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978B1 -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978B1
KR100257978B1 KR1019980007279A KR19980007279A KR100257978B1 KR 100257978 B1 KR100257978 B1 KR 100257978B1 KR 1019980007279 A KR1019980007279 A KR 1019980007279A KR 19980007279 A KR19980007279 A KR 19980007279A KR 100257978 B1 KR100257978 B1 KR 10025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slide fastener
fastener
slide
connec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941A (ko
Inventor
다츠미 와카이
요시하루 야마구치
무츠오 히로타
도요사쿠 오구라
츠토무 하마타니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7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8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coiled or bent continuous wire interlocking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9Interlocking surface constructed from plural elements in serie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Woven Fabric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의 모든 부품이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는 재생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1, 1a, 1b, 1c)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파스너 테이프(3, 3a, 3b, 3c)와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길이방향 엣지에 고정되는 연결 요소(4, 4a,4b,4c)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은 폴리아미드 합성수지,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및 염화비닐 합성수지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되는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슬라이드 파스너가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나 코어 코드(20)에 고정하기 위한 봉사(21)를 포함할 때, 이들은 파스너 테이프와 연결 요소와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상부 및 하부 정지부재(7, 8)와, 핀-박스 분리기(10)와 한쌍의 보강용 시트형 부재(9)는 상술한 다른 구성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슬라이더(5)는 상술한 다른 구성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재생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며, 또한 재생가능한 동시에 포스트 다잉(post-dyeing)이나 후염(後染 : piece dyeing)에 의해 동일색상으로 동시염색가능한 합성수지제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보호나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산업 폐기물이나 폐품을 회수하거나 재이용하는 이른바 리사이클이 실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병과 같은 열가소성 기질의 성형품의 경우에는 사용완료된 제품을 회수하여 재용융하고 성형하여 재이용하는 것이 사업화되고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그 구성부품수가 많고, 또한 다양한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러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기된 옷감이나 가방 텐트 등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들을 슬라이더, 파스너 테이프, 연결 요소, 상부 및 하부 정지부재 등으로 선별 및 회수하여 재생가능하게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종래에는 실행되지 않았다.
합성수지제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는 공장에서는 생산라인으로 나오는 결격제품이나 풀어진 스레드 등등 매년 다량의 폐플라스틱이 산업폐기물로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폐기물의 제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그 효과적인 이용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상술의 문제점과 함께 슬라이드 파스너에 요구되는 특성상의 문제가 있다.
즉,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각종의 기계적 성질이나 슬라이더의 미끄럼 운동에 견딜수 있는 습동내구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구성부품에 요구되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 구성부품을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하는 경우, 각각의 부품은 각종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선별 및 회수가능하더라도 회수원료의 순도 저하는 피할수 없다. 그 결과, 슬라이드 파스너에 요구되는 각종 특성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PET 병과 같은 일용잡화품과 동일한 관점으로 그 리사이클을 기도할 수는 없다.
슬라이드 파스너는 그 기능적 요소외에 장식적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색깔로 염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다색 소량생산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폐슬라스틱 재료로 재생된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원료 자체가 이미 다양한 안료와 염료로 착색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구성부품이 조화된 균일한 동일색상계의 제품을 제조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폐플라스틱 재료로 재생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는 후염(piece dyeing)에 의해 동일색으로 동시염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새로이 제조된 합성수지재료(원재료)가 사용된 경우에도, 예를 들어 파스너 테이프 파이버에 사용된 것이나 연결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각각의 구성부품이 합성수지의 종류나 안료의 종류 및 양이 다르기 때문에, 후염시 파스너 테이프와 요소의 염료의 흡수성에 편차가 있다. 또한 사출성형 파스너의 경우 파스너 테이프를 직성하기 위한 실은 제조시에 연신되어 있지만, 사출되는 요소 재료는 연신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결정화가 상이하며 후염시 파스너 테이프와 요소의 염료 흡수율에 편차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후염에 의해 동일색으로 동시염색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생산라인에서 나오는 폐슬라이드 파스너와 폐플라스틱 재료를 원료로 재이용하기 위해 재생가능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이라는 목적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파스너로서의 요구되는 특성도 만족시키고 또한 각각의 구성부품을 동일색상으로 후염가능하게 하는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든 구성부품이 동일한 합성수지재료로 제조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한다.
파스너 테이프의 길이방향 엣지에 고정된 연결 요소와 한쌍의 파스너 테이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연결요소와 슬라이드 파스너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와,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 및 비닐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선택된 동일한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슬라이드 파스너가 커플링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하기 위한 봉사(縫絲 : sewing thread)와 각각의 요소를 통하여 연결 요소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연장되는 코어 코드(core cord)를 포함할 때, 상기 봉사나 코어 코드는 상술한 파스너 테이프와 연결 요소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또한, 연결 요소의 열(row)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상부 및 하부 정지부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정지부재는 상술한 다른 부품과 동일한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파스너 테이프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핀-박스 분리기와 상기 핀-박스 분리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보강용 시트형 부재를 갖는 개방링크형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핀-박스 분리기와 보강용 시트형 부재는 상술한 다른 부품과 동일한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상술한 다른 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또 다른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형태를 부분절단한 부분단평면도.
도 5 는 코어 코드를 갖는 나선형 코일 연결 요소의 부분평면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코어 코드를 갖는 코일형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 은 도 5 에 도시된 코어 코드를 갖는 코일형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한 다른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 은 코어 코드가 없는 코일형 연결 요소의 부분평면도.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코일형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0 은 지그재그형 연결요소의 부분평면도.
도 11 은 도 10 에 도시된 지그재그형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2 는 압출성형에 의해 연결 코드에 고정된 연결 요소의 부분평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도시된 연결 요소의 중심부가 결합부 주위에서 U 형으로 굴곡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평면도.
도 14 는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5 는 각각의 합성수지제 요소가 원형 단면으로 팽창되어 형성된 파스너 테이프의 길이방향 엣지를 지나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부분평면도.
도 16 는 도 15 에 도시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파스너 2 : 파스너 스트링거
3 : 파스너 테이프 4 : 요소
10 : 핀-박스 분리기
본 발명자들은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연구한 결과,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올레피계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와 또는 염화비닐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요구되는 기계적인 성질이나 습동내구성 등의 특성을 만족시키고 또한 재생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특히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후염에 의해 각각의 구성부품을 동일색상으로 동시염색가능하다는 것도 인식하였다. 즉, 본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부품 전체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하는 것과, 그 재료로서 실질적으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 또는 염화비닐계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조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슬라이더 자체는 다른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요구되는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폐기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 슬라이더만을 선별하여 회수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며, 또한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은 전부 재이용가능하게 된다.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생산라인으로부터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이나 폐기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로부터 회수된 합성수지 재료의 재이용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재생, 기타 섬유제품이나 성형품의 원료로서의 이용, 분말연료로서의 이용, 가스화 및 유화 등이 권장되고 있다.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하는 경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어떤 종류의 합성수지가 적합한지에 대한 의문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품형태나 각각의 구성부품의 구조에 의존한다. 또한,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한 슬라이드 파스너가 후염에 의해 동시염색가능한지의 여부를 합성수지의 종류에 의존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된 각종 슬라이드 파스너를 참조로 슬라이드 파스너의 각각의 구성부품에서 본 발명을 이용한 모드가 서술될 것이다.
도 1 은 예를 들어 의복이나 가방 등의 개구부의 개폐에 이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1)를 도시하고 있으며, 좌우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의 상하 단부가 절단된 제품형태를 갖는다. 상기 파스너 스트링거(2)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파스너 테이프(3)와, 상기 파스너 테이프(3)의 대향의 길이방향 엣지를 지나 합성수지로 제조된 연결 요소열(코일형 연결 요소)(4)로 구성된다. 상기 파스너 테이프(3)는 합성수지 섬유를 제직 및/또는 편성한 것이나, 또는 부직포로 제조된 것, 또는 합성수지제 시트로 형성된다. 요소(4)로서는 각각의 요소를 사출성형함과 동시에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를 지나 고정되는 사출 타입이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를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요소나 평면내에 횡방향의 U 형으로 굴곡된 부분을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교차하여 연속하여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한 이른바 지그재그형 요소 등의 연속형 요소, 압출성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격시킨 2개의 연결 코드(코어 코드)에 각각의 요소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사다리 형태로 형성된 것을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U 형으로 절곡한 압출성형 요소 등등 여러 종류의 형태가 있다. 이러한 각종 형태의 요소들은 관련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예를 들어 그 구성부품중에서 코어 코드와 봉사(縫絲 : sewing thread)를 포함하는 코일형 연결 요소는 관련의 도면을 참조로 후술될 것이다. 도면부호 5 는 대향하는 요소의 열(row)을 따라 연결 요소를 결합과 분리시키기 위한 미끄럼가능한 슬라이더를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각각의 파스너 스트링거(2)의 상단부가 절단된 형태를 갖지만, 하부 정지부(6)가 연결 요소(4)의 결합열의 하부를 용융시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에 도시된 슬라이드 파스너와 상이하다.
도 3 에 도시된 슬라이드 파스너(1b)는 상부 정지부재(7)가 파스너 스트링거(2b)의 파스너 테이프(3b)를 지나 부착된 연결 요소(4b)의 열의 상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하부 정지부재(8)가 그 하단부에 정지된다는 점에서 도 1 에 도시된 슬라이드 파스너와 상이하다.
도 4 는 개방 링크형 슬라이드 파스너(1c)를 도시하고 있다. 파스너 스트링거(2c)의 하단부에는 접착층(도시않음) 매체를 거쳐 보강용 시트형 부재(타페타)(9)가 용접된다. 핀-박스 분리기(10)의 박스 부재(11)는 대향 보강용 시트형 부재(9)중 하나의 내측 엣지에 부착되며, 나비 로드 또는 핀(17)은 다른 보강용 시트형 부재(9)의 내측 엣지에 부착된다. 상기 박스 부재(11)는 박스 부재(11)와 박스 로드(12)를 연결하는 안내 돌출부(13)와 일체로 형성되며, 홈(14)은 그 내부에 슬라이더(5)의 하단부를 미끄럼운동으로 수용하기 위해 박스 로드(12)와 안내 돌출부(13)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안내 홈(19)은 나비 로드(17)와 일체로 형성된 안내 융기부(18)와 나비 로드(17) 사이에 형성된다. 나비로드 삽입구멍(15)은 박스 부재(11)의 좌측 측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측부 홈(16)은 나비 로드 삽입구멍(15)의 외측벽상에 형성된다. 나비 로드(17)가 박스 부재(11)의 나비 로드 삽입구멍(15)내에 삽입될 때, 이러한 삽입은 부드럽게 실행되는데, 그 이유는 안내 융기부(18)의 하단부의 내측이 나비 로드(17)를 안내하기 위하여 박스 부재(11)의 측부 홈(16)의 엣지상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도 4 에 있어서, 도면부호 20 은 코일형 연결 요소(4c)의 나선부 내측의 빈 공간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코어 코드를 도시하며, 도면부호 21 은 파스너 테이프(3c)의 길이방향 엣지를 따라 코일형 연결 요소(4c)와 코어 코드(20)를 박음질하는 봉사(縫絲 : sewing thread)를 도시한다.
핀-박스 분리기는 도 4 에 도시된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슬라이더(5)와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며 그 하단부에서 슬라이더 파스너가 대향의 연결 요소열의 연결 및 분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역전된 개방 링크형은 변형된 실시예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핀-박스 분리기와 분리되고 각각의 파스너 테이프와 하단부에 용접되어 형성된 보강용 시트형 부재를 이용한다. 상기 보강용 시트형 부재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보강용 부재는 예를 들어 박스 부재나 나비 로드와 일체인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성형하므로써 형성되고 파스너 테이프의 전체 폭에 고정된 구조나 또는 시트형 부분에 삽입되어 가요성을 부여하는 임의선택 패턴의 슬릿을 갖는 구조에서 발견되는 핀-박스 분리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는 합성수지의 모노필라멘트를 코일형태로 형성한 연결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내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합성수지 섬유제의 코어(20)가 삽입되는 코일형 요소(4d)를 봉사(21)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3d)의 길이방향 엣지에 봉착한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테이프의 제직과 동시에 테이프로 둘러싸인 파스너 테이프(3e)의 길이방향 엣지에 부착되는 코일형 연결 요소(4e)를 갖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내 공간에 코어를 삽입하지 않는 코일형 요소(4f)를 봉사(21)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3f)의 길이방향으로 봉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은 합성수지제 모노 필라멘트로부터 평면 횡방향의 U 형의 굴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교차하여 연속하도록 지그재그형으로 굴곡시켜 형성한, 이른바 지지재그형 요소(4G)를 도시하고 있다. 수직의 인접한 굴곡부는 봉사(21)에 의해 그 사이에 물려 있는 파스너 테이프(3G)의 길이방향 엣지에 봉착된다.
도 12 내지 도 14 는 굴곡기에 의해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2개의 연결 코드(20h)에,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의 파스너 요소(4h)의 양단부가 연결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를 중심으로 U 형태로 굴곡하고,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3h)의 길이방향으로 봉사(21)에 의해 봉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예의 경우, 파스너 테이프(3i)의 길이방향 엣지에 코드(20i)를 테이프의 제직과 동시에 박음질하여 부착하고, 이에 의해 형성된 원형 단면으로 팽창된 파스너 테이프(3i)의 길이방향 엣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의 합성수지제 파스너 요소(4i)가 사출성형에 의해 박음질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가능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는 도 1 내지 도 16 에 도시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스너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백과 같은 대향하는 한쌍의 시트부재를 따라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결합되고 다른 시트부재상에 동시에 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과 융기부를 상호결합시키므로써 백이 폐쇄되게 하는 형태의 레일형 파스너 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와 마찬가지로, 폐쇄를 위하여 백의 대향의 엣지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적용된 슬라이더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파스너 제품에 적용되는 것이 적당한지의 여부는 합성수지제의 종류에도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중 나일론 6, 나일론 66이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는 도 1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당하다.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중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 염화폴리비닐, 염화비닐과 염화 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또는 플로필렌 등의 각종 공중합체 등의 염화계 합성수지는 레일형 파스너 제품에 적당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슬라이드 파스너나 레일형 파스너에 적당하다. 하기에 각각의 합성수지재료에 대해 양호한 적용상태를 설명한다.
합성수지재료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일 때, 기본적으로 상기 PET 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모든 구성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슬라이더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제조하고, 슬라이더의 동체 부분의 PBT 는 유리 섬유 등의 보강 섬유로 강화된다. 이와같은 폴리에스테르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재생시에 사용완료된 슬라이드 파스너로부터 슬라이더를 제거하고 나머지 슬라이드 파스너만을 재생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사용완료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그대로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경우, 얻어진 소재는 PET/PBT 폴리머 블렌드가 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링크형 슬라이드 파스너인 경우, 핀-박스 분리기는 기계적 강도라는 관점에서 PBT 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슬라이드 파스너의 각각의 구성부품은 전부 폴리에스테르이기 때문에 후염에 의해 각각의 구성부품을 동일한 색상으로 동시에 염색할 수 있다. 염료로서는 각종 염료를 이용할 수 있지만, 분산염료가 양호하다. 분산염료로서는 예를 들어 키논계 분산염료, 아조계 분산염료, 안트라키논계 분산염료 등등 각종의 염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지관용의 균염제(levelling agent)와, 염색 촉진제 등등의 각종 염색 보조제를 첨가하는 것도 통상적이다. 염색법으로서는 각종의 방법이 가능하지만, 연속적으로 염색을 행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비임 염색(beam dyeing)이 적당하다.
사용완료된 폴리에스테르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처리에 세팅할 때, 재생된 폴리에스테르는 다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면 파스너나 섬유제품과 겉은 다른 파스너 제품이나, 또는 포장용 결속 밴드 및 용기와 같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재생된 폴리에스테르가 다른 성형품을 위한 원료로 사용될 때,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강화 섬유와 같은 다양한 필러(filler)로 혼입되거나 또는 PBT 와 같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블렌딩할 수도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재생 PET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슬라이더, 핀-박스 분리기, 연결 요소, 봉사는 버진 PET와 재생 PET의 블렌드를 이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따라서, 재생 PET에서 발견되는 주용도의 구체적인 예로서, 파스너 테이프나 코어 코드 및 상하부 정지부재와 같은 구성부품이외에는 연결 밴드 등의 다른 성형품이 권장된다.
합성수지 재료가 폴리프로필렌(PP)일 때, 슬라이드 파스너의 모든 구성부품 즉, 파스너 테이프와, 연결 요소와, 핀-박스 분리기와, 보강용 시트형 부재와, 상하부 정지부재와, 봉사와, 코어 코드와 슬라이더는 PP 로 제조된다. 따라서, 모두 PP 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인 경우, 사용된 제품은 완전히 재생가능하며 재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재생 폴리에스테르와 유사한 재생된 PP는 섬유 제품이나 결속 밴드, 용기 등의 성형품의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부품의 소재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PP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후염에 의한 염색은 곤란하기 때문에 착색을 위해서는 안료에 의해 착색된 칩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의 슬라이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PBT 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잇다. 이와 같은 폴리아미드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완료된 슬라이드 파스너로부터 슬라이더를 제거하고, 남은 슬라이드 파스너만을 재생사용하게 된다. 재생 폴리아미드의 재생 용도로서는 슬라이더 이외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부품, 면 파스너 등의 다른 파스너 제품, 섬유제품, 성형 등이 권장된다. 폴리아미드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에도 상기 폴리에스테르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염에 의해 폴리아미드제 구성부품을 동시염색할 수 있다. 양호한 폴리아미드로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공중합 나일론 등이 권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가능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장착하는 의복, 가방, 텐트 이외에, 라이닝 의류와 코어 코드와 봉사 등의 부속 부재나 버튼 스냅 등의 수지제 부착품의 소재도 슬라이드 파스너와 동일한 또는 동일계의 합성수지로 하므로써 각각의 구성부품을 분리 및 선별하게 되고, 사용완료된 제품 전체를 그대로 회수하여 재생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스베스토의 철거, 의료, 자동차 도장, 정밀기계 가공 등의 분야에 사용되는 작업복의 옷감을 폴리프로필렌이나 고정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섬유로 제조하고, 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 전체를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하므로써 생산된 작업복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 폐기될 수 있으며, 사용후에는 작업복을 그대로 회수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적당한 식별수단을 재생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기호, 바코드 등의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슬라이더나 핀-박스 분리기에 각인하거나, 파스너 테이프 또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장착하는 제품에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가 폐기되어 재생될 때, 슬라이더 및 핀-박스 분리기는 분리 및 선별되며, 필요서 재생된 제품이나 제품의 나머지로부터 선택적으로 세척 및 건조된 후 용융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나머지는 과립화된 후 합성수지의 종류 및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대응하는 적합한 처리를 받게 된다.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하는 경우, 각각의 구성부품이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제 요소를 합성수지 섬유로 제조된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에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부착된다. 코일형 연결 요소의 경우에는 봉공기(sewing machine)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에 봉사로 봉착된 후, 열처리된다. 그후, 필요에 따라 희망의 색으로 후염을 행한 후, 제조된 파스너 스트링거의 대향하는 요소에 합성수지제 슬라이더를 삽입하고, 소정 길이로 절단하므로써 도 1 에 도시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요소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하부를 용착하므로써 도 2 에 도시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의 소정 길이의 요소 하단부에 합성수지제 하부 정지부재를 부착하고, 대향하는 요소에 슬라이더를 삽입한 후에 요소 상단부에 합성수지제 상부 정지부재를 부착하고, 파스너 스트링거의 양단부를 절단하므로써 도 3 에 도시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을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부에 합성수지제의 보강용 시트형 부재 및 상기 시트형 부재와 별체 또는 일체인 핀-박스 분리기를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부에 삽입하고, 또한 상부 정지부재를 대향의 연결 요소의 상단부에 삽입하므로써 얻어진다.
폐기된 PET 부재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유리하게는 회수된 폐기된 PET 부재를 과립화하여 얻어진 스트랜드형의 칩을 진공하에 건조·고상 중합하고 모노 필라멘트로 압출성형한다. 또는 직경이 미세한 미싱사나 멀티필라멘트를 성형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사출성형하여 다른 구성부품을 성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압출성형된 모노 필라멘트를 연신하고, 코일형으로 성형하고, PET 섬유를 제직 및 편직하여 얻은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에 봉착한 후, 열세팅하고, 염색을 실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소정 품질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건조 칩의 함수율을 가능한한 낮게 억제하여 모노 필라멘트 압출가공 전후의 극한 점도(I.V.)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노 필라멘트 압출가공 전후의 극한 점도의 저하는 칩의 함수(含水)에 의한 가수분해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연신시의 실 절단을 발생시키기 쉽게 된다. 따라서, 건조 칩의 함수율은 50 ppm(0,005 %) 이하, 양호하기로는 30ppm 이하, 보다 양호하기로는 20 pp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싱사, 멀티필라멘트 등의 직경이 미세한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실 절단방지 등을 고려하여 20 ppm 이하, 양호하기로는 10 ppm 이하, 보다 양호하기로는 5 pp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조칩의 극한 점도는 압출 가공후의 점도 저하를 고려하여 가능한한 높이고, 0.65 내지 0.80 정도, 양호하기로는 0.7 내지 0.75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진공건조의 온도는 150 내지 190 ℃ 정도, 고상중합 온도는 190 내지 200 ℃ 정도가 양호하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폐플라스틱을 해중합하여 모노머 성분을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나일론 6 은 해중합 촉매의 존재하여 가열하면, 중합전의 원료인 ε-카프로락탐까지 용이하게 해중합할수 있으며, 감압(약 10 mmHg)하의 비등점이 약 140 ℃ 이기 때문에, 정밀 증류나 결정화 정제법에 의해 용이하게 정제가능하며, 중합원료로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얻어진 고순도 ε-카프로락탐은 필요에 따라 버진 ε-카프로락탐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중합하여 나일론 6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회수 카프로락탐의 나일론 6 은 다시 용융방사에 의해 나일론 6 섬유로서도 양호하고, 또한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부품이나 기타 다른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는 그 각각의 구성부품이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염화비닐 수지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된 하나의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구 환경의 보존과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부품에 대한 원료가 규격화되기 때문에, 폐기된 슬라이드 파스너와 폐플라스틱 재료가 재생을 위해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 합성수지제의 슬라이드 파스너가 폐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경우라도, 슬라이드 파스너의 각각의 구성부품에서 예견되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동작을 참을 수 있는 능력과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특징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가능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가 삽입되는 의류, 가방, 텐트 등은 슬라이드 파스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이러하 제품은 그 각각의 구성부품을 분리·선별시키지 않고 회수 및 재생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으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후염에 의해 그 각각의 부품이 동시에 동일한 색상으로 염색되게 하기 때문에, 이들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소량의 주문수량인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기 위한 요구사항에도 적합하며, 색상이 변화되는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가 신속하게 생산되게 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실시예 1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 생산라인으로부터 발생된 PET 실을 분쇄혼합기에 의해 180 내지 240 ℃ 로 분쇄 및 분말화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스트랜드형의 칩(함수율 1860 ppm)을 0.3 Torr 의 진공하에서 160 ℃로 12시간 건조한 후(이 상태에서 함수율은 10 내지 50 ppm으로 된다), 0.08 Torr의 진공하에서 190 ℃로 12시간 고상중합을 생행한다. 얻어진 수지를 285 내지 305 ℃의 온도에서 압출하고, 직경 0.6 mm 의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얻어진 PET 모노 필라멘트의 열수축은 하기 표 1 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1]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모노 필라멘트를 3단 연신처리하여 약 4,6배로 연신하고, 코일 성형을 실행한 후, PET 섬유제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부에 봉착하고, 종래의 방법으로 열세팅한다. 그후, 제조된 파스너 스트링거를 키논계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환원세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 PET 로 제조된 칩, 이로부터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 및 염색후의 코일형 요소의 극한 점도를 하기 표 2 에 도시한다. 또한, 비교하기 위하여, 버진 PET 로 제조된 것의 데이터도 표 2 에 함께 도시한다.
[표 2]
상기 표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의 건열 수축 및 습열 수축은 버진 PET 로 제조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규격값의 범위내에 있으며, 또한 칫수와 강도와 압출성도 버진 PET 의 극한점도도 버진 PET 로 제조된 것과 동일한 정도의 레벨이며, 그 후의 가공성도 양호하였다.
또한, 염색전 및 염색후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색상에 있어서, 요소와 파스너 테이프는 색차가 적으며, 거의 동일색으로 염색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횡인(橫引) 강도를 측정하고, 또한 상기 파스너 스트링거에 아연 타이캐스트제 슬라이더를 부착하고, 미끄럼 저항 및 내구성에 대해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도시한다. 비교를 위하여, 버진 PET 으로 제조된 파스너 스트링거에 대해서의 실험 결과도 표 3 에 함께 도시한다.
[표 3]
표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버진 PET 로 제조된 것과 비교시 횡인 강도의 저하가 없고 또한 미끄럼이 미소하며, 내구성도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슬라이드 파스너는 완전히 PP 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의 파스너 테이프는 210d/60f 의 PP 멀티 필라멘트로 형성된다. 코일형 연결 요소는 0.5 mm 직경인 PP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파스너 테이프의 엣지로 봉착된다. 봉사로서는 상부 실로서 직경 0.2 mm 의 PP 모노 필라멘트를 이용하고, 하부 실로는 200d/40f 의 PP 강력 연사(twisted yarn)를 이용한다. 제조된 파스너 스트링거를 120 ℃에서 열세팅한 후, 사출성형한 PP제 슬라이더를 부착한다. 얻어진 슬라이드 파스너는 평균 횡인강도 약 47,5 kgf/inch, 평균 절곡강도 약 9,8 kgf/inch, 평균 트러스트 강도 21,1 kgf/inch 를 갖는다. 이러한 강도 시험은 JIS S 3015 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행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는 실질적으로 구성부품의 전체가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 및 염화비닐 합성수지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된 동일계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재생가능하며,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의 생산라인으로부터 발생된 폐플라스틱이나 폐기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원료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구환경보호나 자원의 유효한 이용에 크게 공헌할 수 있으며, 또한 각 구성부품의 소재가 통일되기 때문에 폐품이나 폐플라스틱의 회수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폐플라스틱으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각종 기계적 성질이나 슬라이더에 의한 미끄럼 내구성 등등 슬라이드 파스너의 각각의 구성부품에 요구되는 각종 특성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가능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장착하는 의복, 가방, 텐트 등의 소재를 슬라이드 파스너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하므로써 각각의 구성부재를 분리·선별하지 않고 제품 전체를 그대로 회수하여 재생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으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후염에 의해 각각의 구성부품을 조화있게 하는 동일색상으로 동시염색가능하며, 다색소량생산의 요구에도 충분이 대응할 수 있으며, 각종 색조의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파스너를 단기간에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7)

  1. 한쌍의 파스너 테이프와 상기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되는 연결 요소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테이프와 연결 요소는 폴리아미드 합성수지,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및 염화비닐 합성수지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되는 동일한 종류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를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하기 위한 봉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봉사는 파스너 테이프 및 연결 요소와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의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연결 요소를 통하여 삽입되어 연장되는 코어 코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코어 코드는 파스너 테이프 및 연결 요소와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의 상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 정지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정지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구성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의 하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하부 정지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정지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구성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보강용 시트형 부재와 핀-박스 분리기를 갖는 개방링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핀-박스 분리기와 보가용 시트형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구성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시트형 부재는 상기 핀-박스 분리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구성부품과 동일한 형태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슬라이더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재료는 폐플라스틱 재료를 재생하여 얻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테이프와 연결 요소는 폐기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칩으로 과립화하고 재생 폴리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칩을 진공하에서 고상중합하고 폴리머를 필라멘트로 압출성형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 합성수지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칩은 칩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0 이하이고 0.65 내지 0.80 범위의 극한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150 내지 190 ℃의 범위에서 실행되며, 상기 고상중합화는 190 내지 200 ℃의 범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테이프와 연결 요소는 후염에 의해 동일색상으로 염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정지부재는 폐기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칩으로 과립화시키고, 재생 폴리먼르 얻기 위하여 진공하에서 이를 건조 및 고상중합하시키고, 정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되므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5.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핀-박스 분리기는 폐기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칩으로 과립화시키고, 재생 폴리먼르 얻기 위하여 진공하에서 이를 건조 및 고상중합하시키고, 정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되므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6.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시트형부재는 폐기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칩으로 과립화시키고, 재생 폴리먼르 얻기 위하여 진공하에서 이를 건조 및 고상중합하시키고, 정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되므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폐기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를 칩으로 과립화시키고, 재생 폴리먼르 얻기 위하여 진공하에서 이를 건조 및 고상중합하시키고, 정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성형되므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19980007279A 1997-03-05 1998-03-05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 KR100257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65619 1997-03-05
JP9065619A JPH10243805A (ja) 1997-03-05 1997-03-05 合成樹脂製スライド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41A KR19980079941A (ko) 1998-11-25
KR100257978B1 true KR100257978B1 (ko) 2000-06-01

Family

ID=1329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279A KR100257978B1 (ko) 1997-03-05 1998-03-05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30373B1 (ko)
EP (2) EP1116451A1 (ko)
JP (1) JPH10243805A (ko)
KR (1) KR100257978B1 (ko)
CN (1) CN1136801C (ko)
BR (1) BR9801309A (ko)
DE (1) DE69815169T2 (ko)
ES (1) ES2200222T3 (ko)
HK (1) HK1014843A1 (ko)
TW (1) TW4206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0636B2 (ja) * 1997-06-12 2002-09-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機における引手付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挿入ユニット
JP3587240B2 (ja) * 1999-11-19 2004-11-10 東洋紡績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756182B2 (ja) * 2000-07-11 2011-08-24 リリ エッセ アー 接合されるテープに溶着された歯を備える封止用スライドファスナ
JP2002177022A (ja) * 2000-12-18 2002-06-25 Toyobo Co Ltd 成型スライド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09913A (ja) * 2001-06-27 2003-01-14 Ykk Corp 耐加水分解性合成樹脂製ファスナー製品
KR100413122B1 (ko) * 2001-08-24 2003-12-31 이종하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장치
US6811862B2 (en) 2001-10-31 2004-11-02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Slide fastener
US7490432B2 (en) * 2007-03-23 2009-02-17 Gillihan Michael A Refillable bait bag and integrated hook
US7703183B2 (en) * 2007-09-14 2010-04-27 Wen-Chun Weng Coil zipper structure
US20090097782A1 (en) * 2007-10-15 2009-04-16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for producing perforated zipper for transverse direction zipper applicator
US20100325938A1 (en) * 2009-06-24 2010-12-30 Gillihan Michael A Refillable Bait Bag Having Reclosable Opening
US8966719B2 (en) 2010-06-30 2015-03-03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CN103153122B (zh) * 2010-08-12 2015-11-25 Ykk株式会社 拉链
JP5602869B2 (ja) * 2010-10-29 2014-10-08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及びファスナーを備えた物品
CN104270985B (zh) * 2012-09-06 2018-07-17 Ykk株式会社 拉链用成型部件及具备该拉链用成型部件的拉链
WO2014068790A1 (ja) * 2012-11-05 2014-05-08 京都市 ファスニング部品及びファスニング部品の製造方法
GB201304004D0 (en) * 2013-03-06 2013-04-17 Ykk Europ Ltd Slide fastener stringer and method of preparation
CN103263124A (zh) * 2013-05-24 2013-08-28 江苏宏达拉链织造有限公司 一种紫色拉链
CN104994763B (zh) * 2013-06-13 2018-06-01 Ykk株式会社 拉链部件、拉链及拉链部件的制造方法
GB201311761D0 (en) 2013-07-01 2013-08-14 Raw Ip Ltd A zip fastener
US9944028B1 (en) * 2013-10-24 2018-04-17 Ideal Fastener Corporation Methods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with overmolded components
CN104231490B (zh) * 2014-10-11 2016-08-31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耐磨塑钢拉链
TWI577306B (zh) * 2015-07-01 2017-04-11 Ykk Corp A device for recovering a fastener element, a fastener tape, and a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and zipper
CN108882780B (zh) * 2016-03-31 2021-09-14 Ykk株式会社 聚酯制拉链
CN107853821B (zh) * 2017-11-20 2021-01-22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
CN109294044A (zh) * 2018-08-07 2019-02-01 道晟拉链科技(太仓)有限公司 一种抗静电拉链链牙及其制备方法
CN109438929B (zh) * 2018-11-01 2021-05-25 驰马拉链(安徽)有限公司 一种注塑拉链的生产工艺
JP2020186049A (ja) * 2019-05-17 2020-11-19 株式会社アクシス スーツ袋
WO2020261348A1 (ja) 2019-06-24 2020-12-30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テープ、その識別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セット
DE112020007732T5 (de) * 2020-10-22 2023-08-17 Ykk Corporation Wasserdichtes reissverschluss-längs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5348A (en) * 1972-01-04 1973-10-16 Farah Mfg Co Inc Zipper patch sewing and forming machine
AU475129B2 (en) * 1972-04-07 1976-08-12 Opti-Holding Ag Slide fastener
US3804811A (en) * 1972-04-12 1974-04-16 Horizons Inc Shaped articles from reconstituted polyester
AR207083A1 (es) * 1976-01-01 1976-09-09 Weitzner J Mejoras en terminales para cierres a cremallera
US4162892A (en) * 1977-12-06 1979-07-31 Wm. E. Wright Co.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 coil slide fasteners
US4609375A (en) * 1982-11-10 1986-09-02 Crucible Chemical Company Waterless dip dy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textile-related materials
AU551885B2 (en) * 1983-11-15 1986-05-15 Yoshida Kogyo K.K. Recovery of scrap thermoplastics
JPS6175712U (ko) * 1984-10-25 1986-05-22
JPH0721129Y2 (ja) * 1988-04-04 1995-05-1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後染用スライドフアスナー
DE4034459A1 (de) * 1990-10-30 1992-05-07 Hoechst Ag Verfahren zur aufbereitung thermisch beanspruchter polyester-abfaelle
DE9110555U1 (ko) * 1991-07-26 1992-10-01 Asf Verwaltungsgesellschaft Mbh, 8500 Nuernberg, De
US5370757A (en) * 1991-08-30 1994-12-06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100% nylon 6 carpet
DE9401905U1 (de) * 1994-02-04 1994-03-31 Akzo Nv Vollständig recyclebare Jacke aus synthetischem Polymer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2875A (zh) 1998-09-16
HK1014843A1 (en) 1999-10-08
EP1116451A1 (en) 2001-07-18
ES2200222T3 (es) 2004-03-01
EP0862869B1 (en) 2003-06-04
DE69815169T2 (de) 2004-04-08
DE69815169D1 (de) 2003-07-10
TW420602B (en) 2001-02-01
EP0862869A2 (en) 1998-09-09
KR19980079941A (ko) 1998-11-25
EP0862869A3 (en) 1998-12-23
JPH10243805A (ja) 1998-09-14
US6230373B1 (en) 2001-05-15
BR9801309A (pt) 1999-12-28
CN1136801C (zh)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978B1 (ko) 합성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파스너
US6056901A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regenerated synthetic resin product
US4854136A (en) Textile manufactured article for contact fastener
EP0665314B1 (en) A knitted wire carrier having bonded warp thread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CZ292027B6 (cs) Způsob výroby rozměrově stálého koberce a rozměrově stálý koberec
KR930011950B1 (ko) 폴리에스테르 산업용 사의 제조방법 및 그 사로 제조된 끈
US20230392307A1 (en) Knit fastener loop products
KR102117131B1 (ko) 면 파스너 및 면 파스너용 걸어맞춤 소자의 조합
EP0132110A2 (en)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monofilaments
EP1269876B1 (en) Fastener product made of hydrolysis-resistent synthetic resin
US3673295A (en) Process for shaping textile articles using fluid thermoforming techniques
CN108882780B (zh) 聚酯制拉链
RU2002121630A (ru) Соединяемая швом техническая ткань
WO2006109319A1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protective covers using tpo compound coated pp fabric
JPH02243407A (ja) ワイヤキャリア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3630B1 (ko) 재봉용 고강력 재귀축광 혼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2002177022A (ja) 成型スライド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08349B1 (ko) 후크 앤드 루프형 패스너 및 그의 제조 방법
MXPA97007960A (en) Non-two-composite fibers that have a nucleus formed of regenerated polymeric materials and methods to make lasm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