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539B1 -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539B1
KR100263539B1 KR1019970072052A KR19970072052A KR100263539B1 KR 100263539 B1 KR100263539 B1 KR 100263539B1 KR 1019970072052 A KR1019970072052 A KR 1019970072052A KR 19970072052 A KR19970072052 A KR 19970072052A KR 100263539 B1 KR100263539 B1 KR 10026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data
output
switc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559A (ko
Inventor
신무용
김영균
김성조
김민택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7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53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G06F17/141Discrete Fourier transforms
    • G06F17/142Fast Fourier transforms, e.g. using a Cooley-Tukey type algorith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럽의 지상파 방송과 앞으로 이동멀티미디어를 위한 방식으로 부각되고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방식의 모뎀에 주로 사용되는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고속 푸리에 변환(FFT) 블록의 출력과 그 후단 디바이스 입력에서의 속도차를 해결하고자 한다.
현재 대부분의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출력은 그 후단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 속도와 순서가 같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고속 푸리에 변환(FFT)은 빠른 속도로 비순차적인 데이터를 순간적으로 출력하고, 그 후단 디바이스에서는 일정한 속도의 순차적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하므로 후단 디바이스 입력 데이터의 속도와 순서 차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간의 입/출력 접속 장치 및 그 방법{Input output interface method of 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세대 무선통신은 멀티미디어화 되면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한다. 이에 적합한 변조 방식으로는 현재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하, OFDM 이라 함)방식이 있다. 이러한 OFDM 또는 OFDM/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변조 방식에서 다수개의 변조된 캐리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변조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하드웨어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거의 실현 불가능하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 연구된 방식이 고속 푸리에 역변환(이하, IFFT 이라 함)/고속 푸리에 변환(이하, FFT 이라 함)을 수행함으로써 각 심벌은 다수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변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IFFT/FFT을 하드웨어로 구현시 그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연속적인 데이터의 출력이 어렵다. 상용화된 상당수의 IFFT/FFT 디바이스의 출력은 N개의 묶음으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 출력 데이터의 순서는 비트 리버스(bit reverse)형태를 취하거나 그와 비슷한 비순차적(Scramble)으로 출력이 된다.
도 1은 종래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전단 디바이스(2)와 후단 디바이스(3) 사이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한 개의 이중포트-램(Dual Port-RAM; 1)을 사용했다. 즉, 전단 디바이스(2)의 출력은 이중포트-램(1)에 저장이 됨과 동시에 후단 디바이스(3)에서는 데이터를 후단 디바이스의 속도에 맞게 읽어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전단 디바이스(2)의 출력인 신호 A의 타이밍 도는 도 2의 신호 A와 같고, 후단 디바이스(3)의 입력인 신호 B의 타이밍 도는 도 2의 신호 B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전단 디바이스(2)의 데이터 출력 순서와 후단 디바이스(3)의 입력 순서가 같은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이중포트-램(1)은 값이 비싼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처리시 문제가 되는 디바이스간 속도 차와 출/입력의 데이터 순서를 바꾸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램(RAM)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장치는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 1램 및 제 2 램과,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에서 발생된 라이트 이네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2 램을 스위칭 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후단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방법은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에서 유효한 데이터, 라이트 이네이블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라이트 이네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가 제 1 램에 연결되어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의 출력신호가 제 1 램에 쓰기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 2 스위치는 제 2 램에 연결되어 후단 디바이스에서 제 2 램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와,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의 출력 데이터가 상기 제 1 램에 쓰기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데이터 출력 순서가 결정되어 후단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및 입/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중포트 램 2 : 전단 디바이스
3 : 후단 디바이스 4 :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
14 : 램 A 15 : 램 B
16 : 스위치 1 17 : 스위치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IFFT/FFT 출력이 비순차적이고 묶음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후단 디바이스의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속적인 데이터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Speed Matching Device: SMD)블록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및 입/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단 디바이스(2)인 N 포인트 IFFT/FFT의 출력과 후단 디바이스(3)의 속도차를 해결하기 위한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 블록(4)으로 구성된다. IFFT/FFT의 출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A처럼 심벌 구간 T(IFFT/FFT을 한번 수행하는 시간) 동안 N 개의 IFFT/FFT 결과를 T1*N 동안 출력하고, T - T1*N 동안은 쓰레기 값을 출력한다.
도 2에서 예시를 위해 전단 디바이스(2)는 데이터 해상도 8비트를 가지는 4포인트 FFT 디바이스라고 가정한다. FFT 디바이스는 한 프레임 구간동안 4개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전단 디바이스의 출력 형태(도 2의 신호 A)는 다음과 같다.
1. T1의 구간을 가지는 데이터를 4개 출력한다.
각 데이터 값은 8비트로 가정하고 표기는 16진수로 한다.
(0x12는 십진수 18을 의미한다)
데이터_0 값 : 0x1F
데이터_3 값 : 0x5C
데이터_2 값 : 0x12
데이터_1 값 : 0xFF
데이터 출력순서는 데이터 0,3,2,1 순서로 출력된다.
2. 4개의 데이터를 출력한 후 T-T1*4 시간동안은 출력을 하지 않는다.
상기 "1"과 "2"를 반복하면서 프레임들을 출력한다.
또한, 후단 디바이스에서 필요한 입력 신호 타이밍(도 2의 신호 B)은 다음과 같다.
후단 디바이스의 입력은 한 프레임 시간 T 동안에 T/4의 구간을 가지는 4개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또한 입력 데이터의 순서는 데이터 0,1,2,3 순서로 입력되어야 한다.
데이터_0 값 : 0x1F
데이터_1 값 : 0xFF
데이터_2 값 : 0x12
데이터_3 값 : 0x5C
즉, 데이터 0,1,2,3 순서로 입력되어야 한다.
또한, 신호 A와 신호 B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전단 디바이스의 출력신호 A는 프레임 시간 T동안 T1의 데이터 구간을 가지는 데이터 4개를 비 순서적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후단 디바이스 입력신호 B는 프레임 시간 T동안 T2=T/4의 데이터 구간을 가지는 데이터 4개가 순서적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신호 A를 변환하여 신호 B의 타이밍 형태로 후단 디바이스에 입력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의 신호 타이밍도 이다.
각 데이터를 8bits(1 byte)라고 가정하면 램(RAM)A, 램(RAM)B는 각각 N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N 바이트(bytes)로 이루어진다.
IFFT/FFT는 유효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라이트 이네이블(WE; Write Enable)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의 출력순서가 비순차적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어드레스(address)신호가 데이터 출력에 맞추어 함께 출력된다. 도 2의 신호 A에서 처럼 N=4로 가정했을 경우 데이터는 0, 1, 2, 3의 순서가 아니라 비순차적인 0, 3, 2, 1의 순서로 출력된다.
라이트 이네이블(이하, WE 이라 함)신호는 스위치 1(16)을 각 심벌마다 램(RAM) A(14)와 램(RAM) B(15)를 스위칭 하는데 사용되며 스위치 2(17)는 역 WE(Inverted WE)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 1(16)과는 반대로 램 A/B(14 및 15)를 스위칭 하게 된다. 각 스위치는 다중화기(MUX)/역다중화기(DEMUX)를 이용하여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즉, 스위치 1(16)이 램 A(14)에 연결되어 IFFT/FFT의 출력이 램 A에 쓰기(Write)되는 동안 스위치 2(17)는 램 B(15)에 연결되어 후단 디바이스(13)에서 램 B(15)의 데이터를 읽는다(Read). IFFT/FFT의 출력 데이터가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4)의 램 A(14)에 쓰기(Write) 되는 동안 데이터 출력 순서는 어드레스에 의해 결정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가 0, 3, 2, 1처럼 출력이 되면 이에 해당하는 램 주소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 값을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4)의 후단 디바이스(13)에서 읽기(Read)할 때는 어드레스가 0, 1, 2, 3처럼 순차적인 주소를 발생시켜 순차적인 데이터 값을 램에서 읽어 갈 수 있다.
또한, IFFT/FFT에서는 1/T1Hz의 클럭(clock)으로 데이터를 출력하지만 후단 디바이스(13)에서는 1/T2Hz의 클럭으로 데이터를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의 램으로 부터 읽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사용할 경우 IFFT/FFT의 출력 데이터는 프레임 구간(Symbol Duration) T 만큼 지연이 되어 후단 디바이스(13)로 입력되지만 이는 전체 시스템 지연 시간에 비하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시 예를 위해 전단 디바이스는 데이터 해상도 8비트를 가지는 4 포인트 FFT 디바이스라고 가정한다.
FFT의 출력 4개를 한 프레임이라 칭한다. 한 프레임의 길이는 시간 T이다.
WE 신호는 프레임 구간 T마다 생성되며 스위치 1(16), 스위치 2(17)를 구동하여 램 A/B(14/15)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 1(16)과 스위치 2(17)는 서로 반대로 동작함으로 스위치 1(16)이 램 A(14)에 연결되었을 경우 스위치 2(17)는 램 B(15)에 연결된다.
시간적 순서에 의한 스피드 정합 디바이스의 동작 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 N에 대한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1. 도 4의 시간 t0에서 스위치 1은 FFT 디바이스의 출력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램 A에 연결한다.
2. 도 4의 시간 t0에서 FFT 디바이스는 데이터 버스에 값 0x1F, 0x5C, 0x12, 0xFF를 T1간격으로 출력하며, 어드레스 버스에 값 0,3,2,1을 T1간격으로 출력한다.
3. 버스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램 A의 어드레스 0번지에 0x1F 데이터를 저장하고,
램 A의 어드레스 3번지에 0x5C 데이터를 저장하고,
램 A의 어드레스 2번지에 0x12 데이터를 저장하고,
램 A의 어드레스 1번지에 0xFF 데이터를 저장한다.
4. FFT 디바이스는 한 프레임에 T1구간을 가지는 데이터 4개를 출력한 후 도 4의 t1시간까지는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다.
5. 도 4의 t1시간에서, 도 3의 램 A에는 0~3번지에 프레임 N의 데이터 4개가 저장된다.
6. 도 4의 t1시간에서, 도 3의 신호 WE의 에지 트리거(edge trigger)에 의해 스위치 1은 램 A에서 램 B로 스위칭 되고, 스위치 2는 램 B에서 램 A로 스위칭 된다.
7. 즉, 후단 디바이스의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는 스위치 2에 의해 램 A에 연결한다.
8. 도 4의 t1시간부터 T2간격으로 후단 디바이스에서는 램 A의 어드레스 0~3번지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인다. 즉, 데이터 값 0x1F, 0xFF, 0x12, 0x5C를 램 A로부터 순차적으로 후단 디바이스로 읽어들인다.
즉, 상기 동작을 요약하면 시간 t0~t1시간에는 FFT 디바이스의 비순차적인 데이터 출력은 램 A에 저장되고, t1~t2시간에는 후단 디바이스에서 램 A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신호간의 인터페이스 부분에 자주 사용되는 버퍼링을 이중 포트(Dual-Port) 램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D-램만을 사용하여 보다 저렴하게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과 속도차를 해결할 수 할 수 있다.

Claims (3)

  1.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 1 램 및 제 2 램과,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에서 발생된 라이트 이네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2 램을 스위칭 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및 2 램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후단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 장치.
  2.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에서 유효한 데이터, 라이트 이네이블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라이트 이네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가 제 1 램에 연결되어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의 출력신호가 제 1 램에 쓰기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 2 스위치는 제 2 램에 연결되어 후단 디바이스에서 제 2 램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와,
    고속 푸리에 변환/역변환기의 출력 데이터가 상기 제 1 램에 쓰기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데이터 출력 순서가 결정되어 후단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입/출력 접속방법.
KR1019970072052A 1997-12-22 1997-12-22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KR10026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052A KR100263539B1 (ko) 1997-12-22 1997-12-22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052A KR100263539B1 (ko) 1997-12-22 1997-12-22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559A KR19990052559A (ko) 1999-07-15
KR100263539B1 true KR100263539B1 (ko) 2000-08-01

Family

ID=1952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052A KR100263539B1 (ko) 1997-12-22 1997-12-22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5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55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49636A (ko) 데이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6684275B1 (en) Serial-to-parallel/parallel-to-serial conversion engine
KR100263539B1 (ko) 디바이스간의입/출력접속장치및그방법
KR970022794A (ko) 다중 채널 공유 회로 데이터 처리 시스템내의 데이터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326107A (ja) 論理回路
KR970068365A (ko) 통신제어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통신시스템
US5282210A (en) Time-division-multiplexed data transmission system
US4065641A (en) High capacity time connection networks
KR940027383A (ko) 버스 다중화 회로
JPH0779211A (ja) マルチプレクサのための制御回路
KR100303320B1 (ko) 퓨리에 변환기
KR100239487B1 (ko) 음성 피씨엠 데이터 전송장치
JP2766006B2 (ja) エラスティック・ストア方式
KR100217939B1 (ko)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RU21507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цифр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KR20000044169A (ko) 동기신호 출력장치
JPH01176197A (ja) 時分割多元交換方式
JP3006000B2 (ja) 非同期エラーパルス多重化回路
US20040113823A1 (en) Synchronization of parallel data streams from a serial source
JP2000036798A (ja) 時分割多重化システムにおけるメモリバッファアクセス方法および装置
KR880014756A (ko) 시분할 다중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기신호 발생 및 자국 및 타국 데이타의 결합회로
KR970049313A (ko) 제어보드와 조작판넬보드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KR950022500A (ko) 디지탈 샘플 신호의 카드간 컴바이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4259B2 (ja) 位相整合回路
KR960006365A (ko) 다중접속에 의한 신호 다중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