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491B1 - 차량용 노브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노브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491B1
KR100253491B1 KR1019960004638A KR19960004638A KR100253491B1 KR 100253491 B1 KR100253491 B1 KR 100253491B1 KR 1019960004638 A KR1019960004638 A KR 1019960004638A KR 19960004638 A KR19960004638 A KR 19960004638A KR 100253491 B1 KR100253491 B1 KR 10025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knob
movable
shaft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391A (ko
Inventor
다카히로 오이카와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다케토시
Publication of KR96003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극판에, 가동접점판을 지지한 콘택트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맞닿고, 가동접점판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접점불량을 방지한다.
조작레버(1)는 축봉(1a)을 가진다. 극판(2)은 조작레버(1)의 개구부(1f)에 끼워넣어진다. 가동판(3)은 극판(2)에 설치된 고정접점판(8)에 접촉하는 가동접점판(13)과, 절도체(4)의 통부(4a)가 삽입되는 관총구멍(3a)과, 상기 절도체(4)에 걸어맞춤하는 걸림편(3b)을 가진다. 절도체(4)는 축봉(1a)에 걸어맞춤하는 탄성네일(4c)을 가진다. 노브(5)는 가동판(3)의 주위에 형성된 걸림편(3e)이 걸어맞춤하는 걸림부(5b)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노브스위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확대 중앙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노브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작레버의 축봉의 홈을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확대 중앙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노브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레버 1a : 축봉
1b : 막힌구멍 1c :축
1d : 조작로드 1e : 볼록부
1f : 개구부 1g : 받이부
1h : 절결홈 1i : 홈
2 : 극판 2a : 구멍
2b : 회동방지홈 3 : 가동판
3a : 관통구멍 3b : 걸림편
3c : 스톱퍼 3d : 막힌구멍
3e : 걸림편 3f : 접점편 배설구멍
4 : 절도체 4a : 통부
4b : 절도판 4b1,4b2 : 측면
4c : 탄성네일 4d : 회동방지 볼록부
5 : 노브 5a,5b : 걸림부
5c : 단턱부 5d : 개구끝단
5e : 통형상 끝단부 6 : 절도핀
7 : 코일스프링 8 : 고정접점판
9 : 코드 10 : 스프링
11 : 스틸볼 12 : 접점스프링
13 : 가동접점판 13a : 돌출편
14 : 캡 14a : 네일
14d : 회동방지 볼록부 15 : 조작레버
15a : 축봉 15b : 막힌구멍
15c : 단턱부 15e : 볼록부
15f : 개구부 15g : 받이부
15h : 절연홈 15i : 절결면
15j : 홈 15k : 제2 절결홈
16 : 제1 노브 16a : 구멍
16b : 막힌구멍 16c : 회동범위 규제구멍
16d : 작은지름부 16e : 원호형상홈
16f, 16g : 측벽 17 : 제2 노브
17a, 17b : 걸림부 17c : 단턱부
18 : 제1 극판 18a : 회동방지홈
19 : 제1 가동접점판 20 : 고정체
20a : 통부 20b : 절도홈
20c : 스톱퍼 20d : 탄성네일
20e : 산형상 블록부 20f : 받이부
20g : 블록부 21 : 제2 극판
21a : 회동방지홈 22 : 제2 가동접점판
22a : 돌출편 23 : 가동판
23a : 관통구멍 23b : 걸림편
23c : 스톱퍼 23d : 막힌구멍
23e : 걸림편 23f : 접점편 배설구멍
24 : 절도체 24a : 통부
24b : 절도판 24c : 탄성네일
24d : 회동방지 볼록부 24e, 24f : 측면
25 : 캡 26 : 절도핀
27 : 코일스프링 28 : 제1 고정접점판
29 : 스프링 30 : 스틸볼
31 : 접점스프링 32 : 스틸볼
33a, 33b : 코드 34 : 스프링
35 : 스틸볼 36 : 접점스프링
A, B, C, D : 화살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턴시그널스위치 등과 같은 조작레버의 선단에 설치되는 차량용 노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종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공소63-48913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조작레버의 케이스에 축을 삽입하고, 이 축의 선단에 인슐레이터, 콘택트홀더 및 노브를 삽입하여 스냅링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 회동스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노브의 선단쪽 개구부는 캡으로 폐색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실공평 5-21797호 공보에 개시된 레버스위치는 조작레버의 선단에 2개의 회동스위치의 노브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레버의 선단쪽에 있는 노브는 핀에 의해 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은 축에 인슐레이터, 콘택트홀더 및 노브가 배설되기 때문에, 스냅링이나 핀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또한 부품수 및 작업공정수가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축봉을 가지는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극판과, 이 극판에 설치된 고정접점판에 접촉하는 가동접점판, 절도체의 통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 및 노브에 걸어맞춤되는 걸림편을 가지는 가동판과, 상기축봉에 걸어맞춤되는 탄성네일을 가지는 상기 절도체와, 상기 가동판의 걸림편이 걸어맞춤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상기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절도체의 탄성네일을 축봉에 걸림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레버의 개구부에 형성된 방이부와 절도체로서 극판과 가동판이 끼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봉을 가지는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며, 제1 고정접점판을 가지는 제1 극판과, 상기 제1 고정접점판에 접촉하는 제1 가동접점판을 가지는 제1 노브와 , 상기 조작레버의 축봉에 걸어맞춤되는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설치되며, 제2 고정접점판을 가지는 제2 극판과, 상기 제2 고정접점판에 접촉되는 제2 가동접점판 및 걸림편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축봉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는 가동판과, 상기축봉에 걸어맞춤되는 탄성네일을 가지는 절도체와, 상기 가동판의 걸림편에 걸어맞춤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제2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절도체의 탄성네일을 축봉에 걸림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레버의 개구부에 형성된 받이부와 절도체의 사이에 제1 극판, 제1 노브, 고정체, 제2 극판 및 가동판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절도체의 통부내에 회동방지 볼록부를 돌출형성하고, 극판 또는 제2 극판이, 고정접점판 또는 제2 고정접점판에 접속된 코드를 가지며, 축봉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상기 회동방지 볼록부 및 상기 코드를 삽입한 것이다.
[ 실시예 ]
이하, 제1도, 제2 도,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조작레버(1)의 선단에 하나의 회동스위치로 이루어진 노브(5)를 설치한 것이다.
조작레버(1)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턴시그널스위치, 디머스위치 등의 조작부재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레버(1)를 턴시그널스위치, 디머스위치용의 조작부재로서 기술한다. 또한 조작레버(1)는 와이퍼스위치의 조작부재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조작레버(1)는, 한 끝단에 극판(2), 가동판(3), 절도체(4) 및 노브(5)가 설치된 축봉(1a)과, 다른 끝단에 절도핀(6) 및 코일스프링(7)이 삽입되는 막힌구멍(1b)을 형성하고 있다. 축봉(1a)은 대략 나팔형상으로 열린 조작레버(1)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있다. 막힌구멍(1b)의 근처에는 회동체(도시하지 않음)에 축맞춤하는 축(1c), 턴시그널스위치 및 디머스위치의 가동판(도시하지않음)에 걸리는 조작로드(1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축봉(1a)은 이 축봉(1a)의 아래면에 코드(9) 및 회동방지 볼록부(4d)rk 삽입되는 홈(1i)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레버(1)는 축(1c)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동체의 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C 및 D방향으로 회동한다.
극판(2)은, 축봉(1a)이 끼워져 통하는 구멍(2a)을 가지는 대략 도넛형의 부재로서, 이 극판(2)의 표면에 고정접점판(8)이 고정되고, 그 이면에서 이 고정접점판(8)에 코드(9)가 납땜되어 있다. (2b)는 극판(2)의 주위에 형성된 회동방지홈으로서, 조작레버(1)의 개구부(1f)의 내벽에 형성된 볼록부(1e)에 걸어서 극판(2)의 회동을 저지한다. 상기 극판(2)을 조작레버(1)의 개구부(1f)에 끼워넣으면, 이 극판(2)의 이면이 조작레버(1)의 내벽에 형성된 받이부(1g)에 걸리게 된다.
가동판(3)은, 절도체(40의 통부(4a)가 삽입되는 관통구멍(3a)을 가지는 대략 도넛형의 부재이다. 이 가동판(3)의 표면에는 노브(5) 안쪽에 형성된 링형상 걸림부(5a)의 외주에 거는 2개의 걸림편(3b)과, 절도체(4)의 절도판(4b)의 측면(4b1), (4b2)에 맞닿는 스톱퍼(3c)와, 스프링(10) 및 스틸볼(11)이 끼워설치되는 막힌구멍(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판(3)의 이면에는 복수의 접접스프링(12)을 개재하여 가동접점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판(3)의 주위에는 노브(5)에 뚫린 걸림부(5b)에 걸어맞춤하는 걸림편(3e)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3)은 상기 스톱퍼(3c)의 바깥쪽에 가동접점판(13)의 돌출편(13a)이 끼워지는 접점편 배설구멍(3f)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편 배설구멍(3f)의 내벽에는 돌출편(13a)에 형성된 구멍으로 끼워지는 네일(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절도체(4), 통부(4a)의 안쪽을 향해, 축봉(1a)의 절결홈(1h)에 걸리는 탄성네일(4c)과, 축봉(1a0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홈(1i)에 끼워지는 회동방지 볼록부(4d)가 형성되어 있다. 절도판(4b)은 가동판(3) 쪽에, 스틸볼(11)이 눌려 접촉하는 복수의 절도홈이 형성된 대략 부채형의 판부재이다. 절도판(4b)은 2개의 스톱퍼(3c)사이에 배설되고, 가동판(3)이 회동하면 측면(4b1),(4b2)에 스톱퍼(3c)가 맞닿아서, 이 가동판(3) 및 노브(5) 회동범위를 규제한다.
노브(5), 전조등 스위치, 와이퍼 볼륨, 또는 리어와이퍼 스위치 등의 회동스위치의 조작부재이다. 노브(5)는 축봉(1a)의 선단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걸림편(3d)이 걸리는 대략 링형상의 걸림부(5a)와, 조작레버(1)의 개구부(1f)에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단턱부(5c)에 안내되어 회동한다. 노브(5)는 걸림부(5a),(5b)에 걸림편(3b),(3e)이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가동판(3)과 함께 회동한다. 노브(5)는 선단부쪽의 개구끝단(5d)에 캡(14)이 삽입되고, 네일(14a)을 통형상 끝단부(5e)에 걸어, 상기 캡(14)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걸림부(5a),(5b)는, 걸림편(3b),(3e)의 네일이 걸리는 것이라면 되고, 그 형상은 특히 한정하지 않는 다. 걸림부(5a),(5b)는 예컨대 관통구멍이나 막힌구멍이나 단턱부분이라도 좋다. 또 걸림부(5a),(5b)와 걸림편(3b),(3e)은 서로 반대로 설치하여도 좋다. 즉 노브(5)에 걸림편((3b),(3e)을 형성하고, 가동판(30에 걸림부(5a),(5b)를 형성하여도 좋다.
고정접점판(8)은, 복수의 도전판으로 이루어져 극판(2)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접점판(8)은 극판(2)을 프린트기판으로 인쇄한 것이라도 좋다. 코드(9)는 회동방지 볼록부(4d)가 끼워지는 홈(1i)을 통하여 조작레버(1)의 밖으로 배선된다.
또한, 스프링(10) 및 스틸볼(11)은, 절도체(4)의 절도판(4b)에 끼워놓고, 이 스틸볼(11)이 눌러 접촉하는 절도홈을 가동판(3)에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어서 그 작용을 조립순서와 함께,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코드(9)의 한 끝단을 고정접점판(8)에 납땜하고, 다른 끝단을 축봉(1a)의 홈(1i)으로 끼워넣어 조작레버(1)밖으로 배선한다. 극판(2)을 조작레버(1)의 개구부(1f)로 삽입하고, 또한 회동방지홈(2b)을 볼록부(1e)에 끼워넣는다. 극판(2)은 회동방지홈(2b)을 볼록부(1e)에 끼워넣음으로써, 회동이 저지된다.
접점스프링(12)을 개재하여 가동접점판(13)이 가동판(3)에 설치된다.
가동판(3)의 막힌구멍(3d)으로 스프링(10) 및 스틸볼(11)을 삽입하고, 또한 가동판(3)의 관통구멍(3a)에 절도체(4)의 통부(4a)를 삽입한다. 그리고 절도체(4)의 절도판(4b)을 2개의 스톱퍼(3) 사이에 배설한다. 가동판(3)이 회동하면 스톱퍼(3c)가 절도판(4b)의 측면(4b1),(4b2)에 맞닿아서,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이 절도체(4)의 통부(4a)를 축봉(1a)에 끼워넣고, 또한 탄성네일(4c)을 절결홈(1h)에 걸어, 회동방지 볼록부(4d)를 홈(1i)에 끼워넣는다. 이로써 절도체(4)는 조작레버(1)의 축봉(1a)에 축고정되고, 또한 조작레버(1)의 받이부(1g)와 상기 절도체(4)의 절도판(4b)에 의해 극판(2) 및 가동판(3)을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지지한다.
노브(5)의 걸림부(5a)를 축봉(1a) 및 걸림편(3b)에, 걸림부(5b)를 걸림편(3e)에 걸고, 또한 단턱부(5c)를 조작레버(1)의 개구부(1f)에 끼워넣는다. 이로써 노브(5)는 개구부(1f)나 축봉(1a)에 안내되어, 가동판(3)과 함께 회동한다. 노브(5)는 개구끝단(5b)에 캡(14)을 삽입하고, 네일(14a)을 통형상 끝단부(5e)에 걸어, 개구끝단(5d)을 폐색한다. 조작레버(1)는 절도핀(6) 및 코일스프링(7)을 막힌구멍(1b)에 삽입하여 턴시그널스위치의 스위치보디에 축지지한다.
이상으로 노브스위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노브스위치의 제1실시예는 절도핀(6), 코일스프링(7), 조작레버(1), 코드(9). 극판(2), 고정접점판(8),가동접점판(13), 접점스프링(12), 가동판(3), 스프링(10), 스틸볼(11), 절도체(4), 노브(5) 및 캡(14)의 전체 부품을 축봉(1a)의 축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고, 기계에 의한 자동조립이 가능하며 양산성이 우수한 구조이다.
노브(5)는, 가동판(3)을 향해 밀어넣는 것만으로, 걸리부(5a)가 걸림편(3b) 및 축봉(1a)에 걸리고, 또한 걸리부(5b)가 걸림편(3e)에 걸려서 상기 가동판(3)에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 노브(5)를 회동조작하면, 이 노브(5)는 축봉(1a) 및 개구부(1f)에 안내 회동하여 전조등 스위치가 온(ON), 오프(OFF) 된다.
다음에,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조작레버(15)의 선단에 2개의 회동스위치의 노브를 배설한 것이다.
조작레버(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자동차의 턴시그널스위치, 디미스위치 등의 조작레버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레버(1)를 턴시그널스위치, 디미스위치용의 조작부재로서 기술한다. 또한 조작레버(15)는 와이퍼 스위치의 조작부재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조작레버(15)는, 한 끝단에 제1극판(18), 제1 가동접점판(19), 제1 노브(16), 고정체(20), 제2극판(21), 제2 가동접점판(22), 가동판(23), 절도체(24), 제2 노브(17) 및 캡(25)이 배설되는 축봉(15a)을 형성하고, 다른 끝단에 절도핀(26) 및 코일스프링(27)이 삽입되는 막힌구멍(15b)을 형성하고 있다. 축봉(15a)은 대학 나팔형상으로 열린 조작레버(1)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있다. 축봉(15a)에는 이 축봉(15a)의 아래면에 코드(33a),(33b) 및 회동방지 볼록부(14d)가 삽입되는 홈(15j)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극판(18)은, 제1 실시예의 극판(2)과 동일형상이며, 이 제1 극판(18)의 표면에 제1 고정접점(28)을 고정하고, 그 이면에서 이 제1 고정접점판(28)에 코드(33a)가 납땜되어 있다. 제1 극판(18)은 주위에 형성된 회동방지홈(18a)을 조작레버(15)의 내벽에 형성된 볼록부(15e)에 걸어서 제1 극판(18)의 회동을 저지한다. 상기 제1 극판(18)을 조작레버(15)의 개구부(15f)에 삽입하면, 이 제1 극판(18)의 이면이 조작레버(15)의 내벽에 형성된 받이부(15g)에 의해 유지된다.
제 1노브(16)는, 안개램프를 점등하는 안개램프스위치 등이며, 고정체(20)의 통부(20d)가 삽입되는 구멍(16a)을 가지는 대략 도넛형의 부재이다.
이 제 1노브(16)의 표면에는 스프링(29) 및 스틸볼(30)이 삽입되는 막힌구멍(6b)과, 고정체(20)의 스톱퍼(20c)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범위 규제구멍(16c)이 뚫려져 있다. 이 제1 노브(16)가 회동하면 회동범위 규제구멍(16c)의 측벽(16f),(16g)이 스톱퍼(20c)에 닿아서,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이 제1 노브(16)의 이면에는, 복수의 접점스위치(31)을 개재하여 제1 가동접점판(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노브(16)의 주위에는 조작레버(15)의 개구부(15f)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작은 지름부(16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막힌구멍(16b)의 원주방향의 양 옆에 절도홈(20b)이 형성된 돌기가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호형상홈(16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노브(16)는 리어와이퍼스스위치나 와이퍼볼륨 등에 이용하여도 좋다.
고정체(20)는, 통부(20a)의 표면쪽의 개구끝단에 안쪽을 향해 축봉(15a)의 제1 절결홈(15h)에 걸리는 탄성네일(20d)과, 축봉(15a)의 축방향에 형성된 절결면(15i)에 눌려 접촉하는 산형상의 볼록부(20e)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체(20)의 내벽에는 제2 극판(21)을 지지하는 받이부(20f)와, 제2 극판(21)의 회동방지홈(21a)이 끼워지는 볼록부(20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극판(21)의 표면에는 제2 고정접점판(32), 그 이면에는 제2 고정접점만(32)에 접속된 코드(3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극판(21)은 프린트기판으로, 또한 고정체(20)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코드(33b)는 축봉(15a)의 축방향에 형성된 홈(15j)으로 삽입되어 조작레버(15)밖으로 배선된다.
가동판(23)은, 제1 실시예의 가동판(3)와 동일 형상이며, 절도체(24)의 통부(4a)가 삽입하는 관통구멍(23a)을 가지는 대략 도넛형의 부재이다. 이 가동판(23)의 표면에는 제2 노브(17) 내부에 형성된 대략 링형상의 걸림부(17a)의 바깥쪽에 걸고, 또한 축봉(15a)의 선단부에 축맞춤하는 걸림편(23b)과, 절도체(24)의 절도판(24b)의 가장자리가 닿는 스톱퍼(23c)와, 스프링(34) 및 스틸볼(35)이 끼워지는 막힌구멍(2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판(23)의 이면에는 복수의 접점스프링(36)을 개재하여 제2 가동접점판(22)이 설치되어 있다.이 가동판923)의 주위에는 제2 노브(17)에 뚫린 걸림부(17b)에 걸리는 걸림편(23e)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23)은 상시스톱퍼(23c)의 바깥족에 제2 가동접점판(22)의 돌출편(22a)이 끼워지는 접점편 배설구멍(23f)이뚫려져 있다. 이 접점편 배설구멍(23f)의 내벽에는 돌출편(22a)에 형성된 구멍이 걸리는 네일(도시하는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절도체(24)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절도체(4)와 동일 형상이다. 이절도체(24)는 통부(24a)의 안쪽을 향해, 축봉(15a)의 제2 절결홈(15k)에 걸리는 탄성네일(24c)과, 축봉(15a)의 축방향에 형성된 홈(15j)으로 끼워지는 회동방지 볼록부(24d)가 형성되어 잇다. 절도체(24b)는 가동판(23) 쪽의 면에, 스틸볼(35)이 눌려지는 복수의 절도홈이 형성된 대략 부채형의 판부재이다. 절도판(24b)은 2개의 스톱퍼(23c) 사이에 배설되며, 가동판(23)이 회동하면 측면(24e),(24f)에 스톱퍼(23c)가 닿아서, 이 가동판(23) 및 제2 노브(17)의 회동범위를 규제한다.
제2노브(17)는, 전조등스위치, 또는 와이퍼볼륨 등의 회동스위치 조작부재이다. 제2 노브(17)는 축봉(15a)의 선단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걸림편(23b)이 걸리는 대략 링형상의 걸림부(17a)와, 조작레버915)의 개구부(15f)에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단턱부(17c)에 안내되어 회동한다. 또한 제2 노브(17)는 걸림부(17a),(17b)에 걸림편(23b),(23e)이 걸림으로써, 가동판(23)과 함께 회동한다. 제 2노브(17)는 선단쪽의 개구끝단(5d)에 캡(25)을 삽입하고, 네일(14a)을 통형상 끝단부(5e)에 걸어둠으로써, 이 캡(14)을 끼워붙이고 있다. 또한 제2 노브(17) 및 캡(25)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이어서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의거하여 작용을 조립순서와 함게 상세히 설명한다.
코드(33a)의 한 끝단을 제1 고정접점판(28)에 납땜하고, 다른 끝단을 축봉(15a)의 홈(15j)에 끼워넣어 조작레버(15)밖으로 배선한다. 제1 극판(18)을 조작레버(15)의 개구부(15f)에 삽입하고, 또한 회동방홈(18a)을 볼록부(15e)에 끼워넣는다. 제1 극판(18)은 회동방지호(18a)이 블록부(15e)에 끼워짐으로써 회동이 저지된다.
접점스프링(31)을 개재하여 제1 가동접점판(19)을 제1 노브(16)에 설치한다. 제1 노브(16)의 막힌구멍(16b)에 스프링(29) 및 스틸볼(30)을 삽입하고, 또한 구멍(16a)에 통부(20a)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1 노브(16)의 회동범위 규제구멍(16c)에 스톱퍼(20c)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제 1노브(16)는 스톱퍼(20c)가 회동범위 규제구멍(16c)의 측벽(16f), (16g)에 닿음으로써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이 고정체(20)의 통부(20a)를 축봉(15a)에 끼워넣고, 또한 산형상 볼록부(20e)를 절결면 (15i)에 접촉시켜, 탄성네일(20d)을 홈(15j)에 끼워넣는다. 이로써 고정체(20)는, 조작레버(15)의 축봉(15a)에 축고정된다.
코드(33b)의 한 끝단을 제2 극판(21)의 제2 고정접점판(32)에 납땜하고 다른 끝단을 축봉(15a)의 홈(15j)에 끼워넣음으로써, 제1 노브(16)의 회동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제 2극판(21)을 조작레버(15)의 개구부(15f)에 삽입하고, 또한 회동방지홈(21a)이 블록부(20g)에 끼워짐으로써 회동이 저지된다.
접점스프링(36)을 개재하여 제2 가동접점판(22)을 가동판(23)에 설치한다. 가도판(23)의 막힌구멍(23d)에 스프링(34) 및 스틸볼(35)을 삽입하고, 또한 가동판(23)의 관통구멍(23a)에 절도체(24)의 통부(24a)를 삽입한다. 그리고 절도체(24)의 절도판(24b)을 2개의 스톱퍼(23c) 사이에 배치한다. 이로써 가동판(23)은 스톱퍼(23c)가 절도판(24b)의 측면(24e),(24f)에 닿음으로써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이 절도체(24)의 통부(24a)를 축봉(15a)에 끼워넣고, 또한 탄성네일(24c)을 제2 절결홈(15k)에 걸어맞추고, 회동방지 블록부(24d)를 홈(15j)에 끼워넣는다. 이로써 절도체(24)는 조작레버(15)의 축봉(15a)에 축고정되고, 또한 조작레버(15)의 받이부(15g)와, 이 절도체(24)의 절도판(24b)에 의해, 제1 극판(18), 제1 노브(16), 고정체(20), 제2 극판(21) 및 가동판(23)을 끼워 지지한다.
제2 노브(17)의 걸림부(17a)를 걸림편(23b) 및 축봉(15a)의 선단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걸림부(17b)를 걸림편(23e)에 걸고, 또한 단턱부(15c)를 조작레버(15)의 개구부(15f)에 끼워넣는다. 이로써 제2 노브(17)는 개구부(15f)나 축봉(15a)에 안내되어, 가동판(23)과 함께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노브(17)는 선단쪽의 개구끝단을 캡(25)으로 폐색한다.
조작레버(15)는, 절도편(26) 및 코일스프링(27)을 막힌구멍(15b)에 삽입하여 턴시그널스위치의 스위치보디에 축지지한다.
이상으로 노브스위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노브스위치의 제2 실시예는, 절도핀(26), 코일스프링(27), 조작레버(15), 코드(33a), 제1 극판(18), 제1 고정접점판(28), 제1 가동접점판(19), 접점스프링(31), 제1 노브(16), 스프링(29), 스틸볼(30), 고정체(20), 코드(33b), 제2 극판(21), 제2 고정접점판(32), 접점스프링(36), 가동판(23), 스프링(34), 스틸볼(35), 절도체(24), 제2 노브(17) 및 캡 (25)의 전체 부품을 축봉(15a)의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립할 수 있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고, 기계에 의해 자동조립이 가능하여, 양산성이 뛰어난 구조이다. 코드(33a),(33b)가 끼워넣어지고, 또한 절도체(24)의 회동방지 볼록부(24d)가 걸리는 홈(15j)을 조작레버(15)에 일체의 축봉(15a)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제1 노브(1b), 제2 노브(17) 및 가동판(23)이 회동하더라도 영향받는 일 없이 코드(33a), (33b)를 배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홈(15j)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15)의 선단에 배설되는 제2 노브(17)는, 제2 노브(17)를 가동판(23)에 끼워넣음으로써 걸림부(17b)가 걸림편(23e)에 걸리고, 제2 노브(17)를 가동판(23)에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공정수 및 부품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 제2 노브(17)를 회동조작하면, 이 제2 노브(17)는 축봉(15a) 및 개구부(15f)에 안내되어 회동하고, 제2 가동접점판(22)이 제2 고정접점판(32)에 접촉하여 전조등 스위치과 온(ON)한다.
또, 제1 노브(16)를 회동하고, 제1 가동접점판(19)이 제1 고정접점판(28)에 접촉하여 안개팸프스위치가 온(ON)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축봉을 가지는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의 개구부의 장착되는 극판과, 이 극판에 설치된 고정접점판에 접촉하는 가동접점판, 절도체의 통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 및 노브에 걸리는 걸리편을 가지는 가동판과, 상기 축봉에 걸리는 탄성네일을 가지는 상기 절도체와, 상기 가동판의 걸림편이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상기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노브를 가동판에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어, 부품수 및 가공 공정수를 삭감하고, 또한 기계에 의한 자동화 조립이 가능해진다.
(2) 본 발명은, 축봉을 가지는 조작레버와, 이조작레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며, 제1 고정접점판을 가지는 제1 극판과, 상기 제1 고정접점판에 접촉하는 제1 가동접점판을 가지는 제1 노브와, 상시조작레버의 축봉에 걸리는 고정체와, 이 고정체레 설치되며, 제2 고정접점판을 가지는 제2극판과, 상기 제2 고정접점판에 접점판에 접촉하는 제2 가동접점판 및 걸림편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축봉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가동판과, 상기 축봉에 축고정하는 탄성네일을 가지는 절도체와, 상기 가동판의 걸림편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제2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제2 노브를 가동판에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의 축봉은, 절도체의 통부 내에 돌출형성된 회동방지 볼록부와 및 상기 극판의 고정접점판에 접속된 코드를 끼워넣어 배치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홈이 극판에 접속된 코드를 조작레버 밖으로 배선하는 공간을 구성함과 동시에, 또한 회동방지 볼록부로서 고정체나 절도체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축봉을 가지는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극판과, 이 극판에 설치된 고정접점판에 접촉하는 가동접점판, 절도체의 통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 및 노브에 걸어맞춤되는 걸림편을 가지는 가동판과, 상기 축봉에 걸어맞춤되는 탄성네일을 가지는 상기 절도체와, 상기 가동판의 걸림편이 걸어맞춤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상기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절도체의 탄성네일을 축봉에 걸림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레버의 개구부에 형성된 받이부와 절도체로서 극판과 가동판이 끼워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브스위치.
  2. 축봉을 가지는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며, 제1 고정접점판을 가지는 제1 극판과, 상기 제1 고정접점판에 접촉하는 제1 가동접점판을 가지는 제1 노브와, 상기 조작레버의 축봉에 걸어맞춤되는 고정체와, 이 고정체에 설치되며, 제2 고정접점판을 가지는 제2 극판과, 상기 제2 고정접점판에 접촉되는 제2 가동접점판 및 걸림편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축봉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는 가동판과, 상기 축봉에 걸어맞춤되는 탄성네일을 가지는 절도체와, 상기 가동판의 걸림편에 걸어맞춤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제2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절도체의 탄성네일을 축봉에 걸림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레버의 개구부에 형성된 받이부와 절도체의 사이에 제1 극판, 제1 노브, 고정체 제2 극판 및 가동판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챠량용 노브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도체는,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통부 내에 회동방지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극판은, 고정접점판에 접속하 코드를 가지고, 상기 축봉은, 축방향의 홈을 가지며, 이 홈에는, 상기 회동방지 볼록부 및 상기 코드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브스위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도체는, 상기 축봉이 끼워지는 통부 내에 회동방지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극판 또는 제2 극판은, 제1 고정접점판 또는 제2 고정접점판에 접속한 코드를 가지고, 상기 축봉은, 축방향의 홈을 가지며, 이 홈에는, 상기 회동방지 볼록부 및 상기 코드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노브스위치.
KR1019960004638A 1995-04-11 1996-02-26 차량용 노브스위치 KR100253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0060 1995-04-11
JP7110060A JPH08287778A (ja) 1995-04-11 1995-04-11 車両用ノブ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91A KR960037391A (ko) 1996-11-19
KR100253491B1 true KR100253491B1 (ko) 2000-04-15

Family

ID=1452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638A KR100253491B1 (ko) 1995-04-11 1996-02-26 차량용 노브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65948A (ko)
JP (1) JPH08287778A (ko)
KR (1) KR100253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813B1 (ko) * 2009-12-14 2012-03-2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다기능 레버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4709B2 (ja) * 1996-01-18 2004-10-06 ナイルス株式会社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DE19601984A1 (de) * 1996-01-20 1997-07-24 Teves Gmbh Alfred Drehschalter mit Zwischensperre zwischen den Drehschritten
JP4104179B2 (ja) * 1996-02-20 2008-06-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両用ノブスイッチ
DE19912087A1 (de) * 1999-03-18 2000-09-21 Eaton Corp Lenkstockschalter für Kraftfahrzeuge
JP3880756B2 (ja) * 1999-10-19 2007-0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3881191B2 (ja) * 2001-05-17 2007-0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6218188B2 (ja) * 2015-02-25 2017-10-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634U (ko) * 1989-06-26 1991-02-12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9125A (en) * 1967-01-03 1970-03-03 Essex International Inc Electric switch having fixed contacts engageable by rotatable and linearly movable bridging members
US3511943A (en) * 1968-06-27 1970-05-12 Mccord Corp Control switch for a vehicle windshield washer and wiper system contained in a turn signal actuating lever
US3704446A (en) * 1970-02-09 1972-11-28 Vincent J Walter Running lights and differential parking systems for vehicles
JPS6321797A (ja) * 1986-07-16 1988-01-2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調光器
JP2547127Y2 (ja) * 1991-07-12 1997-09-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FR2702311B1 (fr) * 1993-03-02 1995-04-14 Accumulateurs Fixes Electrolyte pour générateur rechargeable au lithium.
JPH06348913A (ja) * 1993-06-02 1994-12-22 Hitachi Ltd 媒体取り扱い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634U (ko) * 1989-06-26 1991-02-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813B1 (ko) * 2009-12-14 2012-03-2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다기능 레버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91A (ko) 1996-11-19
JPH08287778A (ja) 1996-11-01
US5665948A (en) 1997-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157B1 (ko)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US5701660A (en) Method for making a multi-function switch stalk assembly
US5012056A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al switch
US6025565A (en) Lever switch for vehicles
KR100253491B1 (ko) 차량용 노브스위치
KR100479343B1 (ko) 차량용콤비네이션스위치의구조
US6091033A (en) Vehicle-mounted knob switch device
US5162625A (en) Switch assembly
US6025564A (en) Single stalk steering column switch
US5670765A (en) Automotive lever switch
KR100554124B1 (ko) 차량용레버스위치의구조
US5200584A (en) Lever switch
US5806376A (en) Control pedal unit for vehicles
JPS62186426A (ja) 電気スイッチ
EP1090807A2 (en) Lever switch
JP2003157746A (ja) 車両用レバー装置
US6150620A (en) Steering column switch for a motor vehicle
US5861593A (en) Modular switch stalk assemblable in different orientations to provide different rotation features
US6600115B2 (en) Switching device
JPH0145087B2 (ko)
JP3680435B2 (ja) スイッチレ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91149A (en) Operation shaft receiving-type electric
US6282973B1 (en) Selector for a vehicle transmission as well as switch module therefor
EP1304713B1 (en) Switch contact structure
JP2000322982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