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906B1 - 정보신호의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신호의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906B1
KR100265906B1 KR1019930021255A KR930021255A KR100265906B1 KR 100265906 B1 KR100265906 B1 KR 100265906B1 KR 1019930021255 A KR1019930021255 A KR 1019930021255A KR 930021255 A KR930021255 A KR 930021255A KR 100265906 B1 KR100265906 B1 KR 10026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tracks
magnetic
recorded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955A (ko
Inventor
세이찌 사까이
미끼오 기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0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11B15/473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 G11B15/473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 G11B15/473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control of headwheel rotation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e.g. for time base correction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목적) VTR 등에서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복수 채널로 분할하고, 복수의 트랙에 기록시킬때 그 편집시의 트랙킹 서보의 정밀도를 높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성) 정보신호를 소정량마다에 4채널로 분할한다. 이들 4채널의 정보신호를 회전 자기헤드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3)상에 경사지게 4본의 자기트랙 4A~4D로 하여 기록한다.
이 4본의 자기트랙 4A~4D중에서 1본 건너서 자기트랙 4A, 4C의, 이 자기트랙 길이방향에서의 소정의 위치의 에리어 4TA, 4TC에 정보신호와는 독립적으로 트랙킹 신호를 기록한다.
트랙킹 신호가 기록되는 에리어 4TA, 4TC를 4본의 자기트랙 4A~4D 중의 나머지 1본 건너서의 자기트랙 4B, 4D이 형성될때 이 나머지 1본 건너서의 자기트랙 4B, 4D가 주변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보신호의 기록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한예의 일부를 나타낸 계통도,
제 2도는 제 1도의 연속인 계통도,
제 3a도 내지 제 3e 도는 제 1도 및 제 2도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4a도 내지 제 4c도는 제 1도 및 제 2도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5도는 제 1도 및 제 2도의 장치에 의한 트랙패턴을 나타낸 도면.
제 6도는 트랙 패턴의 다른예시도.
제 7도는 회전 자기헤드의 한예를 나타낸 도면.
제 8a도 내지 제 8d도는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9a도 내지 제9c도는 트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0도는 트랙의 트랙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1도는 헤드 단차와 트랙의 트랙폭과의 관계의 설명도.
제 12도는 헤드와 트랙의 트랙폭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3도는 트랙의 트랙폭과 트랙킹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4도는 트랙의 트랙폭과 트랙킹 에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D : 회전자기 헤드 3: 자기테이프
4 : 자기트랙 4A~4D : 자기트랙
4TA~4TD : 트랙킹 트랙 에리어
4SA~4SD : 디지탈 오디오 트랙 에리어
15 : 캡스턴 22 : 타이밍신호 형성회로
23 : 기록제어회로 24 : 드럼서보회로
25 : 캐프스턴 서보회로 34 : 트랙킹 신호 형성회로
42A~42D : 엔코더회로 43A~43D : 메모리회로
44A~44D : 변조회로 52A~52D : 엔코더회로
53A~53D : 메모리회로 54A~54D : 변조회로
72A, 72C : 진폭검파회로 73A, 73C : 샘플링 홀드회로
본 발명은 VTR와 같이 회전자기 헤드를 사용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VTR에서는 비디오 신호를 회전자기헤드에 의하여 자기테이프에 경사진 자기트랙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기록하는 데이터량이 많아지므로 일반적으로 하나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분할하여 그 각채널을 각각 독립된 트랙으로 하여 기록하고 있다.
제 7도 내지 제 9도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A~D 채널의 4채널로 분할하여 기록함과 동시에 디지탈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채널분할을 하여 기록한 경우의 한 예이다.
즉 제 7도에서, 1A~1D는 회전자기헤드를 나타내며, 헤드 1A, 1B는 소정의 각도 θ 및 단차를 가지고 헤드드럼(2)에 설치된 헤드 1C, 1D도 동일하게 각도 θ 및 관차를 가지고 헤드드럼(2)에 설치됨과 동시에, 헤드 1A, 1B와 헤드 1C, 1D 는 180°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헤드 1A, 1C 와 헤드 1B, 1D 는 소위 방위각이 서로 역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이들 헤드 1A~1D가 입력 비디오 신호에 동기하여 필드 주파수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헤드 1A~1D의 회전주면에 대하여 자기 테이프(3)가 180°강한 각도 범위에 걸쳐서 비스듬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예를들어 제 8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필드기간의 전반의 기간(TFR)의 개시시점 부근마다 트랙킹 신호 STA, STB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필드기간의 후반의 기간 TBK의 개시 시점 부근마다에 트랙킹 신호 STC, STD가 형성되고, 이들 신호 STA~STD는 예를들어 일정 주파수로 일정 레벨로 됨과 동시에 서로 상이한 주파수의 교번신호로 된다. 또한, 입력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A/D 변환됨과 동시에 A~D 채널의 4채널로 분할되어, 이 A~D채널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에러정정용의 엔코드처리 시간축 압축 및 지연처리, 기록용이 변조처리등이 행하여지고 예를들어, 제 8b도와 같이, 신호 STA~STD에 이어지는 위치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A~SSD로 되고, 이들 신호 SSA~SSD가 헤드 1A~1D 에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입력 비디오 신호가 A/D 변환됨과 동시에 A~D 채널의 4채널로 분할되고, 이 A~D 채널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에러정정용의 엔코드처리 시간축 압축 및 지연처리, 기록용의 변조처리등이 행해지고, 예를들어 제 8c도의 표시와 같이 신호 SSA~SSD에 이어지는 위치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 SVA~SVD가 되고, 이들 신호 SVA~SVD가 헤드 1A~1D 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결과로서 헤드 1A~1D에는 제 8d도와 같이 각 신호가 공급되므로, 테이프(3)에는 예를 들어 제 9도와 같이 1필드 기간마다 1조의 트랙(4)이 형성된다.
즉, 먼저 1필드기간의 전반의 기간 TFR에는 헤드 1A, 1B가 테이프(2)를 비스듬히 주사함과 동시에 이 기간 TFR에는 신호 STA, SSA, SVA와 STB, SSB, SVB가 헤드 1A, 1B 에 각각 공급되므로, 제 9a도의 표시와 같이 신호 STA, STB가 트랙(4)의 선두의 위치에 트랙 에리어 4TC, 4TD로 기록되고, 다음에 신호 SSC, SSD가 트랙(4)의 트랙 에리어 4TC, 4TD에 이어지는 위치에 트랙 에리어 4SC, 4SD로서 기록되고 최후에 신호 SVC, SVD가 트랙(4)의 트랙 에리어 4SC, 4SD에 이어지는 위치에 트랙 에리어 4VC, 4VD로서 기록된다.
그리하여, 다음의 필드기간에도 같이 기록이 행해지고, 제 9c도와 같이 다음의 트랙(4)이 형성되어 이후 동일하게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가 1필드기간 분마다에 1조의 트랙(4)으로서 기록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헤드 1A, 1C와 헤드 1B, 1D와의 각도 θ및 단차, 테이프(3)의 주행속도 등을 사전에 설정하여 두므로서, 인접하는 트랙 에리어(트랙)는 서로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리하여, 하나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예를들어 A~D 채널의 4채널로 분할하므로서,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기록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예를들어 트랙 에리어 4TA, 4SA, 4VA는 헤드 1A의 1회의 주사에 의해 형성되는 1본의 트랙의 일부이고, 그 트랙폭 및 트랙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같아진다. 그리고, 다른 트랙 에리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재생시 트랙 에리어 4TA~4TD를 사용하여 트랙킹 서보를 행하므로서, 헤드 1A~1D는 트랙(4)을 바르게 주사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시 트랙킹용의 트랙에리어 4TA~4TD를 기준으로하여 새로운 비디오신호 혹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므로서, 이 새로운 비디오 신호 혹은 오디오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트랙에리어 4VA~4VD혹은 4SA~4SD의 위치를 본래의 트랙 에리어 4VA~4VD혹은 4SA~4SD에 일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편집시 본래의 트랙 에리어 4VA~4VD혹은 4SA~4SD의 일부에 새로운 트랙 에리어 4SA~4SD혹은 4VA~4VD가 중복기록되고 반대로 본래의 트랙 에리어 4VA~4VD혹은 4SA~4SD의 일부가 지워져서 남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편집을 하여도 필요한 트랙 에리어에 중복기록이 되거나 본래의 트랙 에리어가 지워져 남는 일이 없게 되므로 트랙 에리어 4SA~4SD와 4VA~4VD와의 사이의 무기록 부분 즉 가드구간을 충분히 좁게할 수가 있고, 테이프(3)의 이용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트랙 에리어 4TA~4TD,4SA~4SD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때에는 트랙 4A으로 대표하고, 다른 트랙 에리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트랙 4B~4D으로 대표한다. 여기에서 테이프(3)의 전자편집에는 인서트편집과 어셈블 편집이 있으나, 어느 편집에 있어서도
1. 편집 개시점으로 부터 테이프(3)를 예를들어 3초분 만큼 되감기한다.
2. 되감기한 점으로부터 테이프(3)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때, 이 재생은 편집에 의하여 새로이 기록되는 비디오 신호에 동기시켜둔다.
3. 테이프(3)가 편집 개시넘에 도달하면, VTR를 재생모드에서 기록모드로 변환시킨다.
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결국, 이 같이하면 편집 개시점에 있어서도, 트랙(4)의 배열에 혼란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재생화면이나, 재생음이 편집개시점에서 혼란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실제에는 상술과 같은 서보제어의 경우 테이프의 편집을 행하면, 그 편집결과에 트러블이 생기는 일이 있게 된다.
즉, 제 10도와 같이 트랙 4A~4D의 트랙폭 WTA~WTD는 이상적으로 설계치 WTO에 각각 같아진다.
그러나, 실재로는 헤드 1A~1D를 헤드드럼(2) 마운드시킬때, 예를들어, 제 11도와 같이 마운드 기준면에 대한 헤드 1B, 1C의 단차 HHB, HHC에 오차가 생기게된다. 이 결과 기록시 헤드 1B에 의하여 형성된 트랙 4B의 연부가 후행하는 헤드 1C에 의하여 소거되고, 트랙 4B의 트랙폭 WTB이 설계치 WTO보다도 좁아진다.
그리고, 단차 HHB, HHC의 공차(오차의 허용치)를 그 설계치에 대하여 예를들어 ±1.5㎛라 하면 최악의 경우, 즉, 단차 HHB에 커지는 방향으로 1.5㎛의 오차를 발생시키며, 단타 HHC에 작아지는 방향으로 1.5㎛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경우, 트랙 에리어 4TB의 트랙폭 WTB는 그 설계치 WTO보다도 3㎛(=1.5㎛ + 1.5㎛)가 좁아지게 된다.
또한,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기록 밀도를 올리기 위해, 상기와 같이 헤드 1A~1D의 방위각을 달라지게하고, 제 9도와 같이 트랙(4)에 대하여 가드 밴드를 형성하지 않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실재로는 예를 들어 제 12도와 같이 헤드 1A~1D의 트랙폭 WHA~WHD를 트랙 4A~4D의 트랙폭 WTA~WTD보다도 넓게하고, 기록시, 선행하는 헤드가 형성한 트랙연부를 후행하는 헤드에 의하여 소거하여 트랙 4A~4D의 트랙폭 WTA~WTD를 설계치 WTO로 하고 있다.
여기서, 헤드(1B 및 1A, 1C, 1D)의 트랙폭 WHB의 공차가 설계치 WHO에 대하여 예를들어 ±1㎛이라고 하자. 즉,
WHB= WHO±1㎛ .... (1)
그리고 트랙 에리어 4TB의 트랙폭 WTB의 설계치 WTO
WTO= WHB의 공차 하한 = WHO- 1㎛ .....(2)
라고 한다. 그러면 (2)식으로부터
WHO= WTO+ 1㎛ 로 된다.
그리하여, 헤드 1B의 트랙폭 WHB에는 ±1㎛ 의 공차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헤드 1B의(실재)의 트랙폭 WHB는 (1), (2) 식으로부터,
WHB= WHO± 1㎛
=(WTO+ 1㎛) ± 1㎛ ...(3)
로 된다.
그리고, 다른 헤드 1A,1C, 1D의 트랙폭 WHA, WHC, WHD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단차 HHB, HHC의 오차에 의하여 예를들어 제 13도와 같이(트랙 4B, 4C는 제 11도와 같음)트랙 에리어 4TB가 설계치 WTO보다도 3㎛ 좁게 형성되며, 즉
WTB= WTO- 3㎛ ........(4)
로 된다. 그리고, 이것의 테이프(3)를 편집하는 VTR의 헤드 1B의 트랙폭 WHB에 공차의 상한인 +1㎛의 오차가 있었다고 하자.
즉, WHB= WHO± 1㎛ .............(5)
였다고 한다. 그러면 헤드 1B의 트랙 폭 WHB와 트랙 에리어 4TB의 트랙폭 WTB와의 차 △는
△ = WHB- WTB로 되며 이것에 (4), (5) 식을 대입하여
△ = (WHO+ 1㎛)-(WTO- 3㎛)
= WHO- WTO+ 4㎛ .........(6)
로 된다. 그리고 (6)식에 (2)식을 대입하면
△ = WHO-(WHO-1㎛) + 4㎛
= 5㎛
로 된다.
즉, 최악의 경우에는 편집용 VTR의 헤드 1B의 트랙폭 WHB이 테이프(3)의 트랙에리어 4TB의 트랙폭 WTB보다도 5㎛가 넓어진다. 그리고, 이 5㎛의 폭은 트랙킹 서보의 불감대이고, 트랙킹 서보는 부정으로 된다. 즉, 예를들어 제 14도와 같에 헤드 1B가 트랙 에리어 4TB에 대하여 제 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1B가 트랙 에리어 4TB에 대하여 제 14도의 (A)~(B)~(C)의 범위에 있으면 트랙킹이 취해졌다고 간주되고 ±2.5㎛가, 이때의 트랙킹 정밀도로 된다. 그리고, 기록 밀도를 높히기 위해, 트랙 (4)의 트랙폭 WTA~WTD를 좁게하고 있는 디지탈 VTR로 취하고, 트랙킹 정밀도가 ±2.5㎛ 인 값은 매우 불만족한 값이다.
더우기, 헤드 1A~1D의 단차 HMA~HMD의 온도변화등에 의하여 트랙(4)의 트랙폭 WTA= WTD의 오차가 증가하는 일이 있으며, 그 경우 값 △가 더욱 커져서 트랙킹 정밀도가 더욱더 저하되는 일이 있게 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트랙킹 정밀도가 저하한 상태에서 편집을 행하게 되면, 그 편집 개시점에서 재생화면이나 재생음이 흐트러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제 5도와 같이 트랙(4)중에서 1본 건너서 트랙 4A, 4C의 선두부분에 트랙킹용의 트랙 에리어 4TA, 4TC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트랙 에리어 4TA, 4TC의 주변에는 후행하는 헤드가 다른트랙(트랙에리어)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각부의 참조부호를 후술의 제 1도~제 5도의 실시예에 대응시키며는, 정보신호를 소정량마다에, 4채널로 분할하고 이들 4채널의 정보신호를 회전자기헤드 1A~1D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3)상에 기울어진 4본의 자기트랙 4A~4D중의 1본 건너서의 자기트랙 4A, 4C이 트랙 길이방향에서의 소정위치의 에리어 4TA, 4TC 에 정보신호와는 독립하여 트랙킹신호 STA, STC를 기록함과 동시에, 4본의 자기트랙 4A~4D중의 나머지 1본 건너의 자기트랙 4B~4D이 형성될 때에, 이 나머지 1본 건너의 자기트랙 4B,4D가 트랙킹 신호 STA, STC의 기록된 에리어 4TA, 4TC의 주변에 뒤로부터 형성되지 않도록 트랙킹 신호 STA, STC의 기록되는 에리어 4TA, 4TC의 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트랙킹 신호 STA, STC의 기록된 트랙 에리어 4TA, 4TC의 트랙폭 WTA, WTC은 헤드 1A, 1C의 트랙폭 WHA, WHC과 같아져서, 트랙킹 정밀도는 헤드 1A, 1C의 트랙폭 WHA, WHC의 공차 이내로 된다.
[실시예]
제 1도 및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VTR의 일예를 나타낸다. 단지 제 1도의 하측에 제 2도의 상측이 이어진다.
그리고, 이들도면에서 회전자기헤드 1A~1D및 헤드드럼(2)가 제 7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헤드 1A~1D 및 드럼(2)이, 모터(11)에 의하여 예를들어 필드 주파수로 회전된다. 그리고 헤드 1A~1D 및 드럼(2)의 회전주면에 대하여 자기 테이프(3)가 예를 들어 18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돌려짐과 동시에 기록시, 편집시 및 재생시에 테이프(3)가 캡스턴(15) 및 핀치롤러(16)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주행된다.
그리고, 22는 타이밍 신호 형성회로를 나타내며, 국내 싱크와 같은 동기의 기준이 되는 비디오신호가 단자 21을 통해서 형성회로 22에 공급되어 각종 타이밍 및 주파수의 신호가 형성됨과 동시에 예를들어 제 3a도와 같이 기준이 되는 필드주기의 펄스 P22도 형성된다.
그리고, 23은 기록 제어회로이며 이것에는 시스템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기록 모우드 아셈블 편집모우드, 인서트편집 모우드 등의 동작 모우드를 나타내는 모우드 신호 MD 가 공급된다. 그리하여, 이 제어회로 23의 출력에 의하여 형성회로 22등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 24는 드럼서보회로를 나타내고, 이것에는 형성회로 22로부터의 펄스 P22가 공급됨과 동시에 드럼 2에 펄스 제너레이터 12가 설치되어 헤드 1A~1D의 회전위상을 나타내는 펄스가 들어내지고, 이 펄스가 서보회로 24에 공급된다. 그리하여, 이 서보회로 24의 출력이 모터 11에 공급된다. 이리하여 기록시 편집시 및 재생시, 헤드 1A~1D의 회전위상이 펄스 P22를 기준하여 서보 제어된다. 또한, 25는 캡스턴 서보회로이며, 여기에는 형성회로 22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의 교번신호가 기준신호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캡스턴 15에 회전적으로 결합하여, 주파수 발전기 18가 설치되어 캡스턴 15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주파수의 신호가 들어내어지고, 이 신호가 서보회로 25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서보회로 25의 출력이 캡스턴 모터 17에 공급되어, 기록시 및 재생시 테이프(3)가 소정의 일정속도로 주행된다.
그리고, 34는 트랙킹 신호를 형성하는 신호 형성회로, 42A~42D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위한 엔코더회로, 43A~43D는 시간축 압축 및 기록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메모리회로 44A~44D는 기록용의 변조를 행하는 변조회로이다. 그리고, 52A~52D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위한 엔코더회로, 52A~53D은 시간축 압축 및 기록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메모리회로, 54A~54D는 기록용의 변조를 행하는 변조회로이다. 그리고, 72A, 72C는 트랙킹 신호의 검출회로 이 예에 있어서는 진폭 검파회로, 73A, 73C는 샘플링 홀드회로이다.
그리고, 통상의 기록시, 어셈블 편집시, 인서트편집시에는 각각 이하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통상의 기록시에는 형성회로 22로부터 "L"레벨의 제어신호 SWA~SWD가 들어내어지고 이 제어신호 SWA~SWD에 의하여 스위치회로 63A~63D가 도면의 상태로 접속됨과 동시에 형성회로 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록앰프 62A~62D의 동작이 허가된다.
그리고, 형성회로 22로부터 트랙킹 신호 형성회로 34에 소정의 제어신호가 공급되고, 트랙킹 신호 형성회로 34에서는 예를들어 제 3b도의 표시와 같이, 각 필드 기간의 전반의 기간 TFR의 개시점 부근의 기간에 트랙킹 신호 STA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휠기간의 후반의 기간 TBK의 개시점 부근의 기간에 트랙킹 신호 STC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들신호 STA~STC가 OR회로 61A, 61C에 공급된다.
그리고, 디지탈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단자 41를 통해 엔코더 회로 42A~42D에 공급되어, A~D채널의 신호 SSA~SSD에 4분할됨과 동시에, 이들신호 SSA~SSD에 대하여 각각 에러 정정용의 엔코드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 후 신호 SSA~SSD는 메모리 회로 43A~43D에 각각 써넣어진다.
그리하여, 형성회로 22부터의 신호에 의해 메모리 회로 43A~43D에 써넣어진 신호 SSA~SSD중에서 A,B, 채널의 신호 SSA~SSB가 트래킹 신호 STA에 이어지는 기간에 시간축 압축되는 상태로 독출됨과 동시에 C,D 채널의 신호 SSC~SSD가 트랙킹 신호 STC에 이어지는 기간에 동일하게 시간축 압축된 상태로 독출된다.
그리고, 이 독출된 신호 SSA~SSD가 변조회로 44A~44D에 공급되어 기록을 위한 변조처리가 행해져 그 변조처리가 행해진 신호 SSA~SSD가 OR회로 61A~61D에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디지탈 비디오 신호가 단자 51를 통해서 엔코더 회로 52A~52D에 공급되어, A~D 채널의 신호 SVA~SVD로 4분할됨과 동시에, 이들 신호 SVA~SVD에 대하여 각각 에러 정정용의 엔코드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후 신호 SVA~SVD는 메모리 회로 53A~53D에 각각 써넣어진다. 그리하여, 형성회로 22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메모리회로 53A~53D의 독출이 제어되고 제 3d도와 같이 메모리 회로 53A~53D에 써넣어진 신호 SVA~SVD중에서 A, B, 채널의 신호 SVA~SVB가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A~SVB에 이어지는 기간에 시간축 압축이 된 상태에서 독출됨과 동시에, C, D 채널의 신호 SVC, SVD가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C~SSD에 이어지는 기간에 동시에 시간축 압축된 상태로 독출된다. 그리하여, 이 독출된 신호 SVA~SVD가 변조회로 54A~54D에 공급되어 기록을 위한 변조 처리가 행해지고, 이 변조처리가 행해진 신호 SVA~SVD가 OR회로 61A~61D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OR 회로 61A~61D로 부터는 제3e도에 나타낸 타이밍에서 기록 처리가 행해진 신호 SRA~SRD가 출력된다. 즉 or 회로 61A로부터는 그 출력신호 SRA에 의해 전반의 기간 TFR에 트랙킹 신호 SRA와 A채널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A와 A채널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 SVA가 순차로 들어내어지고, or 회로 61B로 부터는 그의 출력신호 SRB로서 전반의 기간 TFR의 트랙킹 신호 STA에 이어지는 기간에 B채널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B와 B채널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 SVB가 순차로 들어내어진다.
또한, or회로 61C 로부터는 그의 출력신호 SRC로서 후반의 기간 TBK에 트랙킹 신호 STC와, A 채널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A와 A 채널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 SVA가 순차적으로 들어내어지고, or 회로 61B로부터는 그의 출력신호 SRD로서 후반의 기간 TBK의 트래킹 신호 STC에 이어지는 기간에, D 채널의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D와 D 채널의 디지탈 비디오 신호 SVD가 순차로 들어내어진다.
그리고, 이들 신호 SRA~SRD가 기록 앰프 62A-62D 및 스위치회로 63A~63D를 통해서 회전 헤드 1A~1D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테이프(3)는 1필드기간에 1 조의 비율로 제 5도와 같이, 트랙(4)을 형성한다.
즉, 전반의 기간 TFR에 신호 SRA의 신호 STA, SSA, SVA가 헤드 1A에 의하여 크랙 4의 트랙 에리어 4TA, 4SA, 4VA로 기록됨과 동시에 신호 SRB의 신호 SSB, SVB가 헤드 1B에 의하여 트랙 에리어 4SB, 4VB로서 기록된다. 그리고, 이어지는 후반의 기간 TBK에 신호 SRC의 신호 STC, SSC, SVC가 헤드 1C에 의하여 트랙(4)의 트랙 에리어 4TC, 4SC, 4VC 로서 기록됨과 동시에 신호 SRD의 신호 SSD, SSV가 헤드 1D 에 의하여 트랙 에리어 4SD, 4VD로서 기록된다. 그리고, 이후 이와같은 기록처리가 1필드기간마다 반복됨으로 입력 디지탈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및 입력디지탈 비디오 신호(및 트랙킹 신호 STA, STC)는 그 1필드 기간분마다 1조의 트랙(4)으로서 순차 기록 되어진다. 또한, 이 경우 헤드 1A, 1C 에는 트랙킹 신호 STA, STC가 공급되므로 트랙(4)에는 트랙 에리어 4TA, 4TC가 형성되나, 헤드 1C, 1D에는 트랙킹 신호가 공급되지 트랙 에리어 4TA, 4TC에 대응하는 트랙 에리어( 제 9도의 트랙 에리어 4TB, 4TD)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로인하여 트랙 에리어 4TA, 4TC의 연부가 중복기재에 의하여 소거되는 일이 없게되므로, 트랙 에리어 4TA, 4TC의 트랙폭 WTA, WTC은 그의 트랙 에리어 4TA, 4TC를 형성한 헤드 1A, 1C의 트랙폭 WHA, WHC에 같아지게 된다.
어셈블 편집시
어셈블 편집시에는 상기 1, 2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3)이 편집개시점에서, 예를 들어 3초분 만큼 되감겨져서 그 되감김점으로부터 재생상태로된다. 그리고, 이 경우 1, 2 항의 기간에는 형성회로 2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록앰프 62A~62D의 동작이 금지된다.
또한, 2항의 시간에는 헤드 1A~1D에 의해 트랙 4A~4D로부터 각신호가 재생되나, 이때 A 및 C 채널에 있어서는 헤드 1A, 1C에 의하여 트랙 에리어 4TA, 4TC 로부터 트랙킹 신호 STA, STC가 재생되고, 이어서 트랙 에리어 4SA, 4SC로부터 신호 SSA, SSC가 재생되어, 그후에 트랙킹 에리어(4VA, 4VC)로부터 신호(SVA, SVC)가 재생된다.
여기서 2항의 기간이 되며는 제 4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a, b 도는 제3a, b도와 같음)형성회로(22)로부터의 제어신호(SWA, SWC)가 트랙킹 신호(STA, STC)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H"레벨로 되고, 이신호 (SWA, SWC)가 스위치 회로 (63A, 63C)에 공급되어 SWA, SWC= "H"일때 스위치 회로 (63A, 63C)는 도면과는 반대의 상태로 접속된다.
그리고, 신호 SWB, SWD는 "L"레벨 상태 그대로 있고, 스위치 회로 (63B, 63D)는 도면의 상태로 접속된 대로 있게 된다.
이리하여, 헤드(1A~1D)의 새로 발생된 신호 중, 트랙킹 신호(STA, STC)가 스위치 회로(63A, 63C)를 통해서 들어내어져 다시 재생앰프 (71A, 71C)를 통하여 진폭 검파회로 (72A, 72C)에 공급되고, 이 검파회로 (72A, 72C)에 의해 트랙킹 신호 (STA, STC)가 진폭 검파되어, 신호 STA, STC의 재생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SPA, SPC가 들어내어진다.
그리고, 이 신호 SPA, SPC가 샘플링 홀드 회로 (73A, 73C)에 공급됨과 동시에 형성회로(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신호 SPA, SPC의 레벨이 샘플링 홀드 되어, 재생된 트랙킹 신호 (SSA, SSC)의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SLA, SLC가 들어내어진다. 그리고, 이 신호 SLA, SLC가 가산회로 (74)에 공급되어 가산되고, 그 가산신호과 서보회로 (25)에 공급되어, 트랙 에리어 (4TA, 4TC)에서 재생되는 트랙킹 신호 (STA, STC)의 레벨이 최대로 되도록 테이프(3)의 주행이 서보제어된다. 그리하여, 트랙 에리어(4TA, 4TC)에서 재생되는 트랙킹 신호(STA, STC)의 레벨이 최대로 되며는 이것이 제어회로(23)에 통보된다.
그리고, 이후에 테이프(3)가 편집개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3항의 상태로 들어가면)제어회로 (23)에 의하여 형성회로 (22)가 제어되고, SWA~SWD= "L"로 되어 스위치회로 (63A~63D)가 도면의 상태로 접속된다. 그리고 회로 34, 42A~61D에 의하여 상기 설명한 통상의 기록시와 같이 기록신호 (SRA~SRD)가 형성됨과 동시에 앰프 62A~62D의 동작이 허가된다.
따라서, 형성된 신호 SRC~SRD가 앰프 62A~62D 및 스위치 회로(63A~63D)를 통해서 헤드(1A~6D)에 공급되므로 편집개시점에서 새로운 디지탈 오디오 신호 및 디지탈 비디오 신호(및 트랙킹 신호)가 트랙(4)으로 기록이 된다.
그리고, 이때 새로운 신호가 기록되는 트랙(4)은 편집개시점의 직전의 낡은 트랙(4)의 위치를 기준으로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편집개시점에 있어서, 트랙(4)의 주기성이 흐트러지지 않고 새로운 기록이 행해지게 되어, 즉, 어셈블편집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인서트 편집시
인서트 편집시에도, 상기 1, 2항의 기간에는 상기 설명의 어셈블편집과 같은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테이프(3)의 편집 개시점에 도달하여도(상기 3항에 들어가도) 2항의 기간과 같이 형성회로(22)에서 제 4c도와 같이 제어신호(SWA, SWC)는 트랙킹 신호(STA, STC)와 같은 타이밍로 "H"레벨로 되어, 이 신호 SWA, SWC가 스위치 회로(63A, 63C)에 공급되어 SWA, SWC= "H"일때, 스위치 회로(63A, 63C)는 도면과는 반대의 상태로 접속된다. 그리고, 신호 SWB, SWD는 "L"레벨 그대로 있고 스위치 회로(63B, 63D)는 도면의 상태로 접속된 그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3)의 편집개시점을 지나도, 트랙 에리어(4TA, 4TC)로부터 트랙킹 신호(STA, STC)가 재생됨과 동시에 이 트랙킹 신호(STA, STC)의 레벨이 최대가 되도록 서보 회로(25)에 의해 트랙킹 서보가 행해진다.
나아가 테이프(3)의 편집개시점에서 회로 42A~61D에 의해 통상의 기록시와 같이 기록신호(SRA, SRD)가 형성됨과 동시에 앰프 62A~62D의 동작이 허가된다. 단 이경우 형성회로(34)의 트랙킹 신호(STA, STC)의 형성은 행해지지않고, 신호 SRA, SRC에는 트랙킹 신호 SRA~ SRD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 SSA~SSD와 디지탈 비디오 신호 SVA~ SVD를 제 3e도와 같이 갖게된다. 그리고, 이 신호 SRA~ SRD가 앰프 62A~62D 및 스위치 회로 63A~63D를 통해서 헤드 1A~1D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설명과 같이 헤드 1A~1D는 이전에 기록된 트랙킹용의 트랙 에리어 4TA, 4TD에 대하여 트랙킹 서보된다.
따라서, 편집개시점에서 이전에 기록된 트랙에리어 4TA, 4TC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디지탈 오디오 신호 및 디지탈 비디오 신호가 기록되게 된다. 즉, 편집개시점에 있어서 트랙 4의 주기성의 흐트러지지 않고 새로운 기록이 행하여지게 되고, 디지탈 오디오 신호 및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인서트 편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디지탈 오디오 신호 혹은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한쪽만을 인서트 편집할 경우는 메모리 회로 43A~43D 및 53A~53D 중 인서트 편집되는 신호의 메모리 회로로부터의 독출만이 행하여져, 인서트 편집 되지않는 신호와, 메모리 회로로부터의 독출이 행하여 지지않는다. 그리고, 앰프 62A~62D도 인서트 편집되지 않는 신호에 대응하는 기간은 동작이 금지된다.
따라서, 편집개시시점에서 이전에 기록된 트랙 에리어 4TA, 4TC 의 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디지탈 오디오 신호 혹은 디지탈 비디오 신호가 기록되는 것이되고, 디지탈 오디오 신호 혹은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한쪽만이 인서트 편집되는 것이된다.
이상과 같이 어셈블 편집 및 인서트 편집이 행해지나 이 경우, 트랙 에리어 4TA, 4TC의 주변에 제 9도와 같은 트랙에리어 4TB, 4TD가 형성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트랙 에리어 4TA, 4TC의 연부가 인접트랙 에리어의 중복기입에 의하여 소거되는 일없으므로 트랙에리어 4TA, 4TC의 트랙 폭 WTA, WTC는 기록시의 헤드 1A, 1C의 트랙폭 WHA, WHC와 같아진다.
따라서, 편집점에서의 트랙킹 정밀도는 ±1㎛로 된다. 즉, 트랙 에리어 4TA의 형성후에 그 양측에 트랙이 형성되는 일이 없으므로, 그 트랙폭 WTA가 변화하지 않고, 따라서 편집개시점에서 이전에 기록된 트랙 에리어 4TA의 트랙폭 WTA는 기록시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와 같아진다.
WTA= WHA...............(11)
여기서, 기록시의 VTR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의 공차가 설계치 WHO에 대하여 ±1㎛이므로 즉,
WHA = WHO ± 1㎛ ....................(12)
편집용의 VTR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의 공차도 (12)으로 나타내진다.
그리고, 지금 최악의 경우이고, 기록시의 VTR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가 그 공차의 하한이라고 한다면
WHA = WHO - 1㎛로 된다.
따라서, 이때 (11)식으로부터 트랙 에리어 4TA의 트랙폭 WTA
WTA= WHA = WHO - 1㎛ ............(13)
이 된다.
그리고, 편집용의 VTR 의 헤드 1A 의 트랙폭 WHA가 그 공차의 상한이라고 하며는
WHA= WHO+ 1㎛ ................(14)
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편집용의 VTR 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와 테이프 3의 트랙 에리어 4TA의 트랙폭 WTA와의 차는
△ = WHA - WTA
이므로 이것에 (13)(14)식을 대입하면
△ = (WHO + 1㎛) - (WHO - 1㎛) = 2㎛로 된다.
즉, 기록용의 VTR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의 오차와 편집용의 VTR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의 오차와의 조합이 최악의 경우에서도 편집용의 VTR의 헤드 1A의 트랙폭 WHA는 기록된 트랙 에리어 4TA 보다도 2㎛밖에 넓어지지 않는다. 즉, 트랙킹서보의 불감대는 2㎛로 되고, ±1㎛의 트랙킹 정밀도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어셈블 편집 및 인서트 편집의 편집 개시점의 직전 및 인서트 편집중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트랙폭 WTA, WTC의 트랙 에리어 4TA, 4TC에 대하여 그 재생되는 트랙킹 신호 STA, STC의 레벨이 최대가 되도록 서보 제어를 행하게 되므로, 이때의 트랙킹 정밀도는 ±1㎛로 된다.
따라서, 어셈블 편집 혹은 인서트 편집을 행하여도 새롭게 기록되는 트랙 4의 위치는 이전의 트랙 4에 대하여 ±1㎛ 이상의 어긋남이 없게되므로 충분한 정밀도로 어셈블 편집 및 인서트 편집을 행할 수가 있고, 이 결과 편집점에서의 재생화면이나 재생음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헤드 1A~1D 가 박막 헤드화 된 경우에는 그 트랙폭 WHA~WHD는 더욱 고정밀도로 할수가 있으므로 트랙킹 정밀도를 보다 높힐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 트랙 4A, 4C에 대해서만 트랙킹용의 트랙 에리어 4TA, 4TC를 형성하였으나 모든 트랙 4A~4D에 트랙킹용의 트랙 에리어 4TA~4TD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 6도와 같이 트랙 에리어 4TA, 4TC와 트랙 에리어 4TB, 4TD와의 트랙 4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트랙 에리어 4TA~4TD의 양측에 다른 트랙 에리어가 뒤에서 형성되지 않게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 트랙 4A, 4C 의 최초에 트랙 에리어 4TA, 4TC를 형성하였으나, 트랙의 다른부분 예를 들어, 트랙 4의 최후에도 트랙 에리어 4TA, 4TC 내지 4TB, 4TD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트랙 에리어 4TA, 4TC에 기록하는 신호 STA, STC도 트랙킹 에러의 검출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양식이라도 된다.
그리고, 편집시 트랙 4의 길이방향에서의 트랙 에리어 4TA, 4TC의 위치를 기준하여, 새로운 신호 SSA~SSD내지 SVA~SVD를 기록하며는 트랙 에리어 4SA~4SD 내지 4VA~4VD의 트랙 길이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용의 VTR의 헤드 1A~1D의 트랙폭 WHD~WHD의 오차와 편집용 VTR의 헤드 1A~1D의 트랙폭 WHA~WHD의 오차의 조합이 최악의 경우에도 트랙킹 서보의 정밀도가 이들 트랙폭 WHA~WHD의 오차의 범위내로 된다.
그리하여 어셈블 편집 및 인서트 편집의 편집개시점의 직전 및 인서트 편집중에 있어서, 이와같은 트랙킹 정밀도로 편집이 행하여지므로, 충분한 정밀도로 어셈블 편집 및 인서트편집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접집점에서 재생화면이나 재생음의 흐트러짐이 없게 된다.
그리고, 헤드 1A~1D가 박막 헤드화된 경우에는 그 트랙폭 WHA~WHD는 더욱 고정밀도로 될 수가 있으므로 트랙킹 정밀도를 보다 높힐 수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정보신호를 소정량 마다 N채널(N는 2이상의 정수)로 분할하고, 이들 N채널의 정보신호를 회전자기 헤드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상에 경사진 N본의 자기트랙으로서 기록하고, 이 N본의 자기트랙중의 1본 건너서의 자기트랙의 이 트랙 길이방향에서의 소정의 위치의 에리어에 상기 정보신호와는 독립하여 트랙킹 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N본의 자기트랙중의 나머지 1본 건너서의 자기트랙이 형성될때, 이 나머지 1본 건너서의 자기 트랙이 상기 트랙킹 신호의 기록된 에리어의 주변뒤에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트랙킹 신호의 기록되는 에리어의 위치를 설정한 정보신호의 기록장치.
  2. 정보신호를 소정량 마다 N채널(N는 2이상의 정수)로 분할하고,
    이들 N채널의 정보신호를 회전자기 헤드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상에 경사진 N본의 자기 트랙으로서 기록하고, 이 N본의 자기트랙의 그 트랙의 길이방향에서 소정의 위치의 에리어에 상기 정보신호와는 독립적으로 트랙킹 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트랙킹 신호가 기록되는 에리어의 주변에 상기 N본의 자기 트랙중의 다른 자기트랙이 뒤로부터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트랙킹 신호가 기록되는 에리어의 위치를 설정한 정보신호의 기록장치.
  3. 정보신호를 소정량마다 N채널(N는 2이상의 정수)로 분할하고, 이들 N채널의 정보신호를 회전자기 헤드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상에 경사진 N본의 자기 트랙으로서 기록하고, 이 N본의 자기 트랙중의 소정의 자기 트랙의 그 트랙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에리어에 상기 정보신호와는 독립적으로 트랙킹 신호를 기록시킴과 동시에 상기 트랙킹 신호의 기록되는 에리어의 주변에 상기 N본의 자기 트랙중의 다른 자기트랙이 뒤로부터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트랙킹 신호가 기록되는 에리어를 설정한 정보신호의 기록장치.
  4. 정보신호가 소정량마다 N채널(N는 2이상의 정수)로 분할되고, 이들 N채널의 정보신호가 회전 자기헤드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상에 경사진 N본의 자기트랙으로서 기록되고, 이 N본의 자기트랙중의 소정의 자기트랙이 그 트랙 길이방향의 소정위치의 에리어에 상기 정보신호와는 독립적으로 트랙킹 신호가 기록됨과 동시에 상기 트랙킹 신호의 기록되는 에리어의 주변에 상기 N본의 자기트랙중의 다른 자기트랙이 뒤로부터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트랙킹 신호가 기록되는 에리어를 설정한 트랙 포맷을 제공하는 정보 신호의 기록장치.
KR1019930021255A 1992-10-14 1993-10-14 정보신호의 기록 장치 KR100265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01754A JPH06131821A (ja) 1992-10-14 1992-10-14 情報信号の記録装置
JP92-301754 1992-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955A KR940009955A (ko) 1994-05-24
KR100265906B1 true KR100265906B1 (ko) 2000-09-15

Family

ID=1790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255A KR100265906B1 (ko) 1992-10-14 1993-10-14 정보신호의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10435A (ko)
EP (1) EP0593056B1 (ko)
JP (1) JPH06131821A (ko)
KR (1) KR100265906B1 (ko)
DE (1) DE693190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5C (zh) * 1993-02-26 2001-01-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盒式磁带录像机音频信号的记录格式、方法及装置
JPH08147611A (ja) * 1994-11-25 1996-06-07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方法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US6603618B1 (en) * 1998-11-16 2003-08-05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tape position using control data packets
TW484146B (en) * 2000-12-30 2002-04-21 Polytronics Technology Corp Excess curren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86497B1 (ko) * 2002-08-13 200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터 내장형 감습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7570591B2 (en) * 2004-08-03 2009-08-04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link speed and config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737U (ja) * 1981-12-22 1983-07-0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66096B2 (ja) * 1984-07-27 1994-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07355A (ja) * 1987-10-21 1989-04-25 Canon Inc トラッキング方式
JPH0792885B2 (ja) * 1988-05-16 1995-10-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6947A (ja) * 1990-05-21 1992-01-30 Sony Corp 再生方法
JPH04195844A (ja) * 1990-11-27 1992-07-15 Sony Corp 記録装置
JP2947297B2 (ja) * 1991-02-08 1999-09-13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装置
DE69220408T2 (de) * 1991-04-11 1998-0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ditiergerät für bandförmigen Aufzeichnungs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3056A2 (en) 1994-04-20
US5410435A (en) 1995-04-25
JPH06131821A (ja) 1994-05-13
KR940009955A (ko) 1994-05-24
EP0593056B1 (en) 1998-06-10
DE69319055T2 (de) 1998-10-29
DE69319055D1 (de) 1998-07-16
EP0593056A3 (en) 199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915A (en) Helical scan type video tape recorder
EP0352980B1 (en) Controlling dynamic tracking heads of digital video tape recorders
US5070421A (en) Magnetic disk system having tracking control using recorded information
KR100265906B1 (ko) 정보신호의 기록 장치
US5418653A (en)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editing function
JPH0883415A (ja) 信号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信号記録及び/又は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161479B2 (ja) 情報信号の記録装置
US6718120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119497Y2 (ko)
JP3624846B2 (ja) 記録再生装置
JP367780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19555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6148B2 (ko)
JPS6256561B2 (ko)
JP2625818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S6126959A (ja) 磁気テ−プ再生装置
JPH069082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56562B2 (ko)
JPH0214454A (ja) トラッキング制御回路
JPH0291876A (ja) ビデオ信号及びタイムコードの記録方法
JPH0664788B2 (ja) 情報信号再生装置
JPS6226685A (ja) インデツクス信号検出装置
JPH0636258B2 (ja) 電子編集用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339519A (ja) 記録再生装置
JPH09736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