일(3)로부터 얻어진 자속검출출력은 바이어스전원(14)에 의하여 직류전압이 중첩되고, 도 5(b)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이 경우, 자속검출코일(3)에 의해 자속검출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의 전압레벨은 방형파신호의 두 개의 전압레벨(V1, V2)보다도 작고, 또한 자속검출코일(3)에 의해 자속검출이 행하여졌을 때의 정극성방향의 전압레벨의 피크치는 두 개의 전압레벨(V1, V2)사이가 되도록 바이어스전원(14)의 전압치나 각종 저항의 저항치를 설정하고 있다. 비교회로(12)는 전압레벨이 V1과 V2사이에서 변화하는 방형파신호(제 1입력)와 직류전압이 중첩된 전압신호(제 2입력)를 비교하고, 그 출력에 도 5(c)에 나타낸 바와같은 폭이 좁은 단발적인 마이너스극성의 방형파신호(비교출력)를 발생시켜 얻어진 비교출력은 신호출력단자(9)에 공급된다.
이 경우, 비교출력은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과 일치한 하강에지와,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 즉 홀소자(4(3))의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과 일치한 상승에지를 가지는 것이어도 비교출력의 상승에지를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제 2실시예는 단극마그네트(2)의 자속을 검출하기 위하여 자속검출코일(3)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자속검출코일(3)대신 자속검출 홀소자(도시생략)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되고, 또 단극마그네트(2)를 이용하는 대신 2극마그네트(도시생략)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들 동작은 제 2실시예의 동작과 거의 변함이 없다.
이와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인덱스 신호의 형성에 비교출력의 상승에지의 타이밍, 즉 홀소자(4(3))의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홀소자(4(3))의 전압출력의 진폭에 온도의존성이 있더라도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에 온도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주위온도 변동에 따라 발생 타이밍이 불변인 인덱스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 회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7(a) 내지 (c)는 도 6에 도시한 제 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마그네트(2)에 2극 마그네트(2')를 이용한 경우, 자속검출출력에 얻어지는 동극성의 두 개의 피크중 한쪽을 마스크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동일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실시예는 스핀들모터(1)의 로우터(1R)의 둘레에 설치된 2극 마그네트(2')와, 로우터(1R)의 둘레에 근접배치되고, 2극 마그네트(2')의 자속을 검출하는 자속검출코일(3)과,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 출력과 후기하는 트랜지스터(16)의 출력마스크신호를 비교하는 비교회로(12)와, 전원단자(13)와, 바이어스전원(14)과, 비교회로(12)의 비교출력을 받은 후, 일정시간 지속하는 방형파신호를 발생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마스크전압발생회로) (15)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5)의 출력방형파신호를 스위칭하고, 마스크신호를 발생하는 트랜지스터(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교회로(12)는 비반전입력과 출력사이에 귀환저항(12f)이 접속되고, 비반전입력이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자속검출코일(3)의 다른쪽에 반전입력이 직접 자속검출코일(3)의 한쪽끝에 출력이 신호출력단자(9)와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3)에 각각 접속된다. 바이어스전원(14)은 자속검출코일(3)의 다른쪽끝과 접지점사이에 접속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5)는 입력이 비교회로(12)의 출력에 출력이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에 각각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6)는 베이스와 에미터사이에 저항(기호없음)이 접속되고, 콜렉터가 비교회로(12)의 비반전입력에, 에미터가 전원단자(13)에 각각 접속된다.
여기에 있어서, 도 7(a) 내지 (c)에 도시한 전압파형도를 이용하여 제 3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핀들모터(1)의 회전시에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로우터(1R)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2극 마그네트(2')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로우터(1R)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자속검출코일(3)이 2극 마그네트(2')의 주기적인 근접을 자속변화에 의하여 검출하고, 자속검출출력을 발생한다. 이 때, 얻어진 자속검출출력은 도 6 및 도 7(a)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속검출시에 플러스극성의 두 개의 피크(P1, P2)를 가지고 있다. 비교회로(12)는 비반전입력에 공급되는 도 7(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레벨(제 1입력)과, 반전입력에 공급되는 도 7(a)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자속검출출력(제 2입력)을 비교하고,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에 하강하고,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에 상승하는 마이너스극성의 비교출력을 발생하고, 신호출력단자(9)에 공급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5)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출력의 상승에지에 응답하고, 일정시간 지속하는 마이너스극성의 방형파신호를 발생하고, 트랜지스터(16)는 마이너스극성의 방형파신호의 공급시에 온상태로 되고, 도 7(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회로(12)의 비반전입력에 전원전압(Vcc)에 가까운 고전압레벨(VH)을 공급한다. 이 고전압레벨(VH)이 비반전입력에 공급되고 있는 동안, 비교회로(12)는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2입력의 전압레벨보다도 상당히 커지고, 플러스극성의 두 개의 피크(P1, P2)중 뒤의 피크(P2)가 마스크된다. 한편, 플러스극성의 두 개의 피크(P1, P2)중 앞의 피크(P1)의 도래시에는 트랜지스터(16)로부터 마스크신호가 공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회로(12)는 피크(P1)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전압레벨의 비교가 행하여진다. 또한, 이들의 동작이 행하여지기 위해서는 자속검출코일(3)에 의해 자속검출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의 자속검출출력의 전압레벨(V2)이 비교회로(12)의 비반전입력에 공급되는 전압레벨(V1)보다도 약간 작고, 또한 자속검출코일(3)에 의해 자속검출이 행하여진 때의 플러스극성의 피크(P1)치가 전압레벨(V2)보다도 커지도록 바이어스전원(14)의 전압치나 각종 저항의 저항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비교출력은 상승에지가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에 일치한 하강에지와,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 즉 자속검출코일(3)의 전압출력의 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에 일치한 상승에지를 가지는 것으로서 비교출력의 상승에지를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인덱스 신호의 형성에 비교출력의 상승에지의 타이밍, 즉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의 제로교차점 근방의 도래 타이밍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자속검출출력의 진폭에 아무런 온도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주위온도 변동에 따라 발생 타이밍이 불변인 인덱스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에 상기플러스극성의 두 개의 피크(P1, P2)가 존재하고, 그들 피크(P1, P2)치에 큰 차가 없다고 하여도 한 개의 피크(P2)의 도래시에 마스크신호의 공급에 의하여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
이어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9(a) 내지 (c)는 도 8에 도시한 제 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2)에 2극 마그네트(2')를 이용한 경우, 자속검출출력에 얻어지는 동극성인 두 개의 피크중 한쪽을 마스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동일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실시예는 스핀들모터(1)의 로우터(1R)의 둘레에 설치된 2극 마그네트(2')와, 로우터(1R)의 둘레에 근접 배치되고, 2극 마그네트(2')의 자속을 검출하는 자속검출코일(3)과, 스핀들모터(1)의 스테이터(1S)에 설치되고, 구동코일(1C(U), 1C(V), 1C(W))의 전류를 전환하는 3개의 홀소자(4(1), 4(2), 4(3))와 스핀들모터(1)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5)와, 홀소자(4(3))의 출력을 방형파신호로 정형하는 파형정형회로(10)와, 파형정형회로(10)의 출력방형파신호를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11)와,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과 트랜지스터(11)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회로(12)와, 전원단자(13)와, 바이어스전원(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드라이버(5)는 3개의 홀소자(4(1), 4(2), 4(3)) 및 스핀들모터(1)의 3상 구동코일(1C(U), 1C(V), 1C(W))에 접속된다. 파형정형회로(10)는 비반전입력과 출력사이에 귀환저항(10f)이 접속되고, 비반전입력이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홀소자(4(3))의 한쪽끝에 반전입력이 직접 홀소자(4(3))의 한쪽끝에 각각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1)는 베이스가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파형정형회로(10)의 출력에, 에미터가 전원단자(13)에, 콜렉터가 비교회로(12)의 비반전입력에 각각 접속되고, 베이스와 에미터간에 저항(기호없음)이 접속된다. 비교회로(12)는 비반전입력과 출력간에 귀환저항(12f)이 접속되고, 비반전입력이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자속검출코일(3)의 다른쪽끝에 반전입력이 직접 자속검출코일(3)의 한쪽끝에 출력이 신호출력단자(9)와 저항(기호없음)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3)에 각각 접속된다. 바이어스전원(14)은 자속검출코일(3)의 다른쪽끝과 접지점사이에 접속된다.
여기서도 도 9(a) 내지 (d)에 도시한 전압파형도를 이용하여 제 4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핀들모터(1)가 회전하고 있을 때,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스테이터(1S)에 배치한 홀소자(4(3))가 8개의 마그네트자극의 위치를 검출하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러스-마이너스 극성의 전압출력을 발생한다. 또 로우터(1R)의 회전에 따라 로우터(1R)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2극 마그네트(2')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로우터(1R)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자속검출코일(3)이 2극 마그네트(2')의 주기적인 근접을 자속변화에 의하여 검출하고, 자속검출출력을 발생한다. 이 때 얻어진 자속검출출력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속검출시에 플러스극성의 두 개의 피크(P1, P2)를 가지고 있다. 홀소자(4(3))로부터 얻어진 전압출력은 파형정형회로(10)에 의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형파신호에 의해 정형되고, 이어서 트랜지스터(11)로 스위칭됨으로써 도 9(c)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주기적으로 전압레벨이 V1과 V2사이에서 변화하는 방형파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자속검출코일(3)로부터 얻어진 자속검출출력은 바이어스전원(14)에 의하여 직류전압이 중첩되고, 도 9(c)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이 경우, 자속검출코일(3)에 의해 자속검출이 행하여지지 않은 때의 전압레벨은 방형파신호의 두 개의 전압레벨(V1, V2)보다도 작고, 또한 자속검출코일(3)로 자속검출이 행하여졌을 때의 플라스극성의 피크(P1, P2)치는 두 개의 전압레벨(V1,V2)사이가 되도록 바이어스전원(14)의 전압치나 각종 저항의 저항치를 설정하고 있다. 비교회로(12)는 전압레벨이 V1과 V2사이에서 변화하는 방형파신호(제 1입력)와 직류전압이 중첩된 전압신호(제 2입력)를 비교하고,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이 좁은 단발적인 마이너스극성의 방형파신호(비교출력)를 발생하고, 얻어진 비교출력은 신호출력단자(9)에 공급된다.
이 제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입력이 낮은 전압레벨(V2)인 기간내에 제 2입력의 한 개의 피크(P1)가 도래하도록 설정하고, 또한 제 1입력이 높은 전압레벨(V1)인 기간내에 제 2입력의 다른 피크(P2)가 도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입력의 한 개의 피크(P1)는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 및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의 검출에 이용되고 있는 데 대하여 제 2입력의 다른 피크(P)는 제 1입력의 높은 전압레벨(V1)에 의하여 마스크되고, 제 1입력과 제 2입력과의 사이에서 전압레벨의 반전은 생기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비교출력은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과 일치한 하강에지와, 제 1입력의 전압레벨이 제 2입력의 전압레벨을 넘은 시점과 일치한 상승에지를 가지는 것으로서 비교출력의 상승에지를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인덱스 신호의 형성에 비교출력의 상승에지의 타이밍 즉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의 제로교차점 근방의 도래 타이밍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자속검출출력의 진폭에 아무런 온도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주위온도 변동에 따라 발생 타이밍이 불변인 인덱스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자속검출코일(3)의 자속검출출력에 상기 플러스극성의 두 개의 피크(P1, P2)가 존재하고, 그들 피크(P1, P2)치에 큰 차가 없는 경우이더라도 한 개의 피크의 도래시에 제 1입력의 높은 전압레벨(V1)의 공급에 의하여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홀소자의 온도특성에 의하여 홀소자의 출력의 진폭특성이 변동하였다고 하여도 홀소자의 출력극성의 반전점(제로교차점)의 도래 타이밍이 주위온도 변동에 관계없이 불변이기 때문에 이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덱스 신호를 형성함으로써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2극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할 때, 온도특성을 가지지 않는 검출출력을 발생하는 자속검출코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불변한 인덱스 신호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전압으로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동극성 피크가 같은 정도의 레벨인 것이더라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2극 마그네트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의 진폭이 주위온도의 변동에 따라 변동하여도 검출출력의 진폭이 제로교차점 근방에서 가산출력과의 레벨일치점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온도의 변동에 의거하는 레벨일치점이 변동하는 일은 없고, 주위온도 변동에 따르는 발생 타이밍의 일정한 인덱스 신호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검출출력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의 하나를 마스크전압으로 마스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동극성 피크가 같은 정도의 레벨의 것이더라도 인덱스 신호의 형성 타이밍을 틀리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상기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을 방형파 정형하는 제 1 파형 정형회로와, 상기 홀소자의 출력을 방형파정형하는 제 2 파형 정형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파형 정형회로의 각 출력 방형파의 논리적(論理積)을 구하는 논리회로로 이루어져서, 상기 논리회로의 논리적(論理積)출력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를 발생 타이밍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신호 형성회로.
  2.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상기 스핀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상기 홀소자의 출력을 방형파 정형하는 파형정형회로와, 제 1입력에 공급된 상기 파형정형회로의 출력 방형파와 제 2입력에 공급된 상기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을 비교하여 비교출력을 발생하는 귀환형 비교회로와, 상기 자속검출소자의 자속비검출시의 출력레벨이 상기 출력방형파의 마이너스극성 레벨보다도 작고, 상기 출력방형파의 마이너스극성일 때에 얻어지는 상기 자속검출소자의 검출출력이 상기 출력방형파의 마이너스극성레벨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여,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를 발생 타이밍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
  3.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2극 마그네트와, 상기 2극 마그네트 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고, 두 개의 동극성 피크를 가지는 검출출력을 발생하는 자속검출코일과, 제 1입력에 공급된 직류전압과 제 2입력에 공급된 상기 자속검출코일의 검출출력을 비교하여 비교출력을 발생하는 귀환형 비교회로와, 상기 비교출력이 변화한 때로 부터 일정시간 지속하는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 1입력에 마스크전압으로서 공급하는 마스크전압 발생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입력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자속검출코일의 자속 비검출시의 레벨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자속검출코일의 자속검출시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보다도 작아지도록, 또한 상기 마스크전압을 상기 제 1입력신호 레벨을 상기한 두 개의 동극성 피크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마스크전압의 공급타이밍을 상기한 두 개의 동극성 피크중 하나의 피크를 마스크하도록 선택하고,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를 발생 타이밍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
  4. 스핀들모터의 로우터 둘레에 장착된 2극 마그네트와, 상기 2극 마그네트 통과시의 자속변화를 검출하고, 두 개의 동극성 피크를 가지는 검출출력을 발생하는 자속검출소자와, 상기 피스톤모터의 구동코일전류를 전환하는 홀소자와, 상기 홀소자의 출력을 방형파 정형하는 파형 정형회로와, 제 1 입력에 공급된 상기 파형 정형회로의 출력 방형파신호와 제 2입력에 공급된 상기 2극 마그네트의 검출출력을 비교하여 비교출력을 발생하는 귀환형 비교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입력에 공급되는 방형파신호의 마이너스극성 레벨을 상기 2극 마그네트의 자속 비검출시의 레벨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한 2극 마그네트의 자속 검출시의 두 개의 동극성 피크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상기한 제 1 입력에 공급되는 방형파신호가 플러스극성 레벨로 변화하는 타이밍을 상기 두 개의 동극성 피크중 하나의 피크를 마스크하는 시점으로 선택하고,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를 발생 타이밍으로 하는 인덱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 신호 형성회로.
KR1019970022782A 1996-06-04 1997-06-03 인덱스신호형성회로 KR100269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1786A JPH09326159A (ja) 1996-06-04 1996-06-04 インデックス信号形成回路
JP8-141786 1996-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768A KR980004768A (ko) 1998-03-30
KR100269793B1 true KR100269793B1 (ko) 2000-10-16

Family

ID=1530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782A KR100269793B1 (ko) 1996-06-04 1997-06-03 인덱스신호형성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995314A (ko)
JP (1) JPH09326159A (ko)
KR (1) KR100269793B1 (ko)
CN (1) CN1088241C (ko)
DE (1) DE19723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083B2 (en) * 1998-06-02 2004-05-04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Flux feedback control system
GB9929995D0 (en) * 1999-12-17 2000-02-09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Brushless machine control
JP2001236721A (ja) * 2000-02-22 2001-08-31 Alps Electric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のインデックス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モータ装置
US7042668B1 (en) * 2000-11-07 2006-05-09 Max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dex location from a spin motor of a disk drive
JP2003059254A (ja) * 2001-08-22 200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3134770A (ja) * 2001-10-23 2003-05-09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
JP5711910B2 (ja) * 2010-07-29 2015-05-07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モータ駆動回路
KR102570803B1 (ko) * 2018-07-20 2023-08-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0366A5 (de) * 1980-07-18 1985-07-15 Papst Motoren Kg Kollektorloser gleichstromaussenlaeufermotor.
US4501997A (en) * 1982-01-18 1985-02-26 Papst-Motoren Gmbh & Co Kg Magnetization for brushless direct current outer rotor motor
CH660264A5 (de) * 1982-05-27 1987-03-31 Papst Motoren Gmbh & Co Kg Kollektorloser gleichstrommotor.
CH658518A5 (de) * 1982-09-04 1986-11-14 Papst Motoren Gmbh & Co Kg Sensorvorrichtung.
DE3421487A1 (de) * 1984-06-08 1985-12-12 Papst-Motoren GmbH & Co KG, 7742 St Georgen Antriebsanordnung fuer signalverarbeitende geraete
JPS6199970A (ja) * 1984-10-19 1986-05-19 Yaskawa Electric Mfg Co Ltd インデツクスパルス出力回路
JPS62137763A (ja) * 1985-12-09 1987-06-20 Nippon Densan Kk インデツクス回路
JP2546085B2 (ja) * 1991-06-07 1996-10-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5408153A (en) * 1991-07-05 1995-04-18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ndex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omagnetic rotary machine
US5256923A (en) * 1992-05-11 1993-10-26 A. O. Smith Corporation Switched reluctance motor with sensorless position detection
JP3124678B2 (ja) * 1994-03-16 2001-01-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66501A (en) 2000-12-26
DE19723222A1 (de) 1997-12-11
KR980004768A (ko) 1998-03-30
CN1173709A (zh) 1998-02-18
JPH09326159A (ja) 1997-12-16
CN1088241C (zh) 2002-07-24
US5995314A (en) 199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2094A (en) Brushless D-C motor
JPS6158461A (ja) ニパルス式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US5892339A (en) Three-phase brushless DC motor driv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one hall signal
EP0217599A2 (en) Brushless motor drive circuits
KR100269793B1 (ko) 인덱스신호형성회로
US4066935A (en) Stator winding control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US4468595A (en) Driving circuit for a Hall motor
JPH0524759B2 (ko)
JPH07213097A (ja) ステッピングモ−タ駆動回路
KR20050036815A (ko) 회전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록 재생 장치
KR860002000B1 (ko) 홀모터의 속도 제어방법
KR960009804Y1 (ko) 소형정밀모터의 회전주파수 발생장치
JPS6210119B2 (ko)
JPH07131965A (ja) 回転位置検出装置
JP2015062327A (ja) 逆起電力検出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駆動装置
KR960028563A (ko) 전동기
JPS6159075B2 (ko)
JPH06261518A (ja) 三相ブラシレスモータ
KR940007150B1 (ko) 센서없는 3상 bldc모터 구동회로
JP2788589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JPH112506A (ja) モータのロータ回転位置検出構造
JP2003134873A (ja) モータ駆動装置
JPS6226274B2 (ko)
JPH11332281A (ja) モータ駆動回路
JP2004245766A (ja) 回転角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