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008B1 - 디지탈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08B1
KR100259008B1 KR1019930031595A KR930031595A KR100259008B1 KR 100259008 B1 KR100259008 B1 KR 100259008B1 KR 1019930031595 A KR1019930031595 A KR 1019930031595A KR 930031595 A KR930031595 A KR 930031595A KR 100259008 B1 KR100259008 B1 KR 10025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ata
analog
reference gr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646A (ko
Inventor
박형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3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08B1/ko
Publication of KR95002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모드를 위한 데이타와 임의의 코딩된 데이타를 기록신호로 저장하고 있는 디지탈 저장매체로부터 원래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지탈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탈 저장매체의 기록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재생하는 재생부와 재생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와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기준전압과 기준접지와 샘플링클럭에 따라 디지탈 재생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의 출력을 채널특성에 적합하도록 최적화시키는 등화부와 학습모드에서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동기신호의 위상을 검출하여 심볼 레이트와 샘플링클럭을 동기시키는 동기부와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학습 데이타의 연속된 마크를 입력하여 설정된 이득으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자동이득제어부와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학습 데이타의 연속된 언마크를 입력하여 기준접지를 발생하는 기준접지부를 구비하여 저장매체의 저장데이타를 재생할때 발생하는 직류오프셋을 제거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전 해상범위를 사용하고,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한다.

Description

디지탈 재생장치
제1a도∼제1d도는 디지탈저장매체에 기록된 신호와 이를 재생한 신호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디지탈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재생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재생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학습모드의 데이타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데이타를 재생한 재생신호의 예를 도시한 파형도이고,
제7a도, 제7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득제어(AGC)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광자기 기록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탈 저장매체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한 학습구조를 가지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를 사용하여 성능을 개선한 디지탈 저장매체의 디지탈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자기(Magnetic)기록방식과 광자기(Magneto-Optic)기록방식이 있다. 자기기록방식은 기록할 데이타를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기록헤드에서 전류방향에 따라 자기 디스크를 자화시켜 기록하며, 자화방향의 변화가 기록정보이다. 따라서, 자기기록방식의 재생헤드에서는 자화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재생신호를 만들며, 재생신호의 피크에 기록정보가 있다.
광자기기록은 레이져(LASER)를 사용하여 광자기 디스크에 열을 가하고, 자기방향을 변화시켜 기록(Mark) 및 비기록(Unmark) 상태로 기록한다. 광자기 기록방식의 재생시에는 레이져 반사광의 회절 현상을 이용하며, 회절각에 따라 분리하여 광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이용해 전기신호로 재생한다.
제1a도∼제1d도는 이러한 광자기 기록방식과 자기기록방식으로 기록된 저장매체로부터 재생한 아날로그신호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1a도는 자기기록방식의 저장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기록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화살표방향은 자화방향을 나타낸다. 제1b도는 제1a도와 같이 기록된 저장매체로부터 재생한 재생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자화변화방향에서 양과 음의 큰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c도는 광자기 기록방식의 저장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기록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1d도는 제1c도를 재생한 재생신호의 예를 보여준 것으로, 마크(Mark)는 '하이'로 언마크(Unmark)는 '로우'로 재생된다. 제1a도∼제1d도에 있어서, 재생된 신호들을 살펴보면, 자기기록방식의 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직류성분이 없는 특성(DC free)을 가지며, 광자기 기록방식의 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직류성분과 오프셋(offset)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도는 종래의 광자기 기록방식의 디지탈 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제1포토다이오드(PD1:1), 제2포토다이오드(PD2:2), 제1증폭기(AMP1:3), 제2증폭기(AMP2:4), 차등증폭기(Diff Amp:5), 결합 커패시터(6), 가변이득증폭기(VGA:7), 저역통과필터(LPF:8),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9),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10), 전압제어 발진기(VCO:1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12, 13)를 구비한다.
디지탈 데이타 저장매체(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 광자기디스크등)는 기록밀도(저장용량)를 높이기 위해서 고밀도로 기록 및 재생한다. 이에 따라 저장매체로 부터 원래의 데이타를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심볼간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을 제거하기 위해 채널특성에 적합한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10)를 사용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제1포토다이오드(1)는 저장매체(광자기디스크, 컴팩트 디스크등)로부터 반사된 레이져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1증폭기(3)로 출력한다. 제2포토다이오드(2)는 저장매체(광자기디스크, 컴팩트 디스크등)로부터 반사된 레이져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2증폭기(4)로 출력한다. 제1증폭기(3)와 제2증폭기(4)는 일차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각각 차등증폭기(5)로 출력한다. 차등증폭기(5)는 제1증폭기(3)의 출력과 제2증폭기(4)의 출력을 차등 증폭하여 결합커패시터(6)를 거쳐 가변이득증폭기(7)로 출력한다. 즉, 광자기기록에서는 회로에 의한 오프셋(offset)전압이 발생하고, 신호 자체에 직류성분이 존재하므로, 대용량의 교류(AC) 결합커패시터(6)를 직렬로 연결하여 직류성분을 제거한다. 만일, 오프셋(offset)전압을 정확히 제거하지 않으면, A/D변환기(9)의 해상범위(resolution)가 좁아지고, 자동이득제어(AGC) 기능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호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신호의 직류성분은 재생신호의 구성(즉, 기록과 비기록의 구성비)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이를 정확히 제거하지 않으면 재생신호에 랜덤 노이즈로 포함되어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10)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가변이득증폭기(7)는 차등증폭기(5)의 출력을 입력하여 자동이득제어(AGC)신호에 따라 적절한 이득으로 증폭하여 저역통과필터(8)로 출력한다. 저역통과필터(8)는 재생신호에 포함된 고주파신호를 제거하여 A/D변환기(9)로 출력한다. A/D변환기(9)는 전압제어발진기(VCO:11)로부터 샘플링 클럭(sampling clock)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저역통과된 재생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10)로 출력한다.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10)는 A/D변환기(9)로부터 디지탈 재생데이타를 입력하여 자동이득제어 데이타(DAGC)와 VCO제어 데이타(DPLL)를 발생하고, 디지탈 재생데이타를 채널특성에 최적화하여 출력한다. 자동이득제어 데이타(DAGC)는 D/A변환기(13)에서 아날로그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가변이등증폭기(7)로 입력된다. 또한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10)는 VCO제어 데이타(DPLL)를 D/A변환기(12)로 출력하고, D/A변환기(12)는 이를 아날로그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압제어발진기(11)로 출력한다. 전압제어발진기(VCO:11)는 D/A변환기(12)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진주파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고속의 데이타를 디지탈로 처리하기 위하여 심볼 레이트(symbol rate) 샘플링을 사용하며, 재생신호 심볼의 속도와 샘플링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하여 디지탈 위상동기루프(PLL)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 재생장치는 오프셋 전압제거는 가능하나, 신호에 포함된 직류성분의 정확한 제거는 불가능하였다. 즉, 광자기기록에서는 런랭쓰(Run Length)가 제한되지만, 기록.비기록(Mark.Unmark)의 구성에 따라 국부적으로 직류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결합커패시터(6)로는 완전한 직류 성분의 제거가 불가능하고, 랜덤한 잔여 직류성분은 재생신호에 랜덤노이즈로 존재하게 되어 신호대잡음비(SNR)가 감소하였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해 보면, 샘플한 재생신호 (Yk)는 다음 식〈1〉과 같고,
이때의 신호대잡음비(SNR)은 다음 식〈2〉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Yk'는 샘플한 재생신호를 나타내고, 'Sk'는 재생정보신호를 나타내고, 'Nk'는 백색잡음 및 가우시안 잡음을 나타내고, 'DCk'는 랜덤한 직류성분을 나타낸다. 또한, 식〈2〉에서와 같이 종래의 디지탈 재생장치는 직류성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신호대잡음비(SNR)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신호대잡음비(SNR)가 감소하게 되면, 이에 따라 노이즈가 증가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의 성능도 저하되었고, 심볼간간섭(ISI)의 증가로 인하여 고밀도 기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자기 기록방식의 데이타 저장매체로부터 정확하게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를 얻기 위한 디지탈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학습모드를 위한 데이타와 임의의 코딩된 데이타를 기록신호로 저장하고 있는 디지탈 저장매체로부터 원래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지탈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저장매체의 기록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기준전압과 기준접지와 샘플링클럭에 따라 디지탈 재생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의 출력을 채널특성에 적합하도록 최적화시키는 등화부;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재생데이타로부터 동기신호의 위상을 검출하여 심볼 레이트와 샘플링클럭을 동기시키는 동기부,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재생데이타로부터 학습 데이타의 연속된 하이를 입력하여 설정된 이득으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자동이득제어부; 및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학습 데이타의 연속된 로우를 입력하여 기준접지를 발생하는 기준접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데이타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직류 오프셋을 제거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해상범위를 충분히 사용하고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여 상기 디지탈 재생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재생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재생부(15)와 저역통과필터(LPF:8)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와 등화부(30)와 동기부(40)와 자동이득제어(AGC)부(50)와 기준접지부(60)를 구비한다. 제3도에 있어서, 재생부(15)는 디지탈 저장매체의 기록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재생하고, 저역통과필터(8)는 재생부(15)의 출력을 입력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는 저역통과필터(8)의 출력을 디지탈 재생데이타로 변환하고, 등화부(30)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의 출력을 채널특성에 적합하도록 최적화시켜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를 디코딩부(미도시)로 출력한다. 한편, 재생된 데이타에 코딩 데이타에서 발생할 수 없는 장주기의 하이(TM: Traing Mark)가 감지되면, 이를 학습모드(Training Mode)로 인지한다. 학습모드에서는 일련의 약속된 데이타들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존재한다. 즉, 학습모드에서는 트레이닝 마크(Training Mark), 동기(SYNC), 트레이닝 동기(Training SYNC) 및 트레이닝 데이타(Training Data)가 존재한다. 동기부(40)는 학습모드(Train Mode)에서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동기(SYNC)신호의 위상에러(Phase error)를 검출하여 심볼 레이트(Symbol rate)와 샘플링 클럭(sclk)을 동기시키고, AGC부(50)는 학습모드에서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트레이닝 마크(TM)의 연속된 '하이'(mark)를 입력하여 설정된 이득으로 기준전압(VREF)을 발생한다. 기준접지부(60)는 학습모드에서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연속된 '로우'(Unmark)를 입력하여 심볼간간섭이 없는 기준접지(VGND)를 발생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재생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제1포토다이오드(PD1:1), 제2포토다이오드(PD2:2), 제1증폭기(AMP1:3), 제2증폭기(AMP2:4) 및 차등증폭기(5)로 구성되는 재생부(15)와, 저역통과필터(LFP:8),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21), 스위치(SW),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41), 전압제어발진기(VCO:42),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5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1) 및 샘플 및 홀더(S&H:62)를 구비한다. 제4도에 있어서, 디지탈 저장매체(미도시)로부터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제2포토다이오드(1, 2)와, 이들 포토 다이오드(1, 2)의 출력을 각각 증폭하는 제1, 제2증폭다이오드(3, 4)와 제1증폭기(3)의 출력과 제2증폭기(4)의 출력을 입력하여 차등증폭하는 차등증폭기(5)와 차등증폭기(5)로부터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8)는 제1도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종래에는 재생신호에 포함된 오프셋(offset)전압 및 신호 직류성분은 결합커패시터(제2도의 6)를 이용해 일부 제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대용량의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프셋 및 직류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는 저역통과필터(8)로부터 고주파잡음이 제거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기준접지(VGND)과 기준전압(VREF)으로 정해지는 범위에서 샘플링 클럭(Sclk)에 따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로 출력한다.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는 데이타 입력단자(Din)로 디지탈화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내부의 알고리즘에 따라 각종 제어데이타를 발생하고, 디지탈 데이타를 채널특성에 따라 최적화하여 데이타출력단자(Dout)를 통해 다음 단(디코딩부:미도시)으로 출력한다. 즉,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는 디지탈 재생 데이타를 입력하여 학습모드에서 동기(SYNC)신호로부터 위상에러를 검출하여 PLL제어 데이타(VCO제어데이타라고도 한다: DPLL)를 발생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41)로 출력하고, 학습모드에서 장주기의 마크(하이)신호를 입력하여 AGC데이타(DAGC)를 발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1)로 출력하고,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로우(Unmark)신호를 입력하여 기준접지 데이타(DGND)를 발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1)로 출력하고, 샘플앤홀드 제어신호(S/H)를 샘플앤홀더(62)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기부(40)는 디지탈 데이타를 입력하여 동기(SYNC)신호를 찾아 위상에러를 산출하여 PLL제어데이타(DPLL)를 출력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와, PLL제어데이타(DPLL)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1)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1)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진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압제어발진기(VCO:42)로 구현된다. 자동이득제어부(50)는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하이'를 입력하여 이를 평균화여 자동이득제어데이타(DAGC)를 출력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와, 자동이득제어 데이타(DAGC)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기준전압(VREF)으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51)로 구현된다. 기준접지부(60)는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로우'(Unmark)를 입력하여 심볼간간섭(ISI)이 없는 기준접지 타이밍을 검출하여 샘플엔홀드 제어신호(S/H)로 출력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와, 샘플앤홀드 제어신호(S/H)에 따라 저역통과된 재생신호의 비기록기준전압을 샘플엔 홀드하여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부(20)의 기준접지(VGND)로 공급하는 샘플앤홀더(62)를 이용하는 제1기준접지루프(L1)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준접지부(60)는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로우'(Unmark)를 입력하여 심볼간간섭(ISI)이 없는 상태에서 기준접지데이타(DGND)를 출력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와, 기준접지데이타(DGND)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1)를 구비하는 제2기준접지루프(L2)로 구현할 수도 있다. 혹은, 스위치(SW)를 부가하여 제1 및 제2 기준접지루프(L1, L2)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탈 PLL기능은 PLL제어 데이타(DPLL)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41)와 D/A변환기(41)의 출력에 따라 발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전압제어발진기(42)에 의하여 재생신호의 심볼과 샘플링클럭(Sclk)을 동기시킨다. AGC루프는 자동이득제어 데이타(DAGC)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A/D변환기(21)에 기준전압(VREF)으로 제공한다. 제1기준접지루프(L1)는 저역통과필터(8)의 출력을 입력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로부터 입력한 샘플앤홀드(S/H) 타이밍에서 이를 샘플링하여 유니폴라코딩시에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기준접지(VGND)로 출력한다. 제2기준접지루프(L2)는 디지탈접지 데이타(DAND)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유니폴라 코딩시에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기준접지(VGND)로 출력한다. 한편, 스위치(SW)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기준접지(VGND)를 제1기준접지루프(L1)로부터 입력하기 위하여는 가동단자를 고정단자a로 연결하고, 제2기준접지루프(L2)로부터 입력하기 위하여는 가동단자를 고정단자b로 연결한다. 또한 제1접지루프(L1)나 제2접지루프(L2)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여 구성을 간단히 할 수도 있는데, 제1기준접지루프(L1)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위치(SW)가 필요없이 샘플&홀더(62)의 출력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기준접지(VGND)로 곧바로 연결하고, 제2기준접지루프(L2)만 사용할 경우에는 스위치(SW)가 필요없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1)의 출력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기준접지(VGND)로 곧바로 연결한다.
한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바이폴라 코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재생신호의 직류성분은 정확히 제거되야한다. 이때는 기록(Mark) 최대치전압과 비기록(Unmark)기준전압의 중간값을 기준접지(VGND')로 사용하고, 비기록(Unmark)기준전압을 부(-)의 기준전압(V-REF)으로 사용하고, 기록(Mark)최대전압을 정(+)의 기준전압(V+REF)으로 사용한다.
제5도는 제4도의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에 사용되는 학습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31)의 학습구조는 트레이닝 마크(Training Mark: TM으로 표시한다), 동기(SYNC), 학습 동기(Training SYNC: T-SYNC로 표시한다),학습 데이타(Training Data:TD로 표시한다)로 구성된다. 'TM'은 하이, 로우의 타이밍이 긴 1주기로 구성되며, 런랭쓰리미티드(RLL:Run Length Limited)코딩한 데이타에서 발생하지 않는 긴 런랭쓰(Run Length)를 가져 학습의 시작을 감지하도록 한다. 또한, 로우의 중앙위치에서 심볼간간섭(ISI)의 영향이 없도록 충분히 긴 길이로 구성하여 심볼간간섭(ISI)이 없는 비기록(Unmark)상태의 기준전압(VGND)을 찾는다. 한편, 하이의 중앙위치값은 심볼간간섭(ISI)이 가장 많은 상태로, 최대 피크전압이므로 자동이득제어(AGC)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TM, SYNC, T-SYNC, TD는 종래의 적응형 등화기의 학습 및 재학습을 위해 구성하는 기본구조로서, 디지탈 동기루프(DPLL)의 초기화 및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의 학습에 사용한다.
제6도는 제5도의 데이타를 재생한 재생신호의 예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재생된 신호는 오프셋(offset)이 존재하고, 장주기의 하이(100)를 평균하여 기준전압(VREF)을 정하고, 심볼간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장주기의 로우의 중심(102)에서 샘플앤홀드(S/H)하여, 이 레벨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기준접지(VGND)로 한다. 따라서, 기준접지(VGND)에 의해 오프셋(offset)을 제거할 수 있다.
제7a도, 제7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득제어(AGC)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7a도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로 입력되는 신호가 작을 경우로서, 작은 입력신호에 따라 기준전압(VREF)을 낮게 잡아서 디지탈로 변환하여 출력(DOUT)한 것을 나타낸다. 제7b도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의 입력신호가 크므로, 이에 따라 기준전압(VREF)을 높게 잡아 디지탈로 변환하여 출력(DOUT)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기준전압(VREF)을 가변하여 디지탈로 변환된 출력신호는 항시 일정하도록 하여 자동이득제어-(AGC)기능을 달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광자기 기록방식의 데이타 저장매체의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를 사용할 때, 정확한 재생신호 샘플데이타를 제공하고, 오프셋전압을 제거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오프셋값을 정확히 제거하여 1) AGC성능을 개선하고, 2) A/D변환기의 전해상범위를 사용하여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의 성능을 개선하고, 이에 따라 고밀도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정확한 재생신호 직류전압 산출이 가능하여 잔여직류성분에 의한 신호대잡음비(SNR)의 감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학습모드를 위한 데이타와 임의의 코딩딘 데이타를 기록신호로 저장하고 있는 디지탈 저장매체로부터 원래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디지탈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저장매체의 기록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기준전압과 기준접지와 샘플링클럭에 따라 디지탈 재생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의 출력을 채널특성에 적합하도록 최적화시키는 등화부;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동기신호의 위상을 검출하여 심볼 레이트와 샘플링클럭을 동기시키는 동기부;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학습 데이타의 연속된 마크를 입력하여 설정된 이득으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자동이득제어부; 및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로부터 학습 데이타의 연속된 언마크를 입력하여 기준접지를 발생하는 기준접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데이타를 재생할때 발생하는 직류오프셋을 제거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전 해상범위를 사용하고,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여 상기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부는 상기 디지탈 재생데이타를 입력하여 동기신호로부터 위상에러를 산출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와, 상기 위상에러값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발진주파수를 조절하는 전압제어발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득제어부는 상기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마크를 입력하고, 이를 평균하여 자동이득제어 데이타를 발생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와, 상기 자동이득제어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지부는 상기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언마크를 입력하여 심볼간간섭이 없는 상태에서 기준접지 데이타를 산출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와, 상기 기준접지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지부는 상기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언마크를 입력하여 심볼간간섭이 없는 기준접지 타이밍을 검출하여 샘플엔홀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와, 상기 샘플앤홀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역통과된 재생신호의 비기록 기준전압를 샘플엔 홀드하여 상기 기준접지를 제공하는 샘플앤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지부는 상기 학습모드에서 연속된 언마크를 입력하여 심볼간간섭이 없는 상태에서 기준접지 데이타를 산출하거나 연속된 언마크의 중간 타이밍에 샘플앤홀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탈 적응형 등화기와, 상기 기준접지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샘플앤홀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역통과된 재생신호의 비기록 기준전압을 샘플앤홀드하는 샘플앤홀더와, 상기 샘플앤홀더의 출력이나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접지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재생장치.
KR1019930031595A 1993-12-30 1993-12-30 디지탈 재생장치 KR10025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595A KR100259008B1 (ko) 1993-12-30 1993-12-30 디지탈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595A KR100259008B1 (ko) 1993-12-30 1993-12-30 디지탈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646A KR950020646A (ko) 1995-07-24
KR100259008B1 true KR100259008B1 (ko) 2000-06-15

Family

ID=1937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595A KR100259008B1 (ko) 1993-12-30 1993-12-30 디지탈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0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646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773B1 (ko) 디지틀 자기 기록 시스템에 사용되는 판독 채널 검출기
EP046632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gital data signals in a analog signal
US7308061B1 (en) Read channe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ptical storage system
US7554897B2 (en) Data reproducer
JP3683120B2 (ja) クロック再生装置
KR100310595B1 (ko)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EP0542540B1 (en) Playback equalising circuit for a digital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US6922384B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100259008B1 (ko) 디지탈 재생장치
US6853509B2 (en) Acquisition signal error estimator
US5576842A (en) Data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for use in a digital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JP2661064B2 (ja) データ再生装置
JP2977031B2 (ja) データ検出器及びその方法
JP2785210B2 (ja) 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3824204B2 (ja) 情報再生装置
JP3818032B2 (ja) 記録情報再生装置
KR100300953B1 (ko) 디지탈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방법
JP2805643B2 (ja) 信号再生装置
JP3452680B2 (ja) 再生信号処理回路
US57682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using frequency domain conversion and detection
JP3235725B2 (ja) 電圧制御発振回路と位相同期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950004553B1 (ko)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 제어신호 재생 및 파형 변환장치
KR100234240B1 (ko) 광 자기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 등화회로
JPS62289966A (ja) デ−タ識別装置
JPH11185397A (ja) 位相同期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