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950B1 -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950B1
KR100257950B1 KR1019930004792A KR930004792A KR100257950B1 KR 100257950 B1 KR100257950 B1 KR 100257950B1 KR 1019930004792 A KR1019930004792 A KR 1019930004792A KR 930004792 A KR930004792 A KR 930004792A KR 100257950 B1 KR100257950 B1 KR 10025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manifold block
flow
cleaning
clean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850A (ko
Inventor
에이. 시카텔리 도날드
와따루 가꾸따
Original Assignee
토마스 엘. 무어헤드
노드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엘. 무어헤드, 노드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토마스 엘. 무어헤드
Publication of KR93001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6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specially design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 B05B13/0627Arrangements of nozzles or spray head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8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by recirculating the fluid to be sprayed from upstream of the discharge opening back to the su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8/00Coating apparatus
    • Y10S118/10Pipe and tube inside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니폴드블록상에 병렬 관계로 설치된 코팅재료분사건과 청소재료분사건을 포함하여 캔의 내면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코팅재료분사건은 매니폴드블록을 통해 코팅재료분사 도관과,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되고, 청소재료분사건은 매니폴드블록을 통해 청소재료 분사건과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되며, 청소재료분사건은 코팅재료분사건상의 노즐을 통해 청소재료를 지향하여 노즐을 청소하도록 작동하고, 3점 위치조절시스템이 분사건을 매니폴드블록상에 정확히 설치하는 데에 이용되며, 가열기가 구비되어 코팅재료분사건 내의 코팅재료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고, 트랜스듀서가 구비되어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코팅재료분사건의 작동 중에 코팅재료압의 변화를 감지하며, 청소재료가 코팅재료분사건을 통해 안내되어 청소재료 분사건의 내부를 청소하고, 코팅재료분사건과 청소재료분사건에서의 밸브조립체의 작동 행정은 밸브조립체의 적절한 작동 행정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심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Description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캔의 내부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구성 및 작동되는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청소재료분사건과 코팅분사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매니폴드블록에 대한 코팅재료분사건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매니폴드블록에 대한 코팅재료분사건과 청소재료분사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배면도.
제5도는 코팅재료분사건의 구조를 설명하는 제2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부분절결단면도.
제6도는 코팅재료분사건의 구조를 설명하는 제5도의 일부의 확대도.
제7도는 제5도의 코팅재료분사건에서 사용되는 가열기 본체의 부분절결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가열기 본체의 저면도.
제9도는 가열매체가 흐르는 유입 및 배출매니폴드의 구조를 설명하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제12도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코팅재료분사건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저면도.
제13도는 작동실린더 챔버를 도시하는 제11도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단부도.
제14도는 제7도 내지 제10도의 가열기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챔버를 도시하는 제11도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단부도.
제15도는 청소재료분사건의 구조를 도시하는 제2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부분절결단면도.
제16도는 매니폴드블록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매니폴드블록의 배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선 18-18을 따라 취한 매니폴드블록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19도는 제16도의 선 19-19를 따라 취한 매니폴드블록의 억제기와 트랜스듀서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0도는 제16도의 선 20-20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1도는 제18도의 선 21-21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선 22-22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3도는 제16도의 선 23-2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4도는 코팅재료분사건의 하부에 형성된 입구 및 출구를 도시하는 제5도의 선 24-24를 따라 취한 저면도.
제25도는 제15도의 선 25-25를 따라 취한 청소재료분사건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6도는 청소재료가 청소재료분사건과 코팅재료분사건을 통하여 안내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확대파단도.
제27도는 이격부재가 밸브작동부재의 조절 중에 위치 조절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코팅재료분사건의 일부의 확대파단도.
제28도는 제27도의 선 28-28을 따라 취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코팅재료분사건 42 : 청소재료분사건
50 : 매니폴드블록 56 : 코팅재료취급장치
64 : 가열기 70 : 코팅재료복귀관
78 : 펌프 86 : 유동제어밸브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캔의 내부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캔의 내부는 캔을 형성하는 재료가 캔의 내용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다. 캔의 내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미국 특허 제3,726,711호와 제4,378,386호 및 제4,886,013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캔 코팅장치의 작동 중에 코팅재료의 입자들은 분사건의 노즐상에 들어 붙는 경향이 있고, 일본 특허 제1,438,108호에는 노즐에 부착되는 코팅재료를 청소해 내기 위하여 솔벤트분사가 분사노즐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캔 코팅장치의 작동 중에 분사건으로부터의 코팅재료의 유동은 일정시간 동안 차단될 수 있다. 분사건이 차단되는 동안에 재료분사건은 분사건을 통하여 코팅재료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분사건의 코팅재료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사건에서의 코팅재료는 일본 특허출원 61-16537호에 기술된 방식으로 분사건을 통하도록 가열된 코팅재료의 2차 유동을 안내하여 가열될 수도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캔의 내부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신규하며 개량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코팅재료분사건은 매니폴드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캔의 내부 표면을 향해 코팅재료를 흐르게 한다. 청소재료분사건도 역시 매니폴드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코팅재료분사건의 노즐을 향하여 청소재료를 흐르게 한다. 코팅재료분사건과 청소재료분사건은 서로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 조절되고, 매니폴드블록은 각 분사건을 위하여, 적어도 3개의 위치조절부재를 사용한다. 청소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의 적어도 일부를 청소하기 위해 코팅재료분사건을 통해 안내된다.
코팅재료분사건은 코팅재료분사건에서 코팅재료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는 코팅재료분사건이 비작동상태에 있을 때 코팅재료의 정체부분이 유지되는 챔버를 따라 가열매체를 안내한다. 가열매체는 양호하게는 가열된 코팅재료이다.
비작동 및 작동상태의 사이에서의 코팅재료분사건의 작동 중에 코팅재료가 흐르는 통로에서의 유체 압력은 변화된다. 트랜스듀서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통로에서 유체압력하에 노출된다. 상기 트랜스듀서는 억제기에 의해 가열기를 통해 유로된 코팅재료와는 격리되어 있다.
코팅재료분사건 또는 청소재료분사건에서의 밸브조립체는 밸브부재가 개방 및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예정된 거리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밸브부재가 이동하는 거리의 조절시에, 이격부재는 밸브부재와 연결된 표면과 하우징과 연결된 표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과 연결된 표면에 대하여 이격부재를 가압하도록 밸브부재가 조절된 후에 이격부재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목적 등을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총설]
캔(32)의 내부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포함하기 위한 장치(30)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고, 이 장치(30)는 캔(32)의 내부(32)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코팅재료의 유동(36)을 향하게 하는 코팅재료분사건(34)(제1도 내지 4도)을 포함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은 코팅재료분사건의 외부단부(44)에 대하여 청소재료의 유동을 지향시킨다. 청소재료분사건(42)의 외부단부(46)로부터의 청소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의 외부단부(44)상에 축적된 코팅재료를 청소시킨다.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은 매니폴드블록(50)(제1도 및 4도)에 대하여 차례로 장착된다. 코팅재료공급관(52:제1도 내지 4도)은 매니폴드블록(50)과 연결되고, 주청소재료공급관(54)도 매니폴드블록(50)과 연결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은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코팅재료공급관(52)과 유체 연통으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청소재료분사건(42)은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주청소재료공급관(54)과 유체 연통으로 연결된다.
캔(32)의 내부(38)(제1도)에 코팅재료를 도포할 때 액체 코팅재료는 약 115°F의 온도상태에 있고, 약 850psi의 압력 하에서 도포된다. 코팅재료가 도포되는 방법과 코팅재료의 조성은 1983년 3월 29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4,378,386호(밀폐된 캔의 분사방법)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물론, 상이한 코팅재료가 상이한 온도와 압력으로 캔(32)의 내부에 도포된다.
수용성 코팅재료가 캔(32)의 내부에 도포될 때 청소재료분사건(42)에 의해 뿌려진 청소재료는 주로 물이 되고, 솔벤트 용제에 의한 코팅재료가 캔(32)의 내부에 도포될 때, 청소재료분사건에 의해 뿌려질 청소재료는 주로 솔벤트가 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이 제1도 내지 3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할 때, 코팅재료분사건의 외부단부(44)는 캔(32)에 대하여 쉽게 위치될 수 있다. 청소재료분사건(42)이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할 때, 청소재료의 유동은 청소재료분사건의 외부단부(46)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42)의 외부단부(44)를 쉽게 향할 수 있다. 코팅재료공급관(52)과 주청소재료공급관(54)은 매니폴드블록(50)에 연결되기 때문에, 청소재료분사건(42)과 코팅재료분사건(34)은 매니폴드블록과 공급관 사이에서의 연결을 방해하지 않고 서비싱 또는 교환을 위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코팅재료 취급장치(56; 제1도)는 코팅재료분사건(34)에 대한 코팅재료의 공급과 코팅재료분사건의 작업을 제어한다. 이 코팅재료 취급장치(56)는 저장조 또는 컨테이너(60)로부터 액체코팅재료를 연속하여 덤핑하는 펌프(58)를 포함하며, 코팅재료는 펌프(58)로부터 연결된 가열기(64)로 흐른다. 가열기(64)는 코팅재료를 바람직한 온도인 115°F로 가열한다. 물론, 코팅재료가 가열기(64)에 의해 가열되는 특정 온도는 코팅재료의 조성과 특성에 따른다. 가열기(64)는 코팅재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계를 갖는다.
고온의 코팅재료는 가열기(64)로부터 코팅재료공급관(52)을 통해 매니폴드블록(50)으로 흐른다. 가열된 코팅재료는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코팅재료공급관(34)으로 흐른다. 코팅재료공급관(34)은 캔(32) 내부로 고온의 코팅재료를 분사한다.
코팅재료의 복귀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매니폴드블록(50)과 코팅재료복귀관(70; 제1도)을 통해 펌프(58)에 대한 유입구로 돌아온다. 복귀관(70)을 통해 돌아온 코팅재료는 다시 가열기(64)를 통해 펌프되어 매니폴드블록(50)과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매니폴드블록(50)과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하여 계속하여 코팅재료가 순환된다.
펌프(58)는 노드슨 코포레이션사의 모델 CP를 사용한다. 가열기(64)는 모델 NH4를 사용하며, 물론 다른 공지된 펌프 및 가열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청소재료취급장치(76)(제1도)는 청소재료분사건(42)에 대한 청소재료의 공정과 청소재료분사건의 작동을 제어한다. 청소재료취급장치(76)는 저장조 또는 컨테이너(80)로부터의 액체청소재료를 연속하여 펌핑하는 펌프(78)를 포함한다. 청소재료는 주청소재료공급관(54)과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하여 유로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은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주청소재료공급관(54)과 유체 연통하고, 청소재료는 코팅재료분사건이 비작동일 때, 즉, 코팅재료의 유동이 캔(32)의 내부(38)를 향해 흐르지 않을 때 청소재료분사건(42)에 의해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를 향해 분사된다.
청소재료의 제2유동은 펌프(78)로부터 유동제어밸브(86)로 흐른다. 유동제어밸브(86)가 개방되면 청소재료는 제2청소재료공급관(88)으로 흐른다. 유동제어밸브(86)는 유동제어밸브를 통해 안내된 청소재료 내의 유체압력을 감소시키고, 청소재료는 제2청소재료공급관(88)으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42)과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해 배출도관(90) 및 저장조(92)로 흐른다. 청소재료가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해 흐르면 청소재료는 코팅재료분사건의 일부를 청소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을 청소하는 청소재료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2청소재료공급관(88)을 제공하면 좋으나, 코팅재료분사건(34)을 청소하는 청소재료의 유동도 필요할 때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안내될 수 있다. 청소재료가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안내되어 청소재료분사건을 청소한다, 제2청소재료공급관(88)과 유동제어밸브(86)는 생략 가능하다. 제어기(94)가 제공되어 유동제어밸브(86)의 작동을 제어하며, 펌프(78)의 배출구에서의 유체압력이 예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유압모터(도시않음)가 펌프의 저지를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코팅재료분사건(34:제1도)은 분사건으로부터의 코팅재료의 유동이 차단되는 비작동상태와 코팅재료의 흐름(36)이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캔(32)의 내부(38)를 향하는 작동상태의 사이에서 작동되며, 유사하게, 청소재료분사건(42)은 분사건으로부터의 청소재료의 유동이 차단되는 비작동상태와 청소재료의 유동이 청소재료분사건(42)의 외부단부(46)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를 향하는 작동상태의 사이에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재료분사건(42)과 코팅재료분사건(34)은 제어 유체 압력의 영향하에서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의 사이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제어밸브(98:제1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압력하의 공기가 도관(100)과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유로된다. 제어유체(공기) 압력은 비작동상태로부터 코팅재료의 유동(36)이 캔(32)의 내부(38)를 향하는 작동상태로 코팅재료분사건(34)을 작동시킨다. 제어밸브(98)가 폐쇄상태로 조절될 때 도관(100)과 코팅재료분사건(34)은 대기압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코팅재료분사건(34)은 비작동상태로 되어 코팅재료의 유동(36)이 차단된다.
제어밸브(102:제1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압력하의 공기는 도관(104)과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청소재료분사건(42)으로 안내되는 제어유체(공기)의 압력은 청소재료분사건(42)을 비작동상태에서 청소재료의 유동이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를 향하는 작동상태로 작동시킨다. 이때, 코팅재료분사건(34)은 비작동상태에 있게 되고, 도관(10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은 대기압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청소재료분사건은 비작동상태가 되어 청소재료의 유동은 차단된다.
제어밸브(98,100)의 작동은 제어기(94)에 의해 제어되며, 따라서, 솔레노이드 작동제어밸브(98,100)가 제1도에서 106과 108로 표시된 리드상의 제어기(94)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은 제어유체(공기)의 압력의 영향하에서의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의 사이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은 상이한 방식으로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 하에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솔레노이드가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의 사이에서 청소재료분사건(42)과 코팅재료분사건(34)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제어밸브(98,102)와 도관(100,104)이 제거될 수도 있다.
장치(30)의 작동 중에, 캔(32)은 제12도의 화살표(112)로 표시된 통로를 따라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의 외부단부(44,46)를 넘어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각 캔(32)이 코팅재료분사건(34)을 넘어 이동할 때, 캔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이 도포된다. 캔이 코팅되는 속도는 변화될 수 있으나, 이것은 분당 약 700 내지 750개의 캔을 코팅할 수 있다.
펌프(58)는 가열기(64)를 통해 코팅재료를 연속하여 펌핑한다. 고온의 코팅재료는 가열기를 통해 코팅재료공급관(52)과 매니폴드블록(50)을 향해 안내된다. 고온의 코팅재료의 유동은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을 향해 안내된다. 코팅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매니폴드블록(50)과 도관(70)을 통해 펌프(58)의 배출구로 복귀된다. 억제기(도시안됨)는 분사건으로부터 복귀된 재료의 유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라인(70)에 제공될 수 있다.
캔(32)이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와 정렬하자마자 제어기(94)는 제어밸브(98)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조절한다. 제어유체(공기)의 압력은 도관(100)과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안내된다. 제어유체압력은 코팅재료분사건(34)을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며, 코팅재료분사건(34)이 작동상태로 되자마자 가열된 코팅재료의 유동(36)은 캔(32)의 내부(38)를 향하게 된다.
코팅재료의 원하는 양이 캔(32)의 내부에 도포되면 제어기(94)는 제어밸브(98)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제어한다. 이것은 코팅재료분사건(34)을 대기압상태로 돌리는 것이다. 이러한 코팅재료분사건(34)의 상태는 코팅재료분사건을 비작동상태로 가게 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이 비작동상태에 있을 때 코팅된 캔(32)은 코팅재료분사건으로부터 이동되고 다음의 연속하는 캔이 통로(112)를 따라 코팅재료분사건과 일치된다.
다수개의 캔(32)이 코팅되고 난 후, 코팅재료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상에 축적된다. 펌프(78)는 계속하여 작동하여 가압된 청소유체를 청소건에 제공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이 비작동 상태로 작동되면 제어밸브(102)는 제어기(94)에 의해 개방상태로 작동한다. 이 결과 공기압력이 도관(104)과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해 청소재료분사건(42)을 향하게 된다.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42)으로 안내된 공기압력은 청소재료분사건을 비작동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시킨다. 청소재료분사건(42)의 외부단부(46)로부터의 청소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를 향하게 된다.
청소재료의 유동이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에 축적된 코팅재료를 청소하는 기간이 충분히 경과되고 난 후, 제어기(94)는 제어밸브(101)를 폐쇄상태로 가게 한다. 이것은 청소재료분사건(42)이 매니폴드(58)와 밸브(102)를 통해 대기압상태로 가게 한다. 이것은 청소재료분사건(42)이 청소재료분사건을 비작동상태로 가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캔(32)의 내부를 코팅하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작동이 다시 개시된다.
주기적인 코팅재료분사건(34)의 작동은 제어기(94)가 청소재료유동제어밸브(86)를 비교적 저압력에서 제2청소재료공급관(88)을 통하여 청소재료가 흐르게 할 수 있는 개방상태로 되게 한다. 청소재료의 유동은 제2청소재료공급관(88)으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42)과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하여 배출도관(90)으로 안내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하는 청소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의 일부를 청소하고, 분사건을 통하는 청소재료의 유동에 의한 코팅재료분사건(34)의 청소는, 코팅재료분사건(34)이 작동 또는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행해진다.
[코팅재료분사건]
코팅재료분사건(34)은 볼트(118)로 매니폴드(50)와 연결된 장방형 본체부(116)(제2도 내지 6도)를 갖는 하우징(114)을 포함하며,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는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하여 코팅재료공급관(52)(제1도 및 4도)와 제어유체압력도관(100)과 유체연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14)은 본체부(116)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연장부(122)(제2,3 및 5도)를 갖는다.
가열된 코팅재료는 압력하에서 매니폴드블록(50)(제3도 및 4도)으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34) 내의 연장된 원통형 부재(126)(제5도)로 유로된다. 이 챔버(126)는 본체부(116)에 배치된 유입단부(128)와 연장부(122)의 외부단부에 배치된 배출단부(130)를 갖는다.
코팅재료유입통로(132)는 중공위치조절핀(134)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온의 코팅재료는 압력하에서 위치조절핀(134)내의 통로(132)를 통하여 챔버(126) 내의 유입단부(128)내로 흐르게 한다. 그리고 나서 고온의 코팅재료는 챔버(126)의 배출단부(130)로 흐른다.
밸브조립체(138)(제5도)는 가열된 코팅재료가 챔버(126)로부터 노즐(140)을 통하여 흐르도록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단부(44)에 제공된다. 밸브조립체(138)는 고정된 밸브시트(144)와 이동 가능한 가동밸브부재(146)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146)는 밸브시트(144)를 밸브시트 내의 통로(150)를 통하여 흐르는 블록유체에 연결하는 거의 구형인 헤드단부(148)를 갖는다.
밸브부재(146)의 헤드단부(148)가 밸브시트(144)와 이격된 개방위치에 있을 때 고온의 코팅재료는 스트림 형태로 챔버(126)로부터 밸브시트내의 통로(150)를 통하여 노즐(140)로 흐른다. 노즐(140)은 밸브조립체(138)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캔(32)을 향해 고온의 코팅재료가 흐르게 하는 중앙통로(154)를 갖는다. 밸브조립체(138)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노즐로 흐르는 코팅재료의 유동이 차단되고, 노즐(140)로 흐르는 코팅재료의 차단은 챔버(126)로부터 흐르는 코팅재료의 스트림을 차단하며 챔버 내의 코팅재료는 정체된다.
고체인 원통형 금속밸브작동로드(158)는 밸브부재(146)와 연결되어 챔버(126)를 통해 밸브작동조립체(162)로 연장한다. 밸브작동로드(158)는 챔버(126)의 종방향 중앙축과 동축에 있는 종방향의 중앙축을 갖는다. 환형 밀봉부(164)는 챔버(126)로부터 밸브작동로드를 따라 축방향으로 흐르는 코팅재료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밸브작동로드와 결합한다.
코팅 작동 중에 밸브작동조립체(162)는 밸브시트(144)로부터 밸브부재(146)를 이동시키기 위해 밸브작동로드(158)를 좌측(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으로 이동시킨다. 밸브부재(146)의 헤드단부(148)가 밸브시트(144)와의 결합 상태에서 해제될 때 가열된 코팅재료는 압력하에서 챔버(126)로부터 노즐(140)을 통해 흐르기 시작한다. 노즐(140)은 가열기(64:제1도)에 의해 가열되는 펌프(58)에 의해 가압된 코팅재료의 유동을 캔(32)의 내부(38)를 향하게 한다. 코팅재료가 밸브 조립체(138)(제5도)와 노즐(140)을 통해 캔의 내부를 향해 흐를 때 고온의 코팅재료가 위치조절핀(134) 내의 유입통로(132)와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하여 챔버(126) 내로 펌프된다.
밸브조립체(138:제5도)가 캔의 내부를 코팅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개방되어 있을 때 밸브작동조립체(162)는 우측(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향해 축방향으로 밸브작동로드(158)를 이동시킨다. 이것은 밸브조립체(138)를 폐쇄위치로 가게 하고 챔버(126)로부터의 코팅재료의 유동을 차단한다. 챔버(126)로부터 흐르는 코팅재료의 차단은 코팅재료를 챔버 내에 정체하게 한다.
밸브작동조립체(126)는 밸브작동로드(158) 상의 외부 나사와 결합하는 내부나사를 가지는 원형 피스톤(170)(제6도)을 구비한다. 피스톤(170)은 본체부(116)의 원통형 챔버(172:제6도, 제11도 및 제13도) 내에 배치된다. 환형 밀봉부(174:제6도)는 피스톤(170)으로부터 피스톤챔버(172)의 원통형 측벽과 밀폐결합으로 반경방향외향으로 연장된다. 많은 다른 밀봉부형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브리스톨, 로데 아일런드 소재의 딕선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매 가능한 “RULON” 밀봉부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피스톤챔버(172)는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하여 제어 유체(공기) 압력 공급관(100)(제1도)과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 부분(116)에 형성된 통로(180)(제6도 및 제11도 내지 제13도)와 유체연통으로 연결된다. 밀봉링(182)은 본체부와 매니폴드블록간의 제어유체압력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매니폴드블록(50)과 본체부(116)의 사이에 제공된다. 피스톤 챔버(172)에 배치된 환형 밀봉부(184)는 밸브작동로드를 따르는 제어유체압력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밸브작동로드(158)와 결합한다.
피스톤(170)은 헬리컬편향스프링(188)에 의해 피스톤 챔버(172)의 우측단부(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향해 가압된다. 그러나 밸브시트(144)와 함께 밸브부재(146)(제5도)의 결합은 피스톤(170)이 피스톤 챔버(172)의 평환형 단부면(192:제6도 및 제11)과의 접촉결합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밸브부재(146)가 제5도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 밸브작동로드(158)는 피스톤챔버(172)의 단부면(192:제6도)으로부터 이격되게 피스톤(170)을 유지한다. 그리하여 밸브부재(146:제5도)는 편향스프링(188)으로부터 밸브작동로드(158)를 통하여 전달된 힘의 영향하에서 폐쇄 상태로 되게 가압된다.
제어기(94)에 의해 개방 상태로 제어밸브(98:제1도)의 작동시에 압력하의 공기는 도관(100)을 통하여 매니폴드블록(50)에 안내된다. 공기압력은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통로(180)(제6도)를 통하여 피스톤챔버(172)로 안내된다. 챔버(172)내의 공기압력은 피스톤(170)의 우측 단부면(제6도의 도시한 바와 같이)에 대하여 가해진다.
피스톤(170)에 대하여 가해진 공기압력은 편향스프링(188)의 영향에 대항하여 좌측(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을 향해 피스톤과 밸브작동로드(158)를 이동시킨다. 피스톤(170)과 밸브부재(158)가 편향스프링(188)의 영향에 대항하여 이동될 때 밸브부재(146)의 헤드단부부분(제5도)은 밸브시트(144)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챔버(126) 내의 압력하에서 유지된 고온코팅재료는 밸브조립체(138)와 노즐(140)을 통하여 유동한다. 노즐(140)은 캔(32)(제1도)의 내부(38)를 향하는 코팅재료의 유동을 지시한다.
캔(32)의 내부가 코팅된 후에, 제어기(94:제1도)는 폐쇄상태로 제어밸브(98)를 전환시킨다. 제어밸브(98)가 폐쇄될 때 도관(100)은 대기로 나갈 구멍을 제공한다. 이 결과 피스톤챔버(172)(제5도)가 통로(180)와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하여 대기로 나갈 구멍을 제공하게 된다. 피스톤챔버(172)가 대기로 나갈 구멍을 제공할 때 편향스프링(188)은 제5도의 우측을 향하여 피스톤(170)과 밸브작동로드(158)를 이동시킨다. 이는 챔버(126)로부터 코팅재료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밸브챔버(146)의 헤드단부부분(148)을 밸브시트(144)와 결합되게 이동시킨다.
코팅재료분사건(34)은 소정온도로 코팅재료를 유지하도록 챔버(126)내의 코팅재료를 가열하는 가열기조립체(196:제5도)를 구비한다. 가열기조립체(196)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의 외부단부부분(44)까지 연장된다. 상기 가열기조립체(196)는 밸브조립체(138)와 작동기조립체(162) 사이에 배치된다.
가열기조립체(162)로부터 챔버(126)내의 코팅재료까지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해, 가열기조립체가 챔버와 동일공간을 가진다. 그러므로 가열기조립체(196)는 챔버(126)의 입구단부부분(128)에 위치한 위치로부터 챔버의 출구단부부분(13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가열기조립체(196)는 챔버(126)의 주위로 연장되고 챔버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원통형 내부면(198)을 가진다. 가열기조립체(196)의 내부면(198)의 종방향 중심축선은 밸브작동로드(158)와 챔버(126)의 종방향 중심축선과 일치한다.
가열기조립체(196)는 금속으로 형성된 원통형 가열기본체(202:제5도 및 제7도 내지 제10도)를 구비한다. 원통형 가열기본체의 외측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연장부분(122:제5도 및 제6도)과 본체 부분(116)에 형성된 원통형 내면(204:제11도 및 제14도)과 결합한다. 가열기본체(202)의 원통형 외측은 원통형 표면(204)과 협동하여 가열매체가 흐르는 다수의 통로를 형성한다.
가열기본체(202)는 가열기본체 내에 형성된 통로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챔버(126)내의 코팅재료로 방사상으로 열이 전도되도록 금속으로 형성된다. 가열기본체(202)가 챔버(126)의 전체길이에 대해 연장되기 때문에, 챔버 내의 모든 코팅재료는 가열기본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전도된 가열매체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매체입구통로(210)(제11도, 제12도 및 제24도)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에 형성된다. 가열매체는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통로(210)까지 전도된다. O링 밀봉부(212:제24도)가 제공되어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와 매니폴드블록(50)간의 가열매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가열매체는 입구통로(210)로부터 궁형 입구매니폴드통로(216:제7도 내지 제9도)로 흐른다. 입구매니폴드통로(216)는 가열기본체(202)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 사이에 형성된다. 입구매니폴드통로(216)는 반원형 배치(제7도 내지 제9도)이며 가열기본체(202)의 내단부부분에 배치된다.
입구통로(210)와 입구매니폴드통로(216)에 수용된 가열매체는 입구통로(132)와 챔버(126)에 수용된 코팅재료로부터 분리 상태로 유지된다. O링 밀봉부(220:제5도 및 제6도)는 가열기본체(202)를 따른 입구매니폴드통로(216:제7도)로부터 축방향으로의 가열매체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가열기본체(202)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분(116)의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가열기본체(202)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간의 통로를 따라서 챔버(126)로부터 코팅재료의 유동을 차단한다. 또한 O링 밀봉부(222:제5도)는 가열기본체(202)와 연장부분(122)간의 통로를 따른 챔버(126)로부터 코팅재료의 유동을 차단한다. 중공형 위치조절핀(134)을 통하여 코팅재료를 챔버(126)로 전도함으로써 챔버(126)와 거열매체의 입구매니폴드통로(216)간의 누출 가능성을 훨씬 최소화한다.
가열매체는 입구매니폴드통로(216)로부터 가열기본체(202)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통로(22:제7도, 제8도 및 제10도)로 흐른다. 가열매체는 통로(224)를 따라서 가열기본체(202)의 외부단부부분과 연장부분의 (122) 사이에 형성된 환형 매니폴드챔버(228)로 축방향으로 흐른다. 환형 매니폴드챔버(228)는 가열기본체(202)와 챔버(126)의 주위로 연장된다.
입구매니폴드통로(216), 가열매체통로(224) 및 매니폴드챔버(228)의 결합된 축선은 밸브조립체(138)가 폐쇄상태일 때 코팅재료의 정체부분이 유지된 챔버(126)의 길이와 같다. 그러므로 매니폴드입구통로(216), 축방향연장통로(224) 및 매니폴드챔버(228)에 배치된 가열매체로부터 챔버(126)에 배치된 코팅재료로 열이 방사상으로 전달된다. 가열기본체(202)는 금속의 가열기본체를 통하여 챔버(126)의 대향단부부분(128,130)에 열이 전도되도록 입구매니폴드통로(216)와 환형 매니폴드챔버(228:제5도)를 지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열매체는 복귀통로(230:제8도 및 제10도)를 따라서 환형 매니폴드챔버(228)로부터 반원형 출구매니폴드통로(232:제8도 및 제9도)까지 유동한다. 입구 매니폴드통로(216)는 가열기본체(202)에 형성된 한 쌍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형리브(234,236:제7도 내지 제10도)에 의해 출구매니폴드통로(232)로부터 분리된다. 물론, 복귀통로(230)를 통하여 환형 매니폴드챔버(228)로부터 출구매니폴드챔버(232)까지 가열매체가 전도될 때, 가열매체로부터 챔버(126)내의 코팅재료까지 열이 전달된다. 가열매체는 코팅재료분사건의 본체부(116)에 형성된 출구통로(240:제5도, 제6도, 제12도 및 제24도)를 통하여 출구매니폴드통로(232)로부터 매니폴드블록(50)까지 전도된다.
가열매체는 가열기본체(202)를 통하여 연속으로 순환된다. 가열매체는 대향방향으로 가열기본체(202)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흐른다. 그러므로 가열매체는 가열기본체(202:제8도, 제10도)의 상측에 형성된 통로(224)를 따라서 축방향외향으로 흐른다. 가열매체는 가열기본체(202)의 하측에 형성된 복귀통로(230)를 따라서 축방향내향으로 흐른다.
가열기본체(202)의 대향축상의 통로(224,230)는 챔버(126:제5도)내의 코팅재료에 인접한다. 그러므로 소정의 온도로 코팅재료를 유지하도록 가열기본체(202)의 통로(224,230)의 가열매체로부터 챔버(126)의 코팅재료까지 열이 전달된다. 비록 통로(224,230)가 선형 배치 및 가열기본체(202)의 대향측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을지라도, 통로는 나선형 배치를 가지며 가열기본체 주위로 연장된다.
가열기본체(202)의 통로(224,230)를 통하여 전도되는 가열매체로서 많은 다른 액체 형태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가열매체로서 코팅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코팅재료가 일체가열기(64:제1도)로써 가열되고 가열매체로서 코팅재료를 사용하여 다른 가열기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요시 다른 가열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챔버(126)내의 코팅재료의 본체를 가열하기 위해 전기가열기가 사용될 수 있다. 코팅재료가 가열되지 않는다면 가열기조립체(196)는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생략된다.
본체부(116)는 위치조절핀(134)이 수용된 통로(244:제6도, 제11도 및 제12도)를 가진다. 위치조절핀(134)은 가열기본체(202)에 형성된 통로(246:제7도 및 제8도)를 통하여 연장된다. 본체부(116)를 매니폴드(50)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 볼트(118:제2도)는 본체부(116)에 형성된 통로(252:제2도)를 통하여 연장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과 평행관계로 매니폴드블록(50)상의 코팅재료분사건(34)에 설치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코팅재료분사건은 매니폴드블록 또는 청소재료분사건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청소재료분사건]
청소재료분사건(42:제5도)은 청소재료의 유동을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측단부부분(44)내의 노즐(140:제5도)로 향하게 한다. 코팅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사용시에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노즐(140)상의 코팅재료의 모든 축적(build up)을 제거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의 구조 및 작동의 일반적 형태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구조 및 작동의 형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청소재료분사건(42)은 가열기를 갖지 않는다. 이것은 청소재료를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청소재료분사건(42)은 코팅재료분사건(34:제2도, 제3도 및 제4도)의 본체부(116)와 평행관계로 매니폴드블록(50)에 설치된 장방형 본체부(260)(제15도)을 구비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260)는 유체 연통으로 주 청소재료공급관(54:제1도)과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한 펌프(78)와 연결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은 본체부(2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분(262:제2도 및 제15도)을 가진다. 연장부분(262)은 본체부(260)에 연결되며, 연장부분(262)의 외측단부부분상의 노즐(264)(제2도)을 지지하도록 본체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노즐(264)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측 단부부분(44)을 향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의 노즐(264)로부터의 청소재료의 유동은 노즐(140)을 청소하도록 코팅재료분사건(34)상의 노즐에 충격을 가한다. 또한 코팅재료분사건(34)의 노즐(264)로부터의 청소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34)상의 노즐(140)의 주위 영역에 충격을 가한다. 이는 코팅재료의 유동으로 인해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측 단부부분(44)상의 축적된 코팅재료를 청소하도록 한다.
연장부분(262:제15도)은 원통형 배럴부분(268)과 유사한 직경의 원통형 로드부분(270)을 구비한다. 커넥터조립체(272)는 로드부분(270)을 배럴부분(268)에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배럴 및 로드부분(268,270)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연장부분(122:제2도)의 중심축선에 평행한 크기인 일치된 중심축선을 가진다. 로드부분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측 단부부분(44)에 인접한 노즐(264) 위치에 대해 굽힘 또는 옵셉배치를 가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압력하의 청소재료는 매니폴드블록(50:제1도)으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42)내를 통해(276:제5도)로 전달된다. 챔버(276)는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260)로부터 배럴부분(268)의 외측 단부부분에 연장된다. 청소재료는 본체부(260)와 연결된 위치조절핀(280)에 형성된 입구통로(278)를 통하여 챔버(276)에 전달된다. 입구통로(278)로부터 청소재료는 원통형 챔버(276)를 따라서 배럴부분(268)의 외측 단부부분에 배치된 밸브조립체(282)로 흐른다.
밸브조립체(28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청소재료는 원통형 챔버(284)를 통하여 로드부분(270)으로 흐른다. 청소재료는 로드부분(270)으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42)의 외측 단부부분(46)에서 노즐(264:제2도)을 통하여 흐른다. 청소재료는 배럴부분(268)과 로드부분(270)의 종방향 중심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노즐(264:제2도)밖으로 흐른다. 노즐(264)은 코팅재료분사건(34)내의 노즐(140)에 대항하여 청소재료의 유동을 조절한다.
밸브조립체(282)는 정지밸브시트(288:제15도)를 구비한다. 밸브시트(288)는 구형 헤드단부부분(292)을 가지는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290)에 의해 결합된다. 밸브부재(290)의 헤드단부부분(292)은 챔버(276)를 밀폐하고 로드부분(270)에 대해 청소재료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밸브시트(288)와 결합한다.
원통형 밸브작동로드(296)는 밸브부재(290)와 결합하여 챔버(276)를 통해 연장된다. 밸브작동로드(296)의 종방향 중심축선은 챔버(276)의 종방향 중심축선과 일치한다. 밀봉부(302)는 밸브작동로드(296)를 따라서 챔버(276)로부터의 청소재료의 유동을 차단한다.
밸브작동조립체(304)는 밸브작동로드(296)와 연결된다. 밸브작동조립체(304)는 밸브작동로드(296)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밸브작동로드(296)의 이동은 제15도에 도시한 폐쇄 상태와 밸브부재(290)의 헤드단부부분(292)이 밸브시트(288)로부터 이격된 개방상태의 사이에서 밸브조립체(282)를 작동시킨다.
밸브작동조립체(304)의 작동시에, 밸브작동로드(296)는 밸브작동조립체에 의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을 향해 이동한다. 밸브부재(290)의 헤드단부부분(292)은 밸브시트(288)와 떨어져 이동한다. 그후 챔버(276)의 청소재료는 밸브부재(290)의 헤드단부부분(292) 주위로 흐른다. 청소재료는 로드부분(270) 내의 챔버(284)로 흐른다. 그후 청소재료는 로드부분챔버(284)로부터 노즐(264)을 향하여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측 단부부분(44)을 향하여 흐른다.
밸브작동조립체(304:제15도)는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의 사이에서 밸브조립체(282)를 작동시킨다. 밸브작동조립체(304)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밸브작동조립체(162)와 동일한 구조 및 작동형태를 가진다. 그러므로, 밸브작동조립체(304)는 밸브작동로드(296)상의 외부나사와 결합하는 내부나사를 가지는 원형 피스톤(308)을 구비한다. 피스톤(308)은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260)에 형성된 피스톤챔버(310)에 배치된다. 피스톤챔버(310)는 매니폴드블록(50)과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260)에 형성된 입구통로(314:제15도)를 통하여 유체연통으로 제어유체(공기) 도관(104)과 연결된다.
개방조건에 대한 제어밸브(102:제1도)의 작동시에, 제어유체, 즉, 압력하의 공기는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하여 입구통로(314)로 전달된다. 피스톤(308)으로 인한 제어 유체 압력은 편향스프링(318)의 영향에 대항하여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을 향해 이동한다. 피스톤(308)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 밸브작동로드(296)는 밸브부재(290)의 헤드단부부분(292)을 밸브시트(288)로부터 멀리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청소재료가 챔버(276)로부터 개방 밸브조립체(282)를 통하여 로드부분(270)내의 챔버(284)안으로 흐르도록 한다. 청소재료를 로드부분의 챔버(284)로부터 노즐(264)을 통하여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측 단부부분(44)을 향하여 흐른다.
분사건의 외측 단부부분을 향하는 청소재료의 유동이 축적된 코팅재료를 청소하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될 때, 제어밸브(102)는 제어기(94:제1도)에 의해 폐쇄상태로 작동된다. 폐쇄상태에 대한 제어밸브(102)의 작동시에 도관(104)은 대기로 개구를 제공한다. 이 결과 입구통로(314:제15도)와 피스톤챔버(310)가 매니폴드블록(50)과 도관(104)을 통하여 대기로의 개구를 제공한다.
대기로의 피스톤챔버(310)의 개구의 제공시에, 편향스프링(318)은 피스톤(308) 및 밸브작동로드(296)를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밸브작동로드(296)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은 밸브부재(290)를 개방위치로부터 원래의 제15도의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폐쇄상태로의 밸브부재(290)의 이동은 밸브조립체(282)를 통하여 청소재료의 유동을 차단하여 코팅재료분사건(34)의 노즐(264)로부터 청소재료의 유동을 차단한다.
환형 밀봉부(322)는 피스톤챔버(310)의 원통형 측벽과 피스톤간의 유체유동을 차단하도록 피스톤(308)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밀봉부(322)는 브리스톨, 로데오 아일랜드 소재의 딕선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매 가능한 “RULON” 밀봉부가 적합하다. 밀봉부(324)는 밸브작동로드를 따라서 피스톤챔버(310)로부터 제7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밸브작동로드(96)와 결합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을 따라서 매니폴드블록(50)상에 청소재료분사건(42)을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두 분사건은 매니폴드블록 없이 이용될 수도 있다.
[매니폴드블록-입구와 출구의 연결]
매니폴드블록(50)은 코팅재료공급관(52), 코팅재료복귀관(70), 주청소재료공급관(54) 및 제어유체(공기)도관(100,104:제1도)과 유체연통으로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에 연결된다. 매니폴드블록(50)의 수직 후방 측부(330:제17도)는 다양한 공급 및 복귀관(52,70,54 및 104:제1도)과 연결된다. 매니폴드블록의 수평 상측부(332:제16도)는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을 연결한다.
매니폴드블록(50)의 수직 후방 측부(330)(제1도 및 제17도)와의 도관접속은 코팅재료공급관(52:제1도)과 연결된 코팅재료입구(340:제17도)를 구비한다. 매니폴드블록(50)도 코팅재료복귀관(70:제1도)과 연결된 코팅재료출구(342:제17도)를 가진다. 매니폴드블록(50)내의 청소재료입구포트(344:제17도)는 주청소재료공급관(54:제1도)과 연결된다. 매니폴드블록(50)내의 제어유체입구(346:제17도)는 제어유체(공기)도관(100)과 연결된다. 매니폴드블록(50)내의 제2제어유체입구(348)는 제어유체(공기)도관(104)과 연결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 및 청소재료분사건(42)과 함께 매니폴드블록의 상측부(332)에서의 유체연결은 코팅재료출구(352:제16도)를 구비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에 의해 캔(32)에 도포될 코팅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출구(352)를 통하여 매니폴드블록(50)을 떠난다. 코팅재료분사건(34)상의 위치조절핀(134:제5도)은 코팅재료출구(352:제16도)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는 코팅재료가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34)내의 챔버(126:제5도)에 전달된다.
많은 다른 재료형태가 코팅재료분사건(34)을 위한 가열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가열된 코팅재료자체가 가열매체로서 이용된다. 코팅재료입구(340:제17도)로부터의 코팅재료의 유동의 일부는 매니폴드블록(50)의 상측부(332)에서 형성된 가열매체출구(354:제16도)에 전달된다. 고온코팅재료는 매니폴드블록(50)내의 가열매체출구(354)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34)내에 형성된 가열매체입구(210:제11도, 제12도 및 제24도)까지 흐른다.
가열매체(코팅재료)가 코팅재료분사건(34)내의 가열기 조립체(196:제5도)를 통하여 전달된 후에, 가열매체는 코팅재료분사건의 본체부(116)내의 출구포트(240:제5도 및 제24도)를 통하여 코팅재료분사건(34)을 떠난다. 가열매체(코팅재료)는 매니폴드블록의 상측부(332)에서 가열매체입구(356:제16도)를 통하여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매니폴드블록(50)으로 흐른다. 가열매체입구(356)는 가열매체출구(342:제17도)와 복귀관(70:제1도)과 연결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은 비작동 상태로부터 제어유체압력, 즉, 공기압력에 의해 캔(32)의 내부(38)를 향하여 코팅재료의 유동(36:제1도)을 지시하는 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매니폴드블록(50)의 상측부(332)에 형성된 제어유체출구(360:제16도)는 제어유체압력을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흐르도록 한다. 제어유체출구(360)는 입구통로(180)를 통하여 코팅재료분사건(34)내의 밸브작동조립체(162:제5도 및 제6도)와 연결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을 위한 청소재료는 매니폴드블록(50)의 상측부에 형성된 청소재료출구(364:제16도)를 통하여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청소재료분사건까지 전달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상의 중공형 위치조절핀(280:제15도)은 매니폴드블록(50)내의 청소재료출구(364:제16도)에 신축자재로 수용된다. 그러므로 청소재료는 청소재료출구(364)로부터 중공위치조절핀(280)을 통하여 청소재료분사건(42)내의 챔버(276)로 전달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내의 밸브작동조립체(304:제15도)의 효과적 작동을 위한 제어유체압력(공기)은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매니폴드블록의 상측부(332)에 형성된 제어유체출구(366:제16도)에서 전달된다. 제어유체압력(공기)은 출구포트(366)로부터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260)에 형성된 입구포트(314:제15도)에 전달된다.
제어유체압력은 제15도에 도시한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까지 밸브조립체(282)의 효과적 작동을 위해 밸브작동조립체(304)에 전달된다.
[매니폴드블록-코팅재료통로]
매니폴드블록에 전달된 모든 코팅재료는 가열되어 코팅재료입구(340:제17도)에서 매니폴드블록으로 들어간다. 코팅재료입구(340)로부터 가열된 코팅재료는 수평통로(372:제18도)를 통하여 교차부(374)로 흐른다. 교차부(374)에서 코팅재료의 입구유동은 가열매체로 작용하는 코팅재료유동과 캔에 도포되는 코팅재료유동으로 분리된다. 두 코팅재료의 유동은 교차부(374)로부터 하류로 서로 분리상태로 유지된다. 가열매체로서 작용하는 코팅재료유동은 교차부(374)로부터 통로(376)를 통하여 매니폴드블록(50)의 상측부(332)에 형성된 가열매체출구(354:제16도 및 제18도)까지 상향으로 직접 전달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내의 밸브조립체(138:제5도)가 개방될 때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캔에 도포되도록 코팅재료분사건(34)까지 안내되는 코팅재료의 유동에 압력강하가 발생한다. 압력강하가 예정된 압력강하보다 크다면, 코팅재료분사건(34)내의 노즐(140:제5도)을 통한 통로(154)는 마모되며 마모가 매우 크다. 압력강하가 예정된 압력강하보다 작다면 코팅재료분사건노즐(140)은 막히게 된다. 장치(380):제18도 및 제19도)는 코팅재료분사건 밸브조립체(138)가 개방상태로 작동될 때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검출한다. 이는 노즐상태를 결정하여 노즐상태가 불만족스러울 때 수정 작용을 취하도록 한다.
장치(380)는 트랜스듀서(384:제19도)를 구비한다. 트랜스듀서(384)는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챔버(386)내에 설치된다. 트랜스듀서(384)는 코팅재료분사건 밸브조립체(138:제5도)에 전달된 코팅재료 유동 내의 압력에 노출된다. 트랜스듀서(384)는 상기 압력을 지시하는 전기출력신호를 제공한다.
억제기(390:제18도 및 제19도)는 교차부(374:제18도) 및 트랜스듀서(384) 사이의 챔버(392)내에 설치된다. 억제기(390)는 가열매체로서 작용하는 코팅재료의 본체로부터 그리고 코팅재료공급관(52:제1도)으로부터 트랜스듀서(384)를 분리시킨다. 억제기(390)는 참조에 의해 본원에 합체된 1984년 2월 14일자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노즐막힘 감지방법 및 장치”인 미국 특허 제4,430,886호에 설명된 억제기와 같은 구조이다. 트랜스듀서(384)는 참조에 의해 본원에 합체된 1987년 5월 26일자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분배기 오작동 검출기”인 미국 특허 제4,668,94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노즐(140)의 상태를 제어 회로와 협동하여 모니터한다.
트랜스듀서(384)를 매니폴드블록(50)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필요시 트랜스듀서는 코팅재료분사건(3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캔에 도포된 코팅재료는 입구통로(372)와 교차부(374)(제18도)로부터 억제기 챔버(제18도 및 제19도)를 교차하는 통로(396)를 따라서 억제기 챔버(392)까지 흐른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억제기 챔버(392)의 우측 단부부분은 적합한 플러그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므로 코팅재료는 통로(396)로부터 억제기(390)를 통하여 매우 짧은 교차 통로(400:제19도)로 트랜스듀서 챔버(386)까지 흐른다. 그러므로 트랜스듀서(384)는 억제기(390)를 통하여 전달된 코팅재료에만 노출된다.
억제기(390)와 통로(400)로부터 코팅재료가 통로(404)를 따라 상향 및 측방향으로 흐른다. 통로(404)의 하단부(제19도 참조)는 적절한 플러그로 막힌다. 통로(404)의 다른쪽 단부도 내부 나사를 갖는 개구(406)에 수용된 플러그로 막힌다. 개구(406:제19도 참조)는 통로(404)에 포함되는 잉여 코팅재료의 체적을 최소로 하도록 매니폴드블록의 내부에 배치된다. 개구(406)속의 플러그에 대한 접근은 접근통로(408)를 통해 이루어진다.
캔(32)에 도포하기 위한 코팅재료는 통로(404)로부터 통로(412)를 통해 수직연장통로(414:제20도)로 흐른다. 통로(414)는 코팅재료출구(352:제16도 및 제20도)와 연결된다. 코팅재료출구(352)로부터 코팅재료는 중공형 위치조절핀(134:제5도)을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 속의 챔버(126)로 흐른다.
코팅재료출구(352:제16도 및 제20도)를 통해 흐르는 모든 코팅재료는 코팅재료분사건(34)에 의해 캔(32)에 도포된다. 그러나, 코팅재료분사건(34) 속의 가열매체로서 기능하는 코팅재료는 연속적으로 순환된다. 앞서 말했듯이 가열매체는 교차부(374:제18도)로부터 통로(376) 및 가열매체 출구(354)를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흐른다.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복귀하는 가열매체는 가열매체입구(356:제16도 및 제18도)에서 매니폴드블록으로 들어간다. 가열매체의 복귀운동은 입구(356:제18도)로부터 수평통로(458)로 아래로 안내된다. 통로(458)의 단부는 내부 나사를 갖는 개구(460)의 적절한 플러그로 막힌다. 수평통로(458)는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하향경사통로(462:제21도)와 연결된다. 통로(462)의 하단부는 내부나사를 갖는 개구(464) 속의 적절한 플러그로 막힌다. 통로(462)의 하단부는 가열매체출구(342:제17도 및 제22도)로 수평 연장하는 통로(제21도 및 제22도)와 연결된다.
[매니폴드블록-청소재료통로]
주청소재료보급관(54:제1도)은 청소재료입구(344:제17도)와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된다. 청소재료입구(344)로부터 청소재료는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청소재료출구(364:제16도)로 흐른다. 그러므로, 청소재료입구(344:제17도)로부터 청소재료는 구멍(345:제19도)를 따라 구멍(470)으로 수평으로 흐른다. 청소재료는 이어서 수평통로(470:제23도)를 따라 청소재료출구(346)와 연결된 수직연장통로(472)로 흐른다. M 청소재료분사건(42)상의 중공형 위치조절핀(280)은 청소재료출구(364)에 의해 신축이 자유롭게 수용된다.
[매니폴드블록-제어유체통로]
코팅재료분사건(34) 속의 밸브작동조립체(162:제5도)를 작동하는 제어유체(공기)는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제어유체 입구(346:제17도)로부터 제어유체출구(360:제16도)로 안내된다. 제어유체는 입구(346:제20도)로부터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되고 제어유체입구(346)와 제어유체출구(360)의 사이에서 연장하는 L자형 통로(476)를 통해 흐른다.
청소재료분사건(42)을 작동시키는 제어유체통로는 매니폴드블록(50)을 통해 제어유체입구(348:제17도)로부터 제어유체출구(제16도)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거의 L자형인 통로(480:제23도)는 제어유체입구(348)와 제어유체출구(366)를 상호 연결한다. 제어유체출구(366)는 청소재료분사건(42) 속의 밸브작동조립체(304)와 연결된다.
[매니폴드블록에 대한 분사건의 위치조절]
코팅재료분사건(34)이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코팅재료분사건(34)이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지 않으면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단부(44:제1도)에 있는 노즐(140:제5도)이 캔(32)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지 않는다. 노즐(140)이 캔(32)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지 않으면 코팅재료의 유동(36)이 캔의 내측(38)에 적절히 도포되지 않는다.
또한, 코팅재료분사건(34)이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어 매니폴드블록의 상부측(332)의 다양한 입출구들이 코팅재료분사건 하부측(482)의 다양한 입출구들에 대해 일치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매니폴드블록(50)의 상부측(332)에 있는 코팅재료출구(352:제16도)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의 코팅재료입구(132:제24도)와 일치되어야 한다.
매니폴드블록(50)의 상부측(332)에 있는 가열매체출구(354:제16도)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 속으로 안내되는 가열매체가 통과하는 가열매체입구(210:제24도)와 정확히 일치되어야 한다.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한 가열매체입구(356:제16도)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의 바닥에 형성된 가열매체출구(240:제24도)와 정확히 일치되어야 한다. 결국, 매니폴드블록(50)의 상부측(332)에 있는 제어유체출구(360)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의 바닥에 형성된 제어유체입구(180:제24도)와 정확히 일치되어야 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을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하기 위해 3점 위치조절시스템이 이용된다. 3점 위치조절시스템은 위치조절핀(134:제5도 및 제24도)을 포함한다. 위치조절핀(134)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로부터 아래로 연장하고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코팅재료 출구(352:제16도 및 제20도)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다.
2개의 볼트, 즉, 패스너(118:제2도 및 제24도)는 3점 위치조절시스템의 나머지 2개 부재를 이룬다. 볼트(118)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를 통해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내부나사를 갖는 개구(484:제16도)와의 결합부속으로 연장한다. 중공형 배치핀(134)과 두 개의 볼트(118)로 이루어진 3점 위치조절시스템을 가짐으로써 코팅재료분사건(34)은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된다. 이는 코팅재료분사건(34)이 수리를 위해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분리전과 동일한 위치로 매니폴드블록과 다시 연결되게 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이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스런 것이다. 청소재료분사건(42)의 정확한 위치조절은 청소재료의 유동이 청소재료분사건(42)상의 노즐(140)을 향한 청소재료분사건 상의 노즐(264:제2도)에 의해 정확히 지향되게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청소재료분사건(42) 속으로 흐르는 청소재료가 통과하는 입구통로(278:제25도)가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청소재료출구(364:제16도)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는 것도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청소재료분사건(42)에 형성된 제어유체입구통로(314:제25도)가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제어유체출구(366:제16도)에 대해 정확히 배치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청소재료분사건(42)을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정확히 배치하기 위해 3점 위치조절시스템이 청소재료분사건(42)을 매니폴드블록에 대해 정확히 배치하는 데에 이용된다. 청소재료분사건(42)을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위치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3점 위치조절시스템은 코팅재료분사건(34)을 매니폴드블록(50)에 대해 위치 조절하기 위해 이용된 3점 위치조절시스템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중공형 위치조절핀(280:제15도 및 제25도)은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청소재료출구(364:제16도 및 제23도)에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다. 볼트(488:제2도 및 제25도)는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260)를 통해 매니폴드블록(50)에 형성된 내부나사를 갖는 개구(490:제16도)와의 결합부속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3점 위치조절시스템은 중공형 위치조절핀(280)과 두 개의 장착볼트(488)에 의해 이루어진다.
[코팅재료분사건의 청소]
코팅재료분사건(34:제5도 및 제6도)의 작동 중에 코팅재료는 밸브작동로드(158)를 따라 밀봉부(164)를 지나서 공간(500:제6도) 속으로 누설하기 쉽다. 공간(500)은 밀봉부(164)와 밸브작동조립체(162)용 밀봉부(184)의 사이에 있다. 코팅재료가 공간(500)내에 들어가면 코팅재료는 결국 코팅재료분사건(34)이 오작동되게 한다. 이러한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청소재료는 공간(500)을 통해 안내되어 공간 내에 있는 모든 코팅재료를 제거해야 한다.
청소재료를 공간(500)을 통해 유동시키기 위해 2차적인 청소재료관(88:제1도 및 제26도)이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260)와 연결된다. 청소재료는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에 형성된 통로(504:제15도 및 제26도)를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에 형성된 통로(506:제26도)로 안내된다. 청소재료는 통로(506)로부터 공간(500) 속으로 밸브작동로드(158:제6도)의 둘레로 흐른다.
도시의 명료성을 위해 통로(504,506)는 제5도와 제6도 및 제15도에서 통로(504,506)의 실제위치로부터 90°까지 옵셋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통로(504,506)의 종방향 중심축은 제5도와 제6도 및 제15도에서 보이듯이 매니폴드블록의 상측면에 직각이기 보다는 매니폴드블록(50)의 상측면(33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밀봉부(164)와 밀봉부(184:제6도)의 사이의 공간(500)에 배치된 밸브작동로드부분의 둘레로의 유동 이후에 청소재료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외부로 복귀관(90)으로 흐른다. 청소재료분사건(42) 속으로 안내되는 청소재료가 통과하는 입구관(88)과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부터 안내되는 청소재료가 통과하는 복귀관(90)의 사이의 공간 관계는 제4도에 정확히 도시되어 있다. 도관(88,90)의 방향은 제5도와 제6도 및 제15도에는 도시의 명료성을 위해 그 실제위치로부터 옵셋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청소재료가 청소재료분사건(42)의 본체부(260)의 통로(504:제26도)를 통해 흐를 때 청소재료를 밸브작동로드(296:제15도)의 둘레로 흐른다. 이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닐지라도 청소재료분사건(42)용 밸브작동로드(296)가 청소되게 한다. 그러므로, 오직 청소재료만이 챔버(276)로부터 밸브작동로드(296:제15도)를 따라 누설할 수 있다. 단지 공기만 밸브작동로드(296)를 따라 밸브작동조립체(304)로부터 밀봉부(324)를 지나 누설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재료를 청소재료분사건(42)을 통해 코팅재료분사건(34)으로 안내하는 것은 작동적 관점에서 보아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코팅재료분사건의 청소재료분사건에 대한 병렬관계로 인한 편의상 행해지는 것이다. 코팅재료분사건(34)의 밀봉부(164)를 지나 누설하는 모든 코팅재료를 제거하는 청소재료가 청소재료분사건(42)을 통해 안내되기 보다는 매니폴드블록(50)으로부터 공간(500)으로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었다.
[조절 밸브부재 작동 행정]
캔(32)의 내측(38)을 향한 코팅재료의 유동(36:제1도)을 적절한 방식으로 적절한 유속으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밸브부재(146:제5도)의 작동행정이 정확히 설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밸브부재(146)가 밸브작동조립체(162)의 피스톤(170)에 의해 그 작동 행정을 통해 이동되므로 피스톤의 이동범위가 적절한 밸브작동행정으로 얻도록 조절 가능하다.
밸브부재(146)가 그 작동행정을 통해 완전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피스톤(17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밀봉부(174)상의 좌측(제6도 참조)상의 환형 백업와셔(512)가 하우징(114)상의 고정된 환형 정지면(514)에 맞닿을 때까지 피스톤(170)의 좌향 이동이 계속된다. 정지면(514)은 하우징(114)의 이격부(516)상에 형성된다. 이격부(516)는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에 연결된다.
피스톤(170)과 백업와셔(512)의 밸브작동로드(158)에 대한 위치는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146)의 작동 행정을 조절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밸브작동로드(158)의 단부 상에 형성된 외부나사(520:제6도)는 밸브작동로드를 그 종방향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피스톤(170)과 백업와셔(512)가 정지면(514)을 향해서나 또는 정지면으로부터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밸브작동로드(158)를 회전시켜 피스톤(170)과 백업와셔(512)를 우측(제6도 참조)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스톤(170)과 백업와셔(512)가 정지면(514)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이는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146:제5도)의 작동행정이 증가되게 한다. 역으로, 밸브작동로드(158)가 그 종축의 둘레로 회전되어 작동로드나사(520)가 피스톤(170) 및 백업와셔(512)를 정지면(514)을 향해 이동시키게 하면 밸브부재(146)의 작동행정은 감소된다.
환형심(shim), 즉, 이격부재(522:제27도)가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146)의 작동행정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된다. 심(522)은 완전폐쇄위치와 완전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밸브부재(148)가 통과될 적절한 거리와 동일한 축방향두께를 갖는다. 하우징의 조립을 완료하기 전에 심(522)은 백업와셔(512:제27도)의 상향으로 대면한 쪽의 면(523)에 배치된다. 이격부(516)는 이어서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에 볼트 고정된다.
심(522)이 백업와셔(512)에 배치될 때 피스톤(170)은 밸브작동로드(158) 상의 나선(520)의 하부단부(제27도 참조)의 근처에 있다. 따라서, 이격부재(516)가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에 고정될 때 심(522)의 상부쪽 면(제27도 참조)과 이격부재(516)상의 정지면(514)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이때, 록크너트(524)가 밸브작동로드(158)상의 나선(520)의 상단부(제27도 참조)의 근처에 배치된다.
심(522)의 상부쪽 면은 정지면(514)과의 홍예결합부로 이동된다. 심(522)의 상부쪽 면과 정지면(514)의 사이를 홍예 결합시키기 위해 밸브작동로드(158)는 시계방향(재28도 참조)으로 회전된다. 이는 피스톤(170)과 밸브작동로드(158)의 사이의 나선결합이 피스톤을 위로(제27도 참조) 이동시키게 한다.
밸브작동로드(158)가 피스톤(170)을 상승시키도록 회전하는 동안에 피스톤은 하우징(114)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어야 한다. 피스톤(170)의 하우징(114)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D홀와셔(526:제27도 및 제28도)가 피스톤(17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D홀와셔(526)는 평편한 측면(528)을 갖는 중앙개구를 갖는다. D홀와셔(526)의 중앙개구 상의 평편한 측면(528)은 피스톤(170:제27도)의 상단부에 형성된 평편한 측면(528)에 의해 결합된다. D홀와셔(526)의 슬롯(534)은 이격부(516:제28도)에 형성된 슬롯(536)과 일치된다.
스크류드라이버나 특정 형태의 리테이너부재가 D홀와셔(526) 및 이격부(516)에 형성된 슬롯(534,536)속에 삽입되어 피스톤(170)이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D홀와셔(526)는 D홀와셔(526)상의 평편한 측면(528)과 피스톤(170)상의 평편한 면(530)의 결합에 의해 피스톤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격부(516)는 단부(516)에 형성된 구멍(540:제28도)에 수용되고 본체부(116)에 형성된 내부나사를 갖는 구멍 속으로 연장하는 적절한 볼트에 의해 본체부(116)에 고정된다.
밸브작동로드(158)의 상단부(제27도 참조)의 반대쪽에 형성된 평편한 면(544)을 결합시키기 위해 랜치가 이용된다. 밸브작동로드(158)의 회전 중에 피스톤(170)은 스크류드라이버, 즉, 리테이너부재의 D홀와셔(526)와 이격부(516)의 슬롯(534,536)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는 밸브작동로드가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170)이 나선(520)에 의해 밸브작동로드(158)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되게 한다.
심(522)의 상부쪽 면이 정지부(514)와 홍예 결합할 때 밸브부재(146:제5도)는 밸브시트(144)에 대해 단단히 눌린다. 그러므로, 이때 밸브부재(146)는 그 폐쇄 위치에 있는다. 이어서, 록크너트(524)가 D홀와셔(526)에 대해 아래로 이동되어 피스톤(170)이 밸브작동로드(158)에 대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본체부(116) 상의 제위치에 이격부(516)를 유지하는 볼트가 제거된다. 이격부(516)는 본체부(116)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이어서, 심(522)이 제거된다. 심이 제거되었을 때 이격부(516)는 본체부(116)와의 결합위치로 재배치된다. 이때 백업와셔(512)의 상부쪽 면과 정지면(514)의 사이의 공간을 심(522)의 두께 및 밸브부재(146)의 적절한 작동행정과 정확히 대응한다.
이어서, 이격부(516)와의 홍예 결합부에 편향스프링 하우징(554:제5도 및 제6도)이 배치된다. 이어서, 적절한 볼트를 이용하여 편향스프링 하우징(554)을 코팅재료분사건(34)의 본체부(116)와 결합시킨다. 이러한 볼트는 이격부(516)를 통해 연장한다. 이렇게 되고 나면 편향스프링(188)은 피스톤(170)을 우측(제5도 참조)을 밀어 밸브시트(144)에 대해 밸브부재(146)을 누른다.
유압이 입구통로(1809)를 통해 피스톤챔버(172)로 안내될 때 피스톤(170)은 심(522)의 축방향두께와 동일한 작동행정을 통해 좌측(제5도 참조)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밸브부재(146)는 피스톤(170)에 의해 적절한 거리를 거쳐 완전개방위치로 이동된다.
앞서의 설명은 코팅재료분사건(34)이 적절한 작동행정으로 갖는 밸브부재(146)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방식에만 관한 것이다. 그러나, 청소재료분사건(42:제15도)도 밸브부재(290)에 적절한 작동행정을 제공하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결어]
본 발명은 캔(3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가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방법 및 장치(30)를 제공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은 매니폴드블록(50)에 연결되며 코팅재료의 유동(36)을 캔(32)의 내면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청소재료분사건(42)고 매니폴드블록(50)에 연결되며 청소재료의 유동을 청소재료분사건(42)의 노즐(140)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코팅재료분사건(34)과 청소재료분사건(42)은 분사건의 각각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위치조절소자를 이용하여 매니폴드블록에 대해 정확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코팅재료분사건(34)은 하나의 위치조절핀(134)과 두 개의 볼트(118)에 의해 위치 조절된다. 청소재료분사건은 하나의 위치조절핀(280)가 두 개의 볼트(488)에 의해 위치 조절된다. 청소재료의 유동은 코팅재료분사건의 적어도 일부를 청소하기 위해 코팅재료분사건(34)을 통해 안내된다.
코팅재료분사건(34)은 코팅재료분사건의 코팅재료를 가열하는 가열기 조립체(196)를 포함한다. 가열기 조립체(196)는 코팅재료분사건(34)이 비작동상태일 때 코팅재료의 일부가 고이게 되는 챔버(126)를 따라 가열매체를 안내한다. 가열매체는 적절히 가열된 코팅재료이다.
비작동상태와 작동상태의 사이에서의 코팅재료분사건(34)의 작동 중에 코팅재료가 흐르는 통로(404:제19도 참조)의 유압은 변화 무쌍하다. 트랜스듀서(384)가 통로(404)의 유압에 노출되어 통로내압변화를 감지한다. 트랜스듀서는 억제기(390)에 의해 가열기조립체(196)를 통해 안내되는 코팅재료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코팅재료분사건(34:제5도)이나 청소재료분사건(42:제15도)의 밸브조립체(138,282)는 밸브부재(146,280)가 완전개방위치와 완전폐쇄위치의 사이의 예정거리를 지나 이동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밸브부재(146)가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동안 이격부재, 즉, 심(522)이 밸브부재에 연결된 면과 하우징(114)에 연결된 면(514)의 사이에 배치된다. 밸브부재(146)가 하우징(114)상의 면(514)에 대해 이격부재, 즉, 심(522)을 누르도록 조절된 후에 이격부재가 제거된다.

Claims (10)

  1. 매니폴드블록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으로 코팅재료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1도관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으로 청소재료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2도관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매니폴드블록을 통해 상기 제1도관수단에 유체 연통관계로 연결되어 코팅재료의 유동을 캔의 내면을 향해 지향시키며 코팅재료의 유동이 통과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코팅재료분사건 수단 및,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매니폴드블록을 통해 상기 제2도관수단과 유체 연통관계로 연결되어 청소재료의 유동을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의 상기 노즐을 향해 지향시키는 청소재료분사건 수단을 포함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을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의 사이에 연장하는 적어도 3개의 위치결정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을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대해 위치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이 코팅재료의 유동 상기 노즐로 안내하는 제1분사건통로수단과, 상기 제1분사건 통로수단에 인접하게 가열매체의 유동을 안내하여 열이 가열매체로부터 상기 제1분사건통로수단의 코팅재료로 전달되게 하는 제2분사건통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블록은 코팅재료의 유동을 상기 제1분사건통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1매니폴드블록통로수단과 가열매체의 유동을 상기 제2분사건통로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매니폴드블록통로수단 및 상기 제2분사건통로수단으로부터의 가열매체유동을 수용하며 상기 제1 및 제2매니폴드블록통로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제3매니폴드블록통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건통로수단이 상기 제2매니폴드블록통로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분사건통로수단을 통해 상기 제3매니폴드블록통로수단으로의 가열매체의 유동 중에 가열매체의 유동을 사익 제1분사건통로수단의 코팅재료로부터 분리하여 유지하는 분리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건통로수단을 통해 안내되는 코팅재료의 유동에서의 유압변화를 감지하는 트랜스듀서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과 상기 청소재료분사건 수단이 상기 매니폴드블록 상에 병렬관계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7. 매니폴드블록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으로 코팅재료의 유동을 안내하는 도관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매니폴드블록을 통해 상기 도관수단에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되어 코팅재료의 유동을 캔의 내면을 향해 지향시키는 코팅재료분사건 수단 및,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의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블록의 사이에 연장하는 적어도 3개의 위치결정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을 상기 매니폴드블록에 대해 위치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조절수단이 상기 매니폴드블록과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의 사이에서 안내되는 코팅재료의 유동이 통과하는 중공형 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9. 코팅재료의 유동을 캔의 내면을 향해 지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그 일부를 청소하기 위해 그것을 통해 청소재료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입구와 출구를 갖는 제1통로수단을 포함하는 코팅재료분사건 수단과, 상기 제1통로수단의 입구에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된 청소재료 보급관수단과, 상기 제1통로수단의 출구에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된 청소재료 복귀관수단, 및 상기 청소재료 보급관수단으로부터 상기 청소재료 복귀관수단으로의 청소재료의 유동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과 병렬로 배치되어 청소재료의 유동을 상기 코팅재료분사건 수단의 일부를 향해 지향시키는 청소재료분사건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청소재료분사건 수단은 상기 청소재료분사건 수단을 통한 청소재료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2통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통로수단은 상기 제1통로수단과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수단은 상기 제1통로를 통한 상기 청소재료공급 및 청소재료 복귀관수단 중 제1의 것과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되며, 상기 제1통로수단은 상기 제2통로수단을 통한 상기 청소재료공급 및 청소재료 복귀관수단 중 제2의 것과 유체연통관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재료를 도포하는 장치.
KR1019930004792A 1992-03-27 1993-03-26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KR100257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9,343 1992-03-27
US07/859,343 US5296035A (en) 1992-03-27 1992-03-27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ating material
JP859,343 1992-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50A KR930019850A (ko) 1993-10-19
KR100257950B1 true KR100257950B1 (ko) 2000-06-01

Family

ID=2533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792A KR100257950B1 (ko) 1992-03-27 1993-03-26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296035A (ko)
EP (1) EP0562888B1 (ko)
JP (1) JP3418218B2 (ko)
KR (1) KR100257950B1 (ko)
CA (1) CA2091542A1 (ko)
DE (1) DE6930816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219A (en) * 1993-11-04 1994-11-29 Nord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solder flux to a printed circuit
US5564877A (en) * 1995-01-10 1996-10-15 Reynolds Metals Company Liner machine for applying sealing compound to can ends
US5755884A (en) * 1996-04-10 1998-05-26 Nordson Corporation Coating assembly with pressure sensing to determine nozzle condition
US5993564A (en) * 1997-02-07 1999-11-30 Matthew J. C. Witt Piston cleaning and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US5941456A (en) * 1997-06-17 1999-08-24 Nordson Corporation Nozzle cleaning system including coating spray gun cover for can coating system
US5850976A (en) * 1997-10-23 1998-12-22 The Eastwood Company Powder coating application gu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DE69905756T2 (de) * 1998-12-03 2004-02-19 Nordson Corp., Westlake System zum auftrag von heissschmelzmaterialien mit einer hochtemperaturbeständigen drucksteuerung und einem geheizten, rezirkulierenden verteiler
IT1310460B1 (it) 1999-09-01 2002-02-18 Gd Spa Dispositivo gommatore .
US7172138B2 (en) * 2001-01-31 2007-02-06 Nordson Corporation Powder spray gun mount and cleaning arrangements
DE10134149B4 (de) * 2001-07-13 2014-01-16 Maschinen- Und Stahlbau Julius Lipper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Innenglasieren eines weißgetrockneten Keramikgegenstandes
US7014808B2 (en) * 2002-03-05 2006-03-21 The Coca-Cola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the interior surface of a straw
US8261631B2 (en) * 2002-09-23 2012-09-11 Computrol, Inc. Rotary machine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tations
US7179333B2 (en) * 2002-09-23 2007-02-20 Computrol, Inc. Closure sealant dispenser
US7208046B1 (en) * 2003-01-10 2007-04-24 White Electronic Designs Corporation Spray coating apparatus and fixtures
US7592033B2 (en) * 2003-07-08 2009-09-22 Computrol, Inc Variable fluid dispenser
JP5010336B2 (ja) * 2007-04-25 2012-08-29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塗装用マニホールド自動スプレーガン
CN103561881B (zh) * 2010-12-14 2015-11-25 佩纳尔维工业有限公司 用于多形式大规格金属帽的间歇性转动涂胶-折边机器
EP3391973B1 (en) * 2014-04-21 2020-07-15 Toyo Seikan Co., Ltd. Application apparatus
CN112246490A (zh) * 2020-10-15 2021-01-22 湖州吴兴久虹机械有限公司 一种双工位式专用于管类件内壁的滚涂设备
CN113967548B (zh) * 2021-10-11 2022-09-27 重庆特铺路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厚度检测功能的自动喷涂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9349A (en) * 1960-03-02 1965-04-20 Cameron Machine Co Rewind machines
US3176922A (en) * 1960-07-14 1965-04-06 Herman W Decker Spray gun
US3179341A (en) * 1962-06-19 1965-04-20 Binks Mfg Co Spray gun
US3445262A (en) * 1965-04-01 1969-05-20 American Flange & Mfg Method for lining container closures
IT995407B (it) * 1972-09-22 1975-11-10 Comalco Prod Pty Ltd Complesso per la pulitura di ugelli di spruzzatura mediante un solvente
US3995075A (en) * 1974-04-18 1976-11-30 Continental Can Company, Inc. Inside stripe by intermittent exterior spray guns
JPS56161870A (en) * 1980-05-14 1981-12-12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long pipe having small diameter
JPS6049425B2 (ja) * 1980-06-12 1985-11-01 東洋製罐株式会社 継目を被覆したテイン・フリ−・スチ−ル製溶接罐
US4430886A (en) * 1982-01-15 1984-02-14 Nord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clogged nozzle
US4668948A (en) * 1983-03-10 1987-05-26 Nordson Corporation Dispenser malfunction detector
JPS6116537A (ja) * 1984-07-03 1986-01-24 Toshiba Corp 高周波半導体装置
US4886013A (en) * 1989-01-12 1989-12-12 Nordson Corporation Modular can co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2888B1 (en) 1997-02-19
DE69308165T2 (de) 1997-09-18
CA2091542A1 (en) 1993-09-28
US5455067A (en) 1995-10-03
KR930019850A (ko) 1993-10-19
DE69308165D1 (de) 1997-03-27
EP0562888A1 (en) 1993-09-29
JPH067716A (ja) 1994-01-18
JP3418218B2 (ja) 2003-06-16
US5296035A (en)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950B1 (ko)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KR100489454B1 (ko) 액체분배장치
US10150134B2 (en) Liquid dispensing applicators having backpressure contro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A1263927A (en) Two-component mixing type coating method
KR0124188B1 (ko) 전도성 도료의 정전 도장장치
JP2003062490A (ja) 改善されたニードル閉止弁シーリング配置を備えるスプレーガン
US7614529B2 (en) Spool valve and valve seat assembly for an intermittently operable hot melt adhesive material control module
US6168049B1 (en) Hot melt adhesive applicator with centrally located filter
JPS6138349B2 (ko)
JPH049588B2 (ko)
US4568026A (en) Pilot operated coolant control valves in manifold assembly
JPH0768202A (ja) 液体を噴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135215B1 (en) Hot melt material application system with high temperature pressure monitoring and heated recirculating manifolds
WO1982000725A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US6076711A (en) High flow pneumatic adhesive applicator valve
KR101649161B1 (ko) 코팅 제품 스프레이용 밸브, 및 그 밸브를 포함하는 스프레이건
CN112443702A (zh) 阀及包括这种阀的用于涂覆覆盖产品的系统
DK172650B1 (da) Sprøjtedyse til højtryksrensere
KR200226431Y1 (ko) 노즐용 건
US11873921B2 (en) Servo-controlled metering valve and fluid injection system
JPH0516469Y2 (ko)
HU200386B (en) Steam cooling intervening organ particularly for thermal power-stations, heat centres
US20220055060A1 (en) High-pressure valve for an atomizing nozzle, and method for rinsing a high-pressure valve
JPH0646522Y2 (ja) スプレイガン
RU1771818C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