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269B1 -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269B1
KR100263269B1 KR1019970064619A KR19970064619A KR100263269B1 KR 100263269 B1 KR100263269 B1 KR 100263269B1 KR 1019970064619 A KR1019970064619 A KR 1019970064619A KR 19970064619 A KR19970064619 A KR 19970064619A KR 100263269 B1 KR100263269 B1 KR 100263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pillar
shock
rib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596A (ko
Inventor
성창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2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자동차의 필러 트림구조이다. 종래의 필러 트림은 충격흡수력이 낮아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충돌방향에 대하여 45°로 벌어진 리브(8b,8c)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리브들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충격흡수재(2)가 승객의 머리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서 필러 패널(10)로부터 일정공간 이격되도록 필러 트림(4)의 내면에 열융착시키는 구조이다. 차량의 충돌·전복에 따른 머리에서의 규제치 HIC(d)= 600∼800대로 내려간다.

Description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자동차의 필러 트림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표면을 부드럽게 장식하는 트림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어의 측방에는 필러 트림이 설치되어 있는데, 승용차의 경우에는 프론트 도어의 앞쪽에 프론트 필러 트림이 설치되어 있고,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사이에 센터 필러 트림이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도어의 후방에는 리어 필러 트림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필러 트림은 일정한 공간을 두고 필러 패널과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러 트림은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그 충격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2차적인 사고를 일으킨다. 즉, 측면 충돌에 따른 관성에 의하여 승객이 필러 트림에 충돌하게 될 때 필러 트림의 충격흡수력이 매우 약해서 승객의 머리 등이 필러 패널에 강하게 부딪치므로 인하여 상해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특히 승용차의 측면충돌·전복시에 리어 필러 쪽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필러 트림 내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승객의 머리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러 트림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재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충격흡수재, 4: 필러 트림, 6a∼6e,8a∼8c: 리브, 10: 필러 패널, 12a,12b: 구멍, 14: 융착핀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돌방향에 대하여 45°로 벌어진 리브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리브들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충격흡수재가 승객의 머리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서 필러 패널로부터 일정공간 이격되도록 필러 트림의 내면에 열융착시키는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충돌방향에 대하여 45°로 벌어진 충격흡수재의 리브가 승객의 머리가 가하는 충격하중을 분산시키고, 나머지 리브들이 보조적인 충격흡수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충격흡수재(2)가 설치된 필러 트림(4)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충격흡수재(2)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충격흡수재(2)가 설치된 필러 트림(4)의 정면도이다. 충격흡수재(2)는 폴리프로필렌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성형한다.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필러 트림(4)은 승용차의 뒷좌석 옆에 위치하는 리어 필러 트림을 나타낸 것이다.
충격흡수재(2)는 종방향으로 5개의 리브(6a,6b,6c,6d,6e)가 4칸으로 나뉘어져 있고, 우측단은 긴 리브(8a)로 이어져 있다. 5개의 리브(6a∼6e)와 우측단의 리브(8a)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러 패널(4)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5개의 리브(6a∼6e) 중에서 최상단과 최하단의 리브(6a,6e)는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중간이 계단을 이루고 있다. 5개의 리브(6a∼6e)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러 트림(4)의 내면과 필러 패널(10)의 내면을 따라 굴곡을 이루며 형성된다. 최상단의 리브(6a)와 2번 리브(6b) 사이, 그리고 최하단의 리브(6e)와 4번 리브(6d) 사이에는 각각 도 5와 같이 필러 트림(4)쪽으로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각각의 평면에는 필러 트림(4)과 열융착시키기 위한 구멍(12a,12b)이 형성되어 있다.
충격흡수재(2) 중에서 필러 트림(4) 및 필러 패널(10)의 우측단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2개의 리브(8b,8c)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8b,8c)는 도 4와 같이 충돌방향 P에 대하여 약 45°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필러 트림(4)의 내면에는 상기한 충격흡수재(2)의 평면에 형성된 구멍(12a,12b)에 끼워져 열융착될 수 있는 융착핀(14)이 돌출되어 있다. 충격흡수재(2)는 필러 트림(4)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 위치는 승용차의 리어 필러 패널(10)면에 필러 트림(4)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측면충돌 또는 전복이 일어날 때 뒷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머리가 부딪칠 수 있는 위치이다.
충격흡수재(2)의 후면, 즉 필러 패널(10)쪽으로는 일정공간이 형성된다. 즉, 필러 패널(10)과 필러 트림(4)간의 간격 D보다 충격흡수재(2)의 리브가 가지는 횡방향의 높이 H가 낮다는 것이다. 충격흡수재(2)는 예컨데, 정면상 리브간의 격자가 가지는 공간을 30×30mm로 하고, H를 18.5mm, D를 20mm 이상, 리브의 두께를 0.8mm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흡수재(2)를 필러 트림(4)의 우측 중간의 내면에 열융착시키면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필러 패널(10)과 충격흡수재(2)간에 완충지대가 생겨난다. 필러 트림(4)과 충격흡수재(2)의 열융착은 필러 트림(4)의 융착핀(14)을 충격흡수재(2)의 구멍(12a,12b)에 각각 끼우고 융착핀(14)의 단부를 충격흡수재(2)의 후방에서 융착시키면 된다.
차량이 측면충돌을 일으키게 되면 뒷좌석의 승객이 관성력에 의하여 충돌방향으로 튕긴다. 차량의 전복에 의하여도 이러한 현상은 나타난다. 이때 승객의 머리가 부딪치는 부분은 도 3의 우측 중앙의 단부이다. 이 부분은 완만하게 곡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1차적으로 이 부분의 필러 트림(4)면에 충격이 가해지고, 2차적으로 그 내부의 충격흡수재(2)에 충격하중이 가해진다. 특히 집중응력을 받는 부분은 충돌방향 P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는 세로방향의 리브(8b,8c)들이다. 이 리브(8b,8c)들은 하중이 45°방향에서 가해지기 때문에 충격에너지의 흡수력은 증대된다. 충격하중은 리브(6a∼6e,8a∼8c)들에 공통적으로 분산되고 충격흡수재(2)와 필러 패널(10)의 사이에 주어진 공간에서 완충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 차량의 충돌·전복에 따른 머리에서의 규제치 HIC(d)= 1,000 이하이지만 충격흡수재의 설치시에는 리브의 영향으로 600∼800대로 내려간다.

Claims (1)

  1. 충돌방향에 대하여 45°로 벌어진 리브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리브들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충격흡수재를 구비하고, 이 충격흡수재가 승객의 머리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서 필러 패널로부터 일정공간 이격되도록 필러 트림의 내면에 열융착시키는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KR1019970064619A 1997-11-29 1997-11-29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KR10026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619A KR100263269B1 (ko) 1997-11-29 1997-11-29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619A KR100263269B1 (ko) 1997-11-29 1997-11-29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596A KR19990043596A (ko) 1999-06-15
KR100263269B1 true KR100263269B1 (ko) 2000-08-01

Family

ID=1952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619A KR100263269B1 (ko) 1997-11-29 1997-11-29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596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9595A (en) Pillar for a body of a motor vehicle
CA2535731C (en) Instrument panel subassembly including a glove box door
JPH0752735A (ja) 内装部材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263269B1 (ko)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JP3936258B2 (ja) 樹脂構造体
JP2954228B2 (ja) 車両の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2000103307A (ja) 衝突時の膝荷重低減装置
KR19990060144A (ko) 충격흡수형 필러 트림구조
US9517742B2 (en) Shock absorber member for vehicle, vehicle door panel assembly including shock absorber member and vehicle including door panel assembly
JPH0858507A (ja) 車室内の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JPH0867213A (ja) 車両用ピラーの内装部品組付構造
JPH0433654B2 (ko)
JPH07228142A (ja) 内装材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0138836Y1 (ko) 프런트 시트 사이의 쿠션 구조
KR100338284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암레스트
JP4813864B2 (ja) バンパーアブソーバー
KR20240041526A (ko) 자동차용 fmh 구조물
KR200149978Y1 (ko) 자동차 도어 완충장치
KR100199414B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하단부 보강구조
JPH09207695A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構造
KR0138068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0337829B1 (ko) 자동차 필라트림의 충격흡수 장치
CN103909872A (zh) 车辆用收纳结构
KR2001437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부 보강구조
KR200158292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멤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